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611B1 -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1611B1 KR101251611B1 KR1020120046571A KR20120046571A KR101251611B1 KR 101251611 B1 KR101251611 B1 KR 101251611B1 KR 1020120046571 A KR1020120046571 A KR 1020120046571A KR 20120046571 A KR20120046571 A KR 20120046571A KR 101251611 B1 KR101251611 B1 KR 1012516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tchet
- washer
- torque
- coupled
- too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7/00—Hand-driven gear-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 B25B13/461—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 B25B13/466—Spanners; Wrenches of the ratchet type, for providing a free return stroke of the handle with concentric driving and driven member the ratchet parts engaging in an axial 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7/00—Hand-driven gear-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17/02—Hand-driven gear-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providing for torque amplif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78—Reaction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1—Mechanical overload release coupl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torque indicators or adjustable torque limiters
- B25B23/142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torque indicators or adjustable torque limiters by mechanica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3—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 B60B29/005—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hand-driven operating with multiplicated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14—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와, 핸들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래칫과 제 1 래칫에 치합되어 제 1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래칫을 구비하는 래칫부와, 제 2 래칫에 결합되어 제 2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변속부와, 일측이 변속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휠너트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부와, 래칫부 및 변속부를 수용하며, 양측이 개구되는 하우징부와,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제 1 래칫을 가압하여 제 1 래칫과 제 2 래칫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켓부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토크 조절부를 포함하고, 토크조절부는 제 1 래칫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워셔부와,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워셔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워셔부가 제 1 래칫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휠너트에 결합되어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를 제한할 수 있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바퀴는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볼트와 볼트에 결합되는 휠너트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렌치는 자동차바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휠너트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된다. 렌치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휠너트가 결합되는 소켓에 전달함으로써 휠너트를 조이거나 푼다.
이때, 자동차바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휠너트는 볼트와 기 설정된 강도로 결합되며, 렌치는 휠너트와 볼트가 결합되는 강도에 대응하는 회전력을 소켓에 전달하여 볼트를 조이거나 푼다.
하지만, 휠너트와 볼트가 결합되는 강도를 초과하는 회전력을 휠너트에 전달하게 되면, 휠너트와 볼트가 과도하게 결합되어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볼트가 휠너트에 의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렌치는 렌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손잡이의 길이 또는 회전되는 손잡이의 회전축을 변화시킴으로써 소켓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였다. 또는, 회전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렌치의 일측에 부착하여 소켓에 전달되는 회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
하지만, 손잡이의 길이 또는 손잡이의 회전축을 변화시켜 소켓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경우, 작업자의 힘에 따라 휠너트를 조이거나 풀 때 전달되는 회전력의 크기가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어 휠너트와 볼트가 결합되는 강도에 대응되는 정확한 회전력을 소켓에 전달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렌치의 일측에 회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별도의 장치를 렌치에 부착하는 경우 렌치의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렌치의 휴대와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너트가 결합되는 소켓에 전달되는 회전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래칫과 상기 제 1 래칫에 치합되어 상기 제 1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래칫을 구비하는 래칫부와, 상기 제 2 래칫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변속부와, 일측이 상기 변속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휠너트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부와, 상기 래칫부 및 상기 변속부를 수용하며, 양측이 개구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래칫과 상기 제 2 래칫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소켓부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토크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조절부는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워셔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상기 워셔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워셔부가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셔부는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래칫의 일면에 밀착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 1 워셔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워셔에 밀착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 2 워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조절부는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제 1 가압 조절부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가압 조절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2 워셔의 일면에 밀착되어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2 워셔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조절부와,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압 조절부는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가 접촉되는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며,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을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설치홈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래칫은 일면에 제 1 태양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부는 일면에 상기 제 1 태양기어에 치합되는 제 1 유성기어가 설치되고 타면에 제 2 태양기어가 설치되는 제 1 변속부와, 일면에 상기 제 2 태양기어에 치합되는 제 2 유성기어가 설치되고 타면에 상기 소켓부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축이 형성되는 제 2 변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 1 유성기어 및 상기 제 2 유성기어를 안내하는 안내기어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소켓부에 결합되는 휠너트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휠너트에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래칫과 상기 제 1 래칫에 치합되어 상기 제 1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래칫을 구비하는 래칫부와, 상기 제 2 래칫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변속부와, 일측이 상기 변속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휠너트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부와, 상기 래칫부 및 상기 변속부를 수용하며, 양측이 개구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래칫과 상기 제 2 래칫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소켓부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토크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 조절부는,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는 워셔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고,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워셔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워셔부가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셔부는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래칫의 일면에 밀착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 1 워셔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워셔에 밀착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 2 워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조절부는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2 워셔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크 조절부는 상기 상기 가압 조절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조절부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소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부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손잡이가 이동되는 이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 1 래칫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상기 가압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조절부의 일면을 덮으며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는 지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래칫과 상기 제 1 래칫에 치합되어 상기 제 1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래칫을 구비하는 래칫부와, 상기 제 2 래칫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변속부와, 일측이 상기 변속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휠너트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부와, 상기 래칫부 및 상기 변속부를 수용하며, 양측이 개구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래칫과 상기 제 2 래칫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소켓부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토크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 조절부는,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는 워셔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상기 워셔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워셔부가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셔부는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래칫의 일면에 밀착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 1 워셔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워셔에 밀착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 2 워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설치홈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 가압 조절부와,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워셔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는 상기 설치홈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는 일단에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는 하우징부의 일측에 토크 조절부를 설치하여 제 1 래칫과 제 2 래칫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휠너트가 결합되는 소켓부에 일정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는 래칫부와 변속부가 수용되는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도록 토크 조절부가 설치됨으로써 렌치 어셈블리를 소형화 하여 렌치 어셈블리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효과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100)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의 분해된 상태를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 하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110), 핸들부(1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래칫(121)과 제 1 래칫(121)에 치합되어 제 1 래칫(12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래칫(122)을 구비하는 래칫부(120), 제 2 래칫(122)에 결합되어 제 2 래칫(122)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변속부(130), 일측이 변속부(130)에 결합되고 타측이 휠너트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부(140), 래칫부(120) 및 변속부(130)를 수용하며, 양측이 개구되는 하우징부(150) 및 제 1 래칫(121)이 삽입되고 하우징부(150)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150)에 결합되며, 제 1 래칫(121)을 가압하여 제 1 래칫(121)과 제 2 래칫(122)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켓부(140)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토크 조절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에서 소켓부(140)쪽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핸들부(110)쪽 방향을 후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핸들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소켓부(140)가 회전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핸들부(110)는 제 1 래칫(121)에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어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래칫부(120)의 제 1 래칫(121)은 일측에 핸들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래칫(121)은 핸들부(110)가 삽입되는 핸들 삽입부(미표시)가 상기 전방향쪽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110)는 상기 핸들 삽입부에 소정부분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래칫(1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들 삽입부의 형상은 내부에 삽입되는 핸들부(1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 삽입부에 삽입되는 핸들부(110)의 소정부분은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삽입부는 삽입되는 핸들부(110) 일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래칫(121)은 핸들부(110)의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제 1 래칫(121)은 핸들부(1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 1 래칫(121)은 타측에 소정높이의 단턱이 형성되는 제 1 톱니(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톱니(121a)의 단턱은 상기 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래칫부(120)의 제 2 래칫(122)은 제 1 래칫(121)에 치합될 수 있다. 제 2 래칫(122)은 일측에 제 1 래칫(121)의 제 1 톱니(121a)에 대응되는 제 2 톱니(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톱니(122a)는 상기 후방향을 향하도록 소정높이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래칫(122)은 제 2 톱니(122a)에 의해 제 1 래칫(121)의 제 1 톱니(121a)에 치합됨으로써 제 1 래칫(12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 1 래칫(121)에 의해 제 2 래칫(122)이 회전됨으로써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는 핸들부(11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켓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가 휠너트를 조이는 경우, 래칫(120)은 제 1 톱니(121a)의 경사면이 제 2 톱니(122a)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핸들부(110)에서 발생한 토크를 하기에서 설명할 변속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가 휠너트를 푸는 경우, 래칫(120)은 제 1 톱니(121a)의 단턱이 제 2 톱니(122a)의 단턱에 걸린 상태로 회전되어 핸들부(110)에서 발생한 토크를 하기에서 설명할 변속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래칫(122)은 타면에 제 1 태양기어(122b)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태양기어(122b)는 제 2 래칫(122)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제 2 래칫(12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변속부(130)는 제 1 변속부(131)를 포함한다. 제 1 변속부(131)는 일면에 제 1 태양기어(122b)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성기어(132)가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성기어(132)는 제 1 변속부(131)의 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1 변속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성기어(132)가 제 1 태양기어(122b)에 치합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제 1 변속부(131)는 타면에 제 2 태양기어(1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 태양기어(133)는 제 1 변속부(131)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제 1 변속부(13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변속부(130)는 제 2 변속부(134)를 포함한다. 제 2 변속부(134)는 일면에 제 2 태양기어(133)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성기어(135)가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성기어(135)는 제 2 변속부(134)의 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 2 변속부(134)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성기어(135)가 제 2 태양기어(133)에 치합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150)는 내부에 제 1 유성기어(132) 및 제 2 유성기어(135)를 안내하는 안내기어(15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유성기어(132) 및 제 2 유성기어(135)는 안내기어(151)에 치합되어 회전됨으로써 하우징부(15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1 유성기어(132)가 설치되는 제 1 변속부(131)는 하우징부(150)의 내부에서 제 2 래칫(122)이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 2 유성기어(135)가 설치되는 제 2 변속부(134)는 하우징부(150)의 내부에서 제 1 변속부(131)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변속부(134)는 핸들부(110)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변속부(134)는 타면에 전달축(136)이 설치될 수 있다. 전달축(136)은 제 2 변속부(134)의 타면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제 2 변속부(134)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전달축(136)은 일측에 소켓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110)가 회전됨으로써 발생되는 토크가 소켓부(140)에 전달됨으로써 소켓부(140)에 결합된 휠너트가 풀리거나 조여질 수 있다.
하우징부(150)는 래칫부(120) 및 변속부(130)가 내부에 수용되고, 양측이 개구될 수 있다. 하우징부(150)의 개구되는 양측 중 일측은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개구부(152)가 형성되고 타측은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개구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개구부(152)의 상기 제 1 직경은 제 2 변속부(134)의 전달축(136)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달축(136)의 소정부분은 제 1 개구부(152)를 통해 하우징부(150)의 외부로 돌출되며 소켓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부(150)는 하우징부(1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부(1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54)는 소켓부(140)에 결합되는 휠너트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휠너트에 결합되어 하우징부(15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54)는 하우징부(150)의 외주면에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부(155)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55)는 일측에 가이드홈(155a)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고)
지지부(154)는 제 1 지지부(155)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소켓부(140)에 결합되는 휠너트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휠너트에 결합되는 제 2 지지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지지부(156)는 소정부분이 가이드홈(155a)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56)는 가이드홈(155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지지부(154)는 고정너트(157)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너트(157)는 가이드홈(155a)에 소정부분 삽입된 제 2 지지부(156)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너트(157)는 제 2 지지부(156)의 이동된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토크 조절부(160)는 제 1 래칫(12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워셔부(161)를 포함한다. 워셔부(161)는 제 1 래칫(121)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 1 워셔(161a)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워셔(161a)는 중심에 제 1 래칫(1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워셔(161a)는 내부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워셔(161a)는 상기 전방향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워셔부(161)는 제 1 워셔(161a)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 2 워셔(16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워셔(161b)는 중심에 제 1 래칫(1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워셔(161b)는 내부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워셔(161b)는 상기 후방향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제 1 워셔(161a)의 일면에 제 2 워셔(161b)가 밀착된 워셔부(161)의 단면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토크 조절부(160)는 하우징부(150)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150)에 결합되며 워셔부(161)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워셔부(161)가 제 1 래칫(121)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 조절부(162)를 포함한다.
가압 조절부(162)는 하우징부(150)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는 제 1 가압 조절부(162a)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가압 조절부(162a)는 하우징부(150)의 제 2 개구부(153)를 덮을 수 있다. 제 1 가압 조절부(162a)는 제 2 개구부(153)를 덮으면서 하우징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압 조절부(162a)는 하우징부(150)에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가압 조절부(162a)는 중심에 제 1 래칫(1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압 조절부(162a)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은 제 1 래칫(121)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래칫(121)은 제 1 가압 조절부(162a)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 1 가압 조절부(162a)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 조절부(162)는 제 1 가압 조절부(162a)에 결합되어 제 2 워셔(161b)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조절부(16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가압 조절부(162b)는 중심에 제 1 래칫(1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가압 조절부(162b)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은 제 1 가압 조절부(162a)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보다 작고 제 1 래칫(121)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가압 조절부(162b)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부(162c)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62c)는 상기 전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62c)는 제 1 가압 조절부(161a) 및 제 1 래칫(12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62c)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 1 가압 조절부(162a)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부(162c)는 제 1 가압 조절부(162a)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제 2 가압 조절부(162b)는 결합부(162c)에 의해 제 1 가압 조절부(162a)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압 조절부(162b)는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결합부(162c)가 제 1 가압 조절부(162a)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가압 조절부(162b)는 결합부(162c)를 통해 제 2 워셔(161b)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할 수 있다.
제 2 가압 조절부(162b)가 제 2 워셔(161b)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으로써 제 2 워셔(161b)에 밀착된 제 1 워셔(161a)가 제 1 래칫(12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제 1 래칫(121)과 제 2 래칫(122)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래칫(121)과 제 2 래칫(122)이 제 1 워셔(161a)에 의해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에서 발생되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압 조절부(162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결합부(162c)가 상기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워셔(161b)를 가압하면, 제 1 래칫(121)과 제 2 래칫(122)의 결합력이 13kg.m 크기의 토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10)로부터 16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래칫(121)의 제 1 톱니(121a)가 제 2 래칫(122)의 제 2 톱니(1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제 1 톱니(121a)가 제 2 톱니(1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제 1 톱니(121a)와 제 2 톱니(122a)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래칫(122)이 회전되어 핸들부(110)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소켓부(1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 1 래칫(121)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13kg.m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톱니(121a)는 제 2 톱니(122a)의 단턱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 1 톱니(121a)가 제 2 톱니(122a)의 단턱으로 떨어지게 되면, 제 1 톱니(121a)는 다시 13kg.m를 초과하는 크기의 토크가 전달될 때까지 제 2 톱니(1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즉, 13kg.m를 초과하는 토크는 소켓부(14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핸들부(110)로부터 10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톱니(121a)는 제 2 톱니(122b)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핸들부(11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켓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압 조절부(162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결합부(162c)가 상기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워셔(161b)를 가압하는 힘이 약해지면, 제 1 래칫(121)과 제 2 래칫(122)의 결합력이 9kg.m 크기의 토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110)로부터 15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래칫(121)의 제 1 톱니(121a)가 제 2 래칫(122)의 제 2 톱니(1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제 1 톱니(121a)가 제 2 톱니(1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제 1 톱니(121a)와 제 2 톱니(122a)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래칫(122)이 회전되어 핸들부(110)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소켓부(1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 1 래칫(121)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9kg.m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톱니(121a)는 제 2 톱니(122a)의 단턱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 1 톱니(121a)가 제 2 톱니(122a)의 단턱으로 떨어지게 되면, 제 1 톱니(121a)는 다시 9kg.m를 초과하는 크기의 토크가 전달될 때까지 제 2 톱니(1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즉, 9kg.m를 초과하는 토크는 소켓부(14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핸들부(110)로부터 8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톱니(121a)는 제 2 톱니(122b)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핸들부(11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켓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는 래칫부(120)에 의해 소켓부(140)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된 상태에서 휠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된 상태에서 휠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킴으로써 휠너트와 볼트가 과도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휠너트에 의해 볼트가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조절부(162)는 제 2 가압 조절부(162b)에 설치되어 제 2 가압 조절부(162b)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16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가압 조절부(162b)는 고정부(163)가 설치되는 설치홈(162d)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162d)은 제 1 래칫(121)의 길이방향과 수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압 조절부(162a)는 제 2 가압 조절부(162b)가 접촉되는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62e)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62e)은 상기 전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62e)은 제 2 가압 조절부(162b)의 설치홈(162d)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제 1 가압 조절부(162a)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63)는 설치홈(162d)에 삽입되고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62e)에 삽입되는 볼(163a)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62e)은 볼(163a)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홈(162e)은 볼(163a)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163)는 볼(163a)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설치홈(162d)에 삽입되며 볼(163a)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63b)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63)는 스프링(163b)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설치홈(162d)에 결합되는 덮개(163c)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163c)는 설치홈(162d)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스프링(163b)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덮개(163c)는 설치홈(162d)의 나사산을 따라 상기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프링(163b)을 가압함으로써, 스프링(163b)이 볼(163a)을 가압하는 힘을 강하게 하여 볼(163a)과 고정홈(162e)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가압 조절부(162b)의 회전된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가압 조절부(162b)는 회전된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는 소켓부(140)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210), 핸들부(2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래칫(221)과 제 1 래칫(221)에 치합되어 제 1 래칫(22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래칫(222)을 구비하는 래칫부(220), 제 2 래칫(222)에 결합되어 제 2 래칫(222)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변속부(230), 일측이 변속부(230)에 결합되고 타측이 휠너트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부(240), 래칫부(220) 및 변속부(230)를 수용하며, 양측이 개구되는 하우징부(250) 및 제 1 래칫(221)이 삽입되고 하우징부(250)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250)에 결합되며, 제 1 래칫(221)을 가압하여 제 1 래칫(221)과 제 2 래칫(222)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켓부(240)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토크 조절부(2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에서 소켓부(240)쪽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핸들부(210)쪽 방향을 후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래칫부(220)의 제 1 래칫(221)은 일측에 소정높이의 단턱이 형성되는 제 1 톱니(22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톱니(221a)의 단턱은 상기 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래칫부(220)의 제 2 래칫(222)은 제 1 래칫(221)에 치합될 수 있다. 제 2 래칫(222)은 일측에 제 1 래칫(221)의 제 1 톱니(221a)에 대응되는 제 2 톱니(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톱니(222a)는 상기 후방향을 향하도록 소정높이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래칫(222)은 제 2 톱니(222a)에 의해 제 1 래칫(221)의 제 1 톱니(221a)에 치합됨으로써 제 1 래칫(22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가 휠너트를 조이는 경우, 래칫(220)은 제 1 톱니(221a)의 경사면이 제 2 톱니(222a)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핸들부(210)에서 발생한 토크를 하기에서 설명할 변속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2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가 휠너트를 푸는 경우, 래칫(220)은 제 1 톱니(221a)의 단턱이 제 2 톱니(222a)의 단턱에 걸린 상태로 회전되어 핸들부(210)에서 발생한 토크를 하기에서 설명할 변속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래칫(222)은 타면에 제 1 태양기어(222b)가 설치될 수 있다.
변속부(230)는 일면에 제 1 태양기어(222b)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성기어(232)가 설치되고 타면에 제 2 태양기어(233)가 설치되는 제 1 변속부(231) 및 일면에 제 2 태양기어(233)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성기어(235)가 설치되고 타면에 소켓부(2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축(236)이 형성되는 제 2 변속부(234)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부(250)는 내부에 제 1 유성기어(232) 및 제 2 유성기어(235)를 안내하는 안내기어(25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250)는 양측이 개구될 수 있다. 하우징부(250)의 개구되는 양측 중 일측은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개구부(252)가 형성되고 타측은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개구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250)는 하우징부(2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부(2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254)는 하우징부(250)의 외주면에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가이드홈(255a)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부(255), 제 1 지지부(255)의 가이드홈(255a)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소켓부(240)에 결합되는 휠너트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휠너트에 결합되는 제 2 지지부(256) 및 제 2 지지부(256)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257)를 구비할 수 있다.
토크 조절부(260)는 제 1 래칫(22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워셔부(261)를 포함한다. 워셔부(261)는 제 1 래칫(221)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 1 워셔(261a)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워셔(261a)는 중심에 제 1 래칫(2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워셔(261a)는 내부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워셔(261a)는 상기 전방향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워셔부(261)는 제 1 워셔(261a)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 2 워셔(26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워셔(261b)는 중심에 제 1 래칫(2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워셔(261b)는 내부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워셔(261b)는 상기 후방향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제 1 워셔(261a)와 제 2 워셔(261b)가 밀착된 워셔부(261)의 단면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토크 조절부(260)는 하우징부(250)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250)에 결합되며 워셔부(261)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워셔부(261)가 제 1 래칫(221)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 조절부(26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 조절부(262)는 하우징부(25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우징부(25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 조절부(262)는 중심에 제 1 래칫(2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가압 조절부(26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250)는 가압 조절부(262)가 결합되는 내주면에 가압 조절부(26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 조절부(262)는 하우징부(25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압 조절부(262)는 회전됨으로써 하우징부(250)의 내부에서 상기 전방향 또는 상기 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조절부(262)는 상기 전방향 또는 상기 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2 워셔(261b)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할 수 있다.
가압 조절부(262)가 제 2 워셔(261b)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으로써 제 2 워셔(261b)에 밀착된 제 1 워셔(261a)가 제 1 래칫(22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할 수 있다. 제 1 래칫(221)과 제 2 래칫(222)은 제 1 워셔(261a)에 의해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에서 발생되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조절부(26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워셔(261b)를 가압하면, 제 1 래칫(221)과 제 2 래칫(222)의 결합력이 13kg.m 크기의 토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210)로부터 16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는 제 1 래칫(221)의 제 1 톱니(221a)가 제 2 래칫(222)의 제 2 톱니(2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제 1 톱니(221a)가 제 2 톱니(2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제 1 톱니(221a)와 제 2 톱니(222a)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래칫(222)이 회전되어 핸들부(210)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소켓부(2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 1 래칫(221)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13kg.m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톱니(221a)는 제 2 톱니(222a)의 단턱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 1 톱니(221a)가 제 2 톱니(222a)의 단턱으로 떨어지게 되면, 제 1 톱니(221a)는 다시 13kg.m를 초과하는 크기의 토크가 전달될 때까지 제 2 톱니(2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즉, 13kg.m를 초과하는 토크는 소켓부(24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핸들부(210)로부터 10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톱니(221a)는 제 2 톱니(222b)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핸들부(21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켓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조절부(26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압 조절부(262)가 상기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워셔(261b)를 가압하는 힘이 약해지면, 제 1 래칫(221)과 제 2 래칫(222)의 결합력이 9kg.m 크기의 토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210)로부터 15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래칫(221)의 제 1 톱니(221a)가 제 2 래칫(222)의 제 2 톱니(2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제 1 톱니(221a)가 제 2 톱니(2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제 1 톱니(221a)와 제 2 톱니(222a)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래칫(222)이 회전되어 핸들부(210)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소켓부(2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 1 래칫(221)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9kg.m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톱니(221a)는 제 2 톱니(222a)의 단턱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 1 톱니(221a)가 제 2 톱니(222a)의 단턱으로 떨어지게 되면, 제 1 톱니(221a)는 다시 9kg.m를 초과하는 크기의 토크가 전달될 때까지 제 2 톱니(2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즉, 9kg.m를 초과하는 토크는 소켓부(24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핸들부(210)로부터 8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톱니(221a)는 제 2 톱니(222b)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핸들부(21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켓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는 래칫부(220)에 의해 소켓부(240)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된 상태에서 휠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된 상태에서 휠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킴으로써 휠너트와 볼트가 과도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휠너트에 의해 볼트가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크 조절부(260)는 가압 조절부(262)에 설치되는 손잡이(263)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263)는 소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 조절부(262)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250)는 손잡이가 이동되는 이동홈(25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홈(258)은 상기 전방향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263)가 이동홈(258)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가압 조절부(262)는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250)는 외주면에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에서 출력되는 토크값을 눈금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눈금은 이동홈(258)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263)를 이동홈(258)을 따라 이동시켜 휠너트를 조이고자 하는 토크값에 맞춰 소켓부(240)에 일정한 토크를 공급할 수 있다.
토크 조절부(260)는 손잡이(263)에 설치되어 가압 조절부(262)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64)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나사(264)는 손잡이(26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나사(264)는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우징부(25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가압 조절부(262)가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200)는 가압 조절부(262)의 일면을 덮으며 하우징부(250)에 결합되는 커버(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270)는 가압 조절부(262)의 일면을 덮어 가압 조절부(262)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 200)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고 하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310), 핸들부(3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래칫(321)과 제 1 래칫(321)에 치합되어 제 1 래칫(32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래칫(322)을 구비하는 래칫부(320), 제 2 래칫(322)에 결합되어 제 2 래칫(322)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변속부(330), 일측이 변속부(330)에 결합되고 타측이 휠너트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부(340), 래칫부(320) 및 변속부(330)를 수용하며, 양측이 개구되는 하우징부(350) 및 제 1 래칫(321)이 삽입되고 하우징부(350)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350)에 결합되며, 제 1 래칫(321)을 가압하여 제 1 래칫(321)과 제 2 래칫(322)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켓부(340)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토크 조절부(3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에서 소켓부(340)쪽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핸들부(310)쪽 방향을 후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래칫부(320)의 제 1 래칫(321)은 일측에 소정높이의 단턱이 형성되는 제 1 톱니(32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톱니(321a)의 단턱은 상기 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래칫부(320)의 제 2 래칫(322)은 제 1 래칫(321)에 치합될 수 있다. 제 2 래칫(322)은 일측에 제 1 래칫(321)의 제 1 톱니(321a)에 대응되는 제 2 톱니(3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톱니(322a)는 상기 후방향을 향하도록 소정높이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래칫(322)은 제 2 톱니(322a)에 의해 제 1 래칫(321)의 제 1 톱니(321a)에 치합됨으로써 제 1 래칫(32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3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가 휠너트를 조이는 경우, 래칫(320)은 제 1 톱니(321a)의 경사면이 제 2 톱니(322a)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핸들부(310)에서 발생한 토크를 하기에서 설명할 변속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3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가 휠너트를 푸는 경우, 래칫(320)은 제 1 톱니(321a)의 단턱이 제 2 톱니(322a)의 단턱에 걸린 상태로 회전되어 핸들부(310)에서 발생한 토크를 하기에서 설명할 변속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래칫(322)은 타면에 제 1 태양기어(322b)가 설치될 수 있다.
변속부(330)는 일면에 제 1 태양기어(322b)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성기어(332)가 설치되고 타면에 제 2 태양기어(333)가 설치되는 제 1 변속부(331) 및 일면에 제 2 태양기어(333)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성기어(335)가 설치되고 타면에 소켓부(3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축(336)이 형성되는 제 2 변속부(334)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부(350)는 내부에 제 1 유성기어(332) 및 제 2 유성기어(335)를 안내하는 안내기어(35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350)는 양측이 개구될 수 있다. 하우징부(350)의 개구되는 양측 중 일측은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개구부(352)가 형성되고 타측은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개구부(3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350)는 하우징부(3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부(3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354)는 하우징부(350)의 외주면에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가이드홈(355a)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부(355), 제 1 지지부(355)의 가이드홈(355a)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소켓부(340)에 결합되는 휠너트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휠너트에 결합되는 제 2 지지부(356) 및 제 2 지지부(356)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357)를 구비할 수 있다.
토크 조절부(360)는 제 1 래칫(32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워셔부(361)를 포함한다. 워셔부(361)는 제 1 래칫(321)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 1 워셔(361a)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워셔(361a)는 중심에 제 1 래칫(3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워셔(361a)는 내부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워셔(361a)는 상기 전방향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워셔부(361)는 제 1 워셔(361a)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 2 워셔(36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워셔(361b)는 중심에 제 1 래칫(3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워셔(361b)는 내부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워셔(361b)는 상기 후방향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제 1 워셔(361a)와 제 2 워셔(361b)가 밀착된 워셔부(361)의 단면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토크 조절부(360)는 하우징부(350)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350)에 결합되며 워셔부(361)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워셔부(361)가 제 1 래칫(221)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 조절부(36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압 조절부(362)는 하우징부(35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우징부(35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 조절부(362)는 중심에 제 1 래칫(3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가압 조절부(36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350)는 가압 조절부(362)가 결합되는 내주면에 가압 조절부(36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 조절부(362)는 하우징부(35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압 조절부(362)는 회전됨으로써 하우징부(350)의 내부에서 상기 전방향 또는 상기 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조절부(362)는 상기 전방향 또는 상기 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2 워셔(361b)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할 수 있다.
가압 조절부(362)가 제 2 워셔(361b)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으로써 제 2 워셔(361b)에 밀착된 제 1 워셔(361a)가 제 1 래칫(32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할 수 있다. 제 1 래칫(321)과 제 2 래칫(322)은 제 1 워셔(361a)에 의해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에서 발생되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조절부(36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워셔(361b)를 가압하면, 제 1 래칫(321)과 제 2 래칫(322)의 결합력이 13kg.m 크기의 토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310)로부터 16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는 제 1 래칫(321)의 제 1 톱니(321a)가 제 2 래칫(322)의 제 2 톱니(3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제 1 톱니(321a)가 제 2 톱니(3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제 1 톱니(321a)와 제 2 톱니(322a)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래칫(322)이 회전되어 핸들부(310)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소켓부(3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 1 래칫(321)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13kg.m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톱니(321a)는 제 2 톱니(322a)의 단턱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 1 톱니(321a)가 제 2 톱니(322a)의 단턱으로 떨어지게 되면, 제 1 톱니(321a)는 다시 13kg.m 크기의 토크가 전달될 때까지 제 2 톱니(3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즉, 13kg.m를 초과하는 토크는 소켓부(34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핸들부(310)로부터 10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톱니(321a)는 제 2 톱니(322b)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핸들부(21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켓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조절부(36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워셔(361b)를 가압하는 힘이 약해지면, 제 1 래칫(321)과 제 2 래칫(322)의 결합력이 9kg.m 크기의 토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310)로부터 15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래칫(321)의 제 1 톱니(321a)가 제 2 래칫(322)의 제 2 톱니(3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제 1 톱니(321a)가 제 2 톱니(3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제 1 톱니(321a)와 제 2 톱니(322a)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래칫(322)이 회전되어 핸들부(310)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소켓부(3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 1 래칫(321)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9kg.m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톱니(321a)는 제 2 톱니(322a)의 단턱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 1 톱니(321a)가 제 2 톱니(322a)의 단턱으로 떨어지게 되면, 제 1 톱니(321a)는 다시 9kg.m 크기의 토크가 전달될 때까지 제 2 톱니(3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즉, 9kg.m를 초과하는 토크는 소켓부(34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핸들부(310)로부터 8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톱니(321a)는 제 2 톱니(322b)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핸들부(31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켓부(34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는 래칫부(320)에 의해 소켓부(340)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된 상태에서 휠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된 상태에서 휠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킴으로써 휠너트와 볼트가 과도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휠너트에 의해 볼트가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크 조절부(360)는 가압 조절부(362)에 설치되는 손잡이(363)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363)는 제 1 래칫(321)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가압 조절부(36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는 가압 조절부(362)의 일면을 덮으며 하우징부(350)에 결합되는 커버(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70)는 일측에 손잡이(363)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손잡이 삽입홈(미표시)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63)가 상기 손잡이 삽입홈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가압 조절부(362)는 회전될 수 있다.
토크 조절부(360)는 손잡이(363)에 설치되어 가압 조절부(362)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364)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나사(364)는 손잡이(36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나사(364)는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커버(37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가압 조절부(362)가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는 가압 조절부(362)와 커버(370)의 사이에 배치되며 손잡이(363)에 결합되는 지시부(3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시부(365)는 하우징부(350)의 외주면에 표시된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300)에서 출력되는 토크값에 해당하는 눈금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363)를 상기 손잡이 삽입홈을 따라 이동시켜 휠너트를 조이고자 하는 토크값에 맞춰 소켓부(340)에 일정한 토크를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400)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100, 200, 300)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고 하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4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410), 핸들부(4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래칫(421)과 제 1 래칫(421)에 치합되어 제 1 래칫(421)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래칫(422)을 구비하는 래칫부(420), 제 2 래칫(422)에 결합되어 제 2 래칫(422)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변속부(430), 일측이 변속부(430)에 결합되고 타측이 휠너트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부(440), 래칫부(420) 및 변속부(430)를 수용하며, 양측이 개구되는 하우징부(450) 및 제 1 래칫(421)이 삽입되고 하우징부(450)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450)에 결합되며, 제 1 래칫(421)을 가압하여 제 1 래칫(421)과 제 2 래칫(422)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소켓부(440)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토크 조절부(46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400)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에서 소켓부(440)쪽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핸들부(410)쪽 방향을 후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래칫부(420)의 제 1 래칫(421)은 일측에 소정높이의 단턱이 형성되는 제 1 톱니(42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톱니(421a)의 단턱은 상기 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래칫부(420)의 제 2 래칫(422)은 제 1 래칫(421)에 치합될 수 있다. 제 2 래칫(422)은 일측에 제 1 래칫(421)의 제 1 톱니(421a)에 대응되는 제 2 톱니(4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톱니(422a)는 상기 후방향을 향하도록 소정높이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래칫(422)은 제 2 톱니(422a)에 의해 제 1 래칫(421)의 제 1 톱니(421a)에 치합됨으로써 제 1 래칫(42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4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400)가 휠너트를 조이는 경우, 래칫(420)은 제 1 톱니(421a)의 경사면이 제 2 톱니(422a)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핸들부(410)에서 발생한 토크를 하기에서 설명할 변속부(4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4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400)가 휠너트를 푸는 경우, 래칫(420)은 제 1 톱니(421a)의 단턱이 제 2 톱니(422a)의 단턱에 걸린 상태로 회전되어 핸들부(410)에서 발생한 토크를 하기에서 설명할 변속부(4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래칫(422)은 타면에 제 1 태양기어(422b)가 설치될 수 있다.
변속부(430)는 일면에 제 1 태양기어(422b)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성기어(432)가 설치되고 타면에 제 2 태양기어(433)가 설치되는 제 1 변속부(431) 및 일면에 제 2 태양기어(433)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성기어(435)가 설치되고 타면에 소켓부(4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축(436)이 형성되는 제 2 변속부(434)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부(450)는 내부에 제 1 유성기어(432) 및 제 2 유성기어(435)를 안내하는 안내기어(45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450)는 양측이 개구될 수 있다. 하우징부(450)의 개구되는 양측 중 일측은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개구부(452)가 형성되고 타측은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개구부(4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직경은 상기 제 1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450)는 하우징부(4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부(4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454)는 하우징부(450)의 외주면에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측에 가이드홈(455a)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부(455), 제 1 지지부(455)의 가이드홈(455a)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소켓부(440)에 결합되는 휠너트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휠너트에 결합되는 제 2 지지부(456) 및 제 2 지지부(456)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457)를 구비할 수 있다.
토크 조절부(460)는 제 1 래칫(42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워셔부(461)를 포함한다. 워셔부(461)는 제 1 래칫(421)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 1 워셔(461a)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워셔(461a)는 중심에 제 1 래칫(421)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워셔(461a)는 내부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워셔(461a)는 상기 전방향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워셔부(461)는 제 1 워셔(461a)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 2 워셔(46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워셔(461b)는 중심에 제 1 래칫(461a)이 삽입되는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워셔(461b)는 내부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워셔(461b)는 상기 후방향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제 1 워셔(461a)와 제 2 워셔(461b)가 밀착된 워셔부(461)의 단면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토크 조절부(460)는 하우징부(450)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하우징부(450)에 결합되어 워셔부(461)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워셔부(461)가 제 1 래칫(421)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압 조절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조절부(462)는 하우징부(450)의 제 2 개구부(453)를 덮도록 하우징부(450)에 설치되는 제 1 가압 조절부(462a)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가압 조절부(462a)는 설치홈(462b)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설치홈(462b)은 제 1 래칫(421)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압 조절부(462)는 제 1 가압 조절부(462a)의 설치홈(462b)에 설치되어 제 2 워셔(461b)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조절부(462c)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가압 조절부(462c)는 제 1 가압 조절부(462a)에 나사결합되어 제 1 가압 조절부(462a)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 2 가압 조절부(462c)는 제 1 가압 조절부(462a)의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제 2 워셔(461b)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할 수 있다.
제 2 가압 조절부(462c)가 제 2 워셔(461b)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으로써 제 2 워셔(461b)에 밀착된 제 1 워셔(461a)가 제 1 래칫(421)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래칫(421)과 제 2 래칫(422)은 제 1 워셔(461a)에 의해 결합되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400)에서 발생되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가압 조절부(462c)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워셔(461b)를 가압하면, 제 1 래칫(421)과 제 2 래칫(422)의 결합력이 13kg.m 크기의 토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410)로부터 16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는 제 1 래칫(421)의 제 1 톱니(421a)가 제 2 래칫(422)의 제 2 톱니(4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제 1 톱니(421a)가 제 2 톱니(4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제 1 톱니(421a)와 제 2 톱니(422a)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래칫(422)이 회전되어 핸들부(410)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소켓부(4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 1 래칫(421)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13kg.m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톱니(421a)는 제 2 톱니(422a)의 단턱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 1 톱니(421a)가 제 2 톱니(422a)의 단턱으로 떨어지게 되면, 제 1 톱니(421a)는 다시 13kg.m를 초과하는 크기의 토크가 전달될 때까지 제 2 톱니(4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즉, 13kg.m를 초과하는 토크는 소켓부(44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핸들부(410)로부터 10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톱니(421a)는 제 2 톱니(422b)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핸들부(41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켓부(44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압 조절부(462c)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2 워셔(461b)를 가압하는 힘이 약해지면, 제 1 래칫(421)과 제 2 래칫(422)의 결합력이 9kg.m 크기의 토크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210)로부터 15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래칫(421)의 제 1 톱니(421a)가 제 2 래칫(422)의 제 2 톱니(4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제 1 톱니(421a)가 제 2 톱니(4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제 1 톱니(421a)와 제 2 톱니(422a)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 2 래칫(422)이 회전되어 핸들부(410)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소켓부(440)에 전달될 수 있다.
제 1 래칫(421)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9kg.m를 초과하게 되면, 제 1 톱니(421a)는 제 2 톱니(422a)의 단턱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 1 톱니(421a)가 제 2 톱니(422a)의 단턱으로 떨어지게 되면, 제 1 톱니(421a)는 다시 9kg.m를 초과하는 크기의 토크가 전달될 때까지 제 2 톱니(422a)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될 수 있다. 즉, 9kg.m를 초과하는 토크는 소켓부(44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핸들부(410)로부터 8kg.m 크기의 토크가 발생되면, 제 1 톱니(421a)는 제 2 톱니(422b)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회전되어 핸들부(41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소켓부(44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400)는 래칫부(420)에 의해 소켓부(440)에 전달되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된 상태에서 휠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400)는 토크의 크기가 제한된 상태에서 휠너트를 볼트에 결합시킴으로써 휠너트와 볼트가 과도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휠너트에 의해 볼트가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크 조절부(460)는 손잡이(463)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463)는 제 2 가압 조절부(462c)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463)는 제 2 가압 조절부(462c)의 일단에 고정됨으로써 제 2 가압 조절부(462c)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손잡이(463)가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면, 손잡이(463)가 결합된 제 2 가압 조절부(462c)도 손잡이(463)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가압 조절부(462c)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110: 핸들부
120: 래칫부
130: 변속부
140: 소켓부
150: 하우징부
160: 토크 조절부
110: 핸들부
120: 래칫부
130: 변속부
140: 소켓부
150: 하우징부
160: 토크 조절부
Claims (25)
-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래칫과 상기 제 1 래칫에 치합되어 상기 제 1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래칫을 구비하는 래칫부와,
상기 제 2 래칫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래칫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변화시키는 변속부와,
일측이 상기 변속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휠너트에 결합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휠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소켓부와,
상기 래칫부 및 상기 변속부를 수용하며, 양측이 개구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래칫과 상기 제 2 래칫이 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소켓부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는 토크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조절부는,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래칫의 일면에 밀착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 1 워셔 및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제 1 워셔에 밀착되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제 2 워셔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는 워셔부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개구된 일부분을 덮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제 1 가압 조절부와, 상기 제 1 래칫이 삽입되며 상기 제 1 가압 조절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2 워셔의 일면에 밀착되어 일측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2 워셔를 가압하는 제 2 가압 조절부 및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압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는,
상기 제 2 워셔를 향하여 돌출되며, 돌출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가압 조절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2 워셔를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상기 제 2 워셔를 압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를 회전시켜 상기 결합부의 돌출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워셔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함으로써 상기 워셔부가 상기 제 1 래칫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가압 조절부는 상기 제 2 가압 조절부가 접촉되는 표면에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며, 일부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볼을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설치홈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덮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칫은 일면에 제 1 태양기어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부는,
일면에 상기 제 1 태양기어에 치합되는 제 1 유성기어가 설치되고 타면에 제 2 태양기어가 설치되는 제 1 변속부와,
일면에 상기 제 2 태양기어에 치합되는 제 2 유성기어가 설치되고 타면에 상기 소켓부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축이 형성되는 제 2 변속부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 1 유성기어 및 상기 제 2 유성기어를 안내하는 안내기어가 내부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소켓부에 결합되는 휠너트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휠너트에 결합되는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너트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6571A KR101251611B1 (ko) | 2012-05-02 | 2012-05-02 |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EP12181747.2A EP2660008A1 (en) | 2012-05-02 | 2012-08-24 | Torque control wrench assembly for a vehicle |
US13/595,330 US9095960B2 (en) | 2012-05-02 | 2012-08-27 | Torque control wrench assembly for a vehicle |
CN2012103139197A CN103381582A (zh) | 2012-05-02 | 2012-08-29 | 汽车扭矩调节扳手组件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6571A KR101251611B1 (ko) | 2012-05-02 | 2012-05-02 |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1103A Division KR101317394B1 (ko) | 2012-11-19 | 2012-11-19 |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KR1020120131101A Division KR101317392B1 (ko) | 2012-11-19 | 2012-11-19 |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1611B1 true KR101251611B1 (ko) | 2013-04-08 |
Family
ID=4693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6571A KR101251611B1 (ko) | 2012-05-02 | 2012-05-02 |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095960B2 (ko) |
EP (1) | EP2660008A1 (ko) |
KR (1) | KR101251611B1 (ko) |
CN (1) | CN103381582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50299A (zh) * | 2017-07-17 | 2017-09-12 | 苏州高新有轨电车有限公司 | 一种组合式扳手 |
CN113941970A (zh) * | 2021-11-11 | 2022-01-18 | 福建省晋江风电开发有限公司 | 一种双头扳手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76468A1 (en) * | 2013-04-24 | 2014-10-30 | HYTORC Division Unex Corporation | Apparatus for tightening threaded fasteners |
FR3016820B1 (fr) * | 2014-01-30 | 2016-09-02 | Airbus Operations Gmbh | Outil de serrage/desserrage pour un element de visserie |
JP2015168020A (ja) * | 2014-03-06 | 2015-09-28 | 株式会社ユタニ | 反力受け装置 |
US10184850B2 (en) * | 2015-02-11 | 2019-01-22 | Raymond Quigley | Torque wrench assembly |
US9969067B2 (en) | 2015-02-17 | 2018-05-15 | Snap-On Incorporated |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remote wrench |
GB2535647B (en) * | 2015-02-17 | 2017-09-13 | Snap On Incorporated | Methods and systems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remote wrench |
TWM520962U (zh) * | 2016-01-11 | 2016-05-01 | Torque Tech Prec Co Ltd | 倍力裝置 |
TWI600502B (zh) * | 2016-04-29 | 2017-10-01 | 優鋼機械股份有限公司 | 扭力套筒結構 |
CN105856964A (zh) * | 2016-06-19 | 2016-08-17 | 刘瑞 | 一种汽车轮胎用电动扳手 |
US10427276B2 (en) * | 2017-03-24 | 2019-10-01 | Tym Labs L.L.C. | Torque multiplier module |
US11267110B2 (en) | 2017-08-02 | 2022-03-08 | Tym Labs L.L.C. | Zero distance tool |
TWI708663B (zh) * | 2020-02-13 | 2020-11-01 | 和嘉興精密股份有限公司 | 扭力結構 |
TWI710434B (zh) * | 2020-02-21 | 2020-11-21 | 和嘉興精密股份有限公司 | 扭力結構 |
TWI715476B (zh) * | 2020-03-26 | 2021-01-01 | 和嘉興精密股份有限公司 | 扭力結構 |
CN112571354A (zh) * | 2020-12-09 | 2021-03-30 |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 一种行星齿轮伸缩式车轮螺栓拆卸安装工具 |
CN113927528B (zh) * | 2021-10-22 | 2023-03-17 |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 一种带角度控制的扭力倍增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3297U (ko) * | 1998-07-22 | 2000-02-15 | 하용수 | 렌치 |
KR100798265B1 (ko) * | 2006-10-26 | 2008-01-24 | 하용수 | 렌치 |
KR20110116517A (ko) * | 2010-04-19 | 2011-10-26 | (주)세원피엠텍 | 왼나사 및 오른나사 겸용 토크 제어용 렌치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33622A (en) * | 1956-02-07 | evans | ||
US2764882A (en) * | 1953-09-30 | 1956-10-02 | Merril R Bosworth | Tool adapter |
US3287935A (en) * | 1964-06-10 | 1966-11-29 | C Schachenmann & Co Dr | Friction clutch |
DE3237325A1 (de) * | 1982-10-08 | 1984-04-12 | Mierbach, Hans B., 5300 Bonn | Getriebe- kraftschluessel mit ueberlastsicherung |
DE8628337U1 (de) * | 1986-10-24 | 1986-12-04 | Albrecht, Jürgen, 6800 Mannheim | Radmutterlöser für Pkw |
DE3918227C1 (ko) * | 1989-06-03 | 1990-11-15 | C. & E. Fein Gmbh & Co, 7000 Stuttgart, De | |
US5129293A (en) * | 1991-06-10 | 1992-07-14 | Precision Instruments, Inc. | Torque control mechanism for wrenches and the like |
EP0929380A1 (de) * | 1996-10-02 | 1999-07-21 | Thomas Beyert | Drehmomentverstärkender schrauber |
DE29618817U1 (de) * | 1996-10-02 | 1996-12-19 | Wagner, Paul-Heinz, 53804 Much | Drehmomentverstärkender Schrauber |
KR100265223B1 (ko) | 1998-06-27 | 2000-09-15 | 박성욱 | 완력기 |
US7490535B2 (en) * | 2006-10-26 | 2009-02-17 | Yong Su HA | Wrench |
-
2012
- 2012-05-02 KR KR1020120046571A patent/KR10125161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8-24 EP EP12181747.2A patent/EP266000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2-08-27 US US13/595,330 patent/US909596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8-29 CN CN2012103139197A patent/CN10338158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3297U (ko) * | 1998-07-22 | 2000-02-15 | 하용수 | 렌치 |
KR100798265B1 (ko) * | 2006-10-26 | 2008-01-24 | 하용수 | 렌치 |
KR20110116517A (ko) * | 2010-04-19 | 2011-10-26 | (주)세원피엠텍 | 왼나사 및 오른나사 겸용 토크 제어용 렌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50299A (zh) * | 2017-07-17 | 2017-09-12 | 苏州高新有轨电车有限公司 | 一种组合式扳手 |
CN113941970A (zh) * | 2021-11-11 | 2022-01-18 | 福建省晋江风电开发有限公司 | 一种双头扳手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095960B2 (en) | 2015-08-04 |
US20130291693A1 (en) | 2013-11-07 |
CN103381582A (zh) | 2013-11-06 |
EP2660008A1 (en) | 2013-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1611B1 (ko) |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
KR101165343B1 (ko) | 왼나사 및 오른나사 겸용 토크 제어용 렌치 | |
US7150212B2 (en) | Torque screwdriver | |
US5746298A (en) | Adjustable torque-limiting mini screwdriver | |
US9421675B2 (en) | Adjustable torque screwdriver | |
US20130152746A1 (en) | Torque limiting ratchet device | |
ES2305672T3 (es) | Union articulada y mecanismo de liberacion/bloqueo para la misma. | |
KR101317392B1 (ko) |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
US7306050B2 (en) | Toothed ring connecting structure of a power tool | |
EP2366499B1 (en) | Wrench for delivering maximum fixed or adjustable torque | |
US7997168B2 (en) | Adjustable ratchet wrench | |
US20190366580A1 (en) | Chain saw | |
US20210339421A1 (en) | Chain saw | |
KR101317394B1 (ko) | 자동차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
US20040089108A1 (en) | Wrench having a locking device with a smaller driving angle | |
KR101617331B1 (ko) | 자전거용 토크 조절 렌치 어셈블리 | |
US7281459B2 (en) | Torque regulating assembly | |
CN111300328B (zh) | 扭力调整装置 | |
US2841909A (en) | Constant torque-type stress appliance for firearm barrels | |
CA2599722C (en) | Adjustable ratchet wrench | |
KR20100029555A (ko) | 에어 툴 배력 장치 | |
CN218639510U (zh) | 一种变速螺丝刀 | |
JP2024031700A (ja) | トルクドライバー | |
KR101463456B1 (ko) | 자동차용 토크 렌치 | |
JP2001501136A (ja) | トルク増幅レン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