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707Y1 -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707Y1
KR200425707Y1 KR2020060016668U KR20060016668U KR200425707Y1 KR 200425707 Y1 KR200425707 Y1 KR 200425707Y1 KR 2020060016668 U KR2020060016668 U KR 2020060016668U KR 20060016668 U KR20060016668 U KR 20060016668U KR 200425707 Y1 KR200425707 Y1 KR 200425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e
terminal
housing
vehicl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우
한창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6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7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기제품에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용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홀로 삽입된 상기 플러그 단자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된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홀을 외부에 개방 및 폐쇄하는 단자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물기 등의 침투에 의한 각종 전기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의 결합사시도로서 단자홀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서 단자홀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서 가결합상태의 이동플레이트 및 단자홀을 도시한 확대도,
도 3b는 도 3a에서 완전결합상태의 이동플레이트 및 단자홀을 도시한 확대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의 가결합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의 완전결합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10 : 하우징
11 : 단자홀 15 : 상부케이스
16 : 고정홈 17 : 하부케이스
18 : 개구부 20 : 단자홀 커버
21 : 커버완충부재 23 : 손잡이부
25 : 힌지수용부 27 : 힌지핀
30 : 커넥터 31 : 지지부
32 : 관통홈 33 : 수용부
35 : 연결부 40 : 안전결합유닛
41 : 고정플레이트 42 : 제1관통부
43 : 힌지핀지지부 44 : 제1탄성부재지지부
45 : 이동플레이트 46 : 제2관통부
47 : 제2탄성부재지지부 50 : 표시부
51 : LED 프리즘 60 : 조명부
61 : 광원 63 : 광원지지부
70 : 탄성부재 100 : 플러그 단자
A : 가결합위치
B : 완전결합위치 P : 플러그
본 고안은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부에서도 각종 전기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에서 각종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가 라이터(Cigar Lighter)에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이로부터 분기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차량내 전력공급방법은, 상기 시가 라이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시가라이터에 알맞는 형상으로 만들어진 시가잭(Cigar Jack)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는 점 또한 시가 라이터에서는 차량용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특정 전압만이 공급되기 때문에 다양한 전기제품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82686호, 대한민국 실용출원 제2002-0000683호 등에는 차량용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110/220 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인버터를 구비한 차량용 교류전원공급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차량용 교류전원공급장치들은 110/220V의 교류전원을 공급하여 다양한 전기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승압에 대한 별도의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감전사고 또는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각종 전기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시가라이터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보통 12V 정도의 낮은 전압이지만, 습압된 전압은 110/220V의 높은 전압으로서 부주의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치명적인 상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주의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각종 전기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차량용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기제품에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용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홀로 삽입된 상기 플러그 단자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된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홀을 외부에 개방 및 폐쇄하는 단자홀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단자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단자홀에 삽입된 가결합위치와, 상기 가결합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완전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플러그 단자를 지지하는 안전결합유닛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결합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여 제1관통부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홀에 대응하여 제2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가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에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완 전결합위치로부터 상기 가결합위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각각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홀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홀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는, 전기제품용 플러그 단자(100)가 삽입되는 단자홀(11)이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단자홀(11)로 삽입된 플러그 단자(100)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33)와, 수용부(33)와 인버터(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5)가 마련된 커넥터(30)와; 하우징(10)에 마련되어 단자홀(11)을 외부에 개방 및 폐쇄하는 단자홀 커버(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넥터(30)와 단자홀(11) 사이에 마련되어 가결합위치(A)와 완전결합위치(B)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안전결합유닛(4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에 마련되어 커넥터(3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0) 또는 단자홀(11)에 인접한 하우징(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단자홀(11)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조명부(60) 중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은 일측에 전기제품용 플러그 단자(100)가 삽입되는 단자홀(1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인버터(미도시)와 연결된 커넥터(30)를 수용한다.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0)가 지지되는 하부케이스(17)와, 하부케이스(17)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며 단자홀(11)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5)로 마련될 수 있다.
단자홀(11)은 플러그 단자(10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이동플레이트(45)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이동플레이트(45)의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플레이트(45)가 직선왕복이동하는 경우에는, 단자홀(11)은 직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동플레이트(45)가 소정각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원호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5)에는 상부면 즉, 단자홀(11)이 형성된 일측면에 플러그(P)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며, 삽입된 플러그(P)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플러그(P)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홈(16)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7)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부케이스(15)를 향하는 일측에서 커넥터(30)를 지지한다. 하부케이스(17)의 타측에는 커넥터(30)에서 연장된 연결부(35)가 인버터와 접속되도록 개구부(18)가 형성된다.
하우징(10)은 인버터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한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전방 패널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도어의 내측 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수납함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하우징(10)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일반 가정용 콘센트와 같이 차량 내부의 인버터로부터 케이블로 연결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단자홀 커버(20)는 하우징(10)에 마련되어 단자홀(11)을 외부에 개방 및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단자홀 커버(2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부케이스(15)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면서 단자홀(11)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케이스(15) 및 단자홀 커버(20)의 일측에는 힌지수용부(25)가 마련되고, 고정플레이트(41)에는 힌지핀지지부(43)가 형성된다.
여기서, 힌지핀(27) 및 힌지수용부(25)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단자홀 커버(20)는 단자홀(11)을 외부로부터 폐쇄 또는 외부에 개방할 수 있 는 한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단자홀 커버(20)의 일측에는 단자홀 커버(20)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단자홀 커버(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단자홀(1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물기 등의 침투에 의한 각종 전기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부케이스(15)의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홀 커버(20)가 회동하여 상부케이스(15)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접촉에 의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완충부재(21)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완충부재(21)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스티로폴 또는 스프링과 같은 연성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완충부재(21)는 다양한 위치에 필요한 수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단자홀 커버(20)는 전술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자홀 커버(20)가 상부케이스(15)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면서 단자홀(11)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커넥터(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어 단자홀(11)로 삽입된 플러그 단자(100)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며, 인버터로부터 변환된 교류전원을 플러그 단자(100)로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배터리(미도시)는 12V의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데, 인버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전기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110/220V의 교류전원으로 변환한다.
커넥터(30)는 전술한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변환된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플러그 단자(100)에 전달한다.
커넥터(3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00)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33, 도 4a참조)와, 수용부(33)와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5)와, 수용부(33) 및 연결부(35)를 지지하는 지지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33)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되며, 플러그 단자(1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플러그 단자(100)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한다.
수용부(33)는 예를 들어,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어 플러그 단자(100)의 형상으로 굴곡되며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33)는 내부 크기가 플러그 단자(100)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마련됨으로써 플러그 단자(100)가 결합될 때에는 강제 끼움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된 후에는 탄성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35)는 지지부(31)에 지지되며, 일측은 인버터에 연결되고 타측은 수용부(33)에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연결부(35)는 표시부(50) 및 조명부(60) 중 하나 이상이 마련되는 경 우에는 표시부(50) 및 조명부(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지지부(31)는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어 수용부(33) 및 연결부(35)를 지지한다.
지지부(31)는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기판으로 마련되어 수용부(33) 및 연결부(35)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31)에는 단자홀(11)로 삽입된 플러그 단자(100)가 수용부(33)에 수용되기 위해 관통되는 관통홈(32)이 마련되며, 지지부(31)의 일측에는 표시부(50) 및 조명부(60)가 지지된다.
안전결합유닛(40)은 커넥터(30)와 단자홀(11) 사이에 마련되어, 플러그 단자(100)가 단자홀(11)에 삽입된 가결합위치(A)와, 가결합위치(A)로부터 이동되어 수용부(33)에 수용되는 완전결합위치(B)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플러그 단자(100)를 지지한다.
안전결합유닛(4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통부(42)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41)와, 제2관통부(46)가 형성된 이동플레이트(45)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41)는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되며 수용부(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관통부(42)가 형성된다.
제1관통부(42)는 지지부(31)의 관통홈(32) 및 수용부(33)에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고정플레이트(41)의 일측에는 힌지핀(27)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핀지지부(43)가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41)의 타측에는 탄성부재(70)를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지지부(44)가 마련된다.
탄성부재(70)는 일측은 제1탄성부재지지부(44)에 지지되고, 타측은 이동플레이트(45)의 제2탄성부재지지부(47)에 지지되어, 이동플레이트(45)를 완전결합위치(B)로부터 가결합위치(A)로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플러그 단자(100)가 삽입되기 전에는 이동플레이트(45)가 가결합위치(A)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임의로 완전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며, 플러그 단자(100)를 수용부(33)로 해제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가결합위치(A)로 복귀하도록 한다.
탄성부재(7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판스프링 또는 고무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동플레이트(45)는 단자홀(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관통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플레이트(41)에 대하여 가결합위치(A, 도 2a 참조)와 완전결합위치(B, 도 2b 참조) 사이에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동플레이트(45)는 하우징(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고, 고정플레이트(41)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이동플레이트(45)의 일측에는 탄성부재(70)가 지지되는 제2탄성부재지지부(47)가 마련된다.
한편, 전술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플레이트(45)가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플러그 단자(100)가 단자홀(11) 및 제2관통부(46)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각도 만큼 회전하여 제1관통부(42)를 통해 수용부(33)에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자홀(11)은 대략 ' ( )'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동플레이트(45)는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플러그 단자(100)가 1차적으로 단자홀(11) 및 제2관통부(46)에 가결합된 다음, 수용부(33)를 향하여 2차적으로 깊이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표시부(50)는 하우징(10)에 마련되어 커넥터(3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표시부(50)는 예를 들어, 플러그 단자(100)를 삽입하기 전에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가 동작가능함을 알리는 동작가능상태, 플러그 단자(100) 삽입 후 플러그 단자(100)로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알리는 정상동작상태 또는 플러그 단자(100)가 삽입되었으나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음을 알리는 이상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5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동작상태 마다 각각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가능상태에서는 노란색이 점등되고, 정상작동상태에서는 녹색이 점등되며, 이상동작상태에서는 빨간색이 점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50)의 점등은 인버터로부터 각 상태에 대한 점멸신호와 전원을 수신받아 제어될 수도 있고,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내에 별도의 제어부를 마련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지지부(31)에 연결부(35)와 인버터의 전원연결상태를 감지하거나, 과전류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50)는 다양한 색의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하나의 LED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각각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표시부(50)는 LED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광원(예를 들어, 램프)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50)는 지지부(31)에 설치되며, 이 경우 표시부(50)에서 조사된 광을 하우징(10)의 외부로 전달하는 LED프리즘(51)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60)는 단자홀(11)에 인접한 하우징(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단자홀(11)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마련된다.
차량 내부는 일반적으로 외부보다 어두운 상태에 있으며, 특히 야간운행을 하는 경우에는 차량 내부를 밝히기 위한 별도의 조명을 점등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조건에서 플러그 단자(100)를 단자홀(11)에 삽입하기란 용이하지 않다.
조명부(60)는 단자홀(11)에 인접한 하우징(10)의 상부면에 단자홀(11)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조명부(60)는 예를 들어, 지지부(31)에 지지되어 광을 조사하는 광원(61)과, 광원(6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단자홀(11) 측으로 안내하는 광원지지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61)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ED 또는 할로겐 등 다양한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61)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광원(61)은 연결부(35)를 통해 인버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광원(61)의 작동은 인버터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 내에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조명부(60)는 단자홀 커버(20)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단자홀 커버(20)가 개방되는 경우에만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는 단자홀(11)이 형성된 상부케이스(15) 및 하부케이스(17)로 분할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삽입된 플러그 단자(100)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여 인버터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30)와, 커넥터(30)와 하우징(10) 사이에 마련되어 플러그 단자(100)를 가결합위치(A)와 완전결합위치(B)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안전결합유닛(40)과, 하우징(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단자홀(11)을 외부에 개방 및 폐쇄하는 단자홀 커버(20)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는 차량 내부의 일영역 예를 들어, 전면 패널이나 도어 내측 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수납부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고, 일정위치에 고정설치됨이 없이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b와 같이, 단자홀 커버(20)가 회동되어 상부케이스(15)의 단자홀(1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시킨 상태에 있다.
차량 내에서 전기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자홀 커버(20)의 손잡이부(23)를 이용하여 단자홀 커버(20)를 회동시켜 단자홀(11)을 외부에 개방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홀(1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물기 등의 침투에 의한 각종 전기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단자홀(11)에 인접한 상부케이스(15)의 일측에는 조명부(60)가 마련되어 있어서, 단자홀 커버(20)가 회동되어 단자홀(11)이 개방되면 조명부(60)가 점등되어 주위가 어두운 조건에서도 단자홀(11)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15)에 마련된 표시부(50)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가능함을 표시하도록 동작가능상태를 나타내는 색, 예를 들어, 노란색의 광이 점등된다.
이에, 사용자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가 사용가능함 상태임을 미리 알 수 있으므로 전기제품의 사용유무를 및 작동불능의 원인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다음, 도 3a를 참조하면, 단자홀(11)이 외부에 개방된 상태에서는 이동플레이트(45)의 제2관통부(46)는 가결합위치(A)에 위치하고 있다.
가결합상태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플레이트(45)의 제2관통부(46)의 하부는 고정플레이트(41)에 막혀있기 때문에 더이상 하부방향으로의 삽입이 불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단자(100)를 수용부(33)에 완전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플러그 단자(100)가 제2관통부(46)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결합위치(B)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동플레이트(45)가 완전결합위치(B)로 이동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부(46)와 제1관통부(42) 및 수용부(33)가 연통되게 되므로 플러그 단자(100)를 수용부(33)를 향하여 깊게 삽입하여 수용부(33)에 수용되게 한다.
플러그 단자(100)가 수용부(33)에 수용되어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표시부(50)는 정상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상작동상태의 광, 예를 들어 녹색광으로 변환된다.
만일, 인버터로부터 과전류가 공급되고 있거나, 연결부(35)의 접속이 불량하여 전원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50)는 이상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빨강색 광으로 변환되어 이를 표시하게 된다.
반대로, 플러그 단자(100)를 차량용 전원공급장치(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는 플러그(P)를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분리시키면 되며, 이 경우, 이동플레이트(45)는 탄성부재(70)에 의해 완전결합위치(B)로부터 가결합위치(A)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는 전기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 또는 물기 등의 침투에 의한 각종 전기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는 가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안전결합유닛을 마련함으로써, 단자홀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각종 안전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의 동작가능상태, 정상작동상태 및 이상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마련함으로써, 전자제품의 사용가능여부 및 작동불능의 원인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단자홀에 인접하여 조명부를 마련함으로써, 주위가 어두운 상태에서도 단자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7)

  1. 차량용 인버터에서 변환된 교류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기제품에 공급하기 위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용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단자홀로 삽입된 상기 플러그 단자를 분리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된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홀을 외부에 개방 및 폐쇄하는 단자홀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단자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단자홀에 삽입된 가결합위치와, 상기 가결합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완전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플러그 단자를 지지하는 안전결합유닛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결합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여 제1관통부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단자홀에 대응하여 제2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가결합위치와 완전결합위치 사이에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완전결합위치로부터 상기 가결합위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각각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단자홀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KR2020060016668U 2006-06-21 2006-06-21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KR200425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68U KR200425707Y1 (ko) 2006-06-21 2006-06-21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68U KR200425707Y1 (ko) 2006-06-21 2006-06-21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707Y1 true KR200425707Y1 (ko) 2006-09-13

Family

ID=4177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668U KR200425707Y1 (ko) 2006-06-21 2006-06-21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70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77Y1 (ko) * 2008-01-24 2011-10-11 (주) 피엔텔레컴 외장형 전원 공급 커넥터 보조 장치
KR101570332B1 (ko) 2015-06-25 2015-11-19 (주)한중엔시에스 휴대 및 이동형 상용 전원 공급장치의 인버터 제어용 스위치
KR101830285B1 (ko) * 2013-11-04 201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식별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387411B1 (ko) * 2021-12-03 2022-04-15 주식회사 비나팜 리드 타입 슈퍼커패시터용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077Y1 (ko) * 2008-01-24 2011-10-11 (주) 피엔텔레컴 외장형 전원 공급 커넥터 보조 장치
KR101830285B1 (ko) * 2013-11-04 201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식별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570332B1 (ko) 2015-06-25 2015-11-19 (주)한중엔시에스 휴대 및 이동형 상용 전원 공급장치의 인버터 제어용 스위치
KR102387411B1 (ko) * 2021-12-03 2022-04-15 주식회사 비나팜 리드 타입 슈퍼커패시터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948B1 (en) Illuminated electrical outlet and light switch
US6290533B1 (en) Flashlight plug
US7178956B2 (en)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7393117B2 (en) Flashlight or lighting device
KR200425707Y1 (ko)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CN102537808A (zh) 用于车辆的车门外侧把手的照明装置
US20040184267A1 (en) Lighting system and housing therefore
JPH10181445A (ja) 室内照明ユニット
CN109641550A (zh) 车辆用照明装置
CN100483014C (zh) 用于打火器或者多功能电插座的照明装置
CN115871547A (zh) 电动车辆充电端口的照明系统及照明方法
KR10167656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거울
US10549686B2 (en) Light bar for a motor vehicle
JP5651505B2 (ja) 電線引き出し部分の防水構造
KR101754880B1 (ko)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KR20130140179A (ko) 차량용 실내 조명 장치
NL1032887C2 (nl) Stekkerdoos voor voertuig.
JP5829408B2 (ja) 照明ユニット及び充電コネクタの照明構造
KR101573686B1 (ko)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JP2010143357A (ja) ルーフコンソールの照明構造
CN104321496B (zh) 用于机动车辆的操作元件
KR20110085574A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조명장치
KR101783858B1 (ko) 차량용 콘센트 어셈블리
KR20100116361A (ko) 저전력 램프를 구비한 글로브 박스
KR200494085Y1 (ko) 가구 매립용 콘센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