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545B1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545B1
KR101254545B1 KR1020107021920A KR20107021920A KR101254545B1 KR 101254545 B1 KR101254545 B1 KR 101254545B1 KR 1020107021920 A KR1020107021920 A KR 1020107021920A KR 20107021920 A KR20107021920 A KR 20107021920A KR 101254545 B1 KR101254545 B1 KR 10125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insertion passage
child seat
belt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460A (ko
Inventor
타카히로 야마니시
Original Assignee
다까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따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 B60N2/2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 B60N2/2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detecting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the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 B60N2/27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detecting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securing the child in the seat
    • B60N2/272Buckle lock sensors for child seat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3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back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좌우의 측면에 각각 벨트 삽입 통과부가 복수개 설치된 차일드 시트를 좌석 상에 설치해서 시트 벨트에 의해 고정할 때에 시트 벨트가 통과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를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이다. 차일드 시트(1)를 전방 방향 설치할 때에는 보텀 블록(24)을 오목부(23)의 최후방부에 위치시키고 차일드 시트(1)를 좌석에 적재한다. 스타트 스위치(44)를 누르면 LED(39)가 점멸한다. 텅(53)을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백부(22) 사이에 삽입하고, 랩 벨트(52)를 벨트 삽입 통과부(37)에 따르게 하면 랩 벨트(52)가 리미트 스위치(38)에 닿아 LED(39)가 소등되고 LED(34)가 점멸한다. 숄더 벨트(51)를 벨트 삽입 통과부(30)에 걸어 통과시키면 숄더 벨트(51)가 리미트 스위치(33)에 닿아 LED(34)가 소등된다.

Description

차일드 시트{CHILD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석 상에 설치되는 차일드 시트(child sea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장치의 시트 벨트에 의해 고정되는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좌석 상에 설치된 차일드 시트를 좌석에 고정하는 구조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그 1개로 해서 차일드 시트에 형성된 벨트 삽입 통과 구멍에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장치의 시트 벨트를 통과시켜서 차일드 시트를 고정하는 것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52094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동호 공보의 차일드 시트는 자동차의 좌석 상에 있어서 자동차의 전방 방향에도 또한 후방 방향에도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 차일드 시트는 그 저부에 전방 방향 설치시 및 후방 방향 설치시 어디에 있어서도 상기 저부에 있어서 자동차 후방측의 위치를 취하도록 위치 변경 가능한 보텀 블록(bottom block)을 구비한 것이다.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52094 호 공보
본 발명은 복수개의 벨트 삽입 통과부를 갖는 차일드 시트를 좌석 상에 설치해서 시트 벨트에 의해 고정할 때에 시트 벨트가 통과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를 극히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는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복수개의 벨트 삽입 통과부를 갖고, 이 벨트 삽입 통과부에 자동차의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됨으로써 자동차의 좌석에 장착되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의 좌석에 장착할 때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를 나타내도록 점등하는 발광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2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1 형태에 있어서, 각 벨트 삽입 통과부에 각각 벨트 검지기가 설치되어 있어 이 벨트 검지기가 시트 벨트를 검지하면 그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가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3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2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벨트 검지기는 벨트 삽입 통과부에 삽입 통과된 벨트 삽입 통과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4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2 또는 제 3 형태에 있어서, 최초에 시트 벨트가 통과해야 할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를 최초에 점등시켜 상기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된 것이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의 벨트 검지기에 의해 검지되면 상기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를 소등시키고, 이어서 다음으로 시트 벨트가 통과해야 할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를 점등시켜 상기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된 것이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의 벨트 검지기에 의해 검지되면 상기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를 소등시키도록 발광체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동작을 개시시키는 스타트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5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가 자동차의 전방 방향으로 설치될지 후방 방향으로 설치될지를 검지하는 설치 방향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 삽입 통과부로서 전방 방향 설치시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되는 전방 방향 설치시용(設置時用) 벨트 삽입 통과부와, 후방 방향 설치시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되는 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 방향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설치 방향에 따라 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와 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6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5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에 설치된 발광체와 상기 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에 설치된 발광체는 발광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7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6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에 설치된 발광체의 발광색은 적색계이며, 상기 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에 설치된 발광체의 발광색은 청색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8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5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의 저부에 전방 방향 설치시 및 후방 방향 설치시 중 어디에 있어서도 상기 저부에 있어서 자동차 후방측의 위치를 취하도록 위치 변경 가능한 보텀 블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 방향 검지 수단은 상기 보텀 블록의 위치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설치 방향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9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5 내지 제 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는 자동차의 좌석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리클라이닝(reclining) 가능하게 유지된 차일드 시트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설치 방향 검지 수단은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설치 방향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0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1 내지 제 9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에 앉은 아이를 구속하기 위한 아이용 웨빙(webbing)과, 상기 아이용 웨빙의 선단에 설치된 텅(tongue)과, 상기 텅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을 갖는 버클과, 상기 텅의 상기 삽입 구멍으로의 삽입 완료를 검지하는 텅 센서와, 상기 삽입 구멍에 설치된 삽입 구멍용 발광체와, 상기 차일드 시트에 앉은 아이를 검지하기 위한 착석 센서와, 상기 착석 센서가 착석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삽입 구멍용 발광체를 점등시켜 상기 텅 센서가 텅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삽입 구멍용 발광체를 소등시키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1 형태의 차일드 시트는 제 1 내지 제 10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발광체의 점등은 점멸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 본체의 백(back)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리미트 스위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전방 방향 설치된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후방 방향 설치된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아이용 통 및 버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전방 방향 설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후방 방향 설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 본체의 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벨트 삽입 통과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벨트 삽입 통과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 본체의 보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벨트 삽입 통과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벨트 스레딩(threading)부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XXI-XXI선 단면도이다.
제 1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가 발광체의 점등에 의해 나타내어지기 때문에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의 좌석 상에 설치한 후, 시트 벨트를 벨트 삽입 통과부에 삽입 통과시킬 때에 어느 벨트 삽입 통과부에 시트 벨트를 삽입 통과시켜야 하는지를 극히 간단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 2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벨트 삽입 통과부에 시트 벨트를 삽입 통과시키면 삽입 통과된 시트 벨트가 벨트 검지기에 의해 검지되어 그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가 소등되므로 그 벨트 삽입 통과부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발광체가 소등됨으로써 시트 벨트의 삽입 통과 작업이 종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 3 형태와 같이, 벨트 검지기로서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했을 경우 시트 벨트를 벨트 삽입 통과부에 통과시키고, 또한 시트 벨트에 소정 이상의 장력을 가함으로써 발광체가 소등된다. 시트 벨트를 벨트 삽입 통과부에 통과시켜도 시트 벨트가 느슨한 경우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아 발광체가 소등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벨트 삽입 통과부에 삽입 통과된 시트 벨트에 소정 이상의 장력이 가해져 있는 것을 발광체의 소등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 4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스타트 스위치를 조작하면 우선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가 점등한다. 이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에 시트 벨트를 삽입 통과시키면 이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가 소등되고, 계속해서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가 점등한다. 따라서, 시트 벨트를 각 벨트 삽입 통과부에 통과시킬 때에 우선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에 통과시키고, 그 후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에 통과시키는 일련의 작업 순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5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의 전방 방향으로 설치했을 때에는 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가 점등되고, 후방 방향으로 설치했을 때에는 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가 점등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를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방향으로 해도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 6 및 제 7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의 설치 방향에 따라 삽입 통과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가 다른 경우에도 삽입 통과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 8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의 저부의 보텀 블록의 배치 위치로부터 차일드 시트의 설치 방향을 검지할 수 있다.
제 9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차일드 시트 본체의 리클라이닝 각도로부터 차일드 시트의 설치 방향을 검지할 수 있다.
제 10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아이가 차일드 시트에 앉으면 버클의 삽입 구멍의 발광체가 점등되므로 아이용 웨빙의 텅을 삽입해야 할 삽입 구멍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 11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발광체의 소비 전력이 적어 만족스러움과 아울러 점멸에 의해 사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정면측의 사시도, 도 2a, 도 2b는 차일드 시트 본체의 배면측의 사시도, 도 3은 베이스의 백부의 상부의 사시도, 도 4a, 도 4b는 리미트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시트 벨트가 통과한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은, 각각 이 차일드 시트의 착석자에 있어서의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과 합치한다.
이 차일드 시트(1)는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이 차일드 시트 본체(10)가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장착된 베이스(20)를 갖는다. 차일드 시트 본체(10)는 등받이부(11) 및 시트부(12)를 갖고 있다.
등받이부(11)의 배면 상부의 좌우 양쪽 사이드로부터는 각각 돌출편(14)이 1쌍씩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편(14)이 베이스(20)의 가이드부(도시 생략)에 상하 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져 있다.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좌우의 측면의 상부에는, 각각 이 차일드 시트(1)를 자동차 후방을 향하도록 후방 방향 설치했을 때에 시트 벨트를 거는 벨트 스레딩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벨트 스레딩부(15)는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형상이 L자형의 훅(hook) 형상인 것으로 되어 있고 상단측이 개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벨트 스레딩부(15)는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별개로 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측이 볼트 등의 고정구(15a)에 의해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벨트 스레딩부(15)는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스레딩부(15)에 통과된 시트 벨트를 검지하기 위한 벨트 검지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후술의 벨트 삽입 통과부(30, 37, 40) 등과 같이, 리미트 스위치를 상기 벨트 스레딩부(15)에 면하도록 해서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측면에 설치하고, 벨트 스레딩부(15)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된 것을 이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검지함과 아울러 벨트 스레딩부(15)의 가까운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측면 등에 이 리미트 스위치의 검지 결과에 따라서 점등 및 소등되는 LED 등의 발광체를 설치해도 좋다.
이 차일드 시트 본체(10)에는 앉은 아이를 구속하기 위한 아이용 웨빙과, 이 아이용 웨빙의 텅이 삽입되는 버클이 설치되어 있지만 도 1 ~ 도 6에서는 이 아이용 웨빙 텅 및 버클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베이스(20)는 보텀부(21)와, 상기 보텀부(21)로부터 기립되는 백부(22)를 갖는 측면으로부터 바라봐서 대략 L자형의 것이다. 이 베이스(20)에는 차일드 시트 본체(10)를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보텀부(21)의 저면으로부터 백부(22)의 하부의 배면에 걸쳐서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이 오목부(23)에 보텀 블록(24)이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져 있다.
오목부(23)의 좌우의 내림 벽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25)이 형성되어 있고, 보텀 블록(24)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핀(도시 생략)이 상기 가이드 홈(25)에 맞물림으로써 보텀 블록(24)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텀 블록(24)은 전후 방향에 걸친 종단면 형상의 사다리꼴이다. 도 2a와 같이, 보텀 블록(24)을 오목부(23) 내의 최후방부(차일드 시트에 앉은 아이로부터 바라봐서 최후방부)에 위치시키면 보텀 블록(24)은 보텀부(21)의 후방부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차일드 시트(1)가 전방 방향 설치에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오목부(23)에는 이 보텀 블록(24)이 최후방부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다.
보텀 블록(24)을 최전방부에 위치시키면 도 2b와 같이, 보텀 블록(24)은 보텀부(21)의 전방부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차일드 시트(1)가 후방 방향 설치에 적합한 것이 된다. 오목부(23)에는 이 보텀 블록(24)이 최전방부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도 2b의 상태에 있어서, 보텀 블록(24)은 전방부일수록 두께가 큰 것으로 되어 있고 전방부일수록 보텀부(21)로부터 돌출 높이가 크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부(22)의 앞면 상부의 좌우 양쪽 사이드에는 벨트 삽입 통과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 삽입 통과부(30)는 하향의 L자형의 훅부(31)와, 상기 훅부(31)의 하단에 맞물린 록킹부(32)를 갖고 있다. 록킹부(32)는 화살표(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도시 생략)에 의해 지착(止着)되어 있다.
록킹부(32)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시트 벨트의 숄더(shoulder) 웨빙(51)을 상기 벨트 삽입 통과부(30) 내에 출납시킬 수 있다. 벨트 삽입 통과부(30)에는 삽입 통과된 시트 벨트를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33)가 설치되어 있다. 백부(22)의 상부측면에는 이 벨트 삽입 통과부(30)의 가까운 위치에 LED(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LED(34)는 적색 LED와 청색 LED가 쌍으로 된 것이며, 후술하는 제어 회로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적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로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차일드 시트(1)를 전방 방향 설치할 때에 LED(34)는 적색으로 점등하고, 차일드 시트(1)를 후방 방향 설치할 때에는 LED(34)는 청색으로 점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백부(22)의 앞면의 좌우 양쪽 사이드 상하 방향의 도중에 상향 단차 형상의 벨트 삽입 통과부(3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벨트 삽입 통과부(37)에 시트 벨트 검지용 리미트 스위치(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백부(22)의 측면에는 이 벨트 삽입 통과부(37)에 근접해서 적색 LED(39)가 설치되어 있다.
도 4a, 도 4b는 이 리미트 스위치(38)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리미트 스위치(38)는 벨트 삽입 통과부(37)의 내측에 장착된 본체부(38a)와, 도 4a와 같이 상기 본체부(38a)로부터 벨트 삽입 통과부(37)의 앞면으로 돌출된 작동편(38b)을 갖고 있다. 도 4b와 같이 시트 벨트(51)에 밀려서 작동편(38b)이 후퇴함으로써 리미트 스위치(38)가 온으로 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그 외의 리미트 스위치도 같은 구조의 것이다.
보텀부(21)의 전방부의 상면에 벨트 삽입 통과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 삽입 통과부(40)의 좌단과 우단에는 각각 시트 벨트 검지용 리미트 스위치(4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측면에는 이 벨트 삽입 통과부(40)의 가까운 위치에 청색 LED(42)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20)의 백부(22)의 측면에 LED의 점등(이 실시형태에서는 점멸)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타트 스위치(4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베이스(20)에는 각 LED 및 리미트 스위치와 리드선을 통해서 접속된 제어 회로와, 이 제어 회로에 급전하기 위한 건전지가 탑재되어 있고 스타트 스위치(44)는 이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 회로로의 급전 방법(전원)은 건전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전지 대신에 리튬 전지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차일드 시트(1)에 건전지나 리튬 전지 등의 내장 전원을 설치하는 대신에 외부 전원, 예를 들면 차량의 시가 라이터(cigar lighter) 소켓을 통해서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제어 회로에 급전하도록 해도 좋다.
도 5, 도 6과 같이,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장치의 시트 벨트(50)는 텅(53)으로부터 한쪽의 측이 숄더 벨트(51)이며 다른쪽의 측이 랩(lap) 벨트(52)이다. 텅(53)은 버클(54)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숄더 벨트(51)는 차량의 좌석의 버클(54)과 반대측의 경사 상방에 설치된 숄더 앵커(도시 생략)에 걸어져 통과되어 있다. 시트 벨트(50)는 오토록(auto lock) 기구가 부착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retractor)(도시 생략)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오토록 기구란 시트 벨트의 인출 동작이 정지하면 그 이후는 텅이 버클로부터 뽑아질 때까지는 권취만이 가능하게 되고 인출은 저지되는 기구이다.
이 시트 벨트(50)를 이용하여 차일드 시트(1)를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하는 순서에 대해서 이어서 설명한다.
차일드 시트(1)를 전방 방향 설치할 때에는 보텀 블록(24)을 도 2a와 같이 오목부(23)의 최후방부에 위치시킨다. 이 차일드 시트(1)를 좌석에 자동차 전방을 향해서 적재한다. 그리고, 백부(22)를 좌석의 시트 백에 누른다. 이어서, 스타트 스위치(44)를 누른다. 그렇게 하면 적색 LED(39)가 점멸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텅(53)을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백부(22) 사이에 삽입하고 텅(53)을 버클(54)에 삽입해서 래칭(latching)시킨다. 또한, 랩 벨트(52)를 벨트 삽입 통과부(37)에 따르게 한다. 그렇게 하면, 랩 벨트(52)가 리미트 스위치(38)에 닿아 랩 벨트(52)가 벨트 삽입 통과부(37)를 따라서 둘러쳐진 것이 검지된다. 이에 따라, LED(39)가 소등되고 대신에 상부의 LED(34)가 점멸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전방 방향 설치시에는, LED(34)는 LED(39)와 동색인 적색으로 점멸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숄더 벨트(51)를 벨트 삽입 통과부(30)에 도 3 및 도 5와 같이 걸어 통과시킨다. 그렇게 하면 숄더 벨트(51)가 리미트 스위치(33)에 닿아 LED(34)가 소등된다. 이에 따라, 모든 LED가 소등되고 차일드 시트(1)가 시트 벨트(50)에 의해 좌석에 장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차일드 시트(1)를 후방 방향으로 설치할 경우의 순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보텀 블록(24)을 도 2b와 같이 오목부(23) 내의 최전방부에 위치시킨다. 차일드 시트(1)를 자동차 후방 방향으로, 즉 차일드 시트(1)에 아이가 앉았을 경우에 상기 아이가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좌석에 적재한다.
스타트 스위치(44)를 누르면 청색 LED(42)가 점멸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텅(53) 및 랩 벨트(52)를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보텀부(21) 사이에 통과시키고 텅(53)을 버클(54)에 삽입해서 래칭시킨다. 또한, 랩 벨트(52)를 벨트 삽입 통과부(40)에 따르게 한다. 그렇게 하면, 랩 벨트(52)가 리미트 스위치(41)에 닿아 LED(42)가 소등됨과 아울러 LED(34)가 점멸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후방 방향 설치시에는, LED(34)는 LED(42)와 동색인 청색으로 점멸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좌우의 벨트 스레딩부(15) 중 차량의 숄더 앵커측에 위치하는 벨트 스레딩부(15)에 숄더 벨트(51)를 걸고,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배후에 경사지게 숄더 벨트(51)를 둘러치고, 그 도중부를 상기 숄더 앵커측의 벨트 삽입 통과부(30)에 걸어 통과시킨다. 이 숄더 벨트(51)가 리미트 스위치(33)에 닿음으로써 LED(34)가 소등된다. 이에 따라, 모든 LED가 소등되고 차일드 시트(1)가 시트 벨트(50)에 의해 고정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5, 도 6과 같이, 시트 벨트(50)에 의해 차일드 시트(1)를 좌석에 장착한 후 차일드 시트(1)가 좌석에 압착되는 것 등에 의해 시트 벨트(50)에 느슨함이 생기고, 어느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가 시트 벨트를 검지하지 않게 되면 그 리미트 스위치 근방의 LED(또는 모든 LED)가 점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트 벨트(50)가 느슨해진 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타트 스위치(44)가 눌러지고나서 최초로 리미트 스위치가 시트 벨트를 검지할 때까지는 LED(39 또는 42)가 점멸하지만 과도하게 장시간 LED(39 또는 42)를 점멸시키면 건전지가 빨리 소모되므로 스타트 스위치(44)를 누르고나서 약 5분 경과하면 점멸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텀 블록(24)을 전후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전방 방향 설치 및 후방 방향 설치의 스위칭을 행하고 있지만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252094 호 공보와 같이, 보텀 블록을 전후로 회전시켜서 전방 방향 설치와 후방 방향 설치의 스위칭을 행해도 좋다. 또한, 동호 공보의 차일드 시트는 「자동차의 좌석에 설치되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 본체와,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차일드 시트의 설치 각도 조정용 보텀 블록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텀 블록은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의 저면의 전반측에 겹친 제 1 상태와 상기 저부의 후반측에 겹친 제 2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일단측이 차일드 시트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보텀 블록은 일단측보다 타단측의 두께가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일드 시트 본체(10)를 깊게 리클라이닝시킨 것을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해 검지해서 후방 방향 설치 상태로 하고, 차일드 시트 본체(10)를 기립시킨 것을 검지해서 전방 방향 설치 상태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LED를 점멸시키고 있지만 연속적인 점등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LED를 함께 점등시키고 있지만 자동차의 좌측 좌석에 설치할 경우와 우측 좌석에 설치할 경우를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하여 좌우의 한쪽의 LED만을 점등시켜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타트 스위치(44)가 눌러지면, 우선 최초에 시트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삽입 통과부(37 또는 40)의 LED(39 또는 42)가 점등되고, 그 후에 이 벨트 삽입 통과부(37 또는 40)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된 것이 검지되면 LED(42 또는 39)가 소등되고, 대신에 이어서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되는 벨트 삽입 통과부(30)의 LED(34)가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우선, 전방 방향 설치시 또는 후방 방향 설치시에 각각 시트 벨트가 통과되는 모든 벨트 삽입 통과부의 LED가 점등되고, 시트 벨트가 벨트 삽입 통과부에 삽입 통과될 때마다 이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된 벨트 삽입 통과부의 LED가 소등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일드 시트(1)를 전방 방향 설치할 경우 스타트 스위치(44)를 누르면 이 전방 방향 설치시에 시트 벨트가 통과되는 모든 벨트 삽입 통과부(37, 30)의 LED(39, 34)가 동시에 점등된다. 사용자가 시트 벨트를 벨트 삽입 통과부(37, 30)에 거는 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사용자는 텅(53)을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백부(22) 사이에 삽입하고, 텅(53)을 버클(54)에 삽입해서 래칭시킨 후 랩 벨트(52)를 벨트 삽입 통과부(37)에 따르게 한다. 그렇게 하면, 랩 벨트(52)가 리미트 스위치(38)에 닿아 랩 벨트(52)가 벨트 삽입 통과부(37)를 따라 둘러쳐진 것이 검지된다. 이에 따라 LED(39)가 소등된다. 이 때 상부의 LED(34)는 점등된 채이다. 그래서, 사용자는 숄더 벨트(51)를 벨트 삽입 통과부(30)에 도 3 및 도 5와 같이 걸어 통과시킨다. 그렇게 하면, 숄더 벨트(51)가 리미트 스위치(33)에 닿아 LED(34)가 소등된다. 이에 따라, 모든 LED가 소등되고 차일드 시트(1)가 시트 벨트(50)에 의해 좌석에 장착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차일드 시트(1)를 후방 방향 설치할 경우에는 스타트 스위치(44)를 누르면 이 후방 방향 설치시에 시트 벨트가 통과되는 모든 벨트 삽입 통과부(40, 30)의 LED(42, 34)가 동시에 점등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텅(53) 및 랩 벨트(52)를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보텀부(21) 사이에 통과시키고, 텅(53)을 버클(54)에 삽입해서 래칭시킨 후 랩 벨트(52)를 벨트 삽입 통과부(40)에 따르게 한다. 그렇게 하면 랩 벨트(52)가 리미트 스위치(41)에 닿아 LED(42)가 소등된다. 이 때 상부의 LED(34)는 점등된 상태이다. 그래서,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좌우의 벨트 스레딩부(15) 중 차량의 숄더 앵커측에 위치하는 벨트 스레딩부(15)에 숄더 벨트(51)를 걸고,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배후에 경사지게 숄더 벨트(51)를 둘러치고, 그 도중부를 상기 숄더 앵커측의 벨트 삽입 통과부(30)에 걸어 통과시킨다. 이 숄더 벨트(51)가 리미트 스위치(33)에 닿음으로써 LED(34)가 소등된다. 이에 따라, 모든 LED가 소등되고 차일드 시트(1)가 시트 벨트(50)에 고정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시트(1)의 전방 방향 설치시 및 후방 방향 설치시 각각 시트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삽입 통과부(37 또는 40)와 벨트 삽입 통과부(30)의 모든 LED(39 또는 42 및 34)를 점등시켰을 경우에 최초로 시트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삽입 통과부(37 또는 40)의 LED(39 또는 42)와, 뒤로부터 시트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삽입 통과부(30)의 LED(34)를 다른 점등 형태로 점등시켜 사용자가 이제부터 어느 벨트 삽입 통과부에 시트 벨트를 삽입 통과시켜야 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이제부터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의 LED를 나머지 벨트 삽입 통과부의 LED와 다른 색으로 점등시켜도 좋고, 또는 이제부터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되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의 LED를 점멸시키고 나머지 벨트 삽입 통과부의 LED를 연속적으로 점등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아이용 웨빙의 텅을 아이용 버클에 삽입하는 경우에 아이용 버클의 텅 삽입 구멍을 LED 등의 발광체에 의해 지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7은 그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아이용 숄더 웨빙(61)에 텅(62)이 장착되어 있다. 버클(63)은 이 텅(62)이 삽입되는 것으로 지지 부재(64)에 의해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시트부(12)의 전방부에 장착된다.
버클(63) 상단부면에 텅(62)의 삽입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이 삽입 구멍에 LED가 설치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 본체(10)에 감압식의 착석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어 이 착석 센서가 착석을 검지하면 소정 시간(예를 들면, 60초~5분) LED가 점멸한다. 텅(62)을 버클(63)에 삽입하면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이 삽입이 검지되어 LED가 소등된다. 이와 같이, 아이가 차일드 시트에 앉으면 버클(63)의 삽입 구멍의 LED가 점멸되므로 텅(62)을 삽입해야 할 삽입 구멍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텅(62)을 버클(63)에 삽입하면 LED가 소등되므로 텅(62)을 버클(63)에 삽입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 방향 설치 또는 후방 방향 설치 상태에서 시트 벨트가 정확하게 둘러쳐져 규정의 리미트 스위치가 모두 시트 벨트를 검지할 때에는 시트 벨트가 정확하게 둘러쳐진 것을 의미하는 램프(OK 램프)를 소정 시간 점등(점멸이어도 좋음.)시켜도 좋다. 이 OK 램프는, 예를 들면 녹색 LED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스타트 스위치(44)를 누르면 시트 벨트 둘러침의 미완료를 나타내는 램프(미완료 램프)가 점등(점멸이어도 좋음.)되고 시트 벨트가 정확하게 둘러쳐지면 이 미완료 램프가 소등되게 해도 좋다. 미완료 램프의 소등과 동시에 OK 램프가 소정 시간 점등하게 해도 좋다. 미완료 램프로서는, 예를 들면 노란색 LED가 사용된다.
도 8 ~ 도 21을 참조해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차일드 시트의 전방 방향 설치의 사시도, 도 9는 이 차일드 시트의 후방 방향 설치의 사시도, 도 10a, 도 10b는 베이스의 백부의 상부의 사시도, 도 11a, 도 11b는 벨트 삽입 통과부(30A)의 사시도, 도 12a, 도 12b는 도 11a의 XII-XII선 단면도, 도 13a, 도 13b는 벨트 삽입 통과부(37A)의 사시도, 도 14a, 도 14b는 도 13a의 XIV-XIV선 단면도, 도 15a, 도 15b는 베이스의 보텀부의 사시도, 도 16a, 도 16b는 벨트 삽입 통과부(40A)의 사시도, 도 17a, 도 17b는 도 16a의 XVII-XVII선 단면도, 도 18a, 도 18b는 벨트 스레딩부(15A)의 사시도, 도 19a, 도 19b는 도 18a의 XIX-XIX선 단면도, 도 20a, 도 20b는 차일드 시트 본체의 배면측의 사시도, 도 21a, 도 21b는 도 20a의 XXI-XXI선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일드 시트(1A)도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이 차일드 시트 본체(10)가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장착된 베이스(20)를 갖는다. 이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베이스(20)의 맞물림 구조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좌우의 측면의 상부에는, 각각 이 차일드 시트(1)를 자동차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했을 때에 시트 벨트(50)의 숄더 벨트(51)를 거는 벨트 스레딩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20)의 보텀부(21)의 상면의 좌우 양쪽 사이드에는 각각 이 차일드 시트(1)의 후방 방향 설치시에 시트 벨트(50)의 랩 벨트(52)가 삽입 통과되는 벨트 삽입 통과부(40A)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20)의 백부(22)의 앞면의 상부의 좌우 양쪽 사이드 및 상기 백부(22)의 앞면의 하부의 좌우 양쪽 사이드에는 각각 차일드 시트(1)를 자동차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했을 때에 시트 벨트(50)의 숄더 벨트(51) 및 랩 벨트(52)가 삽입 통과되는 벨트 삽입 통과부(30A, 37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백부(22)의 앞면의 상부의 각 벨트 삽입 통과부(30A)는 각각 상기 백부(22)의 앞면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로부터 돌출된 하향 L자형의 훅부(102)와, 상기 훅부(102)에 삽입 통과된 숄더 벨트(51)를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03)와, 이 벨트 삽입 통과부(30A)에 숄더 벨트(51)를 삽입 통과시켜야 할 때에 점등되고 리미트 스위치(103)가 이 벨트 삽입 통과부(30A)로의 숄더 벨트(51)의 삽입 통과를 검지하면 소등되는 LED(104) 등을 갖고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는 상기 백부(22)의 앞면을 따라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의 것이다. 훅부(102)는 이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앞면의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단부(102a)와, 상기 기단부(102a)의 전단측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앞면과 대략 평행하게 하방으로 수직 하강한 암부(102b)를 갖고 있다. 상기 암부(102a)의 베이스 플레이트(101)와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를 향해서 가이드 편(102c)이 돌출되어 있다. 이 가이드 편(102c)은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부측일수록 상기 암부(102b)로부터의 돌출 폭이 커지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 편(102c)의 암부(102b)로부터의 최대 돌출 폭은 상기 암부(102c)와 베이스 플레이트(101)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숄더 벨트(51)의 두께를 뺀 남은 치수보다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상기 가이드 편(102c)과의 대면 영역에는 후술하는 리미트 스위치(103)의 레버(106)가 삽입 통과되는 레버 삽입 통과 구멍(10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이면측에는 이 레버 삽입 통과 구멍(101a)을 가로 질러서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접점 유지편(101b)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이면측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된 상자형의 벽편(101c)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벨트 삽입 통과부(30A)에 있어서는 상기 벽편(101c) 중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좌측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백부(22)의 좌측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우측의 벨트 삽입 통과부(30A)에 있어서는 상기 벽편(101c) 중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우측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백부(22)의 우측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 상기 벽편(101c) 중 백부(22)의 좌우의 측면을 따른 부분을 세로부라고 부른다.
이 벽편(101c)의 세로부에 형성된 개구부(부호 생략) 내에 LED(10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벽편(101c)의 세로부의 외측에는 이 개구부를 덮도록 투명 합성 수지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창 부재(105)가 장착되어 있다. 이 창 부재(105)는 상기 벽편(101c)의 앞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창 부재(105) 전단부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앞면과 대략 동일 높이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부(22)의 앞면 좌우의 측변에는 창 부재(105)가 끼워지는 창구멍(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창구멍을 통해서 창 부재(105)가 백부(22)의 외면에 드러나 있다. LED(104)가 점등되었을 때에는 이 창 부재(105)를 투과해 온 광이 사용자에게 확인된다. 또한, 이 창 부재(105)는 적색으로 착색되어 있거나 또는 적색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03)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단측이 지축(107)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106)와, 상기 레버(106)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도록 바이어싱된 스프링(108)과, 1쌍의 접점(109, 110)을 갖고 있다.
레버(106)는 상단측이 전방으로 굴곡된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2a와 같이, 훅부(102)에 숄더 벨트(51)가 삽입 통과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레버(106)는 스프링(108)의 바이어싱 포오스(biasing force)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고, 이 상단부가 상기 레버 삽입 통과 구멍(101a)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앞면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하, 이 상태를 시트 벨트 비삽입 통과시라고 한다. 레버(106)의 상단부는 그 전단측일수록 상하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대략 3각 형상 또는 사다리꼴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2a와 같이, 시트 벨트 비삽입 통과시에 있어서의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앞면으로부터 레버(106)의 상단부의 돌출 폭은 상기 가이드 편(102c)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1)의 앞면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고, 시트 벨트 비삽입 통과시에 있어서는 이 레버(106) 상단부가 가이드 편(102c)과 겹쳐져 있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레버(106)는 상기 접점 유지편(101b)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버(106)의 접점 유지편(101b)과의 대향면에 한쪽의 접점(109)이 장착되고, 상기 접점 유지편(101b)의 레버(106)와의 대향면에 다른쪽의 접점(110)이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접점(110 또는 109)은 리드선(111)에 의해 LED(104)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접점(109 또는 110)과 LED(104)의 다른쪽의 단자는 각각 리드선(112 및 113) 등을 통해서 후술하는 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R)의 전원(177)에 접속되어 있다.
도 12a와 같이, 시트 벨트 비삽입 통과시에는 이들 접점(109, 110)끼리가 접촉하여 LED(104)에 통전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2b와 같이, 훅부(102)에 숄더 벨트(51)가 삽입 통과되면 레버(106) 상단부는 이 훅부(102)의 암부(102b)와 베이스 플레이트(101) 사이에 진입되어 온 숄더 벨트(51)에 밀려서 후방으로 회전된다. 이 때 접점(109, 110)끼리가 이간되어 LED(104)로의 통전이 커팅된다.
백부(22)의 하부 부근은 상향 단차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상향 단차 형상의 부분의 좌우 양쪽 사이드에 각각 벨트 삽입 통과부(37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벨트 삽입 통과부(37A)는 이 상향 단차 형상의 부분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전방측 볼록부(12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후방측 볼록부(123)와, 이 벨트 삽입 통과부(37A)에 삽입 통과된 랩 벨트(52)를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24)와, 이 벨트 삽입 통과부(37A)에 랩 벨트(52)를 삽입 통과시켜야 할 때에 점등되고 리미트 스위치(124)가 이 벨트 삽입 통과부(37A)로의 랩 벨트(52)의 삽입 통과를 검지하면 소등되는 LED(125) 등을 갖고 있다.
랩 벨트(52)는 상기 전방측 볼록부(122)와 후방측 볼록부(123) 사이에 끌어 통과된다. 이들 볼록부(122, 123)끼리 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상면에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21a) 내에 리미트 스위치(1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121a)의 전단측에는 후술하는 스위치 플레이트(129) 전단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스위치 플레이트 유지부(121b)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 볼록부(123)는 내측에 챔버(123a)를 갖는 중공 형상으로 되어 있고, 오목부(121a)의 후단측은 이 후방측 볼록부(123)의 내측의 챔버(123a)에 연통되어 있다. 이 챔버(123a) 내에 LED(12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1) 및 각 볼록부(122, 123)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 수지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챔버(123a) 내에서 LED(125)가 점등되면 이 벨트 삽입 통과부(37A)의 대략 전체가 밝게 빛난다. 이들 베이스 플레이트(121) 및 각 볼록부(122, 123)는 적색으로 착색되어 있거나, 또는 적색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24)는 제 1 및 제 2 접점 플레이트(126, 127)와, 상기 제 2 접점 플레이트(127)를 제 1 접점 플레이트(126)에 접근시키도록 바이어싱된 바이어싱 부재(128)와, 상기 제 2 접점 플레이트(127)를 제 1 접점 플레이트(126)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한 스위치 플레이트(129)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접점 플레이트(126)는 오목부(121a) 내에 상기 오목부(121a)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또한 상하 이동 불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 2 접점 플레이트(127)는 이 제 1 접점 플레이트(126)의 하방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접점 플레이트(127)와 오목부(121a)의 저면 사이에 바이어싱 부재(12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바이어싱 부재(128)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축력(蓄力) 상태(압축 상태)로 제 2 접점 플레이트(127)와 오목부(121a)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접점 플레이트(126 또는 127)는 리드선(130)에 의해 LED(125)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접점 플레이트(127 또는 126)와 LED(125)의 다른쪽의 단자는 각각 리드선(131 및 132) 등을 통해서 후술하는 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R)의 전원(177)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플레이트(129)는 제 1 접점 플레이트(126)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 플레이트(129)의 전단측은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 유지부(121b)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후단측은 오목부(121a)와 상기 챔버(123a)를 연통한 개구부(부호 생략)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맞물려져 있다. 부호 123b는 상기 챔버(123a) 내에 감입된 스위치 플레이트(129)의 오목부(121a)로부터의 빠져 나감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나타내고 있다. 스위치(129)의 하면으로부터는 제 2 접점 플레이트(127)를 하방으로 누르기 위한 돌기(129a)가 돌출되어 있다. 도 14a, 도 14b와 같이, 제 1 접점 플레이트(126)에는 돌기 삽입 통과 구멍(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돌기(129a)는 이 돌기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해서 제 2 접점 플레이트(127)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스위치 플레이트(129)의 하면으로부터의 돌기(129a)의 돌출 높이는 제 1 접점 플레이트(126)의 두께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4a와 같이, 시트 벨트 비삽입 통과시에는, 제 2 접점 플레이트(127)는 바이어싱 부재(128)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서 제 1 접점 플레이트(126)와 접촉하고 있고, 이에 따라 LED(125)에 통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플레이트(129)도 돌기(129a)를 통해서 상기 제 2 접점 플레이트(127)에 의해 밀어 올려져서 제 1 접점 플레이트(126)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129)는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4b와 같이, 볼록부(122, 123)끼리 사이에 랩 벨트(52)가 삽입 통과되고, 이 랩 벨트(52)가 베이스 플레이트(121)에 겹치면 이 랩 벨트(52)에 의해 스위치 플레이트(129)가 밀어 내려지게 된다. 이 스위치 플레이트(129)의 하강에 따라 돌기(129a)를 통해서 제 2 접점 플레이트(127)도 밀어 내려져서 제 1 접점 플레이트(126)로부터 이간된다. 이에 따라, LED(125)로의 통전이 커팅된다.
보텀부(21)의 상면의 각 벨트 삽입 통과부(40A)는 상기 보텀부(21)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1)의 전단측에 설치된 전방측 훅부(14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후단측에 설치된 후방측 훅부(143)와, 이 벨트 삽입 통과부(40A)에 삽입 통과된 랩 벨트(52)를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44)와, 이 벨트 삽입 통과부(40A)에 랩 벨트(52)를 삽입 통과시켜야 할 때에 점등되고 리미트 스위치(144)가 이 벨트 삽입 통과부(40A)로의 랩 벨트(52)의 삽입 통과를 검지하면 소등되는 LED(145) 등을 갖고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전방측 훅부(142)는 이 베이스 플레이트(141)의 전단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기단부(142a)와, 상기 기단부(142a)의 상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암부(142b)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전방측 훅부(142)는 기단부(142a)의 상단측으로부터 암부(142b)에 걸쳐서 투명 합성 수지 등의 광 투과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설치된 빈 챔버(142c) 내에 LED(14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LED(145)가 점등되었을 때에는 이 전방측 훅부(142)의 투명 부분이 밝게 빛난다. 또한, 이 전방측 훅부(142)의 투명 부분은 청색으로 착색되어 있거나 또는 청색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후방측 훅부(143)는 베이스 플레이트(141)의 후단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기단부(143a)와, 상기 기단부(143a)의 상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암부(143b)를 갖고 있다. 랩 벨트(52)는 앞 가장자리측이 전방측 훅부(142)에 걸려짐과 아울러 뒤 가장자리측이 후방측 훅부(143)에 걸려지게 해서 이들 사이에 삽입 통과된다.
이들 훅부(142, 143)끼리 사이의 베이스 플레이트(141)의 상면에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1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41a) 내에 리미트 스위치(1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미트 스위치(144)의 구성은 상술한 벨트 삽입 통과부(37A)의 리미트 스위치(124)와 같게 되어 있다.
즉, 이 벨트 삽입 통과부(40A)에 있어서도 리미트 스위치(144)는 제 1 및 제 2 접점 플레이트(146, 147)와, 상기 제 2 접점 플레이트(147)를 제 1 접점 플레이트(146)에 접근시키도록 바이어싱된 고무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바이어싱 부재(148)와, 상기 제 2 접점 플레이트(147)를 제 1 접점 플레이트(146)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한 스위치 플레이트(149)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접점 플레이트(146)는 오목부(141a) 내에 상기 오목부(141a)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해서 또한 상하 이동 불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 2 접점 플레이트(147)는 이 제 1 접점 플레이트(146)의 하방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접점 플레이트(147)와 오목부(141a)의 저면 사이에 바이어싱 부재(148)가 축력 상태(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접점 플레이트(146 또는 147)는 리드선(150)에 의해 LED(145)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접점 플레이트(147 또는 146)와 LED(145)의 다른쪽의 단자는 각각 리드선(151 및 152) 등을 통해서 후술하는 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F)의 전원(177)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플레이트(149)는 제 1 접점 플레이트(146)의 상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7a, 도 17b와 같이, 각 훅부(142, 143)의 기단부(142a, 143a)의 하단이 각각 오목부(141a)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들 기단부(142a, 143a)에 의해 스위치 플레이트(149)의 전후 양단측이 오목부(141a) 내에 유지되어 있다. 스위치(149)의 하면으로부터는 제 2 접점 플레이트(147)를 하방으로 누르기 위한 돌기(149a)가 돌출되어 있다. 도 17a, 도 17b와 같이, 제 1 접점 플레이트(146)에는 돌기 삽입 통과 구멍(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돌기(149a)는 이 돌기 삽입 통과 구멍을 통해서 제 2 접점 플레이트(147)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스위치 플레이트(149)의 하면으로부터의 돌기(149a)의 돌출 높이는 제 1 접점 플레이트(146)의 두께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7a와 같이, 시트 벨트 비삽입 통과시에는, 제 2 접점 플레이트(147)는 바이어싱 부재(148)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제 1 접점 플레이트(146)와 접촉하고 있고, 이에 따라 LED(145)에 통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플레이트(149)도 돌기(149a)를 통해서 상기 제 2 접점 플레이트(147)에 의해 밀어 올려져 제 1 접점 플레이트(146)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149)는 베이스 플레이트(14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7b와 같이, 전방측 훅부(142)와 후방측 훅부(143) 사이에 랩 벨트(52)가 삽입 통과되고, 이 랩 벨트(52)가 베이스 플레이트(141)에 겹치면 이 랩 벨트(52)에 의해 스위치 플레이트(149)가 밀어 내려지게 된다. 이 스위치 플레이트(149)의 하강에 따라 돌기(149a)를 통해서 제 2 접점 플레이트(147)도 밀어 내려져서 제 1 접점 플레이트(146)로부터 이간된다. 이에 따라, LED(145)로의 통전이 커팅된다.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좌우의 측면의 각 벨트 스레딩부(15A)는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형상이 대략 L자형의 훅부(161)와, 이 벨트 스레딩부(15A)에 삽입 통과된 숄더 벨트(51)를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162)와, 이 벨트 스레딩부(15A)에 숄더 벨트(51)를 삽입 통과시켜야 할 때에 점등되고 리미트 스위치(162)가 이 벨트 스레딩부(15A)로의 숄더 벨트(51)의 삽입 통과를 검지하면 소등되는 LED(163) 등을 갖고 있다.
상기 훅부(161)는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기단부(161a)와, 상기 기단부(161a)의 선단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되는 기립부(161b)를 갖고 있다. 도 19a, 도 19b와 같이, 이 기단부(161a) 및 기립부(161b)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의 중간 부근에는 후술하는 리미트 스위치(162)의 레버(170)를 수용한 빈 챔버(16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챔버(161c)는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빈 챔버(161c)는 상기 기단부(161a)의 차일드 시트 본체(10)측의 단부면, 상기 기단부(161a)의 상면 및 기립부(161b)의 하단 부근의 차일드 시트 본체(10)측의 측면에 연속해서 개구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62)는 차일드 시트 본체(10)의 측면에 매설된 스위치 박스(164)와, 기단측이 지축(166)에 의해 상기 스위치 박스(164)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스위치 박스(164)로부터 상기 챔버(161c) 내로 연장된 레버(165)와, 상기 레버(165)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도록 바이어싱된 스프링(167)과, 1쌍의 접점(168, 169)을 갖고 있다. 레버(165)의 선단측은 빈 챔버(161c) 내에 있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쪽의 접점(168)은 레버(165)의 상면에 장착되고 다른쪽의 접점(169)은 이 레버(165)의 상면과 대향하는 스위치 박스(164)의 천장면에 장착되어 있다. 접점(168, 169)의 한쪽이 리드선(도시 생략)을 통해서 LED(163)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고, 접점(168, 169)의 다른쪽 및 LED(163)의 다른쪽의 단자가 각각 리드선(도시 생략)을 통해서 후술하는 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R)의 전원(177)에 접속되어 있다.
레버(165)는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벨트 비삽입 통과시에는 스프링(167)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선단측이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자세로 되어 있다. 이 때 도 18a와 같이, 상기 레버(165)의 선단측은 기단부(161a)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때 접점(168, 169)끼리가 접촉해서 LED(163)에 통전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9a, 도 19b와 같이, LED(163)는 이 레버(165)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레버(165)의 선단측은 투명 합성 수지 등의 광 투과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투명 부분의 내측에 LED(16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훅부(161)도 전체가 투명 합성 수지 등의 광 투과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LED(163)가 점등되었을 때에는 이 레버(165)의 선단측 및 훅부(161)의 전체가 밝게 빛난다. 또한, 이 레버(165)의 선단측의 투명 부분 및 훅부(161)는 청색으로 착색되어 있거나 또는 청색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도 18b, 도 19b와 같이, 훅부(161)에 숄더 벨트(51)를 걸면 레버(165)의 선단측이 이 숄더 벨트(51)에 밀려서 하방으로 회전된다. 이 레버(165)의 하방으로의 회전에 따라 접점(168, 169)끼리가 이간된다. 이에 따라, LED(163)로의 통전이 커팅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20)의 하면측의 오목부(23)의 후단측에는 보텀 블록(24)이 상기 오목부(23) 내의 최후방부에 위치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부(23)의 전단측에는 보텀 블록(24)이 상기 오목부(23) 내의 최전방부에 위치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F)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미트 스위치(170R, 170F)는 전후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는 것 외에는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이들을 총칭해서 리미트 스위치(170)라고 부른다.
리미트 스위치(170)는 오목부(23)의 후단부 또는 전단부에 설치된 스위치 박스(171)와, 기단측이 지축(173)에 의해 상기 스위치 박스(17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선단측이 상기 스위치 박스(17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레버(172)와, 상기 레버(172)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도록 바이어싱된 스프링(174)과, 1쌍의 접점(175, 176) 등을 갖고 있다. 한쪽의 접점(175)은 레버(172)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다른쪽의 접점(176)은 스위치 박스(171)의 상기 레버(172)와의 대면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도 21a와 같이, 레버(172)가 스위치 박스(171)로부터 연장된 자세로 되어 있을 때에는 접점(175, 176)끼리는 이간되어 있다.
도 21b와 같이, 보텀 블록(24)의 후단부의 상면에는 이 보텀 블록(24)이 오목부(23) 내의 최후방부까지 이동되었을 때에 후방측 스위치 박스(170R)의 레버(172)에 접촉해서 상기 레버(172)를 밀어 올리는 볼록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텀 블록(24) 전단부의 상면에도 이 보텀 블록(24)이 오목부(23) 내의 최전방부까지 이동되었을 때에 전방측 스위치 박스(170F)의 레버(172)에 접촉해서 상기 레버(172)를 밀어 올리는 볼록부(24a)(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172)가 이 보텀 블록(24)의 볼록부(24a)에 의해 밀어 올려지면 접점(175, 176)끼리가 접촉해서 통전 상태가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각 리미트 스위치(170)에는 LED(104, 125, 145, 163)를 점등시키기 위한 전원(177)이 갖추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전원(177)으로서 전지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78은 이 전지를 스위치 박스(171)에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부에 설치된 개폐 가능한 덮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LED(104, 125, 145, 163)를 점등시키기 위한 전원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LED(104, 125, 145, 163)마다[즉, 각 벨트 삽입 통과부(30A, 37A, 40A) 및 벨트 스레딩부(15A)] 각각 전원이 설치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 삽입 통과부(30A, 37A)의 LED(104, 125)는 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R)의 전원(17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벨트 삽입 통과부(40A) 및 벨트 스레딩부(15A)의 LED(145, 163)는 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R)의 전원(177)에 접속되어 있다.
이 차일드 시트(1A)의 그 외의 구성은 상술한 도 1 ~ 도 7의 차일드 시트(1)와 같고, 도 8 ~ 도 21에 있어서 도 1 ~ 도 7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차일드 시트(1A)를 전방 방향 설치할 경우에는 보텀 블록(24)을 오목부(23) 내의 최후방부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R)의 레버(172)가 상기 보텀 블록(24)의 후방부의 볼록부(24a)에 밀어 올려져서 접점(175, 176)끼리가 접촉하고, 전원(177)으로부터 LED(104, 125)에 급전되어서 이들 LED(104, 125)가 점등된다. 이에 따라, 벨트 삽입 통과부(30A, 37A)에 시트 벨트(50)를 삽입 통과시켜야 하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벨트 삽입 통과부(30A)에 숄더 벨트(51)를 삽입 통과시키고 벨트 삽입 통과부(37A)에 랩 벨트(52)를 삽입 통과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103, 124)가 이것을 검지해서 LED(104, 125)가 소등된다.
차일드 시트(1A)를 후방 방향 설치할 경우에는 보텀 블록(24)을 오목부(23) 내의 최전방부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전방측 리미트 스위치(170F)의 레버(172)가 상기 보텀 블록(24)의 전방부의 볼록부(24a)에 밀어 올려져서 접점(175, 176)끼리가 접촉하고, 전원(177)으로부터 LED(145, 163)에 급전되어서 이들 LED(145, 163)가 점등된다. 이에 따라, 벨트 삽입 통과부(40A) 및 벨트 스레딩부(15A)에 시트 벨트(50)를 삽입 통과시켜야 하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벨트 삽입 통과부(40A)에 랩 벨트(52)를 삽입 통과시키고 벨트 스레딩부(15A)에 숄더 벨트(51)를 걸어 통과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144, 162)가 이것을 검지해서 LED(145, 163)가 소등된다.
도 8, 도 9와 같이, 차일드 시트(1A)의 전방 방향 설치시 및 후방 방향 설치시에 있어서의 시트 벨트(50)의 거는 방법은 상술한 도 1 ~ 도 7의 차일드 시트(1)와 같다.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 이외의 형태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2008년 4월 2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 출원 2008-111547)에 근거하고 있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Claims (11)

  1. 복수개의 벨트 삽입 통과부를 갖고, 이 벨트 삽입 통과부에 자동차의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됨으로써 자동차의 좌석에 장착되는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를 자동차의 좌석에 장착할 때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해야 할 벨트 삽입 통과부를 나타내도록 점등하는 발광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벨트 삽입 통과부에 각각 벨트 검지기가 설치되어 있어 이 벨트 검지기가 시트 벨트를 검지하면 그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가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검지기는 벨트 삽입 통과부에 삽입 통과된 벨트 삽입 통과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최초에 시트 벨트가 통과해야 할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를 최초에 점등시켜 상기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된 것이 상기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의 벨트 검지기에 의해 검지되면 상기 제 1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를 소등시키고, 이어서 다음으로 시트 벨트가 통과해야 할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를 점등시켜 상기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된 것이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의 벨트 검지기에 의해 검지되면 상기 제 2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를 소등시키도록 발광체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동작을 개시시키는 스타트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가 자동차의 전방 방향으로 설치될지 후방 방향으로 설치될지를 검지하는 설치 방향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벨트 삽입 통과부로서 전방 방향 설치시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되는 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와, 후방 방향 설치시에 시트 벨트가 삽입 통과되는 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 방향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설치 방향에 따라 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와 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의 발광체 중 어느 하나의 발광체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에 설치된 발광체와 상기 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에 설치된 발광체는 발광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에 설치된 발광체의 발광색은 적색계이며, 상기 후방 방향 설치시용 벨트 삽입 통과부에 설치된 발광체의 발광색은 청색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의 저부에 전방 방향 설치시 및 후방 방향 설치시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저부에 있어서 자동차 후방측의 위치를 취하도록 위치 변경 가능한 보텀 블록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 방향 검지 수단은 상기 보텀 블록의 위치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설치 방향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는 자동차의 좌석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유지된 차일드 시트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설치 방향 검지 수단은 상기 차일드 시트 본체의 리클라이닝 각도에 의해 차일드 시트의 설치 방향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시트에 앉은 아이를 구속하기 위한 아이용 웨빙;
    상기 아이용 웨빙의 선단에 설치된 텅;
    상기 텅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을 갖는 버클;
    상기 텅의 상기 삽입 구멍으로의 삽입 완료를 검지하는 텅 센서;
    상기 삽입 구멍에 설치된 삽입 구멍용 발광체;
    상기 차일드 시트에 앉은 아이를 검지하기 위한 착석 센서; 및
    상기 착석 센서가 착석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삽입 구멍용 발광체를 점등시키고, 상기 텅 센서가 텅을 검지했을 경우에 상기 삽입 구멍용 발광체를 소등시키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체의 점등은 점멸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KR1020107021920A 2008-04-22 2009-04-21 차일드 시트 KR101254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1547 2008-04-22
JP2008111547 2008-04-22
PCT/JP2009/057927 WO2009131123A1 (ja) 2008-04-22 2009-04-21 チャイルド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460A KR20100126460A (ko) 2010-12-01
KR101254545B1 true KR101254545B1 (ko) 2013-04-19

Family

ID=4121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920A KR101254545B1 (ko) 2008-04-22 2009-04-21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69861B1 (ko)
JP (1) JP5146531B2 (ko)
KR (1) KR101254545B1 (ko)
CN (1) CN102015364B (ko)
WO (1) WO2009131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4730B1 (it) * 2009-07-08 2012-07-13 Cam Il Mondo Del Bambino Spa Seggiolino per auto gruppi 0 e 1 con mezzi di regolazione del posizionamento.
FR2955535A1 (fr) * 2010-01-28 2011-07-29 Dorel France Sa Siege auto pour enfant, destine a etre solidarise au siege d'un vehicule automobile.
CN102092319B (zh) * 2011-01-13 2012-11-2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带有液晶显示的儿童汽车安全座
SE536465C2 (sv) 2012-04-04 2013-11-26 Sakta Ab Bilbarnstol/Bälteskudde med belysning på sidan av sittdynan
US10220734B2 (en) 2013-03-05 2019-03-05 Pidyon Controls Inc. Car seat
KR101627130B1 (ko) * 2014-11-20 2016-06-0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버클 장치
KR20180017026A (ko) * 2015-05-12 2018-02-20 피? 컨트롤스 인코포레이티드 카시트 및 연결 시스템
CN105620318A (zh) * 2015-12-30 2016-06-01 上海爱出车网络科技有限公司 智能健康儿童安全座椅
US10710478B2 (en) 2017-01-23 2020-07-14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tatable child safety seat
US10829012B1 (en) 2017-01-23 2020-11-1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tatable child safety seat
CN110857042B (zh) * 2018-08-25 2021-06-25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使用车载安全带固定儿童安全座椅的指示系统
US11440446B2 (en) * 2019-01-10 2022-09-13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restraint system
CN110091775A (zh) * 2019-05-21 2019-08-06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安全带安装系统及方法
WO2021090313A1 (en) * 2019-11-04 2021-05-14 Mobius Protection Systems Ltd. Car seat base with installation guidance and locking anti-rebounding mechanism
US11964623B2 (en) 2019-11-04 2024-04-23 Babyark Ltd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training and executing a model for detecting safety seat events
USD944549S1 (en) 2019-11-10 2022-03-01 Mobius Protection Systems Ltd. Car seat
USD928542S1 (en) 2019-11-19 2021-08-24 Mobius Protection Systems Ltd Base for car seat
AU2021201211B1 (en) 2021-02-24 2021-08-12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Child restrai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761U (ja) * 1992-07-17 1994-10-11 日本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等のシートベルト照明装置
JP2000177451A (ja) 1998-12-17 2000-06-27 Tokai Rika Co Ltd 子供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1773A (en) * 1991-03-28 1993-01-26 Colvin David S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buckle including illumination
US5260684A (en) * 1991-05-14 1993-11-09 Northpoint Manufacturing & Marketing, Inc. Warning system for a child's restraining seat for use in a passenger vehicle
JPH11291799A (ja) * 1998-04-09 1999-10-26 Combi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2079910A (ja) * 2000-09-08 2002-03-19 Suzuki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用警報装置及び方法
JP4131106B2 (ja) 2001-12-27 2008-08-13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EP1669251A1 (en) * 2004-12-07 2006-06-14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 Child seat detection system
CN2767245Y (zh) * 2005-01-15 2006-03-29 镇江佳峰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安全座椅背向前安全带固定结构
JP4972501B2 (ja) 2006-10-04 2012-07-1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空圧緩衝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761U (ja) * 1992-07-17 1994-10-11 日本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等のシートベルト照明装置
JP2000177451A (ja) 1998-12-17 2000-06-27 Tokai Rika Co Ltd 子供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31123A1 (ja) 2011-08-18
EP2269861A4 (en) 2014-11-19
CN102015364B (zh) 2013-03-20
JP5146531B2 (ja) 2013-02-20
WO2009131123A1 (ja) 2009-10-29
KR20100126460A (ko) 2010-12-01
CN102015364A (zh) 2011-04-13
EP2269861B1 (en) 2016-12-07
EP2269861A1 (en)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545B1 (ko) 차일드 시트
JP538132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7347579B2 (en) Buckle apparatus and seat belt apparatus
US7360794B2 (en) Buckle apparatus and seat belt apparatus
US5149189A (en) Lateral illuminated buckle for vehicle seat belt system
JPH0329740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照明バックル
EP4063189A1 (en) Tether assembly, and child safety seat and support structure thereof
US7568265B2 (en) Buckle apparatus and seat belt apparatus
CN109641550B (zh) 车辆用照明装置
JPH041780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バックル照明機構
CN108995564A (zh) 带自动照明装置的儿童汽车座椅
KR200425707Y1 (ko)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CN108422961B (zh) 一种发光插锁
US9573495B2 (en) High back booster seat/child restraint
JP4590691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6735410B2 (ja) 車両用荷室構造
JPH0244600Y2 (ko)
WO2016021622A1 (ja) シートベルトアシスト装置及び乗り物用シート
JP6333662B2 (ja) シートベルトアシスト装置及び乗り物用シート
KR200472762Y1 (ko) 차량용 무드램프 어셈블리
KR200288062Y1 (ko) 거울이 부착된 자동차용 시트커버
JPH05228008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装置
KR200322008Y1 (ko)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KR200366673Y1 (ko) 합체식 카시트용 안전벨트잠금장치
JP4544494B2 (ja) まつ毛カー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