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128B1 -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128B1
KR101249128B1 KR1020100136483A KR20100136483A KR101249128B1 KR 101249128 B1 KR101249128 B1 KR 101249128B1 KR 1020100136483 A KR1020100136483 A KR 1020100136483A KR 20100136483 A KR20100136483 A KR 20100136483A KR 101249128 B1 KR101249128 B1 KR 101249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olling
stand
working spee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599A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1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2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 방법 및 압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연속 압연 장치는 입력부, 스탠드, 예측 온도 산출수단, 작업속도 산출수단, 온도 측정부 및 보정계수 산출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는 강종, 작업 대상 강판의 물리적 특성, 냉각수량 및 총 압하율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스탠드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 작업속도 및 각각의 압하율에 따라 연속적으로 압연한다. 예측 온도 산출수단은 작업속도 산출수단은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 압하율에 의한 가공발열, 압연 작업속도에 의한 마찰 발열로부터 각 스탠드 별 출측 온도를 산출한다. 작업속도 산출 수단은 모든 스탠드 별 출측 온도가 임계 온도 이내가 되는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한다. 온도 측정부는 상기 각 스탠드에 구비되어 압연 대상 강판의 온도를 측정한다. 보정계수 산출 수단은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에 대응하는 예측 온도와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측정 온도의 비율로 결정되는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Description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장치와 그 방법{Continuous 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 장치 및 압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연속 압연기 출측의 강판 표면의 온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냉간압연 공정은 복수개의 스탠드로 이루어진 연속압연기를 이용한다. 이때 마지막 스탠드를 통과한 강판의 표면은 최종적인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게 되므로 강판과 강판간의 상호 슬립을 방지하여 표면에 결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속압연기에 있어서의 강판 온도 예측은 압연하중의 정확도는 물론 강판의 히트 스트리크(heat streak)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히트 스트리크는 압연판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표면 품질 결함의 일종으로서 압연중 과도한 온도 상승에 의한 윤활성능의 저하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연연속 냉간압연기에서 압연중 소성가공 시의 발열에 의하여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면 압연판과 작업롤 사이에 존재하는 윤활유의 유막이 깨어져서 강판과 작업롤이 직접 접촉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강판과 작업롤의 집적적인 금속간 접촉은 강판과 작업롤 모두에 히트 스트리크라고 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유발하여 강판의 품질불량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히트 스트리크가 발생된 롤은 더 이상의 작업이 곤란하므로 연삭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원가상승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강판의 과도한 온도상승을 피할 수 있는 조업조건의 설정을 위해서는 연속압연기 작업에서의 정확한 온도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압연시에 발생되는 강판의 온도를 정확히 예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정확히 예측되는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히트 스트리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연연속 압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연속 압연 장치는 입력부, 스탠드, 예측 온도 산출수단, 작업속도 산출수단, 온도 측정부 및 보정계수 산출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는 강종, 작업 대상 강판의 물리적 특성, 냉각수량 및 총 압하율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스탠드는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 작업속도 및 각각의 압하율에 따라 연속적으로 압연한다.
예측 온도 산출수단은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 압하율에 의한 가공발열, 압연 작업속도에 의한 마찰 발열로부터 각 스탠드 별 출측 온도를 산출한다.
작업속도 산출 수단은 상기 예측 온도 산출수단에 의하여 산출되는 모든 스탠드 별 출측 온도가 임계 온도 이내가 되는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한다.
온도 측정부는 상기 각 스탠드에 구비되어 압연 대상 강판의 온도를 측정한다.
보정계수 산출 수단은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에 대응하는 예측 온도와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측정 온도의 비율로 결정되는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는 상기 스탠드의 가능 작업속도를 한계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계수 조정수단에 의하여 산출되는 보정계수는 하기의 식 1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하기 식 2에 의하여 보정하는 작업속도 보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 1]: 보정계수(Zt) = 스탠드 출측 측정 온도(Tact) / 스탠드 출측 예측온도(Tcal)
[식 2]: 보정된 최대 압연 작업속도 = 최대 압연 작업속도 / 보정계수(Zt)
또한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 압하율에 의한 가공발열, 압연 작업속도에 의한 마찰 발열에 대응하는 스탠드 출측 온도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특정 최대 작업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스탠드 출측 예상온도를 하기 식 3에 의하여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작업속도 보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식 3]: 갱신된 스탠드 출측 온도 = 기존의 스탠드 출측 온도 / 보정계수(Zt)
또한 상기 임계 온도는 각 강종 별로 압연 후의 히트 스트리크가 발생하는 온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연속 압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는 강종, 작업 대상 강판의 물리적 특성, 냉각수량 및 총 압하율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제2 단계에서는 스탠드 별 한계 압연 작업속도 이하에서 각 스탠드 별 출측 예측 온도가 히트 스트리크 임계 온도 이하에서 형성되는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한다.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에 따라 압연을 진행한다.
제4 단계에서는 상기 각 스탠드 출측의 강판 온도를 측정한다.
제5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된 온도와 상기 예측 온도의 비율로 산출되는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제6 단계에서는 상기 보정계수를 반영하여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보정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a 단계에서는 상기 스탠드의 압연 작업속도 및 이에 의한 마찰발열을 상수로 고정한 상태에서 이에 따른 각 스탠드 별 출측 예측 온도를 산출한다.
제2b 단계에서는 상기 산출된 스탠드 별 출측 예측 온도가 상기 히트 스트리크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제2c 단계에서는 상기 제2a 및 제2b단계를 반복하여 모든 스탠드 별 출측 예측 온도가 상기 히트 스트리크 임계 온도 이내의 범위를 만족하는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상기 식 2에 의하여 보정하는 제2d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연속 압연기에서 각 스탠드별 가공발열 혹은 가공경화에 따른 변형특성을 반영하여 정확한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동시에 산출된 온도 데이터를 통하여 연연속 압연기의 출구측에서의 강판의 온도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히트 스트리크와 같은 표면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최적의 압연조건을 설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각 스탠드 부근에서의 강판 별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히트 스트리크가 발생한 강판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는 비교예에 따른 측정된 강판의 온도와 산출된 강판의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연연속 압연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연속 압연기의 압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최대 압연 작업속도 산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비교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에서의 온도예측 모델을 설명한다. 도 1은 각 스탠드 부근에서의 실측된 강판 별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는 히트 스트리크가 발생한 강판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3는 비교예에 따른 측정된 강판의 온도와 산출된 강판의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의 비교예 및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연속 압연기는 스탠드를 4개 구비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스탠드의 수가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탠드의 수는 적어도 2 이상 구비되면 족하다.
비교예는 단순히 수치 예측을 통한 연연속 압연에 있어서 출측 강판 온도예측을 하는 경우이다. 도 1에 산출된 온도 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내었다. 도 1의 데이터 중 하나는 250mpm의 작업속도로 압연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179mpm의 작업속도로 압연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총 4개의 스탠드(101, 102, 103, 104)가 구비된 것으로 가정한다.
작업자가 온도예측 모델에 의하여 250mpm의 작업속도로 결정한 경우 3번째 스탠드(103)을 거쳐 압연이 진행된 경우에는 압연기에서의 강판의 온도가 섭씨 150도를 넘게 된다. 통상 304강종의 경우 강판의 온도가 섭씨 150도를 상회하면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히트 스트리크라고 하는 표면결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조업자는 강판의 온도를 낮추어 히트 스트리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속도를 대폭 낮추어 작업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압연 작업속도를 179mpm으로 낮춘 경우에는 도 1의 179mpm의 그래프와 같은 온도 데이터를 보이게 된다. 압연속도를 250mpm으로부터 179mpm으로 낮추게 되면 온도는 많이 줄어들어 150도를 하회하지만, 생산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일반적인 예측모델에 의하여 연연속 압연기의 출측 강판온도를 산출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측 온도와 상당한 온도차를 보이게 된다. 도 3은 압연속도를 250mpm로 하고 온도 예측 모델에 의한 그래프와 실측에 의한 온도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온도 예측 모델에 의한 강판 온도와 계산에 의해 얻어진 강판의 온도는 연연속 압연기 출측에서 적어도 12~35도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최고속도 250mpm으로 작업했음에도 불구하고 4개의 압연기 모두에서 히트 스트리크 발생온도(이하 '히트 스트리크 임계온도'라 함)인 150도를 넘지않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실제의 온도보다 과도하게 높게 계산된 온도를 기준으로 히트 스트리크의 발생을 우려하여 작업속도를 지나치게 낮추어(250mpm-> 175mpm) 작업하고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비교예에 의한 온도 예측 모델만에 의하여 연연속 압연 조건을 결정하는 경우, 온도 예측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1)총 압하율을 낮춰 박물 생산에 제약이 발생하거나, (2)압연속도를 낮춤으로서 생산성 저하가 발생하며, (3)냉각수량을 증가시켜 에너지를 낭비시키고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반면 온도 예측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에는 압하율, 작업속도가 적정치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고, 냉각수량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히트 스트리크가 발생하거나 에지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강판온도 예측이 필요하며, 이는 단순한 수치의 산출에 의한 온도예측만으로는 불가능하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연속 압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연연속 압연기의 일 실시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스탠드 및 온도측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기(100)는 총 4개의 스탠드(101, 102, 103, 104)로 이루어진다. 각 스탠드(101, 102, 103,10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미디어트 롤(112, intermediate roll), 워크 롤(111, work roll)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워크 롤(111)은 강판과 직접 접촉하여 강판을 압연하는 동시에 출구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인터미디어트 롤(112)은 워크 롤과 접촉하여 워크 롤 쪽으로 압연하중을 가해줌과 동시에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워크 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각 롤의 구성 및 기능은 종래의 롤의 구성 및 기능과 대동소이 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워크 롤(111)의 입측 및 출구측에는 입측 온도측정부(201a)와 출측 온도측정부(201b)가 구비된다. 입측 온도측정부(201a)는 제1 스탠드(101)의 유입되는 강판(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출측 온도측정부(201b)는 제1 스탠드(101)에서 압연된 후의 강판(10)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내지 제4 스탠드(102, 103, 104) 각각의 입측 및 출측에는 별도의 온도 측정부 쌍(102a와 102b, 103a와 103b, 104a와 104b)이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어부의 기능과 본 실시예에 의한 온도 예측 및 보정 방법을 활용한 연연속 압연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연속 압연기의 압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최대 압연 작업속도 산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0)를 구비한다. 제어부(300)는 각 온도 측정부(201a)로부터 측정된 온도데이터를 전달받아 상술한 연연속 압연기의 압하율 및 작업속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300)의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 온도 예측 방법 및 연연속 압연 방법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연속 압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1 단계에서는 강종, 작업 대상 강판의 물리적 특성 및 압연 스케쥴 관련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즉 압연기를 구동하는 컴퓨터의 입력부(미도시)는 압연 시작 전에 압연조건, 즉 강종, 소재두께, 판폭, 제품두께, 총압하율 등의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다음으로 주어진 압연 조건을 기준으로 총 압하율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4개의 압연기에 적절하게 부하를 배분하도록 각 스탠드 별 압하율을 결정한다. 본 입력단계에서 각 스탠드별 압하율 각각을 직접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단계에서는 스탠드 별 한계 압연 작업속도를 상한으로 하여 각 스탠드 별 출측 예측 온도가 히트 스트리크 임계 온도 이하에서 형성되는 조건 하에서의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한다.
예측 온도 산출수단은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 압하율에 의한 가공발열, 압연 작업속도에 의한 마찰 발열로부터 각 스탠드 별 출측 온도를 산출한다. 또한 작업속도 산출 수단은 모든 스탠드 별 출측 온도가 임계 온도 이내가 되는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한다.
출측 예측 온도는 가공 발열, 마찰 발열 및 냉각 효과를 고려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가공 발열은 압하율에 따라 발생하는 소재의 가공과 관련된 발열을 의미한다. 마찰 발열은 압연 작업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발열을 의미한다. 냉각 효과에는 냉각수와 각 스탠드간 이동 중의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요소를 고려한 출측 예측 온도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기존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측 온도 산출수단은 생산성이 최대가 되도록 압연기의 최대속도인 250mpm을 기준으로 마찰 발열을 먼저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스탠드의 출구 측에서의 강판의 온도를 계산한다. 4개의 스탠드(101, 102, 103, 104) 중 어느 하나의 출측 온도라도 히트 스트리크 임계온도인 150도(304강의 경우)를 넘게 되면, 압연속도를 낮추어 마찰 발열을 다시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총 발열량을 다시 산출하게 된다. 만일 강판온도가 150를 넘는 스탠드가 없다면, 앞서 설정된 압연속도를 최대 압연 작업속도로 산출한다.
다음으로 산출한 최대 압연 작업속도에 따라 압연을 진행한다. 압연 작업 도중 상술한 온도 측정부(201b, 202b, 203b, 204b)가 각 스탠드의 출측 강판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보정계수 산출 수단(330)이 아래 식 1과 같이 출측 온도 측정부(201b, 202b, 203b, 204b)로부터 측정된 온도와 앞서 산출된 예측 온도의 비율로 산출되는 보정계수를 산출한다.
[식 1]: 보정계수(Zt) = 스탠드 출측 측정 온도(Tact) / 스탠드 출측 예측온도(Tcal)
다음으로 산출된 보정계수(Zt)를 이용하여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보정한다. 이 단계는 상술한 최대 압연 작업속도 산출 시에 보정계수를 반영하여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속도 보정수단(340)은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하기 식 2에 의하여 보정한다.
[식 2]: 보정된 최대 압연 작업속도 = 최대 압연 작업속도 / 보정계수(Zt)
보정계수가 1 보다 현격하게 작은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압연 작업속도를 낮추어 각 스탠드의 출측 온도가 히트 스트리크 임계 온도에 비하여 많이 작은 것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히트 스트리크 임계 온도와의 차이를 좁히기 위하여 상술한 식 2와 같은 방식으로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보정해 주게 된다. 이 때 문턱치를 두어 보정계수가 1과 문턱치 이상의 값만큼 차이가 날 경우에 보정해 주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 압하율에 의한 가공발열, 압연 작업속도에 의한 마찰 발열에 대응하는 스탠드 출측 온도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다음의 압연 작업에 기존의 보정계수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된다.
한편, 작업속도의 보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정계수와 작업속도를 연산하여 보정된 (최대)작업속도를 산출할 수도 있고, 아래 식 3과 같이 스탠드 출측 온도를 산출하는 식 자체를 바꾸도록 할 수 도 있다. 스탠드 출측 온도를 산출하는 식에서 마찰발열에 관련된 인수를 변경함으로써 작업속도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식 3]: 갱신된 스탠드 출측 온도 = 기존의 스탠드 출측 온도 / 보정계수(Zt)
이와 같은 단계를 반복해 줌으로 써 강판의 온도계산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게 되면, 히트 스트리크와 같은 결함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부정확하게 계산된 온도값을 기준으로 과도하게 속도를 낮춤으로써 발생되는 생산성 하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속도가 과도하게 높아 히트 스트리크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뿐 아니라 작업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낮아 생산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보정에 의한 적정 온도예측을 통하여 최적의 작업속도 등 작업 스케쥴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0)

  1. 강종, 작업 대상 강판의 물리적 특성, 냉각수량 및 총 압하율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작업속도 및 각각의 압하율에 따라 연속적으로 압연하는 복수의 스탠드;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 압하율에 의한 가공발열, 압연 작업속도에 의한 마찰 발열로부터 각 스탠드 별 출측 온도를 산출하는 예측 온도 산출수단;
    상기 예측 온도 산출수단에 의하여 산출되는 모든 스탠드 별 출측 온도가 임계 온도 이내가 되는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하는 작업속도 산출수단;
    상기 각 스탠드에 구비되어 압연 대상 강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에 대응하는 예측 온도와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측정 온도의 비율로 결정되는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보정계수 산출수단; 및
    상기 보정계수를 반영하여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보정하는 작업속도 보정수단을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는 상기 스탠드의 한계 작업속도를 상한으로 하는 연연속 압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계수 조정수단에 의하여 산출되는 보정계수는 하기의 식 1에 의하여 산출되는 연연속 압연 장치.
    [식 1]: 보정계수(Zt) = 스탠드 출측 측정 온도(Tact) / 스탠드 출측 예측온도(Tcal)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속도 보정수단은 하기 식 2에 의하여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보정하는 연연속 압연 장치.
    [식 2]: 보정된 최대 압연 작업속도 = 최대 압연 작업속도 / 보정계수(Zt)
  5. 제3항에 있어서,
    냉각수 및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 압하율에 의한 가공발열, 압연 작업속도에 의한 마찰 발열에 대응하는 스탠드 출측 온도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특정 최대 작업속도에 대응하는 상기 스탠드 출측 예상온도를 하기 식 3에 의하여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작업속도 보정수단을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 장치.
    [식 3]: 갱신된 스탠드 출측 예상온도 = 기존의 스탠드 출측 예상온도 / 보정계수(Zt)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온도는 각 강종 별로 압연 후의 히트 스트리크가 발생하는 온도인 연연속 압연 장치.
  8. 강종, 작업 대상 강판의 물리적 특성, 냉각수량 및 총 압하율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스탠드 별 한계 압연 작업속도 이하에서 각 스탠드 별 출측 예측 온도가 히트 스트리크 임계 온도 이하에서 형성되는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에 따라 압연을 진행하는 제3 단계;
    상기 각 스탠드 출측의 강판 온도를 측정하는 제4 단계;
    상기 측정된 온도와 상기 예측 온도의 비율로 산출되는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보정계수를 반영하여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보정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스탠드의 압연 작업속도 및 이에 의한 마찰발열을 상수로 고정한 상태에서 이에 따른 각 스탠드 별 출측 예측 온도를 산출하는 제2a 단계;
    상기 산출된 스탠드 별 출측 예측 온도가 상기 히트 스트리크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b 단계;
    상기 제2a 및 제2b단계를 반복하여 모든 스탠드 별 출측 예측 온도가 상기 히트 스트리크 임계 온도 이내의 범위를 만족하는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산출하는 제2c 단계;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압연 작업속도를 하기 식 2에 의하여 보정하는 제2d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 방법.
    [식 2]: 보정된 최대 압연 작업속도 = 최대 압연 작업속도 / 보정계수(Zt)
KR1020100136483A 2010-12-28 2010-12-28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장치와 그 방법 KR10124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483A KR101249128B1 (ko) 2010-12-28 2010-12-28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483A KR101249128B1 (ko) 2010-12-28 2010-12-28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599A KR20120074599A (ko) 2012-07-06
KR101249128B1 true KR101249128B1 (ko) 2013-03-29

Family

ID=4670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483A KR101249128B1 (ko) 2010-12-28 2010-12-28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460B1 (ko) * 2013-12-23 2015-07-13 주식회사 포스코 연연속 압연 공정에서의 바 두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755236B1 (ko) * 2015-10-21 2017-07-10 주식회사 포스코 연연속 압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915A (ja) * 1996-04-17 1997-10-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連続圧延機におけるダイナミックセットアップ方法
JP2000210708A (ja) * 1999-01-21 2000-08-02 Toshiba Corp 圧延機出側の圧延材温度制御方法及び圧延材温度制御装置
JP2003266114A (ja) 2002-03-13 2003-09-24 Kobe Steel Ltd 熱間圧延機における温度制御方法及び温度制御装置
KR20080057164A (ko) * 2006-12-19 2008-06-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915A (ja) * 1996-04-17 1997-10-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連続圧延機におけるダイナミックセットアップ方法
JP2000210708A (ja) * 1999-01-21 2000-08-02 Toshiba Corp 圧延機出側の圧延材温度制御方法及び圧延材温度制御装置
JP2003266114A (ja) 2002-03-13 2003-09-24 Kobe Steel Ltd 熱間圧延機における温度制御方法及び温度制御装置
KR20080057164A (ko) * 2006-12-19 2008-06-2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권취 온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599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895B1 (ko) 프로세스 파라미터들의 직접 측정으로 압연하는 동안 금속 스트립 프로파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17375B1 (ko) 냉간 압연기에서 수행되는 피드포워드 두께 제어 방법
JPWO2009113719A1 (ja) 熱間での板圧延における圧延負荷予測の学習方法
JP2013150990A (ja) 薄板用熱間圧延機の制御装置および薄板用熱間圧延機の制御方法
JP6136743B2 (ja) 冷間タンデム圧延機における走間板厚変更方法
US7854155B2 (en) Method and rolling mill for improving the running-out of a rolled metal strip whose trailing end is moving at rolling speed
KR101249128B1 (ko) 스테인리스강의 연연속 압연장치와 그 방법
JP4449789B2 (ja) 圧延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5734112B2 (ja) 圧延機での板厚制御方法
JP5251427B2 (ja) 金属板材の板厚制御装置及び塑性係数推定用関数設定方法
US6185967B1 (en) Strip threading speed controlling apparatus for tandem rolling mill
JP4337437B2 (ja) 圧延材形状制御方法
JP2008043967A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形状の制御方法
JP6069877B2 (ja) 冷間タンデム圧延機における圧延方法および冷間タンデム圧延機の制御装置
JP2008115426A (ja) 調質圧延鋼板の幅方向材質予測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連続焼鈍ラインの操業方法
KR100641755B1 (ko) 사상압연 폭 마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5262763B2 (ja) 圧延材の先端反り制御方法
JP6323384B2 (ja) 鋼板の蛇行制御方法、鋼板の蛇行制御装置、及び鋼板の製造方法
JP2019055415A (ja) 板クラウン制御方法、板クラウン制御装置、及び鋼板の製造方法
KR20110124767A (ko) 기준 위치 조정 감시 장치
JP6031344B2 (ja) 圧延制御装置、圧延制御方法および圧延制御プログラム
JP4920458B2 (ja) 被圧延材の温度予測方法および圧延方法ならびに被圧延材の温度予測システムおよび圧延システム
JP5381740B2 (ja) 熱間圧延機の板厚制御方法
KR101726088B1 (ko) 스트립 형상 교정장치 및 방법
KR100660215B1 (ko) 연속 압연기의 압연롤 속도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