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008Y1 -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008Y1
KR200322008Y1 KR20-2003-0012873U KR20030012873U KR200322008Y1 KR 200322008 Y1 KR200322008 Y1 KR 200322008Y1 KR 20030012873 U KR20030012873 U KR 20030012873U KR 200322008 Y1 KR200322008 Y1 KR 200322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up holder
emitting device
ligh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남
Original Assignee
정진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남 filed Critical 정진남
Priority to KR20-2003-0012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실내측 벤트 그릴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홀더(100)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100)의 본체(101)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되, 그 저면 상에는 컵 홀더 내에 안치되는 물품의 수용여부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수단이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차량에 장착 설치되는 컵 홀더의 하부에 안치되는 무게 및 감지센서에 의해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발광수단을 구비함에 있어, 주간시에는 제어에 따라 발광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야간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실내에서의 조작패널을 용이하게 다루기 위한 조명의 용도, 또는 은은한 불빛을 제공하는 무드램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Emitting light device of cup holder for cars}
본 고안은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실내의 운전석측 벤트 그릴에 별도로 장착 설치되어 컵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컵 홀더를 통해 야간 운전시 컵이나 기타 물품이 안치된 상태에 따라 소정부위가 발광되도록 하여 무드램프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승합차 등의 차량은 실내 내부의 운전석 대시보드 상으로는 각종 계기판과 더불어 옵션사양으로 컵을 받쳐 놓을 수 있는 컵 홀더가 구비되어 있거나, 별도의 컵 홀더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간단한 캔 음료를 수용하여 안정적으로 받쳐 줄 수 있는 컵 홀더는 벤트 그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예가 대부분으로서, 컵 홀더에는 캔 음료 제품이나, 음료가 담긴 컵, 그 외 핸드폰 및 간편하게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는 각종 수용 가능한 크기의 제품을 임시적으로 보관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컵 홀더의 사용상에 있어, 주간보다 야간주행을 하는 상태에서는 주변이 대체적으로 어둡기 때문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의 컵 홀더 사용은 여러 불편한 점을 가져다 준다.
이는 운전자 및 그 옆의 조수석에 탑승한 동반자에 있어, 컵 홀더가 설치된 위치가 비교적 어둡기 때문에 대부분은 손을 더듬거려 컵 홀더로부터 컵을 찾아 드는 예가 보편적이다. 편의를 위해 실내등을 점등시킬 수도 있지만, 대부분 야간 주행시에는 전방시계 확보를 위한 목적과 운전 중 실내등을 조작하는 행위의 불편함 등으로 실내등을 점등시키는 일을 대부분 꺼려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야간시 차량 실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컵 홀더의 이용은 매우 번거로움이 있고, 컵 홀더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통상 차량의 실내내부를 소정의 밝기를 제공하여 안정감을 주면서 주변기기의 조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무드램프를 별도 장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사용되는 무드램프는 전원을 공급받는 시거 잭 위치에서부터 램프까지 전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주간에는 보는 이로 하여금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실내의 운전석측 벤트 그릴에 별도로 장착 설치되어 컵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컵 홀더를 통해 야간 운전시 컵이나, 기타 물품이 안치된 상태에 따라 소정부위가 발광되도록 하여 무드램프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실내측 벤트 그릴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되, 그 저면 상에는 컵 홀더 내에 안치되는 물품의 수용여부에 의해 점등되는 발광수단이 부착 설치된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컵 홀더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 본체와 발광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로부터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케이스 20: 받침부재
30: 하부케이스 40: 발광부
41: 인쇄회로기판 42: 발광소자
43: 접점 감지구 44: 링크카운터
45: 충전배터리 46: 접속소켓
47: 충전 확인램프 48: 전원버튼
50: 반사갓 100: 컵 홀더
C: 컵 J: 전원공급 잭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컵 홀더가 설치된 차량의 실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 본체와 발광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컵 홀더로부터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차량의 실내측 벤트 그릴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홀더(100)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100)의 본체(101)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되, 그 저면 상에는 컵 홀더 내에 안치되는 물품(C)의 수용여부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수단이 부착 설치된다.
상기 컵 홀더(100)의 저면으로는 체결부재(S)에 의해 발광수단을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02)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수단은 크게 상부케이스(10), 받침부재(20), 하부케이스(20), 발광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는 컵 홀더(100)의 저면 상에 마련되는 체결부재(S)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 외측둘레에 결합편(1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컵 홀더(100)의 수용공간과 수직되는 통공(12)이 형성되며, 통공(12)으로부터 내측으로 걸림턱(13)이 형성되고, 걸림턱(13)으로부터 단차지는 내경(14)에 다수개의 가이드홈(15)이 등간격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재(20)는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내경(14)측 가이드홈(15)으로부터 수직되게 안내되기 위한 가이드돌부(21)가 외측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통공(12)측 걸림턱(13)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부 외측둘레에 단턱(22)이 형성되며, 내측 저면에 원주상으로 가압편(23)이 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30)는 상부케이스(10)의 저면에 결합 고정되며, 소정위치에 버튼, 램프, 접속소켓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도면에서 부호 미표기함)이 형성된다.
상기 발광부(40)는 하부케이스(30) 내에 인쇄회로기판(41)이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41)으로부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소자(42)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20)측 가압편(23) 저면에 위치되도록 접점 감지구(43)가 설치되며, 발광소자(42)의 점등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링크카운터(44)가 설치되고, 충전배터리(45)가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소켓(46)이 설치되고, 충전 확인램프(47)가 설치되며,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버튼(48)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점 감지구(43)는 접점스위치로서 물품의 중량의 범위에 따라 가압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접점스위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탄성정도로서 작동범위를 갖는다.
또한, 접점 감지구(43)는 상기 가압편(23)의 접촉상태에 따른 감지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42)가 위치하는 주변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반사갓(50)이 설치되어 발광수단의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컵 홀더(100)의 본체(101)측 체결공(102)에 체결부재(S)로 설치되는 발광수단은 차량 실내에 있어, 별도로 설치되는 컵 홀더 이외에 옵션에 따라 대쉬 보드 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트레이 타입으로 출몰되는 컵 홀더 트레이에 적용할수도 있으며, 차량 실내의 앞좌석과 뒷좌석 중간에 설치되는 콘솔부에 함몰 형성되어 컵 등을 안치시킬 수 있는 요홈부(도면에서 생략함)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광수단은 하나의 디바이스로 컵 홀더의 하부 및 그 외 설치된다.
한편, 상기 링크카운터(44)는 발광부(40)를 구성함에 있어, 주어진 발광소자(42)의 개수에 따라 점등, 점멸 타임을 미리 함수 값에 의해 조정하는 것으로, 이하, 조작에 의한 설명은 대체적으로 공지화 되어 있어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상에서 도시된 3개의 발광소자(42)는 색상의 3원인 R, G, B를 기본으로 채택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링크카운터(44)의 조정에 따라 각각의 색상은 물론, 7가지 색상에 대한 보색을 발산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의 구성요소 중 상부케이스(10), 받침부재(20) 및 하부케이스(30)는빛 발산률이 양호한 투명 아크릴 계통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받침부재(20)는 저면 중앙부분에는 발광소자(42)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돌기(24)가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외측둘레에는 발광소자(42)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속하여 확산시키기 위한 주름돌기(16)가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20) 측의 확산돌기(24) 및 상부케이스(1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주름돌기(16)는 통상적인 자동차 등의 헤드램프 구조에 있어, 빛을 집속하여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J)는 차량에 시거 잭에 접속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잭을 나타내며, (C)는 컵 홀더 내에 안치되는 컵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부재(S)에 의해 하부에 발광수단이 부착 설치된 컵 홀더(100)의 장착은 차량 실내의 운전석측 대시보드 상에 위치된 벤트 그릴에 컵 홀더 후방에 설치된 착탈구를 이용하여 장착시켜 준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시거 잭으로부터 접속한 전원공급 잭(J)을 발광수단의 구성요소인 하부케이스(30) 측에 위치하는 접속소켓()46에 꽂아 일정 시간동안 충전을 시켜준다.
충전은 인쇄회로기판(41)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충전배터리(45)에 충전되고, 충전이 완료되는 상태에서는 충전 확인램프(47)의 색상 또는 점등상태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수단의 발광부(40)측 충전배터리(45)에 충전이 완료된 상태라면, 상기 전원공급 잭(J)을 접속소켓(46)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재 충전시에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컵 홀더(100)의 설치된 상태에 있어, 충전이 완료된 상태라면, 전원공급 잭(J)을 분리시켜 보관하기 때문에 사용상태에 있어 전선이 연결된 번잡함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부케이스(30)측 전면 소정위치에 설치된 전원버튼(48)은 주간시에는 오프 시키고, 야간주행시 필요에 따라 온 시켜 발광부(40)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광부(40)의 작동은 충전된 배터리로부터 전압 공급으로 인해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로서, 컵 홀더(100) 내에 무게(음료가 담긴 상태)가 있는 캔 음료, 종이컵 등의 물품(C)을 받침부재(20) 상면에 안치시키게 되면, 물품(C)의 무게에 의해 받침부재(20)는 하강하면서, 인쇄회로기판(41) 상에 설치된 점점 감지구(43)의 작동으로 발광소자(4)를 점등시켜 준다.
상기 접점 감지구(43)는 제조상에 따른 선택사항에 의해 접점스위치를 설치한 것으로, 상기 받침부재(20)의 하강동작에 있어, 받침부재(2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는 상부케이스의 통공 측 내경에 형성된 가이드 홈(15)으로부터 안내되는데, 이는 받침부재(20) 상에 물품(C)의 중앙이 정확하게 안치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받침부재(20)는 안정적으로 수직되게 하강시켜 준다.
이는 차량의 주행중 컵 홀더(100) 내에서 물품(C)의 미동에 따른 접점불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점 감지구(43)인 접점스위치를 가압하는 부분은 받침부재(20)의 저면 상에 원형으로 형성된 가압편(23)에 의해 눌러지게 된다.
스위치가 통상 눌러지는 정도는 1 내지 1.5mm정도의 깊이로 가압되는데, 이는 상부케이스(10)의 상면과 동일 선상을 이루고 있는 받침부재(20)의 상측부분이 하강하게 된다.
즉, 이때는 상부케이스(10)의 통공(12)측 걸림턱(13)으로부터 받침부재(2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턱(22)이 1내지 1.5mm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접점 감지구(43)인 접점스위치 대신 가압편(23)의 접촉 상태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발광소자를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있어, 점등되는 발광소자(42)는 제작 상에 있어 이미 링크카운터(44)에 의해 조정되었기 때문에 발광소자(42)의 점등은 안치된 물품을 해제시키기 이전까지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야간 주행시에는 반드시 컵이 아닌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물품을 컵 홀더에 안치시키면 상기와 같이 발광소자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음료가 담긴 컵을 컵 홀더로부터 이격시키는 상태에서는 소장의 시간동안은 링크카운터의 설정된 시간조정에 의해 점멸되지 않는다.
여기서 점멸 시간은 제작 상에 있어, 링크카운터의 조정에 의해 다시 컵을 안치시키는 시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소자(42)가 점등됨에 있어, 불빛의 산란은 구비된 반사갓(50)에 의해 상방향으로 발산되고, 발산되는 빛은 상기 받침부재(20)의 저면 상에 형성된 다수개의 확산돌기(24)에 의해 빛을 집속시킴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횡방향으로 확산되는 불빛은 상부케이스(10)를 통해 외측둘레 상으로 빛이 발산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주름돌기(16)에 의해 빛은 확산은 컵 홀더(100)의 상측방향과 횡방향 모두 확산되며, 상부케이스(10), 받침부재(20)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스(30) 또한, 아크릴계통의 투명소재로 제작된 이유에서 소정의 빛이 확산된다.
이와 같은 불빛의 산란은 컵 홀더에 컵이나 기타 물품 등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빛이 발산되어 무드 램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컵 홀더에 안치된 물품 사용상에 따라 잠시 들고 있는 상태라면, 소정의 시간동안은 불빛이 계속적으로 산란된다. 다시 물품을 컵 홀더에 안치시키는 시간까지 불빛의 산란시간은 대략 10초 정도로서 물건을 안치시킬 시간이 충분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컵 홀더에 부가된 발광수단은 종래와 비교하여 볼 때 시거 잭으로부터 연결되는 전원공급 잭은 충전시에만 필요한 것으로, 사용 도중에 간섭되는 일이 없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주간시에도 주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에 장착 설치되는 컵 홀더의 하부에 안치되는 무게에 따라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발광수단을 구비함에 있어, 주간시에는 제어에 따라 발광수단을 동작시키지 않고, 야간 주행시에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차량실내에서의 조작패널을 용이하게 다루기 위한 조명의 용도, 또는 은은한 불빛을 제공하는 무드램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7)

  1. 차량의 실내측 벤트 그릴 상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컵 홀더(100)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100)의 본체(101)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되, 그 저면 상에는 컵 홀더 내에 안치되는 물품의 수용 여부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수단이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컵 홀더(100)의 본체(101)저면 상에 마련되는 체결부재(S)에 의해 고정되기 위해 외측둘레에 결합편(1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컵 홀더의 수용공간과 수직되는 통공(12)이 형성되며, 통공(12)으로부터 내측으로 걸림턱(13)이 형성되고, 걸림턱(13)으로부터 단차지는 내경(14)에 다수개의 가이드홈(15)이 등간격지게 형성된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내경측 가이드홈(15)으로부터 수직되게 안내되기 위한 가이드돌부(21)가 외측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통공(12)측 걸림턱(13)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부 외측둘레에 단턱(22)이 형성되며, 내측 저면에 원주상으로 가압편(23)이 저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받침부재(2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저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케이스(30)와;
    상기 하부케이스(30) 내에 인쇄회로기판(41)이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41)으로부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광소자(42)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20)측 가압편(23) 저면에 위치되도록 접점 감지구(43)가 수직 설치되며, 발광소자(42)의 점등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링크카운터(44)가 설치되고, 충전배터리(45)가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소켓(46)이 설치되고, 충전 확인램프(47)가 설치되며,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버튼(48)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발광부(40)와;
    상기 발광소자(42)가 위치하는 주변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상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반사갓(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감지구(43)는 접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감지구(43)는 접촉상태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온/오프 할 수 있는 감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0), 받침부재(20) 및 하부케이스(30)는 투명한 아크릴 계통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는 저면 중앙부분에는 발광소자(42)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돌기(24)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외측둘레에는 발광소자(42)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집속시켜 확산시키기 위한 주름돌기(16)가 연속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KR20-2003-0012873U 2003-04-25 2003-04-25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KR200322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73U KR200322008Y1 (ko) 2003-04-25 2003-04-25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73U KR200322008Y1 (ko) 2003-04-25 2003-04-25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008Y1 true KR200322008Y1 (ko) 2003-07-31

Family

ID=4933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873U KR200322008Y1 (ko) 2003-04-25 2003-04-25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0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9603B2 (en) 2006-04-25 2019-05-28 Raffel Systems, Llc Lighted cup holder for seating arrangement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9603B2 (en) 2006-04-25 2019-05-28 Raffel Systems, Llc Lighted cup holder for seating arrangements
US10537182B2 (en) 2006-04-25 2020-01-21 Raffel Systems, Llc Lighted cup holder for seating arrangements
US10806265B2 (en) 2006-04-25 2020-10-20 Raffel Systems, Llc Lighted cup holder for seating arrangements
US11089701B1 (en) 2006-04-25 2021-08-10 Raffel Systems, Llc Lighted cup holder for seating arrangements
US11357119B1 (en) 2006-04-25 2022-06-07 Raffel Systems, Llc Lighted cup holder for seating arrangements
US11778758B2 (en) 2006-04-25 2023-10-03 Raffel Systems, Llc Lighted cup holder for seating arrange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0312B (zh) 具有环境照明的座椅
US8690402B2 (en) Illuminated grab handle with dual illumination modes
US6412973B1 (en) Interior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incorporating a solid-state light source
US20110222302A1 (en) Lighting system
MX2007005225A (es) Ensamble de lampara de cortesia interior de vehiculo.
EP0462087B1 (en) Mirror and illumination unit for motor vehicles
US5915832A (en) Light-a-cup
US10286840B2 (en) Vehicle lighting assembly using panel with light reflecting film
US20160152117A1 (en) Arrangement of a fragrance dispenser in the cabin of a motor vehicle
US20070139943A1 (en) An illuminable feature module for installing in a console
US20230225515A1 (en) Illuminated seat panel
US6979098B2 (en) Portable electric torch equipped with a swivelling optic system
US7946742B2 (en) In-vehicle illuminating device
CN112413442A (zh) 车辆货灯
CN210652614U (zh) 一种带化妆镜的车用遮阳板
KR200322008Y1 (ko) 차량용 컵 홀더의 발광장치
JP2002114099A (ja) ルームミラー及び室内灯
EP2741941A1 (en) Lighting system for a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100982971B1 (ko) 발광형 자동차용 컵홀더
CN113932196A (zh) 灯具以及汽车
CN209870255U (zh) 一种发光汽车储物盒
JP6021451B2 (ja) 車両用内装装置における光源配置構造
EP1634780A2 (en) Accessory for a safety belt buckle in a mobile vehicle
ES2426393T3 (es) Pieza de equipamiento interior de vehículo automóvil provista de células fotovoltaicas
US10449896B1 (en) Vehicle light assembly having deformable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