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555A - 에어 툴 배력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툴 배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555A
KR20100029555A KR1020080088379A KR20080088379A KR20100029555A KR 20100029555 A KR20100029555 A KR 20100029555A KR 1020080088379 A KR1020080088379 A KR 1020080088379A KR 20080088379 A KR20080088379 A KR 20080088379A KR 20100029555 A KR20100029555 A KR 2010002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put gear
air tool
output gear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양테크
Priority to KR102008008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9555A/ko
Publication of KR2010002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with means for imparting impact to screwdriver blade or nut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툴 배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 툴의 용량을 벗어난 체결력(토크)이 필요한 경우 에어 툴의 회전축에 간단하게 장착되는 구조이고, 잇수가 다른 헬리컬 기어가 치합된 배력 구조에 의해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에어 툴 배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툴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이 회전 중심에 형성된 입력기어; 상기 입력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고, 입력기어보다 많은 잇수를 가지며, 회전중심에 소켓에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출력기어; 상기 입력기어와 출력기어가 치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툴 배력 장치가 제공된다.
에어 툴, 배력장치, 입력기어, 출력기어, 토크

Description

에어 툴 배력 장치{Apparatus of increasing torque for air tools}
본 발명은 에어 툴 배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 툴의 용량을 벗어난 체결력(토크)이 필요한 경우 에어 툴의 회전축에 간단하게 장착되는 구조이고, 잇수가 다른 헬리컬 기어가 치합된 배력 구조에 의해 체결력을 증대시키는 에어 툴 배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2007-0106471호, 2007.11.01
[문헌 2] 한국 특허등록 제0415980호, 2004.01.09
에어 툴은 압축 공기의 송출에 의해 회전력을 얻는 기구로서 각종 너트나 볼트 등의 체결용 하드웨어류를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서, 에어 툴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종 크기의 볼트 또는 너트와 결합되는 소켓이 장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어 툴은 그 회전력이 결정된 상태로 사용된다. 따라서 결정된 용량 이상의 체결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큰 용량의 에어 툴을 사용하여야 했다.
따라서 종래에는 [문헌 1]이나 [문헌 2]와 같이 큰 용량의 토크를 발휘할 수 있도록 본체 내부를 개선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 툴이 가지는 토크의 크기에 상관없이, 그 한계를 넘어선 체결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그 에어 툴을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내부 구조적으로 배력을 시킨 구조가 있어도 그 한계 이상의 체결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큰 용랭의 에어 툴을 따라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에어 툴을 구비하여 용량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불편함은 물론이고, 다수의 에어 툴을 구비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과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에어 툴의 구비가 필요없이, 어느 하나의 에어 툴이 있다면, 그보다 더 큰 토크를 간단하게 그 에어 툴을 이용하여 발생시키도록 하는 배력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에어 툴에라도 장착만 하면 그 에어 툴의 본래의 용량보다 더 큰 토크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배력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력장치는 에어 툴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헬리컬 기어의 치합에 의해 출력되는 힘이 원래의 에어 툴의 토크보다 커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 에어 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어떠한 용량의 에어 툴에도 장착하기만 하면 본래의 에어 툴 토크보다 더 큰 토크가 발휘됨으로써, 에어 툴 자체의 본래 토크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큰 체결력을 요하는 상황에서 간단한 장착만으로 토크를 증대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력장치는 기어의 잇수 비에 의해 배력하는 것으로서, 에어 툴(50)의 회전축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구조이고, 에어 툴(50)로부터 힘을 입력받아 출력할 때 배력되는 구조이며, 출력기어의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실시예를 가진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기어에 소켓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구조로서, 에어 툴(50)의 회전축(1)이 삽입되어 체결 되는 체결공(2a)이 회전 중심에 형성된 입력기어(3); 상기 입력기어(3)에 치합되어 회전되고, 입력기어(3)보다 많은 잇수를 가지며, 회전중심에 소켓(60)에 체결되는 체결돌기(4)가 형성된 출력기어(5); 상기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가 치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된 본체(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기어에 바로 하드웨어를 체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도 되는 장점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출력기어에 체결공이 뚫린 구조이다. 즉, 에어 툴(50)의 회전축(1)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2a)이 회전 중심에 형성된 입력기어(3); 상기 입력기어(3)에 치합되어 회전되고, 입력기어(3)보다 많은 잇수를 가지며, 회전중심에 체결공(2b)이 형성된 출력기어(5); 상기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가 치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된 본체(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는 헬리컬기어로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치합될 때의 접촉면적이 평기어보다 크기 때문에 힘의 전달에 있어 유리하기 떼문이다.
그리고 상기 입력기어(3)의 회전 중심의 본체(6) 외부에 돌기홈(7)이 다수 개 형성된 스토퍼홈(8)이 뚫린 스토퍼(9a)가 설치되어; 에어 툴(50)에 설치되고, 외측으로 고정돌기(10)가 형성된 스토퍼(9b)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에어 툴(50)의 회전축(1)이 회전되더라도 에어 툴(50) 본체는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필요성이 있고, 이에 의해 배력장치 또한 회전되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에어 툴(50)의 스토퍼(9b)와 배력장치의 스토퍼(9a)를 체결하면 에어 툴(50)과 배력장치의 본체(6)는 움직이지 않고, 회전축(1)과 입력기어(3) 및 출력기어(5)만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의 사이에 아이들기어(11)가 설치되어,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향의 통일은 에어 툴(50)의 정역 방향 조절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토크 센서(70)를 출력기어(5)에 설치하여 체결시의 정밀한 토크관리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은 에어 툴(50)의 용량보다 큰 토크로 볼트나 너트 등을 체결할 수 있게 되어, 더 큰 용량의 에어 툴(50)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체결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을 입력기어(3)의 체결공(2a)에 삽입하면 된다.회전축(1)과 체결공(2a)은 다각형의 단면으로 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에어 툴(50)에 스토퍼(9b)가 설치된 경우에는 본체(6)에 스토퍼(9a)를 설치하여 서로 체결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 후 에어 툴(50)을 작동시키면, 에어 툴(50)과 본체(6)는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여 움직이지 않지만, 회전축(1)의 회전력이 입력기어(3), 아이들기어(11), 출력기어(5)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스토퍼(9b)의 고정돌기(10)가 스토퍼(9a)의 돌기홈(7)에 체결되어 결합되기 때문이다.
회전축(1)은 입력기어(3)의 체결공(2a)에 체결되어 힘이 전달되는 구조이고, 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이므로 헛돌지 않게 된다.
입력기어(3)가 회전되면, 출력기어(5)가 회전된다. 아이들기어(11)가 없는 경우에는 회전축(1)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출력기어(5)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1)의 회전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하여서는 아이들기어(11)를 본체(6)에 설치하면 된다.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의 잇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즉, 감속기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회전속도는 작아지나 토크는 커지게 된다.
출력기어(5)는 도 2와 도 5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2의 경우는 다양한 크기의 소켓(6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도 5의 경우는 공간이 좁은 곳에서 소켓(60)의 사용 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정교한 토크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토크 센서(70)를 출력기어(5)에 설치하고, 이로부터 검출된 토크를 확인하는 디스플레이(80) 및 제어를 위한 컴퓨터 등의 제어장치(90)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수직 단면도
도 6은 토크 센서를 장착한 상태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축 2a, 2b : 체결공
3 : 입력기어 4 : 체결돌기
5 : 출력기어 6 : 본체
7 : 돌기홈 8 : 스토퍼홈
9a, 9b : 스토퍼 10 : 고정돌기
11 : 아이들기어 50 : 에어 툴
60 : 소켓 70 : 토크 센서
80 : 디스플레이 90 : 제어장치

Claims (5)

  1. 에어 툴(50)의 회전축(1)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2a)이 회전 중심에 형성된 입력기어(3); 상기 입력기어(3)에 치합되어 회전되고, 입력기어(3)보다 많은 잇수를 가지며, 회전중심에 소켓(60)에 체결되는 체결돌기(4)가 형성된 출력기어(5); 상기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가 치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된 본체(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툴 배력 장치.
  2. 에어 툴(50)의 회전축(1)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2a)이 회전 중심에 형성된 입력기어(3); 상기 입력기어(3)에 치합되어 회전되고, 입력기어(3)보다 많은 잇수를 가지며, 회전중심에 체결공(2b)이 형성된 출력기어(5); 상기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가 치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된 본체(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툴 배력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는 헬리컬기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툴 배력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어(3)의 회전 중심의 본체(6) 외부에 돌기홈(7)이 다수 개 형성된 스토퍼홈(8)이 뚫린 스토퍼(9a)가 설치되어; 에어 툴(50)에 설치되고, 외측으로 고정돌기(10)가 형성된 스토퍼(9b)와 결합됨을 특 징으로 하는 에어 툴 배력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의 사이에 아이들기어(11)가 설치되어, 입력기어(3)와 출력기어(5)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툴 배력 장치.
KR1020080088379A 2008-09-08 2008-09-08 에어 툴 배력 장치 KR20100029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79A KR20100029555A (ko) 2008-09-08 2008-09-08 에어 툴 배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79A KR20100029555A (ko) 2008-09-08 2008-09-08 에어 툴 배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555A true KR20100029555A (ko) 2010-03-17

Family

ID=4217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379A KR20100029555A (ko) 2008-09-08 2008-09-08 에어 툴 배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95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4923A (zh) * 2014-07-08 2014-10-08 河北科技大学 一种用于钢筋螺纹连接的套筒电动扳手
CN104227397A (zh) * 2014-09-22 2014-12-24 苏州优备精密电子有限公司 可用于偏僻窄小部位的自动锁螺丝机构
CN108436818A (zh) * 2018-03-15 2018-08-24 王小玲 一种车辆机械螺栓拆装装置
CN110802554A (zh) * 2019-11-16 2020-02-18 徐州欧百瑞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边角螺栓拆卸转换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4923A (zh) * 2014-07-08 2014-10-08 河北科技大学 一种用于钢筋螺纹连接的套筒电动扳手
CN104227397A (zh) * 2014-09-22 2014-12-24 苏州优备精密电子有限公司 可用于偏僻窄小部位的自动锁螺丝机构
CN108436818A (zh) * 2018-03-15 2018-08-24 王小玲 一种车辆机械螺栓拆装装置
CN108436818B (zh) * 2018-03-15 2019-08-30 唐山龙泉机械有限公司 一种车辆机械螺栓拆装装置
CN110802554A (zh) * 2019-11-16 2020-02-18 徐州欧百瑞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边角螺栓拆卸转换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9856B2 (ja) 補助ハンドル付き回転駆動の手工具
JP6660912B2 (ja) 貫通型電動式ラチェットレンチ
JP2007296630A (ja) トルク増強装置
US5582079A (en) Bolt tightening device
JP2000006056A (ja) 電動工具
US20130167691A1 (en) Drywall screwdriver
US20110198102A1 (en) Attachment for a Portable Power Tool
JPS63114885A (ja) 電気式の手持ち工具
TWI657898B (zh) 電動套筒扳手
KR20100029555A (ko) 에어 툴 배력 장치
US10525571B2 (en) Screwdriver and ratchet mechanism thereof
CN211466177U (zh) 一种开口扳手
JP5363965B2 (ja) ねじ部品締緩装置
CN108687708B (zh) 冲击工具
CN104339296B (zh) 棘轮螺丝批
JP2003200360A (ja) スクリュードライバ装置
US8991285B2 (en) Double action internally geared rotary tool
JP6863813B2 (ja) 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締付工具
CN210436041U (zh) 适用于窄小空间的螺丝刀
US9555534B2 (en) Rotary screw driving tool without reactionary force in the handle
TWI626125B (zh) Impact tool
CN108555809A (zh) 管内螺栓螺母拆装辅助杆
CN214643203U (zh) 一种用于有限作业空间可直角换向的内六角扳手
GB2146563A (en) Drive reversing device
CN215433441U (zh) 一种电动棘轮开口扳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