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305B1 -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305B1
KR101254305B1 KR1020110025020A KR20110025020A KR101254305B1 KR 101254305 B1 KR101254305 B1 KR 101254305B1 KR 1020110025020 A KR1020110025020 A KR 1020110025020A KR 20110025020 A KR20110025020 A KR 20110025020A KR 101254305 B1 KR101254305 B1 KR 101254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forklift
engine
seat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362A (ko
Inventor
백문현
Original Assignee
경동물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동물류(주) filed Critical 경동물류(주)
Priority to KR1020110025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30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driver, e.g. to weight or lack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시에 지게차의 시동을 자동으로 끔으로써 대기할 때 소모되는 연료 및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 또한 줄일 수 있는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지게차의 운적석에 운전자가 착석 상태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할 때 상기 지게차의 엔진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Device for Anti-Idle of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시에 지게차의 시동을 자동으로 끔으로써 대기할 때 소모되는 연료 및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 또한 줄일 수 있는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비교적 고중량의 하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서 건설현장이나 고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하역현장 및 물류업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며, 전측에 하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포크 및 리프트가 구비되며, 자체에는 엔진의 동력을 바퀴까지 전달하기 위한 변속기가 구비된다.
또한, 운전석에는 방향 조절을 위한 핸들 및 변속기 조절을 위한 레버 및 리프트와 포크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장치등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지게차는 건설현장이나 물류업체의 하역장 등에서 대량으로 운용되는데, 작업중 잠시 쉴 때나 다른 작업을 대기하여야 할 때 등 잠깐씩 운행하지 않고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탈할 경우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탈할 경우에도 지게차의 엔진 시동은 꺼지지 않고 계속 공회전 하고 있으므로, 연료를 계속 소비하게 되며, 이 때 각 지게차에서 소모되는 연료는 그다지 크지 않을 지라도 지게차를 대량으로 운용하는 업체 전체를 보면 공회전시 소모되는 연료가 막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불필요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매연 및 이산화 탄소로 인한 대기오염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시 몸을 일으키면서 조작레버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기기 오작동으로 지게차가 작동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 시 이를 감지하여 지게차의 엔진은 정지시키거나 또는 리프트 및 변속기의 작동을 중지시켜 불필요한 연료 소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환경오염문제도 해결하며,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도 줄일 수 있는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지게차의 운적석에 운전자가 착석 상태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할 때 상기 기제차의 엔진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운전석의 하측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체중에 의해 작동되어 착석여부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김지부에서 상기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할 때 지게차의 리프트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되었을 때 지게차의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지게차의 운적석에 운전자가 착석 상태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운전자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타이머와 운전자가 지게차의 기능 중 엔진의 시동상태를 포함한 어느 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능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한 시간이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한 시간만큼 지속되었을 때,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기능선택부는, 엔진의 시동상태, 리프트의 작동, 지게차 엔진의 동력을 바퀴까지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의 작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시 엔진의 작동이 중지되므로, 불필요한 공회전이 방지되므로 연료 소모가 방지되어 연료비용 및 환경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둘째,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시 엔진 또는 리프트 또는 변속기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셋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이탈 시 엔진 또는 리프트 또는 변속기중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작동이 중지될 때 까지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어 재시동의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차량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가 적용된 지게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중 감지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중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지게차(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11)와 상기 차체(111) 내부에 구비되는 엔진(110) 및 바퀴(115), 상기 엔진(110)의 구동력을 바퀴(115)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13), 운전자가 앉기 위한 운전석(114), 지게차(100)의 조향을 위한 핸들(116), 차체의 전측에 설치되어 하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포크(124) 및 리프트(122), 상기 운전석(114)에 앉은 운전자가 포크(124) 및 리프트(122)를 조작하기 위한 조절레버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는 감지부(130)와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130)는 지게차(100)의 운전석(114)에 운전자가 착석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114)의 하측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운전석(114)에 착석하였을 때 그 체중에 의해 눌려지며, 운전자가 운전석(114)에 착석상태가 아닐 때는 탄성복귀되는 스위치(132)로 이루어져, 상기 스위치(132)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운전자의 착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부(130)에서 운전자가 운전석(114)에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할 때 지게차(100)의 엔진(110)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114)에서 일어나게 되면 상기 감지부(130)의 스위치(132)가 오프되어 운전자가 운전석(114)에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감지부(130)의 신호로서 상기 제어부(140)에서는 엔진(110)을 정지시킴으로서 연료의 낭비 및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부(130)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할 때에 상기 리프트(122)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프트(122)는 유압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리프트(122)에 전해지는 유압을 차단하거나 상기 전동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상기 리프트(122)의 작동을 중지시켜 행여 발생할 지 모르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부(130)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할 때에 상기 엔진(110)으로부터 바퀴(115)까지 전해지는 구동력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엔진(110)의 구동력을 바퀴로 전하는 구성요소는 동력전달부(113: 변속기, 또는 트랜스 미션)가 담당하는데,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동력전달부(113)의 변속기를 중립상태로 변환시켜 엔진(110)의 구동력이 바퀴(115)로 전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때에는 지게차(100)가 경사에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140)가 브레이크(미도시)를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동력 전달부(113)의 변속기를 중립이 아닌 주차위치상태로 변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의 제어부(14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142)와 기능 선택부(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이머(142)는 운전자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능 선택부(144)는 상기 타이머(142)의 인근에 배치되어 엔진의 시동상태, 리프트의 작동, 동력전달부의 작동중 어느 하나 이상을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버튼 등으로 구비된다. 물론, 상기 기능 선택부(144)의 구성은 상기한 예 이외에도 다른 방식의 여러가지 기능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부(130)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한 시간이 상기 타이머(142)에서 설정한 시간만큼 지속되었을 때, 상기 기능 선택부(144)에서 선택된 기능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기능 선택부(144)에서 엔진이 선택된 경우 상기 감지부(130)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한 시간이 상기 타이머(142)에서 설정한 시간만큼 지속되었을 때, 엔진(110)의 시동이 꺼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기능 선택부(144)에서 리프트(122)가 선택된 경우 감지부(130)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한 시간이 상기 타이머(142)에서 설정한 시간만큼 지속되었을 때 리프트(122)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기능 선택부(144)에서 동력전달부(113)가 선택된 경우 감지부(130)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한 시간이 상기 타이머(142)에서 설정한 시간만큼 지속되었을 때, 상기 동력전달부(113)가 중립상태 또는 주차상태로 변환되어 동력전달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각 기능은 하나씩 선택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가 동시에 선택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기능이 동시에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기능이 설정된 시간 후에 중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작업 중 지게차 주변 상황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잠시 하차하는 경우 또는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자세를 고치려 잠시 일어서는 경우 등 운전석에서 아주 잠시 이탈할 경우에도 엔진의 시동이 바로 꺼지지 않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은 엔진 시동상태가 유지되므로 운전석에 돌아와서 재시동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며, 그만큼 재시동하는 횟수도 줄어들게 되어 지게차의 시동장치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어질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 후에는 엔진의 시동이 꺼지므로 휴식의 의도가 확실할 때에는 엔진시동이 꺼질 수 있어 연료낭비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지게차 110: 엔진
111: 차체 112: 조절레버
113: 동력 전달부 114: 운전석
115: 바퀴 116: 핸들
122: 리프트 124: 포크
130: 감지부 132: 스위치
140: 제어부 142: 타이머
144: 기능 설정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지게차의 운적석에 운전자가 착석 상태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운전자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타이머와,
    운전자가 지게차의 기능 중 엔진의 시동상태를 포함한 어느 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능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감지부에서 운전자가 착석상태가 아님을 감지한 시간이 상기 타이머에서 설정한 시간만큼 지속되었을 때,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된 기능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되는 기능은,
    엔진의 시동상태, 리프트의 작동, 지게차 엔진의 동력을 바퀴까지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의 동력전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6. 삭제
KR1020110025020A 2011-03-21 2011-03-21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KR101254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20A KR101254305B1 (ko) 2011-03-21 2011-03-21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20A KR101254305B1 (ko) 2011-03-21 2011-03-21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62A KR20120107362A (ko) 2012-10-02
KR101254305B1 true KR101254305B1 (ko) 2013-04-12

Family

ID=4727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20A KR101254305B1 (ko) 2011-03-21 2011-03-21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3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101A (ja) * 1998-11-25 2000-06-13 Susumu Miyamoto 貨物自動車のアイドリング停止装置。
KR20010026777A (ko) * 1999-09-08 2001-04-06 캐빈엠.리어든 문자표시기능을 갖는 산업용 차량 및 그 문자표시방법
KR101007484B1 (ko) * 2005-12-27 2011-01-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101A (ja) * 1998-11-25 2000-06-13 Susumu Miyamoto 貨物自動車のアイドリング停止装置。
KR20010026777A (ko) * 1999-09-08 2001-04-06 캐빈엠.리어든 문자표시기능을 갖는 산업용 차량 및 그 문자표시방법
KR101007484B1 (ko) * 2005-12-27 2011-01-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62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871B1 (ko) 산업차량
US8573339B2 (en) Hybrid industrial vehicle
KR101007484B1 (ko) 엔진지게차의 안전제어방법
JP5400442B2 (ja) 作業用車輌
EP2865634B1 (en) Industrial vehicle
JP2009263095A (ja) 荷役作業用車輌における表示装置
KR20150000317U (ko) 지게차
JP617446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産業車両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034424A1 (en) Engine-powered forklift truck and method of releasing load handling interlock thereof
US7278508B2 (en) Control system of industrial truck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090124595A (ko) 지게차용 자동 파킹 브레이크장치
KR101254305B1 (ko) 지게차의 공회전 방지장치
EP1481944B1 (en) Control system of self propellered industrial machine
EP2862834B1 (en) Industrial vehicle
JP5686568B2 (ja) 産業用車両
KR20190081099A (ko) 산업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19033635A (ja) 電動車両
JP5008432B2 (ja) フォークリフト車の安全装置
US20150012187A1 (en) Industri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strial vehicle
JP6700021B2 (ja) 作業車両
KR101982889B1 (ko) 기계식 엑셀 페달을 사용하는 지게차의 작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55332B1 (ko) 지게차의 마스트 작동높이 및 차량 주행속도 제한장치
JPH07172799A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リーチ動作規制装置
JP2003341995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パレットロック装置
JP2004075280A (ja) 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