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251B1 -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 Google Patents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251B1
KR101254251B1 KR1020120123978A KR20120123978A KR101254251B1 KR 101254251 B1 KR101254251 B1 KR 101254251B1 KR 1020120123978 A KR1020120123978 A KR 1020120123978A KR 20120123978 A KR20120123978 A KR 20120123978A KR 101254251 B1 KR101254251 B1 KR 10125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pressure
fixed
roll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욱
Original Assignee
조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욱 filed Critical 조성욱
Priority to KR102012012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2Bulking, e.g. loop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crimped or curled structure; with a special structure to simulate woo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stuffer box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상에 롤러 및 커터의 구성을 일체화하여 롤러와 커터의 간극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기설정된 압력에 따라 자동 제어하는 실린더를 구성하여 섬유의 유출량을 조절하며 작업성 및 생산능률의 향상시킴을 제공하도록, 섬유의 유입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섬유에 접하도록 하부롤러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한쪽에 회동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상기 하부롤러의 상측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린 롤 형태로 섬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롤러가 설치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로드의 한쪽 끝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러로부터 섬유와의 외면 접촉을 위한 가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회동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상/하부롤러로부터 인출되는 섬유가 주름을 생성토록 가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며 배출시키는 권축저항부와; 상기 가압실린더 및 권축저항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설정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Crimping Apparatus for Fiber Pleating}
본 발명은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 상에 롤러 및 커터의 구성을 일체화하여 롤러와 커터의 간극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기설정된 압력에 따라 자동 제어하는 실린더를 구성하여 섬유의 유출량을 조절하며 작업성 및 생산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이나 베게, 소파, 인형 등과 같이 쿠션을 요하는 가공품에는 내측에 푹신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일정량의 섬유를 넣어 사용하는데, 일직선의 선 형상을 갖는 섬유로는 쿠션재에 사용할 수 없으므로 섬유에 어느 정도의 쿠션역할을 부여할 수 있게 인위적으로 주름을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권축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권축장치를 사용한 권축공정은 섬유를 일정한 장력을 도모하여 늘이는 연신공정을 거친 이후에 진행되는데, 이러한 권축장치는 섬유를 내부공간을 향해 유입시키는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로부터 유입되는 섬유의 진행을 멈춰 섬유가 적층될 수 있게 커터어셈블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바, 커터어셈블리에 의해 적층되는 섬유는 계속해서 공급되는 섬유에 의해 압축되면서 주름이 형성되는 크림프(crimp)현상이 일어나게 되며 일정한 저지압력을 초과했을 경우 섬유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작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종래 권축장치는 하나의 프레임 상에 상하로 상호 맞물리는 롤러가 설치된 구조를 이루고 롤러 중 상부롤러는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상부롤러가 이동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경우 롤러와 커터어셈블리 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커터어셈블리를 향해 유입되는 섬유가 이동경로를 벗어나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작업진행이 어려우며 문제해결을 위한 작업시간이 지체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0430호에는 재생합성섬유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해서 로울러에 의해서 공급되는 실이 커터어셈블리내에서 적층 압축하여 크림프를 형성하도록 크림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장치는 박스형의 프레임을 상, 하로 구분하여 구비하고, 상부프레임에는 실의 강제공급에 필요한 한 쌍의 로울러 가운데 상부로울러가 장착되고, 로울러와 인접한 곳에 커터어셈블리 중 상부커터가 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측에는 상부로울러의 간격조절과 실공급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이 좌, 우 한 쌍 구비되고, 상부커터와 연결된 배출게이트의 배출압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프레임과 연접하는 하부프레임은 한 쌍의 로울러 가운데 하부로울러와 하부커터가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작업의 효율이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재생섬유의 크림프가공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권축장치로서 상기한 크림프 가공장치는 섬유의 공급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롤러 중 상부롤러를 누르는 수단과 함께 커터어셈블리에 의한 섬유의 배출압을 조절하기 위해 누르는 수단으로 모두 스프링을 사용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스프링의 탄력이 저하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수동에 의해 섬유의 공급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정확성 및 작업성의 면에서 충분한 효율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권축장치는 반복적인 권축작업이나 상부롤러의 이동과정에 의해 롤러와 커터어셈블리의 간격이 조금씩 틀어지거나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가느다란 크기의 섬유를 원자재로 사용하는 작업의 특성상 섬유가 외부로 빠져나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이 중단됨은 물론 걸린 섬유를 제어하기 어려우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 상에 롤러 및 커터의 구성을 각각 상하로 구분하여 일체화하며 섬유의 공급압력을 실린더에 의해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하므로 항상 롤러와 커터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섬유의 경로이탈 및 걸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압력조절의 정확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와 커터와의 간극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므로 미세한 간극까지 수시로 조절하여 섬유의 걸림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는 섬유의 유입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섬유에 접하도록 하부롤러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한쪽에 회동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상기 하부롤러의 상측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린 롤 형태로 섬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롤러가 설치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로드의 한쪽 끝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러로부터 섬유와의 외면 접촉을 위한 가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회동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상/하부롤러로부터 인출되는 섬유가 주름을 생성토록 가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며 배출시키는 권축저항부와; 상기 가압실린더 및 권축저항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설정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작업가능한 섬유의 유입 폭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권축저항부는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한쪽에 상기 하부롤러를 향해 연장되는 하부커터를 구비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회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롤러를 향해 연장되는 상부커터를 구비하며 한쪽이 수평상태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기울어져 설정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플레이트와, 섬유의 배출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변플레이트의 설정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압력을 인가하는 압착실린더로 구성한다.
상기 가변플레이트는 수평상태로부터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설정각도 1~5°의 범위 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권축저항부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가변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하부롤러와의 간극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간극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간극조절수단은 상기 상부롤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커터와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조절수단과, 상기 하부롤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하부커터와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한쪽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조절수단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에 의하면, 프레임에 롤러 및 커터가 일체로 설치되므로, 롤러와 커터의 간극을 설비된 그대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설비의 유지관리에 편의성을 도모하고, 작업중 섬유의 경로이탈 및 걸림 현상을 방지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는 섬유의 공급압력 및 배출압력을 각각 실린더에 의해 제공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실린더의 압력 정도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압력제어부를 구성하므로, 압력조절의 정확성을 도모하고 보다 우수한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는 롤러와 커터의 간극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조절가능한 간극조절수단을 구성하므로, 롤러로부터 커터와의 간극을 수시로 미세하게 조절가능하여 설비구성의 미세한 수치까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관리상 편의성을 도모하며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권축저항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섬유의 유입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섬유에 접하도록 하부롤러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한쪽에 회동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상기 하부롤러의 상측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린 롤 형태로 섬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롤러가 설치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로드의 한쪽 끝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러로부터 섬유와의 외면 접촉을 위한 가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회동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상/하부롤러로부터 인출되는 섬유가 주름을 생성토록 가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며 배출시키는 권축저항부와; 상기 가압실린더 및 권축저항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설정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작업가능한 섬유의 유입 폭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축저항부는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한쪽에 상기 하부롤러를 향해 연장되는 하부커터를 구비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회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롤러를 향해 연장되는 상부커터를 구비하며 한쪽이 수평상태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기울어져 설정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플레이트와, 섬유의 배출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변플레이트의 설정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압력을 인가하는 압착실린더를 포함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플레이트는 수평상태로부터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설정각도 1~5°의 범위 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축저항부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가변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하부롤러와의 간극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간극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극조절수단은 상기 상부롤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커터와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조절수단과, 상기 하부롤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하부커터와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한쪽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과, 회동프레임(20)과, 가압실린더(30)와, 권축저항부(40)와, 압력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설비위치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자재인 섬유의 유입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1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5)의 상면은 섬유의 수평공급을 도모하도록 평탄한 평면으로 형성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5)에는 설비로부터 작업가능한 섬유의 유입 폭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1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록(16)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5)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록(16)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5) 상에서 중심에 수직으로 축 연결되어 섬유가 접촉하는 경우 접촉력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외면이 섬유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롤러(11)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롤러(11)는 상기 고정프레임(10) 상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C1)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하부롤러(11)는 상기 고정프레임(10) 상에 회전축(C1)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게 베어링을 구비하되 큰 하중에 견디면서 내충격성이 우수한 롤러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프레임(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측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한쪽에 회동가능하게 축(25) 연결된다. 즉 상기 회동프레임(2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측에서 축(25)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프레임(20)에는 상기 하부롤러(11)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상부롤러(21)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롤러(21)는 상기 하부롤러(11)와 함께 상기 지지플레이트(15)를 거쳐 유입되는 섬유를 인출하면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롤러(21)와 상기 하부롤러(11)는 상호 맞물린 한 쌍의 롤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롤러(21)에 있어서도 상기 하부롤러(11)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동프레임(20) 상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C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롤러(21) 및 상기 하부롤러(11)에는 상호 맞물리는 롤러의 외면상에 밀착패드(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여 섬유에 대한 가압성능 및 공급성능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밀착패드의 경우 소정의 신축성과 탄력으로부터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재질인 고무나 우레탄소재 등을 사용하고 시트 형태로 적용한다.
상기 가압실린더(30)는 상기 상부롤러(21)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회동프레임(20)을 상기 축(25)을 중심으로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상부롤러(21)로부터 섬유와의 외면접촉을 위한 가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실린더(30)는 유체(예를 들면, 에어, 기름 등)의 공급에 의해 작동하며, 한쪽에 로드(R1)를 구비한다. 즉 상기 가압실린더(30)는 유체의 공급 유무에 의해 로드(R1)가 전후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실린더(30)는 상기 회동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로드(R1)의 한쪽 끝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가압실린더(30)는 서로 거리를 두고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권축저항부(40)는 가압력 즉 섬유의 배출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며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상/하부롤러(21)(11)로부터 공급되는 섬유를 배출시키되 섬유 공급에 의한 일정 배출압력이 부여되기까지 상기 상/하부롤러(21)(11)에서 인출되는 섬유를 적층압축시킨 후 배출하여 섬유에 주름을 생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권축저항부(4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 및 상기 회동프레임(2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고정플레이트(45) 및 가변플레이트(43)와 압착실린더(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5)는 섬유가 배출되는 한쪽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0) 상에 평탄한 상면을 이루며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5)의 한쪽(상기 하부롤러(11)가 위치한 쪽)에는 상기 하부롤러(11)를 향해 연장되는 하부커터(46)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커터(46)는 가느다란 섬유를 원자재로 사용한다는 특성상 상기 하부롤러(11)와의 간극을 미세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상기 하부커터(46)는 상기 하부롤러(11)의 회동에 영향을 미치지않도록 거리를 두고 위치하되 가느다란 섬유가 작업중 외부로 유출되지 못할만한 간극을 유지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가변플레이트(43)는 상기 회동프레임(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45)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가변플레이트(43)의 한쪽(상기 상부롤러(21)가 위치한 쪽)에는 상기 상부롤러(21)를 향해 연장되는 상부커터(44)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커터(44)에 있어서도 상기 하부커터(46)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롤러(21)로부터 미세한 간극을 유지하며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변플레이트(43)는 한쪽이 수평상태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45)를 향해 기울어져 설정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가변플레이트(43)는 수평상태로부터 상기 고정플레이트(45)를 향해 설정각도를 변경하되 1~5°범위 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권축저항부(40)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45) 및 상기 가변플레이트(43)를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간극조절수단(48)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간극조절수단(48)은 상기 고정플레이트(45) 및 상기 가변플레이트(43)를 각각 임의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상/하부롤러(21)(11)와의 간극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간극조절수단(48)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45) 및 상기 가변플레이트(43)를 각각 개별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가변플레이트(43)를 이동시키는 제1조절수단(48a)과, 상기 고정플레이트(45)를 이동시키는 제2조절수단(48b)으로 구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조절수단(48a)은 상기 상부롤러(21)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커터(44)와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변플레이트(43)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2조절수단(48b)은 상기 고정플레이트(45)의 한쪽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롤러(11)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하부커터(46)와의 간극을 조절한다.
상기 제1조절수단(48a) 및 상기 제2조절수단(48b)은 각각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가변플레이트(43)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45)가 전후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권축저항부(40)에 간극조절수단(48)을 구성하게 되면, 상/하부롤러(21)(11)로부터 상/하부커터(44)(46)와의 간극을 수시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간극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가능하고, 이는 섬유의 걸림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압착실린더(41)는 상기 가변플레이트(43)를 향해 일정한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압착실린더(41)는 섬유의 배출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변플레이트(43)의 설정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압력을 인가한다.
상기 압착실린더(41)는 상기 회동프레임(20) 상에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해 결합 설치되고, 상기 가변플레이트(43)의 상부에 로드(R2)의 한쪽 끝단이 설치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제어부(50)는 상기 가압실린더(30) 및 상기 권축저항부(40)의 압착실린더(41)에 부여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설정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압력제어부(50)는 상기 가압실린더(30)나 상기 압착실린더(41)를 향해 유체를 공급하여 압력을 가하는데, 이때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가압실린더(30) 및 상기 압착실린더(41)로부터 적용되는 압력을 제어한다.
상기에서 압력제어부(50)는 상기 가압실린더(30) 및 상기 압착실린더(41)에 대해 각각 구분하여 압력을 조절 설정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의 작동관계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연신공정을 마친 직선형태의 섬유가 지지플레이트(15)를 거쳐 상부롤러(21) 및 하부롤러(11)에 물린 상태에서 작업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상부롤러(21) 및 하부롤러(11)를 통해 공급되는 섬유는 가압실린더(30)의 가압력을 통해 회동프레임(20)에 누르는 힘이 적용되고, 상기 회동프레임(20) 상에 일체로 설치된 상기 상부롤러(21)로부터 섬유에 소정의 공급압력이 가해지면서 섬유를 계속해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가압실린더(30)의 압력은 압력제어부(50)를 통해 조절된 설정압력만큼이 가해지는데, 섬유의 굵기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압력제어부(50)를 통해 압력 정도를 설정 조절한다.
이어 상기 상부롤러(21) 및 하부롤러(11)를 통해 공급되는 섬유는 권축저항부(40)에 진입하게 되고, 섬유는 상기 권축저항부(40)의 가변플레이트(43)에 막힌 상태로 계속해서 적층압축되면서 권축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상기 권축저항부(40) 내에서 적층압축된 섬유는 상기 가변플레이트(43)에 압력을 가하는 압착실린더(41)의 압력보다 큰 압력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가변플레이트(43)가 개방되면서 섬유를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압착실린더(41)의 압력은 상기 압력제어부(50)를 통해 조절된 설정압력이 가해지며, 주름가공된 섬유의 사용 용도에 따라 상기 압력제어부(50)를 통해 배출압력을 설정 조절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에 의하면, 프레임에 롤러 및 커터가 일체로 설치되므로, 롤러와 커터의 간극을 설비된 그대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설비의 유지관리에 편의성을 도모하고, 작업중 섬유의 경로이탈 및 걸림 현상을 방지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섬유의 공급압력 및 배출압력을 각각 실린더에 의해 제공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실린더의 압력 정도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압력제어부를 구성하므로, 압력조절의 정확성을 도모하고 보다 우수한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고정프레임 11 : 하부롤러 15 : 지지플레이트
16 : 가이드블록 20 : 회동프레임 21 : 상부롤러
25 : 축 30 : 가압실린더 40 : 권축저항부
41 : 압착실린더 43 : 가변플레이트 44 : 상부커터
45 : 고정플레이트 46 : 하부커터 48 : 간극조절수단
48a : 제1조절수단 48b : 제2조절수단 50 : 압력제어부
C1,C2 : 회전축 R1,R2 : 로드

Claims (6)

  1. 섬유의 유입을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섬유에 접하도록 하부롤러가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한쪽에 회동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상기 하부롤러의 상측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린 롤 형태로 섬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롤러가 설치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가능한 로드의 한쪽 끝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러로부터 섬유와의 외면 접촉을 위한 가압력을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회동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상/하부롤러로부터 인출되는 섬유가 주름을 생성토록 가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며 배출시키는 권축저항부와;
    상기 가압실린더 및 권축저항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설정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지지플레이트에는 상부에 돌출 형성되고 작업가능한 섬유의 유입 폭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축저항부는,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한쪽에 상기 하부롤러를 향해 연장되는 하부커터를 구비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회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롤러를 향해 연장되는 상부커터를 구비하며 한쪽이 수평상태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기울어져 설정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변플레이트와, 섬유의 배출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변플레이트의 설정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압력을 인가하는 압착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변플레이트는 수평상태로부터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향해 설정각도 1~5°의 범위 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권축저항부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가변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하부롤러와의 간극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간극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간극조절수단은, 상기 상부롤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커터와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가변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조절수단과, 상기 하부롤러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하부커터와의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한쪽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제2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KR1020120123978A 2012-11-05 2012-11-05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KR10125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978A KR101254251B1 (ko) 2012-11-05 2012-11-05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978A KR101254251B1 (ko) 2012-11-05 2012-11-05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251B1 true KR101254251B1 (ko) 2013-04-12

Family

ID=4844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978A KR101254251B1 (ko) 2012-11-05 2012-11-05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52B1 (ko) 2019-11-18 2020-08-05 주식회사 월드로 크림퍼용 사이드커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430U (ko) * 1997-06-03 1999-01-15 조승형 합성재생섬유의 크림프(crimp)가공장치
KR200178734Y1 (ko) 1999-11-04 2000-04-15 박대열 클림퍼기의 균압쿠션장치
WO2001092616A1 (en) 2000-05-31 2001-12-06 Eastman Chemical Company Synthetic fiber crimper, method of crimping and crimped fiber produced therefrom
US7748092B2 (en) * 2008-03-03 2010-07-06 M.A.E. S.P.A. Apparatus for crimping chemical-fibre filament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430U (ko) * 1997-06-03 1999-01-15 조승형 합성재생섬유의 크림프(crimp)가공장치
KR200178734Y1 (ko) 1999-11-04 2000-04-15 박대열 클림퍼기의 균압쿠션장치
WO2001092616A1 (en) 2000-05-31 2001-12-06 Eastman Chemical Company Synthetic fiber crimper, method of crimping and crimped fiber produced therefrom
US7748092B2 (en) * 2008-03-03 2010-07-06 M.A.E. S.P.A. Apparatus for crimping chemical-fibre filament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752B1 (ko) 2019-11-18 2020-08-05 주식회사 월드로 크림퍼용 사이드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49602U (zh) 一种自动上料的分切复卷机
KR101851662B1 (ko)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CN204644682U (zh) 一种具有自动纠偏的拉幅定型机的平幅进布机构
CN104210139B (zh) 压线机、瓦楞纸板生产线及压线方法
CN110258041B (zh) 用于床单缝制裁切的张紧系统
CN111844590B (zh) 一种连续发泡材料的定厚装置
KR101254251B1 (ko) 섬유 주름 가공용 권축장치
CN111715746A (zh) 一种可调节的数控卷板机
CA2182503C (en) Means for controlling roll deflection in a two-roll fabric shrinker
CN205419206U (zh) 一种收卷机
CN202807960U (zh) 一种用于涂层商标布的打卷机
CN108463327A (zh) 用于轮胎的增强帘布层的压延设备
KR20100024842A (ko) 핀치롤러장치
CN107557915A (zh) 一种开包机
CN202064183U (zh) 单带式压光机
CN208180077U (zh) 一种塑料板双压辊延伸装置
CN204644684U (zh) 一种拉幅定型机牵引装置的平幅进布机构
CN220115777U (zh) 一种tpu流延膜复合面料生产用放卷装置
CN220579665U (zh) 一种布料裁剪装置
CN206486699U (zh) 面料绒面平整装置的滚筒结构
CN208484271U (zh) 一种胎体滚压装置
CN204390055U (zh) 卷材厚度控制结构
CN100534767C (zh) 悬浮式内压花装置
CN211542092U (zh) 一种热塑性tpo防水卷材的压延机
CN214848750U (zh) 一种电池卷芯半自动卷绕机的张力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