KR101255614B1 - 연마공구 - Google Patents

연마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614B1
KR101255614B1 KR1020110109451A KR20110109451A KR101255614B1 KR 101255614 B1 KR101255614 B1 KR 101255614B1 KR 1020110109451 A KR1020110109451 A KR 1020110109451A KR 20110109451 A KR20110109451 A KR 20110109451A KR 101255614 B1 KR101255614 B1 KR 101255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disk
dust
air
sh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684A (ko
Inventor
안장혁
염종국
Original Assignee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524,204 priority Critical patent/US9028300B2/en
Priority to PCT/KR2012/004725 priority patent/WO2013032115A1/en
Publication of KR2013002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1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cooling prov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2Accessories; Protective equipment or safety devices; Installations for exhaustion of dust or for sound absorpt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covered by group B24B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24D7/066Grinding blocks; their mountings 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연마공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마공구는 중앙에 연마기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이 구비된 제1디스크; 제1디스크의 저면에 격벽부를 매개로 중앙의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제2디스크; 및 제2디스크의 하부에 제공되며 피삭재 연마용 연마팁이 구비된 환형의 샹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마공구 {GRINDING TOOLS}
본 발명은 피삭재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공구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삭재의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 등을 집진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연마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마공구는, 화강암, 타일, 벽돌, 콘크리트블록 등의 다양한 재질(이하, '피삭재'라 칭한다.)을 연마작업하기 위한 공구로, 피삭재의 표면이나 내, 외면 등을 가공하기 위해 휠 형태 또는 판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연마공구로는 연마휠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의 연마휠은 원판형의 샹크와, 이 샹크에 제공되어 실질적인 연마기능을 하는 연마팁을 포함한다.
연마팁은 다이아몬드 또는 CBN(CarBon Nitride)이나 일반 연마재(이하, '연마재'라 한다.)와, 이를 보지하고 지속적인 자생작용을 가능케 하는 금속이나, 레진, 세라믹 등 재질의 분말(이하, '본드'라 한다.)이 혼합된 소성체로 제공된다.
이러한 연마팁은 용접, 납접, 접착 등의 방식으로 샹크에 부착되고, 샹크와 함께 회전하며 피삭재를 연마한다.
한편, 종래의 연마공구, 일례로 연마휠은 피삭재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분진은 연마가 이루어지는 작업영역으로 다시 유입되어 연마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주변으로 배출되어 작업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하여 분진의 배출을 저감시키기 위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연마휠의 일측에 진공흡입기 등을 배치하여 분진을 빨아드리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전동공구의 동력을 이용하여 분진을 집진하도록 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마휠의 평면도 및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연마휠(10)은 중앙부에 전동공구, 일례로 연마기에 장착되는 장착공이 제공된 샹크(12) 및 이 샹크(12)에 제공되어 실질적으로 피삭재를 연삭하는 연마팁(20)을 포함한다.
샹크(12)에는 연마팁(20)이 배열되며, (도시되지 않은) 연마기에 장착되어 피삭재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피삭재를 연마한다. 이때, 연마팁(20)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배열된 형태에 따라 싱글, 더블 또는 터보 등과 같은 다양한 부착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샹크(12)에는 연마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 등을 방지하거나, 흡수하기 위해 다수의 구멍(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샹크(12)는 구멍(14)의 형태나 방향 또는 다른 구멍(14)들과의 배열 형태 등에 따라 흡기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샹크(12)는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마 작업시 발생한 분진을 구멍(14)으로 흡입한다.
한편, 연마기에는 구멍(14)을 통해 흡입된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더스트 커버 및 흡입력을 제공하는 집진기가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연마휠은 피삭재로부터 발생한 분진 중 상당한 양이 집진기로 흡입되지 못하고 원심력 등에 의해 바깥으로 배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집진의 실효성이 떨어져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연마휠의 크기가 커지거나 고속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집진기로 흡입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분진을 효율적으로 집진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마작업시 피삭재 등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효과적으로 흡입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연마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마공구는 중앙에 연마기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이 구비된 제1디스크; 제1디스크의 저면에 격벽부를 매개로 중앙의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제2디스크; 및 제2디스크의 하부에 제공되며 피삭재 연마용 연마팁이 구비된 환형의 샹크;를 포함한다.
또한, 제2디스크 또는 샹크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홈을 더 포함하고, 샹크는 유입홈과 연통하여 공기를 중앙부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홈은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격벽부는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연마팁은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격벽부 사이에 제공되는 보조 격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격벽부와 유입홈 사이를 구획하도록 제공되며 배출유로의 출구를 감싸도록 제공된 더스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더스트 커버의 일측에 연통하도록 제공된 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스트 커버는 유입홈을 차폐하도록 제공된 가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고, 더스트 커버의 일측에는 배출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가이드 커버에 의해 차폐된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의 하측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외측으로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됨에 따라 피삭재 등으로부터 발생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진이 주변 작업 영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동공구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분진 등을 흡수할 수 있어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항상 최적의 집진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격벽부의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집진효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피삭재의 집진 및 그 배출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잔류된 분진 등으로 인한 연마효율의 저하 또는 연마팁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마기에 발생하는 부하를 감소시켜 연마에 소요되는 동력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는 중앙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분진을 지연없이 배출할 수 있으며, 더욱 효과적으로 분진을 집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공기의 유입이 원활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연마팁의 열적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더스트 커버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홈을 통해 내부로 강제로 압송되므로, 공기의 흡입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항상 연마공구의 중앙부로 안정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마휠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마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에 더스트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격벽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연마팁을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에 더스트 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연마공구는 전동공구, 일례로 연마기에 장착되어 회전 또는 병진 운동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피삭재와 마찰되며 피삭재를 연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마공구는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되어 전동공구, 일례로 연마기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동공구, 일례로 연마기 등에 일체로 제공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를 위한 결합구조 등은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마공구의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110)은 원형으로 제공되어 회전운동에 의해 피삭재를 연마할 수 있다.
일례로, 연마휠(110)은 연마기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113)이 중앙부에 형성된 제1디스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디스크(112)의 저면에는 제2디스크(120)가 제공될 수 있다.
제2디스크(120)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격벽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 격벽부(122)는 제1디스크(112)의 저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격벽부(122)는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부(122)는 중앙부에 인접한 지점에서 다른 인접된 격벽부(122)와의 사이 간격이 좁고, 외측으로 갈수록 다른 인접된 격벽부(122)와의 사이 간격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제2디스크(120)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중앙부가 관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마휠(110)은 격벽부와 제1디스크(112)의 저면 및 제2디스크(120) 상면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부(122)는 연마휠(110)의 회전시 발생하는 원심력 및 중앙에서 외측으로 공간이 확장됨에 따라 발생하는 진공압에 의해 내측의 공기를 외측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마휠(110)의 회전시, 격벽부(122)와 제1디스크(112)의 저면 및 제2디스크(120) 상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제2디스크(120)의 중앙부에 관통된 공간을 통해 흡입된 하부의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부(122)는 제2디스크(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부(122) 또는 제2디스크(120)에 체결되는 볼트 등의 복수의 체결부재(114)에 의해 제1디스크(112)와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격벽부(122)는 복수의 체결부재(114)에 의해 결합이 유지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격벽부(122)의 결합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용접이나 압입 또는 탈착구조 등에 의한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 유지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디스크(112) 또는 제2디스크(120) 중 어느 한 쪽에는 체결부재(114)가 삽입되는 체결공(1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체결부재(114)는 제1디스크(112) 또는 제2디스크(120) 중 다른 한 쪽의 체결부(도 11의 125 참조)에 체결되거나, 너트 등의 부재에 연계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디스크(120)의 하부에는 중앙부가 관통된 환형의 샹크(130)가 제공될 수 있다. 샹크(130)에는 피삭재를 연마하기 위한 다수의 연마팁(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연마팁(110)은 샹크(130)의 외측 둘레부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샹크(13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134)에 의해 제2디스크(120)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공(124)에 체결되며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샹크(13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134)에 의해 결합이 유지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샹크(130)의 결합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샹크(130)는 체결부재(134) 외에도 용접이나 압입 또는 탈착구조 등에 의한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디스크(120) 또는 샹크(1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홈(126)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홈(126)은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유입홈(126)은 회전방향의 전방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마휠(110)의 회전에 연계하여 공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샹크(130)에는 이 유입홈(126)과 연통하여 공기를 중앙부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공(136)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마휠(110)은 연마기에 장착되어 회전함에 따라 제1디스크(112)와, 제2디스크(120) 및 격벽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유로를 통해 중앙부 하부의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피삭재 등으로부터 발생한 분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연마휠(110)은 유입홈(126) 및 공기유입공(136)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중앙부 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부 하측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외측으로 배출됨에 따라 중앙부 하측에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이 연마기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연마휠(110)은 중앙부의 장착홀(113)에 연마기의 작동축(152)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마휠(110)에는 분진 등을 집진하기 위해 배출유로(즉, 제1디스크(112)와, 제2디스크(120) 및 격벽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출구를 감싸도록 제공된 더스트 커버(154)가 제공될 수 있다.
더스트 커버(154)는 격벽부(122)와 유입홈(126) 사이를 구획하며 배출유로를 감쌀 수 있다. 또한, 더스트 커버(154)의 일측에는 공기와 함께 흡입된 분진 등을 수용하는 집진부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집진부는 연마기 등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배관(156)을 통해 더스트 커버(154)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부는 연마기의 일측에 제공되는 (도시되지 않은) 집진용기, 일례로 더스트 백(dust bag)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연마휠(110)은 연마기의 회전력 등에 의해 공기와 함께 분진의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집진기 또는 집진용 팬을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나, 분진 등의 흡입력 향상을 위해 집진기 또는 집진용 팬이 부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더스트 커버(154)에 연결되는 배관(156)은 배출유로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유로의 측면으로 배출된 분진 등을 집진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배관(156)의 연결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더스트 커버(154)의 형상 등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직경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연결위치도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관(156)은 일개소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배관(156)은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더스트 커버(154)의 하단에는 더스트 커버(154)와 연마휠(110)의 틈새를 차폐하도록 연마휠(110)과 인접하도록 제공된 턱부재(157)가 구비될 수 있다.
턱부재(157)는 더스트 커버(154)의 내측과 외측을 구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마휠(110)의 배출유로를 통해 더스트 커버(154) 측으로 배출된 분진 등이 다시 연마휠(110)의 작업공간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턱부재(157)는 더스트 커버(15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더스트 커버(154)에 결합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더스트 커버(154)는 하단의 외둘레에 분진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스커트부(shirt)(158)가 제공될 수 있다.
스커트부(158)는 더스트 커버(154)의 하단에서 피삭재의 표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여 분진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스커트부(158)는 본 실시예와 같이 브러쉬 부재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얇은 판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마휠(110)은 피삭재의 연마시 발생된 분진 등이 중앙의 하측에서 배출유로를 통해 더스트 커버(154)의 내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더스트 커버(154)의 내측으로 배출된 분진 등은 더스트 커버(154)에 의해 차폐된 상태로 배관(156)을 통해 집진부에 집진될 수 있다.
이때, 연마휠(110)의 중앙 하측에는 유입홈(126) 및 공기유입공(136)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며 진공을 해제함과 동시에 기류관성력을 부여하여 분진의 배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격벽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의 (a)와 (b)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격벽부(122)는 연마휠(110)이 회전하는 방향에 의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격벽부(122)는 연마휠(110)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경사진 각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마휠(110)의 회전시 원심력이 크게 발생하여 분진 등의 배출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격벽부(122) 사이에는 보조 격벽부(128)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즉, 격벽부(122)는 중앙부에서 외곽부로 진행됨에 따라 인접하는 다른 격벽부(122) 와의 사이가 넓어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격벽부(122) 사이의 확장된 공간에는 보조 격벽부(128)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격벽부(122)와 보조 격벽부(128)가 교대로 설치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격벽부(128)는 격벽부(1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진 등의 배출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격벽부(128)는 격벽부(122)의 굴곡된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디스크(120)의 외둘레에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격벽부(12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격벽부(122) 및 보조 격벽부(128)는, 도 9의 (a)와 같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완만한 각도로 굴곡질 수 있으며, 도 9의 (b)와 같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크게 굴곡된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부(122) 및 보조 격벽부(128)가 경사진 각도는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으며, 성능 향상을 위해 그 형태 또는 배치된 위치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마휠(110)은 연마팁(140)이 샹크(130)의 외둘레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연마팁(140)이 배치된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성능향상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110)의 연마팁(140)을 도시한 평면도인 도 10의 (a)와 (b)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연마팁은, 도 10의 (a)와 같이, 샹크(130)의 외둘레 저면에 원주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연마팁(140)은 원주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마팁(240)은, 도 10의 (b)와 같이 연마휠(110)의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연마팁(240)은 샹크(230)의 저면부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공(236)은 샹크(230)의 연마팁(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마팁(240)은 연마휠(11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한 분진의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평면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연마휠(110)은, 도 11과 같이 유입홈(126)과 공기유입공(136)은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유입홈(126)과 공기유입공(136)이 배치된 형태 또는 연통하는 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평면도이다. 일례로, 연마휠(310)은, 도 12와 같이, 제2디스크(320)의 저면에 다수의 유입홈(32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샹크(330)에는 연마팁(340)이 부착되어 실질적인 연마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샹크(33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334)에 의해 제2디스크(320)의 체결공(도 5에 도시된 124)에 결합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부재(334) 외에도 용접이나 압입 또는 탈착구조 등에 의한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샹크(330)에 제공되는 공기유입공(336)은 일체로 이루어져 다수의 유입홈(326)과 연결되며 이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입공(336)은 샹크(330)의 내둘레에 하나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공기유입공(336)은 샹크(330)의 내측 관통부를 확장함에 따라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디스크(320)는 유입홈(326)이 끝나는 위치에서 관통부 사이에 공기가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부(329)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단턱부(329)는 샹크(330)의 저면에 대응하는 두께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홈(326) 및 공기유입공(336), 즉 샹크(330)의 확장된 내측 관통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단턱부(329)에 의해 하방으로 배출된 후, 분진 등과 함께 연마휠(310) 중앙부를 통해 상부의 배출유로로 배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의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연마휠(510)은 제2디스크(520)의 저면에 다수의 유입홈(5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홈(526)은, 도 12에 비해 제2디스크(520)의 관통된 중앙으로부터 먼 거리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2디스크(520)에는 샹크(530)가 결합되며, 샹크(530)에는 실질적인 연마를 진행하는 연마팁(540)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샹크(530)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536)은 유입홈(526)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크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샹크(530)에 제공되는 공기유입공(536)은 일체로 이루어져 다수의 유입홈(526)과 연결되며 이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입홈(526)은 제2디스크(520)의 관통된 중앙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되므로, 유입홈(526)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2디스크(520)의 관통부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연마면을 따라 중앙부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연마휠(510)의 도 12에 도시된 제2디스크(320)의 단턱부(339)와 같은 구성이 없더라도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샹크(530)의 공기유입공(536)이 크게 형성됨에 따라 볼트 등의 체결부재(534)가 체결되는 제2디스크(520)의 체결공(도 5의 124)도 이에 대응되어 중앙부로부터 먼 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534) 및 체결공(도 5의 124)은 연마팁(540) 등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재(534) 및 체결공(도 5의 124)은 연마팁(54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유입홈(526) 및 이와 연통하는 공기 유입공(536)은 그 형태와 크기, 위치 등에 있어서 연마휠(510)의 중앙부로 효과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연마휠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의 연마휠(110)을 연마기의 출력축(152)에 장착한다.
이때, 연마기의 출력축(152)이 제1디스크(112)의 장착홀(113)에 삽입된 후,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1디스크(112)와 고정유지된다.
그리고, 연마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면, 그 출력축(152)의 회전에 연계하여 연마휠(110)이 회전하게 되며, 이를 피삭재와 마찰시켜 따라 연마를 진행한다.
이때, 연마휠(110)은 샹크(130)에 부착된 연마팁(140)이 실질적인 연마를 진행하게 되며, 연마과정에서 피삭재로부터 분진 등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피삭재로부터 발생된 분진은 샹크(130)의 중앙부에서 제1디스크(112)와, 제2디스크(120) 및 격벽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의 배출유로로 흡입되어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연마휠(110)은 제2디스크(120)의 유입홈(126) 및 샹크(130)의 공기유입공(136)을 통해 공기가 연마휠(1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진공의 형성을 막고, 배출유로(즉, 제1디스크(112)와, 제2디스크(120) 및 격벽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로 흡입되는 분진을 포함한 공기들에 기류관성력을 부여하여 배출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연마휠(110)은 분진이 제거됨에 따라 공기의 마찰부하가 저감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연마휠(110)은 마찰부하의 저감 및 냉각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연마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마휠(110)의 내구성 및 피삭재의 연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연마과정에서 발생된 후 배출되는 분진 등을 배출유로의 출구측에 구비된 더스트 커버(154)에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다.
또한, 더스트 커버(154)의 내측으로 유입된 분진 등은 턱부재(157)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더스트 커버(154)에 모아진 분진 등을 배관(156) 등을 통해 일측에 연결된 집진부에 집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마휠이 연마기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더스트 커버(254)는 배출유로의 출구측을 차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더스트 커버(254)는 유입홈(126)을 차폐하도록 제공된 가이드 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커버(260)는 더스트 커버(254)의 하단부, 일례로 턱부재(257)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커버(260)는 더스트 커버(254)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더스트 커버(254) 또는 턱부재(257)에 결합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가이드 커버(260)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용접이나 압입 또는 탈착구조 등에 의한 다양한 결합방법으로도 결합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 커버(260)는 유입홈(126)의 하부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플랜지부(262)를 포함하며, 이 플랜지부(262)와 더스트 커버(254)의 하부인 턱부재(257)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돌기(264)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 커버(260)는 플랜지부(262) 및 단차돌기(264)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더스트 커버(254)의 하부, 일례로 턱부재(257)의 일측에는 배출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가이드 커버(260)에 의해 차폐된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구멍(259)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더스트 커버(254)에 제공된 배관(256)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더스트 커버(254)의 내벽면에 부딪힌 후 구멍(259)을 통해 가이드 커버(254)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압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이드 커버(260)로 압송된 공기는 유입홈(126)을 통해 연마휠(110)의 중앙부로 유입되며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 : 연마휠 112 : 제1디스크
113 : 장착공 114 : 체결부재
115 : 체결공 120 : 제2디스크
122 : 격벽부 124 : 체결공
126 : 유입홈 128 : 보조 격벽부
130 : 샹크 134 : 체결부재
136 : 공기유입공 140 : 연마팁
152 : 작동축 154 : 더스트 커버
156 : 배관 158 : 스커트부

Claims (9)

  1. 중앙에 연마기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이 구비된 제1디스크;
    상기 제1디스크의 저면에 격벽부를 매개로 중앙의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외측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제2디스크; 및
    상기 제2디스크의 하부에 제공되며 피삭재 연마용 연마팁이 구비된 환형의 샹크;
    를 포함하는 연마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크 또는 상기 샹크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샹크는 상기 유입홈과 연통하여 공기를 중앙부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공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공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마팁은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공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 사이에 제공되는 보조 격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공구.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와 상기 유입홈 사이를 구획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배출유로의 출구를 감싸도록 제공된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공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일측에 연통하도록 제공된 집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공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유입홈을 차폐하도록 제공된 가이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유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커버에 의해 차폐된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된 구멍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공구.
KR1020110109451A 2011-08-31 2011-10-25 연마공구 KR101255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24,204 US9028300B2 (en) 2011-08-31 2012-06-15 Grinding tool adapted to collect grinding particles
PCT/KR2012/004725 WO2013032115A1 (en) 2011-08-31 2012-06-15 Grind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87818 2011-08-31
KR1020110087818 2011-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84A KR20130024684A (ko) 2013-03-08
KR101255614B1 true KR101255614B1 (ko) 2013-04-16

Family

ID=4817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51A KR101255614B1 (ko) 2011-08-31 2011-10-25 연마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2640A (zh) * 2022-03-11 2022-08-30 航天材料及工艺研究所 一种自鼓风冷却的碗型金刚石镀层砂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12A (ko) * 1999-07-29 2000-04-06 김세광 연마 휠
KR20090086307A (ko) * 2006-03-24 2009-08-12 블래스트랙 엔. 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연삭기로부터 먼지를 추출하는 기기 및 방법
KR101142480B1 (ko) 2010-02-17 2012-05-07 이일영 탄성 흡진후드를 구비한 핸드 그라인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12A (ko) * 1999-07-29 2000-04-06 김세광 연마 휠
KR20090086307A (ko) * 2006-03-24 2009-08-12 블래스트랙 엔. 에이., 인코포레이티드 연삭기로부터 먼지를 추출하는 기기 및 방법
KR101142480B1 (ko) 2010-02-17 2012-05-07 이일영 탄성 흡진후드를 구비한 핸드 그라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84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79110B2 (ja) 研削装置用研削ホイール
US9028300B2 (en) Grinding tool adapted to collect grinding particles
US20060211351A1 (en) Power tool with dust collection function
CN102233533B (zh) 砂光机
US6551181B2 (en) Abrasive wheel
CN201776673U (zh) 砂光机
US20070232206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on of dust from a grinder
KR101255614B1 (ko) 연마공구
CN217572432U (zh) 一种中心出液打磨盘及打磨机
CN211466038U (zh) 一种高效排屑砂轮
US20090104860A1 (en) Portable power tool
CN212044066U (zh) 磨光机
JP6945903B1 (ja) 加工工具およびその加工工具を用いた加工装置
KR101193130B1 (ko) 집진 기능이 구비된 버핑 스핀들
CN201776674U (zh) 磨砂机
JP2009023005A (ja) 電動工具
KR101821398B1 (ko) 연마 휠
CN210414160U (zh) 一种高效切割砂轮片
CN220561247U (zh) 一种自排屑孔内抛光磨具
CN220463536U (zh) 一种喷砂机的喷砂泵浦
JPH0611964U (ja) 砥石盤
CN219945839U (zh) 一种散热砂轮结构
CN210450126U (zh) 大型箱体类零件切屑清理装置
JP2004298968A (ja) カッター装置
CN220994142U (zh) 一种具有易排水排渣排屑沟槽的磨削砂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