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741B1 - 흡탈착 장치 및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흡탈착 장치 및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741B1
KR101250741B1 KR1020110005409A KR20110005409A KR101250741B1 KR 101250741 B1 KR101250741 B1 KR 101250741B1 KR 1020110005409 A KR1020110005409 A KR 1020110005409A KR 20110005409 A KR20110005409 A KR 20110005409A KR 101250741 B1 KR101250741 B1 KR 10125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sorption
adsorption
temperature differen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813A (ko
Inventor
다다히코 마츠바
료우타 다자이
요시타카 다카쿠라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0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질의 흡탈착을 행하는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탈착 상태를 간단하게 또한 계속해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A)를 설치한다.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A)는, 온도차 검출부(15)와 판단부(16)와 설정치 기억부(17)와 판단 결과 출력부(18)를 포함한다. 온도차 검출부(15)는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Δt)를 검출한다. 판단부(16)는, 온도차 검출부(15)로부터의 온도차(Δt)를 수신하여 설정치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치(Δtth)와 온도차(Δt)를 비교하고, 데시칸트 로터(3)의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수분의 흡습 상태(흡착 상태)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출력부(18)는, 판단부(16)로부터의 흡습 상태의 판단 결과를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의 감시 결과로서 출력한다. 재생측도 동일하게 하여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Δt)를 검출함으로써, 방습 상태(탈착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탈착 장치 및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ABSORBENT/DESORBENT APPARATUS AND ABSORBENT/DESORBENT STATUS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처리측의 공기의 유로 및 재생측의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어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착질의 흡착과 재생측의 공기로의 흡착질의 탈착을 각각 행하는 흡탈착 수단을 이용한 흡탈착 장치 및 이 흡탈착 장치에서의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착질의 교환 상태를 감시하는 흡착질 교환 상태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냉동 창고, 전지 공장 등 습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한 공조(空調)로서, 데시칸트 로터를 이용한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참조).
데시칸트 로터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그 두께 방향으로 공기가 관통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데시칸트 로터의 표면에는, 다공성의 무기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체 흡착물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다공성의 무기 화합물로서는, 작은 구멍 직경이 0.1 ㎚∼20 ㎚ 정도로 수분을 흡착하는 것, 예컨대 실리카겔이나 제올라이트, 고분자 흡착제 등의 고체 흡착제가 사용된다. 또한, 데시칸트 로터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고,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습과 재생측의 공기로의 방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
도 8에 데시칸트 로터를 이용한 종래의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처리측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처리측 팬, 도면 부호 2는 재생측의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재생측 팬, 도면 부호 3은 처리측의 공기의 유로(L1) 및 재생측의 공기의 유로(L2)에 걸쳐 설치된 데시칸트 로터(흡탈착 수단), 도면 부호 4는 데시칸트 로터(3)에 의한 흡습 후의 처리측의 건조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수 코일(냉각 장치), 도면 부호 5는 데시칸트 로터(3)에 의한 방습 전의 공기를 가열하는 온수 코일(가열 장치), 도면 부호 6은 데시칸트 로터(3)를 회전시키는 모터, 도면 부호 7은 냉수 코일(4)에 의해 냉각된 처리측의 건조한 공기(급기)(SA)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 도면 부호 8은 온수 코일(5)에 의해 가열된 재생측의 공기(재생용 공기)(SR)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이며, 이들에 의해 데시칸트 공조기(100)가 구성되어 있다.
데시칸트 공조기(100)의 냉수 코일(4)에는 냉수 밸브(9)를 통해 냉수(CW)가 공급되고, 온수 코일(5)에는 온수 밸브(10)를 통해 온수(HW)가 공급된다. 또한, 냉수 코일(4)에 대하여 컨트롤러(11)가 설치되고, 온수 코일(5)에 대하여 컨트롤러(12)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11)는, 온도 센서(7)가 계측하는 급기(SA)의 온도(tspv)를 설정 온도(tssp)와 일치시키도록 냉수 밸브(9)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컨트롤러(12)는, 온도 센서(8)가 계측하는 재생용 공기(SR)의 온도(trpv)를 설정 온도(trsp)와 일치시키도록 온수 밸브(10)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도면 부호 200은 데시칸트 공조기(100)로부터의 급기(SA)의 공급을 받는 드라이 룸(피공조 공간)이다.
[처리측]
이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드라이 룸(200)으로부터의 환기(RA)는 데시칸트 로터(3)로의 흡습 전의 처리측의 공기로 되돌린다. 이 예에서는, 환기(RA)가 외기(OA)와 혼합되어 데시칸트 로터(3)로의 흡습 전의 처리측의 공기가 된다. 또한, 드라이 룸(200)으로부터의 환기(RA)의 양은 일정해진다. 또한, 환기(RA)와 혼합되는 외기(OA)의 양은, 드라이 룸(200)에서의 실압(室壓)을 일정하게 하도록 도시되어 있지 않은 실압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처리측에 있어서, 환기(RA)와 외기(OA)와의 혼합 공기는,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할 때, 그 공기 내에 포함되는 수분이 데시칸트 로터(3)의 고체 흡착제에 흡착(흡습)된다. 그리고, 이 데시칸트 로터(3)에 의한 흡습 후의 환기(RA)와 외기(OA)와의 혼합 공기, 즉 데시칸트 로터(3)에 의해 제습된 환기(RA)와 외기(OA)와의 혼합 공기가 냉수 코일(4)로 보내져서 냉각되고, 급기(SA)로서 드라이 룸(200)으로 공급된다.
[재생측]
한편, 재생측에서는, 재생측의 공기로서 외기(OA)가 유입되고, 온수 코일(5)로 보내져서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외기(OA)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대 습도가 낮아진다. 이 경우, 외기(OA)는 100℃를 초과하는 고온이 된다. 이 상대 습도가 낮아진 고온의 외기(OA)는, 재생용 공기(SR)로서 데시칸트 로터(3)로 보내져서 데시칸트 로터(3)의 고체 흡착제를 통과한다.
즉, 데시칸트 로터(3)는 회전하고 있고, 처리측에 있어서 환기(RA)와 외기(OA)와의 혼합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착한 고체 흡착제가 재생용 공기(SR)에 대면했을 때에, 접하는 기체의 농도에 따라 흡착 등온선에 의해 정해지는 흡착량의 저하에 따라, 고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착되며, 재생용 공기(SR)로 수분이 이동한다. 이 고체 흡착제로부터의 수분을 흡수한 재생용 공기(SR)는 배기(EA)로서 배출된다. 또한, 재생용 공기(SR)와의 열교환에 의해 데시칸트 로터(3)의 온도는 상승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에서는, 데시칸트 로터(3)를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환기(RA)와 외기(OA)와의 혼합 공기(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습과 재생용 공기(SR)(재생측 공기)로의 방습이 데시칸트 로터(3)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데시칸트 공조기(100)로부터의 드라이 룸(200)으로의 급기[건조 공기(저노점 온도의 공기)](SA)의 공급이 계속된다.
[데시칸트 로터의 흡탈착 상태의 파악(수분 교환 상태의 파악)]
종래부터, 저노점 온도 영역에 있어서, 데시칸트 로터의 흡탈착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서모그래피나 노점 온도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고, 또한 흡착에 관한 이론식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서모그래피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데시칸트 로터(3)의 처리측의 공기의 출구측 표면의 온도 분포를 서모그래피에 의해 시각적 또는 분포 데이터로서 관측한다고 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노점 온도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데시칸트 로터(3)로부터의 처리측의 공기의 노점 온도(출구 노점 온도)를 경면식(鏡面式) 노점 온도 센서나 정전용량식 노점 온도 센서로 직접 계측한다고 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흡착에 관한 이론식을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평형 상태에서의 절대 습도, 흡착제의 수분량, 풍속 등의 데이터를 흡착에 관한 이론식을 이용하여 수치 해석한다고 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탈취나 성분 조정을 위한 공조로서, 흡착제에 공기를 통하게 하는 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수분이 아니라 가스 성분을 흡착질로 하여, 그 가스 성분의 흡탈착을 행한다. 이 경우, 데시칸트 로터와 같이 흡착제를 회전시키지 않고, 정지시킨 상태에서 흡탈착을 행하는 방식도 있다. 가스 성분의 흡탈착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성분 분석기가 이용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82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1693호 공보
[비특허문헌 1] 시루구찌 코다마, 「흡착재 데시칸트 로터의 수증기 흡탈착 동작」, 일본 냉동공조학회 논문집 Vol. 24, NO.3(2007), pp.205-216.
그러나, 종래부터 연구되고 있는 데시칸트 로터의 흡탈착 상태의 파악 방법에 따르면, 서모그래피나 노점 온도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서모그래피나 노점 온도 센서가 고가이기 때문에, 서모그래피나 노점 온도 센서를 상설(常設)하지 않고, 일시적으로밖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서모그래피나 노점 온도 센서가 상설되지 않기 때문에, 데시칸트 로터의 흡탈착 상태를 계속해서 파악할 수 없다.
또한, 노점 온도 센서로서 정전 용량식 노점 온도 센서를 이용한 경우, 장시간의 노출에 대하여 재생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정전 용량식 노점 온도 센서를 상설했다고 해도, 재생을 위해 계측을 중단해야 하고, 데시칸트 로터의 흡탈착상태를 연속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
또한, 흡착에 관한 이론식을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평형 상태에서의 절대 습도, 흡착제의 수분량, 풍속 등, 많은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이들 전부를 계측 또는 추정할 필요가 있고, 대규모가 되어 데시칸트 로터의 흡탈착 상태를 간단히 파악할 수 없다.
수분의 흡탈착을 행하는 데시칸트 로터뿐만 아니라, 가스 성분의 흡착탈을 행하는 흡탈착 수단의 흡탈착 상태를 파악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흡착질의 흡탈착을 행하는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탈착 상태를 간단하게 또한 계속해서 파악할 수 있는 흡탈착 장치 및 흡착질 교환 상태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흡탈착 장치는, 처리측의 공기의 유로 및 재생측의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어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착질의 흡착과 재생측의 공기로의 흡착질의 탈착을 각각 행하는 흡탈착 수단과, 이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검출하는 온도차 검출 수단과, 이 온도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차에 기초하여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착질의 교환 상태를 감시하는 흡착질 교환 상태 감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탈착 장치로서가 아니라,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착질의 교환 상태를 감시하는 흡착질 교환 상태 감시 방법으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로서,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검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흡탈착 수단의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착질의 흡착 상태를 감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로서,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로서,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검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흡탈착 수단의 재생측의 공기로의 흡착질의 탈착 상태를 감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착질의 교환 상태를 감시하지만, 감시 중의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착질의 교환 상태에 기초하여 흡탈착 수단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흡탈착 수단의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착질의 흡착 상태를 감시하여, 이 흡착질의 흡착 상태가 정해진 범위가 되도록 흡탈착 수단의 이동량 등을 제어하거나, 흡탈착 수단의 재생측의 공기로의 흡착질의 탈착 상태를 감시하여, 이 흡착질의 탈착 상태가 정해진 범위가 되도록 흡탈착 수단의 이동량 등을 제어하거나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온도차에 기초하여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착질의 교환 상태를 감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흡탈착 수단의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착질의 흡착 상태를 감시하도록 하거나,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흡탈착 수단의 재생측의 공기로의 흡착질의 탈착 상태를 감시하도록 하거나, 흡탈착 수단의 흡탈착 상태를 간단히 또한 계속해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탈착 장치의 일 실시형태(제1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이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에서의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에서의 특징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탈착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제2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에서의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에서의 특징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탈착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제3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탈착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제4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데시칸트 로터에 의해 흡습된 처리측의 공기를 재생측의 공기로서 데시칸트 로터로 되돌리도록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탈착 장치의 일 실시형태(제1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도 8과 동일한 부호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데시칸트 공조기(100)에 대하여, 이 데시칸트 공조기(100)에서의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를 감시하는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A)를 설치하고, 이 데시칸트 공조기(100)와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A)에 의해 흡탈착 장치를 구성하게 한다.
이 흡탈착 장치에 있어서,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A)는, 프로세서나 기억 장치로 이루어진 하드웨어와, 이들 하드웨어와 협동하여 감시 장치로서의 각종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며, 데시칸트 로터(3)의 처리측 공기로부터의 흡습 상태를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로서 감시한다.
도 1에는,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A)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데시칸트 로터(3)로의 처리측의 공기의 입구 온도(tin)를 검출하는 입구 온도 센서(13)와, 데시칸트 로터(3)로부터의 처리측의 공기의 출구 온도(tout)를 검출하는 출구 온도 센서(14)와, 입구 온도 센서(13)가 검출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입구 온도(tin)와 출구 온도 센서(14)가 검출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출구 온도(tout)와의 온도차(Δt)(Δt=tin-tout)를 구하는 온도차 검출부(15)와, 이 온도차 검출부(15)로부터의 온도차(Δt)를 미리 정해져 있는 설정치와 비교하여 흡습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16)와, 이 판단부(16)에서의 판단의 기준이 되는 하나 이상의 설정치(이 예에서는, 하나의 설정치 Δtth)를 기억하는 설정치 기억부(17)와, 판단부(16)에서 구해진 판단 결과를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의 감시 결과로서 출력하는 판단 결과 출력부(18)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입구 온도 센서(13) 및 출구 온도 센서(14)는, 데시칸트 로터(3)와 측정 지점의 공기와의 사이의 온도차가 안정적으로 비교적 작은, 즉 데시칸트 로터(3)와 측정 지점의 공기와의 사이의 온도차에 따른 현열(顯熱) 교환에 의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지점이 존재하는 것에 착안하여 그 지점을 골라내어 설치하고 있다.
이 데시칸트 공조기(100)에 있어서,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처리측의 공기는 흡착열의 발생에 의해 흡착된 양에 따라 그 온도가 상승한다. 흡습량(흡착량)이 많으면,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온도는 흡착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이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크고, 흡습량(흡착량)이 적으면 온도 변화는 작다. 즉, 데시칸트 로터(3)에서의 처리측의 공기의 통과시에, 그 공기의 온도 변화의 대소와 그 공기 중으로부터의 수분의 흡착량의 대소 사이에는 상관이 있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1)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온도 변화의 대소와 그 공기 중으로부터의 수분의 흡착량의 대소 사이에 상관이 있는 것, (2) 입구 온도 센서(13) 및 출구 온도 센서(14)의 설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데시칸트 로터(3)와 측정 지점의 공기와의 사이의 온도차에 따른 현열 교환에 의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에 착안하여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온도차(Δt)를, 설정치 기억부(17)에 기억시킨 단위 풍량당 흡착량에 대응하는 설정치(Δtth)와 비교함으로써, 데시칸트 로터(3)의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수분의 흡습 상태를 판단하게 한다.
이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A)에 있어서, 온도차 검출부(15)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온도차 검출 수단에 해당하고, 판단부(16), 설정치 기억부(17) 및 판단 결과 출력부(18)가 흡착질 교환 상태 감시 수단에 해당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A)에서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온도차 검출부(15)는, 입구 온도 센서(13)가 검출하는 데시칸트 로터(3)로의 처리측의 공기의 입구 온도(tin) 및 출구 온도 센서(14)가 검출하는 데시칸트 로터(3)로부터의 처리측의 공기의 출구 온도(tout)를 정해진 주기로 검출하여(단계 S101, S102), 이 처리측의 공기의 입구 온도(tin)와 출구 온도(tout)와의 온도차(Δt)(Δt=tin-tout)를 구한다(단계 S103). 이 온도차 검출부(15)가 구한 온도차(Δt)는 판단부(16)로 보내진다.
판단부(16)는 온도차 검출부(15)로부터의 온도차(Δt)를 수신하여 설정치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치(Δtth)와 온도차(Δt)를 비교하고, Δt≤Δtth이면 흡습량 대(大)라고 판단하며(단계 S105), Δt>Δtth이면 흡습량 소(小)라고 판단하고(단계 S106), 이 판단한 흡습 상태를 판단 결과 출력부(18)로 보낸다.
판단 결과 출력부(18)는, 판단부(16)로부터의 흡습 상태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그 판단 결과를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의 감시 결과로서 출력한다(단계 S107). 예컨대,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를 다른 시스템으로 통지하거나,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를 사용자가 감시 결과로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거나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는,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처리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Δt)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온도차(Δt)를 설정치(Δtth)와 비교함으로써, 데시칸트 로터(3)의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습 상태(흡착 상태)를 간단하게 또한 계속해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데시칸트 로터(3)의 처리측 공기로부터의 흡습 상태를 감시하도록 하였지만, 제2 실시형태에서는, 데시칸트 로터(3)의 재생측의 공기로의 방습 상태를 감시하도록 한다. 도 3에 제2 실시형태의 흡탈착 장치를 포함하는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다.
이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에서는, 입구 온도 센서(13)에 의해 데시칸트 로터(3)로의 재생측의 공기의 입구 온도(tin)를 검출하도록 하고, 출구 온도 센서(14)에 의해 데시칸트 로터(3)로부터의 재생측의 공기의 출구 온도(tout)를 검출하도록 하여, 이 입구 온도 센서(13)가 검출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입구 온도(tin) 및 출구 온도 센서(14)가 검출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출구 온도(tout)를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B)의 온도차 검출부(15)로 보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입구 온도 센서(13) 및 출구 온도 센서(14)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데시칸트 로터(3)와 측정 지점의 공기와의 사이의 온도차에 따른 현열 교환에 의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지점이 존재하는 것에 착안하여 그 지점을 골라내어 설치하고 있다.
이 데시칸트 공조기(100)에 있어서,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재생측의 공기는 탈착 흡열의 발생에 의해 탈착된 양에 따라 그 온도가 저하한다. 방습량(탈착량)이 많으면,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온도는 탈착 흡열에 의한 온도 저하가 증가하기 때문에 온도 변화가 크고, 방습량(탈착량)이 적으면 온도 변화는 작다. 즉, 데시칸트 로터(3)에서의 재생측 공기의 통과시에, 그 공기의 온도 변화의 대소와 그 공기 중으로의 수분의 탈착량의 대소 사이에는 상관이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1)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온도 변화의 대소와 그 공기 중으로의 수분의 탈착량의 대소 사이에 상관이 있는 것, (2) 입구 온도 센서(13) 및 출구 온도 센서(14)의 설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데시칸트 로터(3)와 측정 지점의 공기와의 사이의 온도차에 따른 현열 교환에 의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는 것에 착안하여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온도차(Δt)를, 설정치 기억부(17)에 기억시킨 단위 풍량당 방습량에 대응하는 설정치(Δtth)와 비교함으로써, 데시칸트 로터(3)의 재생측의 공기로의 수분의 방습 상태를 판단하게 한다.
이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B)에 있어서, 온도차 검출부(15)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온도차 검출 수단에 해당하고, 판단부(16), 설정치 기억부(17) 및 판단 결과 출력부(18)가 흡착질 교환 상태 감시 수단에 해당한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B)에서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온도차 검출부(15)는, 입구 온도 센서(13)가 검출하는 데시칸트 로터(3)로의 재생측의 공기의 입구 온도(tin) 및 출구 온도 센서(14)가 검출하는 데시칸트 로터(3)로부터의 재생측의 공기의 출구 온도(tout)를 정해진 주기로 검출하여(단계 S201, S202), 이 재생측의 공기의 입구 온도(tin)와 출구 온도(tout)와의 온도차(Δt)(Δt=tin-tout)를 구한다(단계 S203). 이 온도차 검출부(15)가 구한 온도차(Δt)는 판단부(16)로 보내진다.
판단부(16)는 온도차 검출부(15)로부터의 온도차(Δt)를 수신하여 설정치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치(Δtth)와 온도차(Δt)를 비교하고, Δt≥Δtth이면 방습량 대(大)라고 판단하며(단계 S205), Δt<Δtth이면 방습량 소(小)라고 판단하고(단계 S206), 이 판단한 방습 상태를 판단 결과 출력부(18)로 보낸다.
판단 결과 출력부(18)는 판단부(16)로부터의 방습 상태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그 판단 결과를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의 감시 결과로서 출력한다(단계 S207). 예컨대,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를 다른 시스템으로 통지하거나,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를 사용자가 감시 결과로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거나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실시형태에서는, 데시칸트 로터(3)를 통과하는 재생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Δt)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온도차(Δt)를 설정치(Δtth)와 비교함으로써, 데시칸트 로터(3)의 재생측의 공기로의 방습 상태(탈착 상태)를 간단하게 또한 계속해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도 1)에서는, 데시칸트 로터(3)의 수분의 교환 상태를 감시 결과로서 출력시키도록 하였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A) 내에 로터 회전수 제어 연산부(19)와 온도차 설정치 기억부(20)를 설치하고, 데시칸트 로터(3)를 구동하는 모터(6)에 회전수 조정용 인버터(21)를 부설하며, 온도차 검출부(15)에서 검출된 온도차(Δt)를 로터 회전수 제어 연산부(19)로 보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 도 5에 나타낸 예(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터 회전수 제어 연산부(19)는, 온도차 검출부(15)에서 검출되는 온도차(Δt)가 온도차 설정치 기억부(20)에 기억되어 있는 온도차 설정치(Δtsp)에 근접하도록 인버터(21)로 회전수의 지시 신호(인버터 출력)를 보내고, 데시칸트 로터(3)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데시칸트 로터(3)의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습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데시칸트 로터(3)의 회전수가 자동적으로 조정되게 된다.
[제4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도 3)에 대해서도,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300B) 내에 로터 회전수 제어 연산부(19)와 온도차 설정치 기억부(20)를 설치하고, 데시칸트 로터(3)를 구동하는 모터(6)에 회전수 조정용 인버터(21)를 부설하며, 온도차 검출부(15)에서 검출된 온도차(Δt)를 로터 회전수 제어 연산부(19)로 보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 도 6에 나타낸 예(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터 회전수 제어 연산부(19)는, 온도차 검출부(15)에서 검출되는 온도차(Δt)가 온도차 설정치 기억부(20)에 기억되어 있는 온도차 설정치(Δtsp)에 근접하도록 인버터(21)로 회전수의 지시 신호(인버터 출력)를 보내고, 데시칸트 로터(3)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데시칸트 로터(3)의 재생측의 공기로의 방습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데시칸트 로터(3)의 회전수가 자동적으로 조정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3 실시형태(도 5) 또는 제4 실시형태(도 6)에 있어서, 온도차 설정치 기억부(20) 대신에 예컨대 온도차 임계치[Δtsp1, Δtsp2(Δtsp1<Δtsp2)]를 기억시킨 온도차 임계치 기억부를 설치하고, 로터 회전수 제어 연산부(19)에 있어서, 온도차 검출부(15)에서 검출된 온도차(Δt)와 온도차 임계치(Δtsp1, Δtsp2)를 비교하여 대소 관계를 판단하며, Δtsp1≤Δt≤Δtsp2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데시칸트 로터(3)의 회전수를 증가/감소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7에 제1 실시형태(도 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시칸트 로터(3)에 의해 흡습된 처리측의 공기를 재생측의 공기로서 데시칸트 로터(3)로 되돌리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데시칸트 로터(3)에 의해 흡습된 처리측의 공기를 온수 코일(5)을 통해 데시칸트 로터(3)에 공급하는 방식, 도 7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데시칸트 로터(3)에 의해 흡습된 처리측의 공기의 일부를 데시칸트 로터(3)의 재생측의 처리측으로 이동시키기 직전 부분으로 보내어 데시칸트 로터(3)의 처리측 바로 앞의 온도를 낮춘 후에, 이 데시칸트 로터(3)의 온도를 낮춘 공기와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낸 데시칸트 로터(3)에 의해 흡습된 처리측의 공기를 혼합하고, 이 혼합한 공기를 온수 코일(5)을 통해 다시 데시칸트 로터(3)로 공급하는 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처리측 팬(1)은, 반드시 데시칸트 로터(3)의 전단(처리측의 공기의 입구측)에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데시칸트 로터(3)의 후단(처리측의 공기의 출구측)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재생측 팬(2)에 대해서도, 반드시 데시칸트 로터(3)의 후단(재생측의 공기의 출구측)에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데시칸트 로터(3)의 전단(재생측의 공기의 입구측)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드라이룸(200)으로부터의 환기(RA)를 데시칸트 로터(3)로의 흡습 전의 처리측의 공기로 되돌리도록 하였지만, 드라이 룸(200)으로부터의 환기(RA)를 없애고, 외기(OA)만을 처리측의 공기로서 데시칸트 로터(3)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측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온수 코일로 하고, 처리측의 건조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를 냉수 코일로 하였지만, 가열 장치나 냉각 장치는 온수 코일이나 냉수 코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데시칸트 공조기(100)를 냉수 코일(4)을 구비하는 타입으로 하였지만, 냉수 코일(4)을 구비하지 않는 타입으로 하여도 좋다. 즉, 데시칸트 로터(3)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냉각시키지 않고 급기(SA)로서 드라이 룸(200)으로 보내는 타입의 데시칸트 공조기(외조기)로 하여도 좋다. 처리측에서는, 데시칸트 로터(3)의 바로 앞에 냉수 코일을 설치하여 데시칸트 로터(3)로 통과시키는 공기를 냉각시켜도 좋다. 또한, 데시칸트 로터 바로 앞의 냉수 코일, 온수 코일과 데시칸트 로터(3)를 복수 단 배치시키고, 처리측에서는 냉수 코일, 데시칸트 로터, 냉수 코일, 데시칸트 로터의 순으로, 재생측에서는 온수 코일, 데시칸트 로터, 온수 코일, 데시칸트 로터의 순으로 공기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데시칸트 로터(3)의 회전수에 상하한의 설정치를 정하고, 그 상하한의 설정치의 범위 내에서 데시칸트 로터(3)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으로의 적용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즉 흡탈착 수단을 데시칸트 로터로 하고, 흡착질을 수분으로 하였지만, 흡탈착 수단은 데시칸트 로터에 한정되지 않고, 흡착질을 가스 성분 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하면서 흡습·방습을 반복하는 것이면, 형상은 로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탈착 수단은 반드시 이동을 수반하는 것이 아니라, 정지한 상태에서 흡탈착을 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흡탈착 장치 및 흡착질 교환 상태 감시 방법은, 예컨대, 습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한 공조로서, 리튬 전지 공장, 식품 공장, 유통 창고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1 : 처리측 팬 2 : 재생측 팬
3 : 데시칸트 로터 4 : 냉수 코일
5 : 온수 코일 6 : 모터
7, 8 : 온도 센서 9 : 냉수 밸브
10 : 온수 밸브 11, 12 : 컨트롤러
13 : 입구 온도 센서 14 : 출구 온도 센서
15 : 온도차 검출부 16 : 판단부
17 : 설정치 기억부 18 : 판단 결과 출력부
19 : 로터 회전수 제어 연산부 20 : 온도차 설정치 기억부
21 : 인버터 100 : 데시칸트 공조기
200 : 드라이 룸(피공조 공간) 300A, 300B : 수분 교환 상태 감시 장치

Claims (8)

  1. 처리측의 공기의 유로 및 재생측의 공기의 유로에 설치되어,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착질의 흡착과 재생측의 공기로의 흡착질의 탈착을 각각 행하는 흡탈착 수단과,
    이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검출하는 온도차 검출 수단과,
    이 온도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온도차를 미리 기억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착질의 흡탈착 상태를 판단하고 감시하는 흡탈착 상태 감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탈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탈착 상태 감시 수단은,
    상기 흡탈착 상태의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온도차가 상기 미리 기억된 설정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흡탈착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탈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 수단은,
    상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로서 상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상기 처리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검출하고,
    상기 흡탈착 상태 감시 수단은,
    상기 검출된 온도차를 상기 미리 기억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흡탈착 수단의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착질의 흡착 상태를 판단하고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탈착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 수단은,
    상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로서 상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상기 재생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검출하고,
    상기 흡탈착 상태 감시 수단은,
    상기 검출된 온도차를 상기 미리 기억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흡탈착 수단의 재생측의 공기로의 흡착질의 탈착 상태를 판단하고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탈착 장치.
  5. 처리측의 공기의 유로 및 재생측의 공기의 유로에 배치되어,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착질의 흡착과 재생측의 공기로의 흡착질의 탈착을 각각 행하는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착질의 흡탈착 상태를 감시하는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으로서,
    상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검출하는 온도차 검출 단계와,
    이 온도차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된 온도차를 미리 기억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흡탈착 수단에 의한 흡착질의 흡탈착 상태를 판단하고 감시하는 흡탈착 상태 감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탈착 상태 감시 단계는,
    상기 흡탈착 상태의 감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온도차가 상기 미리 기억된 설정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흡탈착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 단계는,
    상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로서 상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상기 처리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검출하고,
    상기 흡탈착 상태 감시 단계는,
    상기 검출된 온도차를 상기 미리 기억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흡탈착 수단의 처리측의 공기로부터의 흡착질의 흡착 상태를 판단하고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차 검출 단계는,
    상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로서 상기 흡탈착 수단을 통과하는 상기 재생측의 공기의 전후의 온도차를 검출하고,
    상기 흡탈착 상태 감시 단계는,
    상기 검출된 온도차를 상기 미리 기억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상기 흡탈착 수단의 재생측의 공기로의 흡착질의 탈착 상태를 판단하고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
KR1020110005409A 2010-03-31 2011-01-19 흡탈착 장치 및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 KR101250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1106A JP2011214740A (ja) 2010-03-31 2010-03-31 吸脱着装置および吸着質交換状態監視方法
JPJP-P-2010-081106 201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813A KR20110109813A (ko) 2011-10-06
KR101250741B1 true KR101250741B1 (ko) 2013-04-03

Family

ID=4469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409A KR101250741B1 (ko) 2010-03-31 2011-01-19 흡탈착 장치 및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39867A1 (ko)
JP (1) JP2011214740A (ko)
KR (1) KR101250741B1 (ko)
CN (1) CN1022073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5886B2 (ja) * 2010-11-29 2014-12-03 アズビル株式会社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9063553B2 (en) * 2012-01-10 2015-06-23 Carrier Corporation Dual purpose desiccant and recovery wheel
US8894742B2 (en) * 2012-07-24 2014-11-25 Ck Solution Co., Ltd. Hybrid operating apparatus of regenerative heater and hybrid operating method of regenerative heater
US20140033916A1 (en) * 2012-08-02 2014-02-06 DeHumidification Manufacturing LP Rf regeneration of hydro-absorptive material
US9518765B2 (en) * 2013-09-10 2016-12-1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 multiple spaces using liquid desiccant
JP6219654B2 (ja) * 2013-09-27 2017-10-25 大阪瓦斯株式会社 デシカントロータの目詰まり検知装置
CN103776252A (zh) * 2013-12-04 2014-05-07 浙江博强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纤丝线除湿真空干燥装置
JP6321398B2 (ja) * 2014-02-20 2018-05-09 株式会社西部技研 冷凍倉庫用低露点除湿装置
CN104006463B (zh) * 2014-06-04 2017-06-06 多乐空气处理设备(苏州)有限公司 一种转轮式热回收空气处理机组及其空气处理方法
WO2016035410A1 (ja) * 2014-09-05 2016-03-10 シャープ株式会社 調湿装置
AU2017267967B2 (en) * 2016-05-20 2022-04-14 Source Global, PBC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extraction control
TWI712561B (zh) * 2016-06-02 2020-12-11 國立大學法人信州大學 氘低減水之製造方法,以及氘濃縮水之製造方法
CA2946267C (en) * 2016-08-12 2019-06-04 Dryair Manufacturing Corp. Desiccant drying system
JP6843166B2 (ja) * 2019-02-19 2021-03-17 新日本空調株式会社 減湿システム及びその減湿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102254518B1 (ko) * 2019-05-16 2021-05-21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흡착 로터, 산화촉매, 열교환기를 이용한 모듈화 VOCs 제거 시스템
TWI690363B (zh) * 2019-05-17 2020-04-11 華懋科技股份有限公司 揮發有機廢氣處理系統之高溫脫附方法
CN112705011B (zh) * 2019-10-25 2022-02-18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解析塔的热风风机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967A (ja) * 1999-12-24 2001-07-06 Ebara Corp 除湿空調装置
JP2006308229A (ja) *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8974A (en) * 1941-01-30 1943-09-07 Honeywell Regulator Co Air conditioning system
US3200636A (en) * 1963-01-30 1965-08-17 Mine Safety Appliances Co Apparatus for detecting water vapor in gas
JPS61167428A (ja) * 1985-01-19 1986-07-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除湿剤
DE4420224C2 (de) * 1993-06-24 1996-09-26 Mannesmann Ag Verfahren zur Entfernung unerwünschter Beimengungen eines Gases
CN101537302B (zh) * 2008-03-18 2011-09-1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除湿装置及其再生结构
JP5078713B2 (ja) * 2008-04-03 2012-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装置並びに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967A (ja) * 1999-12-24 2001-07-06 Ebara Corp 除湿空調装置
JP2006308229A (ja) *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39867A1 (en) 2011-10-06
CN102207314A (zh) 2011-10-05
JP2011214740A (ja) 2011-10-27
KR20110109813A (ko) 2011-10-06
CN102207314B (zh)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741B1 (ko) 흡탈착 장치 및 흡탈착 상태 감시 방법
KR101252407B1 (ko) 데시칸트 공조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KR20110040660A (ko) 데시컨트 공조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AU20123100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solid desiccant dehumidifiers
Zheng et al. Experimental study and performance predication of carbon based composite desiccants for desiccant coated heat exchangers
JP5213938B2 (ja) 調湿装置及び調湿方法
JP4783048B2 (ja) 恒温恒湿装置
JP4341373B2 (ja) 調湿装置
JP2003021378A (ja) 除湿空調システム
WO2012011271A1 (ja) ガス除去システム
JP5542777B2 (ja) 空気調和装置
JP5597048B2 (ja) 吸脱着装置およびロータ回転数制御方法
Zouaou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ir dehumidification and regeneration operations using packed bed of silica gel particles
JP5404509B2 (ja) 除湿装置
JP2011257016A (ja) 空調システム
JP5643982B2 (ja) 温湿度調整装置および温湿度調整方法
JP2010270975A (ja) 温度調整機能付きの除湿装置
JP3795630B2 (ja) 乾式減湿装置のロータの劣化診断方法
JP2020034268A (ja) 除湿装置
Baghapour et al. Experimental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 desiccant dehumidification column under cyclic operating conditions
JP2005140420A (ja) 調湿装置
JP2003074918A (ja) 湿度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