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903B1 -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903B1
KR101248903B1 KR1020110120895A KR20110120895A KR101248903B1 KR 101248903 B1 KR101248903 B1 KR 101248903B1 KR 1020110120895 A KR1020110120895 A KR 1020110120895A KR 20110120895 A KR20110120895 A KR 20110120895A KR 101248903 B1 KR101248903 B1 KR 101248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battery
variable pitch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명
정광섭
김성윤
문봉주
방용철
Original Assignee
(주)로케트 디앤에스
주식회사 로케트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케트 디앤에스, 주식회사 로케트이앤티 filed Critical (주)로케트 디앤에스
Priority to KR102011012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imary Cell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구디스크와 출구디스크 사이에 가변피치부를 설치함으로써 캠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변포켓이 슬라이드공간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원주피치의 거리가 변경되어 빠른 원주속도의 입구디스크에서 공급되는 전지를 느린 원주속도의 출구디스크 측으로 정확하게 1:1인수인계를 하므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battery moving for a variable pitch disk device}
본 발명은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디스크와 출구디스크 사이에 가변피치부를 설치함으로써 캠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변포켓이 슬라이드공간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원주피치의 거리가 변경되어 빠른 원주속도의 입구디스크에서 공급되는 전지를 느린 원주속도의 출구디스크 측으로 정확하게 1:1인수인계를 하므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형식의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전지나 용기에 담겨 생산되는 음료,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가스 등과 같은 제품들은 이송장치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되어 다음 공정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때, 전지를 이송하는 입구부 디스크는 직경이 작고 출구부 디스크는 직경이 커서 각각 원주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입구부 디스크와 출구부 디스크의 원주속도를 일치시켜 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입구부 디스크와 출구부 디스크의 원주속도를 일치시켜 주기 위해서 스크류를 회전시켜 이송하는 방식과,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전지를 이송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스크류 이송방식은 이송하는 도중에 전지가 넘어지거나 변형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품에 긁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컨베이어밸트 이송방식은 제품의 미끄러짐 현상에 의한 벨트 파손 및 이물질의 발생 등으로 인한 장치의 잦은 보수와 교체로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류나 컨베이어밸트 이송방식은 별도의 동력전달장치가 필요하고 최소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구디스크와 출구디스크 사이에 가변피치부를 설치함으로써 캠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변포켓이 슬라이드공간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원주피치의 거리가 변경되어 빠른 원주속도의 입구디스크에서 공급되는 전지를 느린 원주속도의 출구디스크 측으로 정확하게 1:1인수인계 하므로 제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전지를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포켓에서 전달받아 전방으로 공급하는 입구디스크와;
상기 입구디스크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하면서 가변피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지를 다수의 포켓으로 전달받아 전방으로 공급하는 출구디스크와;
상기 입구디스크와 출구디스크 사이에 동력전달부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가변되는 캠의 안내홈을 따라 가변포켓이 슬라이드되면서 입구디스크와 출구디스크의 원주속도를 일치시켜 전지를 인수인계하는 가변피치부와;
상기 가변피치부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입구디스크와 출구디스크 사이에 가변피치부를 설치함으로써 캠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변포켓이 슬라이드공간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원주피치의 거리가 변경되므로 빠른 원주속도의 입구디스크에서 공급되는 전지를 느린 원주속도의 출구디스크 측으로 정확하게 1:1 인수인계를 하므로 제품의 파손 방지 및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 가변피치 디스크장치(100)는,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전지(10)를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포켓(111)에서 전달받아 전방으로 공급하는 입구디스크(110)가 구성되고, 상기 입구디스크(110)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하면서 가변피치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지(10)를 다수의 포켓(121)으로 전달받아 전방으로 공급하는 출구디스크(120)가 구성되며, 상기 입구디스크(110)와 출구디스크(120) 사이에 동력전달부(140)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가변되는 캠(132)의 안내홈(132a)을 따라 가변포켓(133)이 슬라이드되면서 입구디스크(110)와 출구디스크(120)의 원주속도를 일치시켜 전지(10)를 인수인계하는 가변피치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가변피치부(130)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가변피치부(13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방사상으로 슬라이드공간(131a)이 형성된 안내디스크(131)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디스크(13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입구디스크(110)와 출구디스크(120)의 원주속도를 일치시키기 위해 안내홈(132a)이 형성된 캠(132)이구비되며, 상기 안내디스크(131)의 슬라이드공간(131a)과 캠(132)의 안내홈(132a)에 설치되어 안내디스크(131)의 회전시 슬라이드공간(131a)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원주피치를 변경하여 입구디스크(110)에서 공급되는 전지(10)를 출구디스크(120) 측으로 전달하는 가변포켓(13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변포켓(133)은, 상기 캠(132)의 안내홈(132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133a)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33a)의 상부에 결합되어 입구디스크(110)로부터 전지(10)를 전달받아 출구디스크(120)로 전달하기 위한 포켓부재(133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출구디스크(120)는 입구디스크(110)의 포켓(111)보다 많은 수의 포켓(121)이 형성되며 입구디스크(110)보다 느리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132)은 회전하지 아니하며 안내디스크(13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공정인 생산라인에서 다수의 전지(10)가 지속적으로 생산되며, 생산되는 전지(1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입구디스크(110) 측으로 공급되어진다.
상기 입구디스크(110) 측으로 공급되는 전지(10)는 입구디스크(110)에 형성된 다수의 포켓(111)에 안착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포켓(111)의 내부에는 자석(111')이 삽입되어 있어 전지(10)가 넘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변피치부(130)의 안내디스크(131)는 동력전달부(140)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가변포켓(133)의 몸체(133a)는 캠(132)의 안내홈(132a)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드공간(131a)에서 슬라이드되어 원주피치가 변경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안내디스크(131)와 회전하는 가변포켓(133)이 입구디스크(110)의 포켓(111)과 동일선상에서 만나게 되면 입구디스크(110)의 포켓(111)에 안착되어 공급되는 전지(10)를 가변포켓(133)의 포켓부재(133b)가 인수하게 된다.
상기 포켓부재(133b) 내부에는 자석(133b')이 삽입되어 있어 전지(10)의 넘어짐과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전지(10)를 인수받은 가변포켓(133)의 포켓부재(133b)는 캠(132)의 안내홈(132a)을 따라 안내디스크(131)와 함께 회전하게 되며, 회전시 가변포켓(133)의 몸체(133a)는 안내홈(132a)에 안내되면서 원주피치의 거리가 변경되면서 출구디스크(120) 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변피치부(130)의 가변포켓(133)이 회전하여 입구디스크(110)보다 느리게 회전하는 출구디스크(120)의 포켓(12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출구디스크(120)의 포켓(121)이 가변포켓(133)의 포켓부재(133b)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전지를 인계받게 된다.
상기 출구디스크(120)의 포켓(121)에는 자석(121')이 삽입되어 있어 전지(10)의 넘어짐과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캠(132)의 안내홈(132a)은 입구디스크(110)에서 공급되는 전지(10)를 출구디스크(120)에서 1:1로 정확하게 인계받을 수 있도록 입구디스크(110)와 출구디스크(120)의 원주피치를 계산하여 안내디스크(131)의 중심점을 잡아 P.C.D를 작도한 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안내홈(132a)의 선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홈(132a) 및 안내디스크(131)에 의해 가변포켓(133)은 자연스럽게 안내홈(132a)을 따라 피치가 가변되어 전지(10)를 정확하게 인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변포켓(133)으로부터 인계받은 전지(10)는 다음 생산공정 측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전지(10)를 최종적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로터리형식의 설비에서 생산되는 음료,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가스 등의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110: 입구디스크
111: 포켓 120: 출구디스크
121: 포켓 130: 가변피치부
131: 안내디스크 131a: 슬라이드공간
132: 캠 132a: 안내홈
133: 가변포켓 133a: 몸체
133b: 포켓부재

Claims (5)

  1.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전지를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포켓에서 전달받아 전방으로 공급하는 입구디스크와;
    상기 입구디스크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하면서 가변피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지를 다수의 포켓으로 전달받아 전방으로 공급하는 출구디스크와;
    상기 입구디스크와 출구디스크 사이에 동력전달부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가변되는 캠의 안내홈을 따라 가변포켓이 슬라이드되면서 입구디스크와 출구디스크의 원주속도를 일치시켜 전지를 인수인계하는 가변피치부와;
    상기 가변피치부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변피치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방사상으로 슬라이드공간이 형성된 안내디스크와;
    상기 안내디스크의 하부에 결합되어 입구디스크와 출구디스크의 원주속도를 일치시키기 위해 안내홈이 형성된 캠과;
    상기 안내디스크의 슬라이드공간과 캠의 안내홈에 설치되어 안내디스크의 회전시 슬라이드공간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원주피치를 변경하여 입구디스크에서 공급되는 전지를 출구디스크 측으로 전달하는 가변포켓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가변포켓은,
    상기 캠의 안내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입구디스크로부터 전지를 전달받아 출구디스크로 전달하기 위한 포켓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구디스크는 입구디스크의 포켓보다 많은 수의 포켓이 형성되며 입구디스크보다 느리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은 회전하지 아니하며 안내디스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KR1020110120895A 2011-11-18 2011-11-18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KR101248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895A KR101248903B1 (ko) 2011-11-18 2011-11-18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895A KR101248903B1 (ko) 2011-11-18 2011-11-18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903B1 true KR101248903B1 (ko) 2013-04-23

Family

ID=4844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895A KR101248903B1 (ko) 2011-11-18 2011-11-18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9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297B1 (ko) * 1988-08-17 1992-10-15 시부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물품 수납장치
JPH0750156A (ja) * 1993-08-03 1995-02-21 Toshiba Battery Co Ltd 円筒型電池の整列装置
KR20060113633A (ko) * 2003-07-14 2006-11-02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압축성형기에 드롭을 강제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성형금형 추종식 드롭의 공급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297B1 (ko) * 1988-08-17 1992-10-15 시부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물품 수납장치
JPH0750156A (ja) * 1993-08-03 1995-02-21 Toshiba Battery Co Ltd 円筒型電池の整列装置
KR20060113633A (ko) * 2003-07-14 2006-11-02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압축성형기에 드롭을 강제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성형금형 추종식 드롭의 공급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12904A (zh) 一种新型电池托杯分列装置
EP2295350A1 (en) Apparatus for unscrambling and aligning preforms
WO2021103819A1 (zh) 分拣设备
CN208499639U (zh) 一种圆棒零件等间距送料装置
CN109923238A (zh) 成膜装置
CN108430898B (zh) 用于接收和输送鸡蛋流的设备
KR20170067741A (ko) 캐로셀에 파우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398789A (zh) 一种单体进料装置
CN205708683U (zh) 物料输送设备及带有物料输送设备的包装生产线
CN205312548U (zh) 高速自动理瓶机
CN203601987U (zh) 用于使容器定向的设备
CN202765810U (zh) 西林瓶自动排序输送装置
KR101248903B1 (ko) 전지의 이송을 위한 가변피치 디스크장치
CN202558206U (zh) 自动引料式内螺旋输送机
CN105390735A (zh) 一种电池输送缓存装置
CN105752656A (zh) 一种瓶盖理料机
JP2016050094A (ja) 搬送装置
JP5706123B2 (ja) 反転装置およびプリフォーム取り扱い装置
CN206172487U (zh) 一种等距离的连续输送机构
CN102383166A (zh) 表面处理装置
KR20160004017A (ko) 과일 선별기용 트레이 정렬장치
CN206032629U (zh) 两段式螺杆截瓶机构及截瓶装置
CN204769595U (zh) 检查装置
CN108687914B (zh) 一种高质量旋切的旋切流水线
EP1493694A3 (en) Guide rail for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