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057B1 - 대탕도 분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대탕도 분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057B1
KR101249057B1 KR1020110089672A KR20110089672A KR101249057B1 KR 101249057 B1 KR101249057 B1 KR 101249057B1 KR 1020110089672 A KR1020110089672 A KR 1020110089672A KR 20110089672 A KR20110089672 A KR 20110089672A KR 101249057 B1 KR101249057 B1 KR 101249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trolley
air
overcoa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194A (ko
Inventor
강성원
김홍남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89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0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2Dust ar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94Breaking away the lining or removing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 F27D3/145Runn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7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 F27D2021/0085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against molten metal, e.g. leakage or splashes

Abstract

대탕도 수리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필요시 대탕도 상부를 덮어 분진을 차단하는 덮개막과, 상기 대탕도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막이 감겨져 보관되는 롤부, 상기 덮개막으로 덮인 대탕도 내측에 위치하여 대탕도 내의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하는 대탕도의 분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탕도 분진 처리장치{DEVICE FOR TREATING DUST OF RUNNER OF FURNACE}
본 발명은 고로의 대탕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대탕도 수리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대탕도 분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고로 작업은 용광로의 상부로부터 철광석과 코크스를 장입한 후 열풍로 설비에서 보내온 고온의 열풍을 하부로부터 불어넣어 그 열로서 철광석을 용융, 환원시켜 쇳물을 생산하게 된다. 고로 내에 생성된 쇳물은 고로의 측면에 형성되는 출선구를 개공기로서 천공한 후 출선구를 통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쇳물은 그 비중차에 의해서 슬래그는 상측에 용선은 하측에 모이는 상태로 대탕도에 흐르게 된다.
상기 대탕도에서 비중이 큰 용선은 스키머의 하부를 통과하여 용선탕도와 경주통을 경유하여 용선의 이동차량인 혼선차(TCL)에 투입되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조업 중 일정 시간 대탕도를 사용하게 되면, 대탕도를 시공하는 내화물의 점검 및 수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대탕도 보수 작업을 위해 대탕도에 부착된 폐 내화물을 해체하여 제거하고, 분사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대탕도 내에 잔류하고 있는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잔류 내화물을 에어로 분사하여 제거하는 과정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잔류 내화물 분진이 비산되고 대탕도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함께 비산되는 분진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며, 분진이 주변 부대 설비에 쌓여 살수 펌프 등의 노즐 막힘 현상과 같은 설비 트러불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발생되는 분진이 작업자 시야장애를 발생시켜 작업자가 탕도로 실족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이에, 대탕도 수리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대탕도의 분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필요시 대탕도 상부를 덮어 분진을 차단하는 덮개막과, 상기 대탕도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막이 감겨져 보관되는 롤부, 상기 덮개막으로 덮인 대탕도 내측에 위치하여 대탕도 내의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부는 대탕도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덮개막 선단이 결합되어 덮개막이 감겨지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양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회전바와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바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부는 하단에 구동롤이 설치되어 대탕도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대탕도로 잔류 내화물 제거를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관과 에어관에 설치되는 에어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대탕도 내의 분진에 물을 분무하는 물공급관과 물공급관에 설치되는 분무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막은 선단이 상기 대차에 연결되어 대차와 같이 이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탕도 내의 잔류 내화물 제거시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 환경 오염 및 분진에 의산 설비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탕도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적절히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의 분진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의 분진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의 분진 처리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탕도의 분진 처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분진 처리장치는 필요시 대탕도(100) 상부를 덮어 분진을 차단하는 덮개막(10)과, 상기 대탕도(10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막(10)이 감겨져 보관되는 롤부(20), 상기 덮개막(10)으로 덮인 대탕도(100) 내측에 위치하여 대탕도(100) 내의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막(10)은 대탕도(100)의 상단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는 대탕도(100)에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롤부(20)로부터 풀려나와 대탕도(100)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덮개막(10)은 자체적으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롤부(20)에 감겨져 보관되고 필요시 롤부(20)로부터 선택적으로 풀려나와 대탕도(100) 상부를 덮게 된다.
상기 덮개막(10)은 롤부(20)에서 풀려나와 대탕도(100)를 덮을 수 있으면 크기나 그 재질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에어분사부(30)가 대탕도(100) 내측의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대탕도(100)를 덮는 덮개막(10)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분사부(30)는 덮개막(10)으로 덮인 대탕도(100) 내에서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분사부(30)는 하단에 구동롤(33)이 설치되어 대탕도(100)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32)와, 상기 대차(32)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3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대차(32)에 설치되어 대탕도(100)로 잔류 내화물 제거를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관(36)과 에어관(36)에 설치되는 에어노즐(3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부(30)는 상기 대차(32)에 설치되어 대탕도(100) 내의 분진에 물을 분무하는 물공급관(40)과 물공급관(40)에 설치되는 분무노즐(4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대차(32)는 덮개막(10)과 대탕도(100) 사이에 위치하여 대탕도(100) 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롤(33)과 연결되어 구동롤(33)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면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롤(33)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구동모터(34)에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롤(33)이 회전되어 대차(32)가 대탕도(1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에어관(36)은 상기 대차(32)의 전면에 설치되며 선단에는 대탕도(100) 저면을 향해 15 ~ 20도 각도로 에어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노즐(38)이 설치된다.
이에, 에어관(36)으로 공급된 에어는 에어노즐(38)을 통해 대탕도(100) 저면으로 분사되어 대탕도(100)에 잔류하는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언급한 바와 같이 대탕도(100)를 덮고 있는 덮개막(1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비산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 장치는 상기와 같이 분진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을 처리함으로써, 분진을 제거하고 분진의 비산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관(40)은 대차(32)의 상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관(40)의 선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무노즐(42)이 설치되어 물공급관(40)으로 공급된 물을 분진을 향해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게 된다.
따라서 대탕도(100) 내에서 상승하는 분진이 분무되는 물에 의해 덩어리지면서 침전되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막(10)은 에어분사부(30)와 연결되어 에어분사부(30)가 대탕도(100) 내로 이동할 때 에어분사부(30)와 같이 움직이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막(10)의 선단에 설치되는 지지봉(12)에는 체결홀이 형성된 연결브라켓(14)이 설치되고, 상기 대차(32)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브라켓(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6)이 돌출 설치되어, 상기 연결브라켓(14)의 체결홀과 고정브라켓(16)의 체결홀에 결합핀(18)을 끼워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차(32)가 대탕도(10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대차(32)에 연결된 덮개막(10)가 같이 이동되고, 이동되는 덮개막은 롤부(20)에 되감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부(20)는 덮개막(10)이 풀려나오고 되감겨져 보관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탕도(1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덮개막(10) 선단이 결합되어 덮개막(10)이 감겨지는 회전바(22)와, 상기 회전바(22)의 양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24), 상기 회전바(22)와 지지부재(2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바(22)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26)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스프링(26)은 회전바(22)의 선단에 설치되는 원형의 측판(28)과 하우징 구조로 된 지지부재(24)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26)은 일측 선단은 회전바(22)에 결합되고 다른쪽 선단은 지지부재(24)에 설치되어, 회전바(22) 회전시 감겨지면서 탄성력을 발생하여 회전바(22)에 회전력을 인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스프링(26)은 회전바(22)에 덮개막(10)이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덮개막(10)이 풀려나오는 방향으로 회전바(22)가 회전하게 되면 감겨지면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로의 대탕도(100) 수리 작업시 대탕도(100) 내에 잔류하는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먼저, 본 장치인 덮개막(10)을 이용하여 대탕도(100) 상부를 덮고, 대차(32)를 대탕도(100)로 이동시켜 잔류 내화물 제거 작업을 수행한다.
대차(32)를 대탕도(10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롤부(20)에 감겨져 있는 덮개막(10)을 풀어 대탕도(100) 상단을 덮는다. 이때, 상기 롤부(20)의 회전바(22)는 덮개막(10)이 풀려나감에 따라 회전되고, 회전바(22)와 지지부재(24) 사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26)은 탄력적으로 감겨지면서 회전바(22)에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회전바(22)는 코일스프링(26)의 힘에 의해 덮개막(10)을 되감기 위한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 상태에서 롤부(20)에서 풀려나오는 덮개막(10)이 대탕도(100)를 덮으면서 대차(32)쪽으로 이동되면 대차(32) 상단에 덮개막(10)을 고정한다. 대차(32) 상단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6)에 덮개막(10) 선단의 지지봉에 설치된 연결브라켓(14)을 일치시키고 두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해 결합핀(18)을 끼워주게 되면 대차(32)에 덮개막(1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대차(32)에 덮개막(10)이 연결되면 덮개막(10)은 회전바(22)에 되감기지 않고 대차(32)와 같이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덮개막(10)이 대탕도(100)를 덮은 상태에서 대차(32)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구동모터(34)의 구동에 따라 구동롤(33)이 회전되어 대차(32)가 대탕도(100)를 따라 전진하게 된다. 더불어, 대차(32)에 설치된 에어관(36)과 물공급관(40)으로 에어와 물을 공급하게 되면 에어관(36)에 설치된 에어노즐(38)을 통해 에어가 분사되어 대탕도(100)의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물공급관(40)으로 공급된 물은 분무노즐(42)을 통해 대탕도(100) 내에 분무되어 비산되는 분진을 침전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차(32)가 진행하면서 잔류 내화물을 처리하고, 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대탕도(100)를 덮고 있는 덮개막(10)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막(10)으로 덮인 대탕도(100)의 내부 공간에서 물을 분무함으로써, 분진을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차(32)가 대탕도(100)를 따라 진행함에 따라 대차(32)에 연결된 덮개막(10) 역시 롤부(2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덮개막(10)이 감겨지는 회전바(22)는 언급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6)에 의해 회전력을 받고 있는 상태로 덮개막(10)이 롤부(20)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바(22)가 회전되면서 덮개막(10)은 회전바(22)에 감겨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덮개막 12 : 지지봉
14 : 연결브라켓 16 : 고정브라켓
18 : 결합핀 20 : 롤부
22 : 회전바 24 : 지지부재
26 : 코일스프링 30 : 에어분사부
32 : 대차 33 : 구동롤
34 : 구동모터 36 : 에어관
38 : 에어노즐 40 : 물공급관
42 : 분무노즐

Claims (5)

  1. 필요시 대탕도 상부를 덮어 분진을 차단하는 덮개막과,
    상기 대탕도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막이 감겨져 보관되는 롤부,
    상기 덮개막으로 덮인 대탕도 내측에 위치하여 대탕도 내의 잔류 내화물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부
    를 포함하는 대탕도 분진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부는 대탕도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덮개막 선단이 결합되어 덮개막이 감겨지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양 선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회전바와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바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대탕도 분진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하단에 구동롤이 설치되어 대탕도를 따라 이동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 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대탕도로 잔류 내화물 제거를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관, 에어관에 설치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는 대탕도 분진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대탕도 내의 분진에 물을 분무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에 설치되는 분무노즐을 더 포함하는 대탕도 분진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막은 선단이 상기 대차에 연결되어 대차와 같이 이동되는 구조의 대탕도 분진 처리 장치.
KR1020110089672A 2011-09-05 2011-09-05 대탕도 분진 처리장치 KR10124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72A KR101249057B1 (ko) 2011-09-05 2011-09-05 대탕도 분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672A KR101249057B1 (ko) 2011-09-05 2011-09-05 대탕도 분진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94A KR20130026194A (ko) 2013-03-13
KR101249057B1 true KR101249057B1 (ko) 2013-04-01

Family

ID=4817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672A KR101249057B1 (ko) 2011-09-05 2011-09-05 대탕도 분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0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5745A (ja) * 1992-11-09 1994-05-27 Nippon Steel Corp 樋解体装置及び解体方法
KR19990028887U (ko) * 1997-12-27 1999-07-15 이구택 용광로에서 탕도보온 및 용해장치
JPH11343746A (ja) 1998-06-01 1999-12-14 Fujita Corp 浮遊粉塵除去方法及び浮遊粉塵除去車
KR20110034380A (ko) * 2009-09-28 201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5745A (ja) * 1992-11-09 1994-05-27 Nippon Steel Corp 樋解体装置及び解体方法
KR19990028887U (ko) * 1997-12-27 1999-07-15 이구택 용광로에서 탕도보온 및 용해장치
JPH11343746A (ja) 1998-06-01 1999-12-14 Fujita Corp 浮遊粉塵除去方法及び浮遊粉塵除去車
KR20110034380A (ko) * 2009-09-28 201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194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594B1 (ko) 고로슬래그용 폐열 회수장치
CN103786090A (zh) 研磨装置及研磨方法
KR101249057B1 (ko) 대탕도 분진 처리장치
JP3192958U (ja) 車両用洗浄装置
CN205577504U (zh) 一种钢包倾翻区域烟气扬尘综合治理装置
KR100272679B1 (ko) 이격체 분사 장치
CA26394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boiler of a furnace
KR20130134370A (ko) 핀치롤 연마장치
JP2013224844A (ja) 除染装置
KR20090120294A (ko) 슬래그 포트의 진정제 투입장치
CN205816296U (zh) 用于铁材质立柱的清洁机器人及清洁系统
KR101266463B1 (ko) 전기로 냉각수 패널의 국부 코팅유닛 및 코팅시스템
KR101344332B1 (ko) 롤 와이퍼의 크리닝 장치
JP4939036B2 (ja) 電気炉副生ガス回収ダクトの洗浄装置
CN106000973A (zh) 用于铁材质立柱的清洁机器人及清洁系统
KR101623312B1 (ko) 고로 대탕도의 보수준비용 처리장치
CN220941415U (en) Large steel pipe inner wall operation device
JP2010203142A (ja) アスベスト除去装置
CN105543430A (zh) 渣处理方法及装备
JP2001328721A (ja) コンベアーチェーンの滓取り装置
JP3092619B1 (ja) 液中切断装置
JP2987026B2 (ja) 周回ノズルを有する炉内懸垂型吹き付け機
KR20100031284A (ko) 평면 노즐의 세정 장치, 세정 시스템 및 세정 방법
CN101266101A (zh) 单喷枪结构的rh精炼炉浸渍管喷补机
KR101431021B1 (ko) 세척액 분사기 및 에어 분사기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