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470B1 -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470B1
KR101254470B1 KR1020120128619A KR20120128619A KR101254470B1 KR 101254470 B1 KR101254470 B1 KR 101254470B1 KR 1020120128619 A KR1020120128619 A KR 1020120128619A KR 20120128619 A KR20120128619 A KR 20120128619A KR 101254470 B1 KR101254470 B1 KR 101254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moving
bar
frame
label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영
Original Assignee
정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영 filed Critical 정동영
Priority to KR1020120128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36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64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 B29C2049/2472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lining or label,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79Label or lining movements
    • B29C2049/2485Label or lining movements multidirecti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49/2408In-mould lining or lab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프레임상 전후방으로 왕복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서 모두 또는 별개로 좌우로 구동되는 제1,2이동바에 구비된 진공흡착부에 의해 이동부의 양측에 구비된 라벨지공급수단에서 라벨지의 인출을 보다 정밀 및 신속하게 인출하여 블로우 몰딩장치내의 합성수지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에 보다 정확하게 라벨지가 일체로 부착되도록 공급하도록 하여 라벨지의 인출이 정밀 및 신속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라벨지의 불량인출공급으로 인한 라벨지가 합성수지 용기에 제대로 일체로 성형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Labels precision automatic withdrawals supply for in-Mold}
본 발명은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프레임상 전후방으로 왕복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서 모두 또는 별개로 좌우로 구동되는 제1,2이동바에 구비된 진공흡착부에 의해 이동부의 양측에 구비된 라벨지공급수단에서 라벨지의 인출을 보다 정밀 및 신속하게 인출하여 블로우 몰딩장치내의 합성수지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에 보다 정확하게 라벨지가 일체로 부착되도록 공급하도록 하여 라벨지의 인출이 정밀 및 신속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라벨지의 불량인출공급으로 인한 라벨지가 합성수지 용기에 제대로 일체로 성형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용기를 성형하기 전에 미리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라벨지를 금형 내벽에 배치한 다음, 금형 내에 패리손(Parison)을 주입시키고, 패리손에 바람을 불어넣는 중공성형법(Blow molding)을 행함으로써 라벨지가 일체로 부착된 합성수지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용기의 제조공정에서 금형내로 공급하기 위한 라벨지를 매거진에 중첩된 상태로 적치되어 대기하며, 일련의 공정에 따라 작동하는 라벨지 인서트 장치에 의해 추출되어 블로우 몰딩장치의 금형 내로 이송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라벨지를 합성수지용기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받침프레임상에 고정프레임이 설치되고, 고정프레임상에 구동수단을 갖는 가동프레임과, 가동프레임상에서 구동수단에의해 전,후로가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상에서 이동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의해 좌우로 가동되는 양 인출가동바와 양 인출가동바의 외측에 다수개의 흡착구가 설치되고, 흡착구로 진공흡입하여 라벨지를 공급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양측에서 다수의 라벨지를 갖는 라벨지공급부로 구성하여 흡착구들에 흡착된 라벨지를 합성수지 용기의 블로우 몰딩창치의 금형내로 이송하여 공급하도록 라벨지인출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지인출장치의 라벨지를 흡착구로 진공흡입하여 합성수지 용기의 블로우 몰딩장치의 금형내로 공급시 라벨지인출장치의 가동프레임에서 전,후로 가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상의 양 인출가동바는 좌,우로 동시에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양 인출가동바의 흡착구로 라벨지를 라벨지공급부에서 정밀하게 인출하지 못하고, 이러하게 정밀하게 인출되지 못한 라벨지가 합성수지 용기 블로우 몰딩장치의 금형내로 공급시 블로우 몰딩장치내에서 양산되는 합성수지 용기의 외측면에 라벨지가 제대로 일체화 되지 않도록 생산되어 합성수지 용기의 불량품을 양산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동프레임 및 이동부상에서 정밀하게 구동되지 못하는 인출가동바로 인해 인출가동바는 라벨지공급부에서 라벨지를 제대로 인출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10-2009-0119309호 라벨 밴드지의 급지장치 특허등록 10-1205898호 자동 라벨 분리기의 이형지와인딩부 구조 등록특허 10-1166080호 자동 라벨 분리기에서 라벨지 장착공간의 규격 조절장치 특허출원 10-2000-0062230호 라벨 자동 인쇄 및 부착장치
본 발명은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프레임상 전후방으로 왕복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서 모두 또는 별개로 좌우로 구동되는 제1,2이동바에 구비된 진공흡착부에 의해 이동부의 양측에 구비된 라벨지공급수단에서 라벨지의 인출을 보다 정밀 및 신속하게 인출하여 블로우 몰딩장치내의 합성수지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에 보다 정확하게 라벨지가 일체로 부착되도록 공급하도록 하여 라벨지의 인출이 정밀 및 신속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라벨지의 불량인출공급으로 인한 라벨지가 합성수지 용기에 제대로 일체로 성형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새로운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프레임(11)으로 구성된 받침프레임(10)과: 상기 받침프레임(10)상에 전,후방으로 서로거리를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받침판(21)에 관통되어 설치된 승강바(20) 및 상기 승강바(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바(20)를 상기 받침판(21)에서 승강구동시키도록 상기 받침프레임(10)에 설치된 승강수단(30)과; 상기 승강바(20)상에 설치된 수평프레임(40) 및 상기 수평프레임(40)상에 설치된 구동프레임(50)과; 상기 구동프레임(50)에 설치된 제1구동수단(60a) 및 상기 제1구동수단(60a)으로 상기 구동프레임(50)상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부(70)와; 상기 이동부(70)상의 전방에 좌,우로 서로 거리를 두고설치된 제1,2 이동바(81a,81b)를 구비한 이동바부(80) 및 상기 제1,2이동바(81a,81b)의 외측에 다수개로 설치된 진공흡착부(90)와; 상기 이동바부(80)를 동시에 상기 이동부(70)상에서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에 설치된 제2구동수단(60b) 및 상기 제1,2이동바(81a,81b)를 상기 이동바부(80)에서 각각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70)에 설치된 제3구동수단(60c)과; 상기 수평프레임(40)상의 좌,우측면에 라벨지(R)를 상기 진공흡착부(90)에 공급하는 라벨지공급수단(1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된 상기 승강바(20)의 외측둘레에 관통되어 순차적으로 삽입설치된 상,중,하지지구(31a,31b,31c)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후방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중,하지지구(31a,31b,31c)의 전방에 관통삽입된 제1수직회동바(32a)와, 상기 제1수직회동바(32a)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1기어(33a)와 연결된 제2기어(33b)와, 상기 제2기어(33b)의 후방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연결봉(34)과, 상기 수평연결봉(34)의 후방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외측둘레 전방에 제3기어(33c)가 설치된 회동연결구(35)와, 상기 회동연결구(35)의전방에 설치된 손잡이(36)와, 상기 제3기어(33c)와 연결된 상기 제4기어(33d)의 상부와 연결된 제2수직회동바(32b)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승강바(20)의 외측둘레에 관통되어 순차적으로 삽입설치된 상,중,하지지구(31a',31b',31c')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전방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중,하지지구(31a',31b',31c')의 후방에 상기 제2수직회동바(32b)의 상부가 관통되어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중,하지지구(31a,31b,31c,31a',31b',31c')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31d)에 상기 제1,2수직회동바(32a,32b)의 외측둘레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31d)들의 내측둘레와 상기 제1,2수직회동바(32a,32b)의 외측둘레는 나사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수단(60a)은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전방에 형성된 가이드홈(51)과, 상기 구동프레임(50)의 후방좌측에 설치된 상기 제1모터(M1)와, 상기 구동프레임(50)의 후방내측에 관통된 상기 제1모터(M1)의 상기 구동축(A)에 설치된 전방풀리(52a)와,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전방내측에 설치된 후방풀리(52b)와, 상기 전,후방풀리(52a,52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53)와, 상기 가이드홈(51)에 상기 이동부(70)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구(71)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53)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수단(60b)은 상기 이동부(70) 및 상기 이동바부(80)의 후방에 관통설치된 제2모터(M2)의 구동축(A)과 연결된 기어(60d)와, 상기 이동바부(80)의 후방내부하부면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기어(60d)와 연결된 랙기어(60e)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바부(80)가 상기 이동부(70)상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구동수단(60c)은 상기 이동부(70)내측에 설치된 제3모터(M3)의 구동축(A)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70)상에 노출된 기어(60d')와, 상기 이동바부(80) 상기 제1이동바(81a)와 연결된 제1랙기어(60e')와, 상기 제2이동바(81b)와 연결된 제2랙기어(60e")와, 상기 기어(60d')의 외측이 상기 제1,2랙기어(60e',60e")의 내측과 맞물려 연결되어 상기 제1,2이동바(81a,81b)가 좌,우로 서로 각각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70)상 전,후방에 제1,2안내구(71a,71b)가 설치되고, 상기 제1안내구(71a)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1이동바(81a)의 내측에 설치된 제1안내부(72a)와, 상기 제2안내구(71b)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2이동바(81b)의 내측에 설치된 제2안내부(7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라벨지공급수단(100)은 상기 수평프레임(40)상의 좌,우에 설치된 브라켓(101)과, 상기 브라켓(101)상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된 라벨지인출공(102)을 갖는 라벨지공급판(103)과, 상기 라벨지공급판(103)에 형성된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후방둘레면에 다수개의 지지봉(104)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104)들이 관통삽입된 가압판(105)을 설치하여 상기 라벨지공급판(103)과 상기 가압판(105)사이에 다수개의 라벨지(R)가 적층되어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으로 라벨지(R)가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벨지공급판(103)의 전방하부와 상기 브라켓(101)의 전방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구(106)와, 양 상기 지지구(106)사이에 설치된 도르레(107)와,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102a)과, 상기 가압판(105)의 하부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07a)가 상기 안내공(102a)을 통과하여 상기 도르레(107)의 외측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101)의 하부로 연장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107a)의 하부에 무게추(10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외측둘레에 상기 라벨지(R)의 인출을 간섭하는 간섭편(109)이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간섭편(109)은 상기 지지봉(104)들의 전방이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외측둘레에 관통고정설치된 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101)의 전방의 측면에 상기 라벨지(R)를 감지하는 라벨지감지센서(S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70)의 후방좌,우측에 이동감지센서(S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프레임(50)의 후방좌측면에 복수개의 이동감지센서(S3)와,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전방좌측면에 이동감지센서(S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흡착부(90)들에 진공에어를 호스(91)와 연결되어 공급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진공에어공급장치(9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프레임상 전후방으로 왕복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서 모두 또는 별개로 좌우로 구동되는 제1,2이동바에 구비된 진공흡착부에 의해 이동부의 양측에 구비된 라벨지공급수단에서 라벨지의 인출을 보다 정밀 및 신속하게 인출하여 블로우 몰딩장치내의 합성수지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에 보다 정확하게 라벨지가 일체로 부착되도록 공급하도록 하여 라벨지의 인출이 정밀 및 신속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라벨지의 불량인출공급으로 인한 라벨지가 합성수지 용기에 제대로 일체로 성형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가동바부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구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는 가동바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공급수단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의 사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가동바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구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흡착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는 가동바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지공급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를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는 받침프레임(10)과, 승강바(20)와, 승강수단(30)과, 수평프레임(40)과, 구동프레임(50)과, 제1구동수단(60a)과, 제2구동수단(60b)과, 제3구동수단(60c)과, 이동부(70)와, 이동바부(80)와, 진공흡착부(90)와, 라벨지공급수단(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프레임(10)은 다수개의 프레임(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바(20)는 상기 받침프레임(10)상에 전,후방으로 서로거리를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받침판(21)에 관통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승강바(20) 및 양 상기 승강바(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양 상기 승강바(20)를 상기 받침판(21)에서 승강구동시키도록 상기 받침프레임(10)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30)과 연결되는 양 상기 승강바(20)상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프레임(40), 구동프레임(50), 이동부(70), 이동바부(80)를 상,하로 높이조절하여 합성수지 용기를 성형하는 블로우 몰딩장치의 위치에 맞출수 있도록 하여 블로우 몰딩장치의 높이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30)과 연결되는 양 상기 승강바(20)상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프레임(40), 구동프레임(50), 이동부(70), 이동바부(80)를 상,하로 높이조절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된 상기 승강바(20)의 외측둘레에 관통되어 순차적으로 삽입설치된 상,중,하지지구(31a,31b,31c)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후방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중,하지지구(31a,31b,31c)의 전방에 관통삽입된 제1수직회동바(32a)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직회동바(32a)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1기어(33a)와 연결된 제2기어(33b)로 구성된다.
상기 제2기어(33b)의 후방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연결봉(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연결봉(34)의 후방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외측둘레 전방에 제3기어(33c)가 설치된 회동연결구(35)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연결구(35)의 전방에 설치된 손잡이(3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기어(33c)와 연결된 상기 제4기어(33d)의 상부와 연결된 제2수직회동바(32b)로 구성된다.
상기 제1,2,3,4(33a,33b,33c,33d)기어는 베벨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승강바(20)의 외측둘레에 관통되어 순차적으로 삽입설치된 상,중,하지지구(31a',31b',31c')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전방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중,하지지구(31a',31b',31c')의 후방에 상기 제2수직회동바(32b)의 상부가 관통되어 삽입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중,하지지구(31a,31b,31c,31a',31b',31c')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31d)에 상기 제1,2수직회동바(32a,32b)의 외측둘레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31d)들의 내측둘레와 상기 제1,2수직회동바(32a,32b)의 외측둘레는 나사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프레임(40)은 양 상기 승강바(20)상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프레임(50)은 상기 수평프레임(40)상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구동수단(60a)은 상기 구동프레임(50)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수단(60a)은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전방에 형성된 가이드홈(51)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프레임(50)의 후방좌측에 설치된 상기 제1모터(M1)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프레임(50)의 후방내측에 관통된 상기 제1모터(M1)의 상기 구동축(A)에 설치된 전방풀리(52a)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전방내측에 설치된 후방풀리(52b)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풀리(52a,52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53)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1)에 상기 이동부(70)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구(71)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53)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프레임(50)상에서 후술되는 상기 이동부(70)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70)는 상기 제1구동수단(60a)으로 상기 구동프레임(50)상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부(80)는 상기 이동부(70)상의 전방에 좌,우로 서로 거리를 두고설치된 제1,2 이동바(81a,81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양 상기 이동바부(80)를 동시에 상기 이동부(70)상에서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에 설치된 제2구동수단(60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수단(60b)은 상기 이동부(70) 및 상기 이동바부(80)의 후방에 관통설치된 제2모터(M2)의 구동축(A)과 연결된 기어(60d)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60d)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바부(80)의 후방내부하부면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기어(60d)와 연결된 랙기어(60e)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바부(80)가 상기 이동부(70)상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동부(70)상에서 상기 제1이동바(81a)와 상기 제2이동바(81b)를 구비한 상기 이동바부(80)를 좌,우로 구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2이동바(81a,81b)를 상기 이동바부(80)에서 각각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70)에 설치된 제3구동수단(60c)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3구동수단(60c)은 상기 이동부(70)내측에 설치된 제3모터(M3)의 구동축(A)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70)상에 노출된 기어(60d')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60d')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바부(80) 상기 제1이동바(81a)와 연결된 제1랙기어(60e')로 구성된다.
상기 제2이동바(81b)와 연결된 제2랙기어(60e")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60d')의 외측이 양 상기 제1,2랙기어(60e',60e")의 내측과 맞물려 연결되어 상기 제1,2이동바(81a,81b)가 좌,우로 서로 각각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이동바(81a)는 상기 제1랙기어(60e')와 상기 제2이동바(81b)는 상기 제2랙기어(60e")에 의해 상기 제1,2이동바(81a,81b)는 상기 이동부(70)상에서 개별로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70)상 전,후방에 제1,2안내구(71a,71b)가 설치되고, 상기 제1안내구(71a)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1이동바(81a)의 내측에 설치된 제1안내부(72a)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내구(71b)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2이동바(81b)의 내측에 설치된 제2안내부(72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안내구(71a,71b) 및 상기 제1,2안내구(71a,71b)를 구성하는 것은 상기 제1,2이동바(81a,81b)가 보다 안정적으로 좌우로 개별적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동프레임(40)상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상기 이동부(70)와, 상기 이동부(70)상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상기 이동바부(80)와, 상기 이동부(70)상에서 개별적으로 각각 좌,우로 이동되는 상기 제1,2이동바(81a,81b)로 구성하여 상기 이동부(70), 상기 이동바부(80), 상기 제1,2이동바(81a,81b)를 정밀하게 구동하여 이러하게 정밀하게 구동되어지는 상기 제1,2이동바(81a,81b)의 외측에 후술되는 상기 진공흡착구(90)들이 후술되는 상기 라벨지공급수단(100)에서 라벨지(R)를 정밀하게 자동으로 인출하여 블로우 몰딩장치내로 정밀하게 이송공급하여 블로우 몰딩장치내에서 생성되는 합성수지 용기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라벨지(R)가 합성수지 용기의 외측에 제대로 일체되지 못하여 양산되는 불량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진공흡착부(90)는 상기 제1,2이동바(81a,81b))의 외측에 다수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2이동바(81a,81b)의 외측에 2개씩 구성된 진공흡착부(90)가 상부와 하부에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진공흡착부(90)들에 진공에어를 호스(91)와 연결되어 공급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진공에어공급장치(92)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지공급수단(100)은 상기 수평프레임(40)상의 좌,우측면에 라벨지(R)를 상기 진공흡착부(9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라벨지공급수단(100)은 상기 수평프레임(40)상의 좌,우에 설치된 브라켓(101)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01)상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된 라벨지인출공(102)을 갖는 라벨지공급판(103)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지공급판(103)에 형성된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후방둘레면에 다수개의 지지봉(10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104)들이 관통삽입된 가압판(105)을 설치하여 상기 라벨지공급판(103)과 상기 가압판(105)사이에 다수개의 라벨지(R)가 적층되어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으로 라벨지(R)가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벨지공급판(103)의 전방하부와 상기 브라켓(101)의 전방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구(106)로 구성된다.
양 상기 지지구(106)사이에 설치된 도르레(107)와,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102a)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판(105)의 하부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07a)가 상기 안내공(102a)을 통과하여 상기 도르레(107)의 외측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101)의 하부로 연장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07a)의 하부에 무게추(108)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무게추(108)는 상기 가압판(105)이 상기 지지구(106)들을 의지하여 상기 라벨지공급판(103)의 후방면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게 하여 상기 가압판(105)과 상기 라벨지공급판(103)사이에 다수개로 적재되어 있는 상기 라벨지(R)를 하나씩안정적으로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으로 인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외측둘레에 상기 라벨지(R)의 인출을 간섭하는 간섭편(109)이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간섭편(109)은 상기 지지봉(104)들의 전방이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외측둘레에 관통고정설치된 부위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간섭편(109)는 상기 라벨지(R)가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에서 하나씩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라벨지(R)가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브라켓(101)의 전방의 측면에 상기 라벨지(R)를 감지하는 라벨지감지센서(S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라벨지감지센서(S1)는 상기 가압판(105)과 상기 라벨지공급판(103)사이에 상기 라벨지(R)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70)의 후방좌,우측에 이동감지센서(S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프레임(50)의 후방좌측면에 복수개의 이동감지센서(S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전방좌측면에 이동감지센서(S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감지센서(S2,S3,S4)는 상기 이동부(70)가 상기 구동프레임(50)상에서 전,후로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이동부(70)가 상기 구동프레임(50)상의 전,후방사이내에서 안정으로 이동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상기 라벨지(R)를 구비한 상기 라벨지공급수단(100)에서 상기 라벨지(R)를 상기 구동프레임(50)상에서 전후방으로 왕복되는 상기 이동바부(80)에서 모두 또는 별개로 좌우로 구동되는 상기 제1,2이동바(81a,81b)에 구비된 상기 진공흡착부(90)에 의해 인출을 보다 정밀 및 신속하게 인출하여 이러하게 자동정밀인출된 상기 라벨지(R)가 일체로 부착된 합성수지 용기에 공급되어 용기에 보다 정확하게 상기 라벨지(R)가 일체로 부착되도록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라벨지(R)의 인출이 정밀 및 신속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상기 라벨지(R)의 불량인출공급으로 인한 상기 라벨지(R)가 합성수지 용기에 제대로 일체로 성형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받침프레임 11: 프레임
20: 승강바 21: 받침판
30: 승강수단 31a,31a':상지지구
31b,31b': 중지지구 31c,31c': 하지지구
31d: 삽입공 32a: 제1수직회동바
32b: 제2수직회동바 33a: 제1기어
33b: 제2기어 33c: 제3기어
33d: 제4기어 34: 수평연결봉
35: 회동연결구 36: 손잡이
40: 수평프레임 50: 구동프레임
51: 가이드홈 52a: 전방풀리
52b: 후방풀리 53: 연결부재
60a: 제1구동수단 60b: 제2구동수단
60c: 제3구동수단 60d, 60d': 기어
60e,60e',60e": 랙기어 70: 이동부
71: 연결구 71a: 제1안내구
71b: 제2안내구 72a: 제1안내부
72b: 제2안내부 80: 이동바부
81a: 제1이동바 81b: 제2이동바
90: 진공흡착부 91: 호스
92: 진공에어공급장치 100: 라벨지공급수단
101: 브라켓 102: 라벨지인출공
102a: 안내공 103: 라벨지공급판
104: 지지봉 105: 가압판
106: 지지구 107: 도르레
107a: 와이어 108: 무게추
109: 간섭편 A: 구동축
M1: 제1모터 M2: 제2모터
M3: 제3모터 R: 라벨지
S1: 라벨지감지센서 S2,S3,S4: 이동감지센서

Claims (14)

  1. 다수개의 프레임(11)으로 구성된 받침프레임(10)과:
    상기 받침프레임(10)상에 전,후방으로 서로거리를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받침판(21)에 관통되어 설치된 승강바(20) 및 상기 승강바(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바(20)를 상기 받침판(21)에서 승강구동시키도록 상기 받침프레임(10)에 설치된 승강수단(30)과;
    상기 승강바(20)상에 설치된 수평프레임(40) 및 상기 수평프레임(40)상에 설치된 구동프레임(50)과;
    상기 구동프레임(50)에 설치된 제1구동수단(60a) 및 상기 제1구동수단(60a)으로 상기 구동프레임(50)상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이동부(70)와;
    상기 이동부(70)상의 전방에 좌,우로 서로 거리를 두고설치된 제1,2 이동바(81a,81b)를 구비한 이동바부(80) 및 상기 제1,2이동바(81a,81b)의 외측에 다수개로 설치된 진공흡착부(90)와;
    상기 이동바부(80)를 동시에 상기 이동부(70)상에서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에 설치된 제2구동수단(60b) 및 양 상기 제1,2이동바(81a,81b)를 상기 이동바부(80)에서 각각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부(70)에 설치된 제3구동수단(60c)과;
    상기 수평프레임(40)상의 좌,우측면에 라벨지(R)를 상기 진공흡착부(90)에 공급하는 라벨지공급수단(1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된 상기 승강바(20)의 외측둘레에 관통되어 순차적으로 삽입설치된 상,중,하지지구(31a,31b,31c)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후방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중,하지지구(31a,31b,31c)의 전방에 관통삽입된 제1수직회동바(32a)와, 상기 제1수직회동바(32a)의 하부에 설치된 제1기어(33a)와 연결된 제2기어(33b)와, 상기 제2기어(33b)의 후방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연결봉(34)과, 상기 수평연결봉(34)의 후방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외측둘레 전방에 제3기어(33c)가 설치된 회동연결구(35)와, 상기 회동연결구(35)의전방에 설치된 손잡이(36)와, 상기 제3기어(33c)와 연결된 제4기어(33d)의 상부와 연결된 제2수직회동바(32b)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된 상기 승강바(20)의 외측둘레에 관통되어 순차적으로 삽입설치된 상,중,하지지구(31a',31b',31c')가 상기 받침프레임(10)의 전방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중,하지지구(31a',31b',31c')의 후방에 상기 제2수직회동바(32b)의 상부가 관통되어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중,하지지구(31a,31b,31c,31a',31b',31c')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31d)에 상기 제1,2수직회동바(32a,32b)의 외측둘레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31d)들의 내측둘레와 상기 제1,2수직회동바(32a,32b)의 외측둘레는 나사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60a)은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전방에 형성된 가이드홈(51)과, 상기 구동프레임(50)의 후방좌측에 설치된 제1모터(M1)와, 상기 구동프레임(50)의 후방내측에 관통된 상기 제1모터(M1)의 상기 구동축(A)에 설치된 전방풀리(52a)와,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전방내측에 설치된 후방풀리(52b)와, 상기 전,후방풀리(52a,52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53)와, 상기 가이드홈(51)에 상기 이동부(70)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구(71)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53)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수단(60b)은 상기 이동부(70) 및 상기 이동바부(80)의 후방에 관통설치된 제2모터(M2)의 구동축(A)과 연결된 기어(60d)와, 상기 이동바부(80)의 후방내부하부면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기어(60d)와 연결된 랙기어(60e)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바부(80)가 상기 이동부(70)상에서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수단(60c)은 상기 이동부(70)내측에 설치된 제3모터(M3)의 구동축(A)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70)상에 노출된 기어(60d')와, 상기 이동바부(80) 상기 제1이동바(81a)와 연결된 제1랙기어(60e')와, 상기 제2이동바(81b)와 연결된 제2랙기어(60e")와, 상기 기어(60d')의 외측이 상기 제1,2랙기어(60e',60e")의 내측과 맞물려 연결되어 상기 제1,2이동바(81a,81b)가 좌,우로 서로 각각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70)상 전,후방에 제1,2안내구(71a,71b)가 설치되고, 상기 제1안내구(71a)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1이동바(81a)의 내측에 설치된 제1안내부(72a)와, 상기 제2안내구(71b)에 안내되도록 상기 제2이동바(81b)의 내측에 설치된 제2안내부(7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라벨지공급수단(100)은 상기 수평프레임(40)상의 좌,우에 설치된 브라켓(101)과 브라켓(101)상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된 라벨지인출공(102)을 갖는 라벨지공급판(103)과, 상기 라벨지공급판(103)에 형성된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후방둘레면에 다수개의 지지봉(104)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봉(104)들이 관통삽입된 가압판(105)을 설치하여 상기 라벨지공급판(103)과 상기 가압판(105)사이에 다수개의 라벨지(R)가 적층되어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으로 라벨지(R)가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공급판(103)의 전방하부와 상기 브라켓(101)의 전방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구(106)와, 양 상기 지지구(106)사이에 설치된 도르레(107)와,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102a)과, 상기 가압판(105)의 하부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07a)가 상기 안내공(102a)을 통과하여 상기 도르레(107)의 외측둘레에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101)의 하부로 연장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07a)의 하부에 무게추(10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외측둘레에 상기 라벨지(R)의 인출을 간섭하는 간섭편(109)이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간섭편(109)은 상기 지지봉(104)들의 전방이 상기 라벨지인출공(102)의 외측둘레에 관통고정설치된 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1)의 전방의 측면에 상기 라벨지(R)를 감지하는 라벨지감지센서(S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70)의 후방좌,우측에 이동감지센서(S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프레임(50)의 후방좌측면에 복수개의 이동감지센서(S3)와, 상기 구동프레임(50)의 전방좌측면에 이동감지센서(S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빌자동인출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부(90)에 진공에어를 호스(91)와 연결되어 공급하도록 상기 받침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진공에어공급장치(9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장치.
KR1020120128619A 2012-11-14 2012-11-14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KR101254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619A KR101254470B1 (ko) 2012-11-14 2012-11-14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619A KR101254470B1 (ko) 2012-11-14 2012-11-14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470B1 true KR101254470B1 (ko) 2013-04-12

Family

ID=4844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619A KR101254470B1 (ko) 2012-11-14 2012-11-14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4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11B1 (ko) 2013-02-05 2014-03-07 옥천산업 주식회사 주입부재 내부의 발포제 자동 인출장치
CN103887059A (zh) * 2014-01-02 2014-06-25 东莞市智感电子科技有限公司 全自动无线充电线圈绕线机
KR101667940B1 (ko) * 2015-12-21 2016-10-21 신우코스텍 (주) 인몰드 라벨링을 위한 라벨 공급 모듈
KR102078273B1 (ko) * 2018-11-14 2020-02-19 (주)휴먼텍 라벨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사출성형품 제조 장치
US11000984B2 (en) 2015-06-26 2021-05-11 Shinwoo Costec Co., Ltd.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6514A (ja) 1986-12-27 1988-07-09 Pentel Kk ブロ−成形のワ−クインサ−トロボツト装置
KR200206582Y1 (ko) 2000-07-06 2000-12-01 백광산업주식회사 인-몰드 라벨용 매거진
JP2008044737A (ja) 2006-08-17 2008-02-28 Koyo Autom Mach Co Ltd 筒状ラベルの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6514A (ja) 1986-12-27 1988-07-09 Pentel Kk ブロ−成形のワ−クインサ−トロボツト装置
KR200206582Y1 (ko) 2000-07-06 2000-12-01 백광산업주식회사 인-몰드 라벨용 매거진
JP2008044737A (ja) 2006-08-17 2008-02-28 Koyo Autom Mach Co Ltd 筒状ラベルの供給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11B1 (ko) 2013-02-05 2014-03-07 옥천산업 주식회사 주입부재 내부의 발포제 자동 인출장치
CN103887059A (zh) * 2014-01-02 2014-06-25 东莞市智感电子科技有限公司 全自动无线充电线圈绕线机
US11000984B2 (en) 2015-06-26 2021-05-11 Shinwoo Costec Co., Ltd.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667940B1 (ko) * 2015-12-21 2016-10-21 신우코스텍 (주) 인몰드 라벨링을 위한 라벨 공급 모듈
KR102078273B1 (ko) * 2018-11-14 2020-02-19 (주)휴먼텍 라벨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사출성형품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4470B1 (ko) 인몰드용 라벨지 정밀자동인출공급장치
CN103454284B (zh) 一种纸容器品检机及其检测方法
JP2016131614A (ja) ラベル縫製装置
JP4392403B2 (ja) 熱成形装置
KR101897496B1 (ko) 종이덮개 자동 성형장치
CN203405422U (zh) 一种纸容器品检机
CN113843969A (zh) 一种埋入式注塑件的裁切摆盘设备
CN113353618A (zh) 产品厚度分仓自动下料机
CN205916800U (zh) 医用导管的储料装置
CN217995973U (zh) 一种硅片隔纸分板机的覆纸硅片下料机构
CN215852254U (zh) 包装袋自动送袋装置
CN212267966U (zh) 灌装总装
CN107055111B (zh) 一种产品的自动下料机
CN112622427B (zh) 一种塑料餐盘烫金设备及塑料餐盘的烫金工艺
CN110104273B (zh) 一种罐装油墨的包装自动化生产线
CN109664488B (zh) 多功能模内贴标的标签中转传送装置
CN113732145A (zh) 自动冲压摆盘设备
CN219154842U (zh) 一种覆膜摆盘设备
CN113696399A (zh) 一种用于胶圈原料送料进给机构
CN113581552B (zh) 自动送袋装置
CN219727068U (zh) 产品注塑成型及水口切割一体设备
CN210681393U (zh) 一种吸塑包装机的色标检测机构
KR100888056B1 (ko) 프레스기기의 연성인쇄회로기판 공급 장치
CN215159441U (zh) 一种片材转移机构及零售设备
KR20090115301A (ko) 인-몰드 레이블 생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