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6045B1 - 높은 단열 특성을 가지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 Google Patents

높은 단열 특성을 가지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045B1
KR101246045B1 KR1020077019563A KR20077019563A KR101246045B1 KR 101246045 B1 KR101246045 B1 KR 101246045B1 KR 1020077019563 A KR1020077019563 A KR 1020077019563A KR 20077019563 A KR20077019563 A KR 20077019563A KR 101246045 B1 KR101246045 B1 KR 10124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foot
door
refrigerator cabine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056A (ko
Inventor
아드리아노 메를라
피에르 파올로 페르란테
마우로 구이도 멘타스티
Original Assignee
인더스트리에일페아쏘시에떼퍼아 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1773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460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더스트리에일페아쏘시에떼퍼아 찌오니 filed Critical 인더스트리에일페아쏘시에떼퍼아 찌오니
Publication of KR2007009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02G15/046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with bores or protruding portions allowing passage of cabl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밀폐 시일링을 위한 연질 벨로우즈 유형 부분(11) 및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에 의하여 형성된 외피를 단열 재료(18)로 최종 충전시키기 이전에 냉장고 캐비닛(17)의 외측 도어(30) 및 내측 도어(31)와 결합하도록 설계된 베이스 부분(12)을 구비하는 유형의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10)이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 부분(12)은 역전된 U 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U 자 형상은, 작업중에 외부 부분(16)이 결합용 평면(9)상에 안착되는 발 부분(20)으로써 끝나는 실질적으로 수직의 부분(16,19)들 및, 상기 발 부분(20)에 대하여 작업중에 오프셋되고 기본적으로 돌출되는 U 자 형상의 수평 부분(13)에 의하여 정해진다.

Description

높은 단열 특성을 가지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Gasket for refrigerator cabinets with high heat insulation properties}
본 발명은 밀폐 시일링(tight sealing)을 위한 연질 벨로우즈(soft bellows) 유형의 부분 및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에 의해 형성된 외피를 단열 재료로 최종 충전시키기 전에 냉장고 캐비닛의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에 대하여 설치되도록 설계된 베이스 부분을 구비하는 유형의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개스킷은, 예를 들면, 본원 출원인의 유럽 특허 EP 146994 및 EP 319087 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체인 단열 재료는 통상적으로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에 의해 형성된 외피(shell) 안에 사출되고, 유체 형태로 적용된 개스킷에 의해 밀폐 시일되며, 따라서 경화되기 이전에 유동하여 이용 가능한 공간을 완전히 채울 수 있어서, 단일의 콤팩트(compact)한 블록을 형성한다.
상기의 공지된 밀폐 시일링 시스템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냉장 기기의 열적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서 폐쇄되는 전체적인 외주 영역을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외부와 낮은 온도의 내부 사이의 열 전달을 급격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바람직스럽게는, 이전에 언급된 특허들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은 단일 압출(mono-extruded)되거나 또는 공압출된(co-extrded) 프로파일(profile)을 이용하는 냉장고의 제조자들이, 이미 이용되고 있는 발포체 몰드(foaming mold)와 같은 제조 과정들 및 장비를 수정하지 않으면서 상기의 향상된 열적 성능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 소망된다.
이후에 설명될 상기의 목적들 및 다른 장점들을 달성하도록, 본 발명은 밀폐 시일링을 제공할 수 있는 연질 벨로우즈 유형 부분 및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에 의해 형성된 외피를 단열 재료로 최종 충전시키기 이전에 냉장고 캐비닛의 내측 도어 및 외측 도어에 대하여 설치되도록 설계된 베이스 부분을 구비하는 유형의 냉장고 캐비닛들을 위한 개스킷을 제안하는데, 개스킷의 상기 베이스 부분과의 결합 평면은 상기 외측 도어상에서 식별되고, 상기 베이스 부분은 역전된 U 자 형상으로서, 상기 U 자 형상은 작업중에 외부 부분이 상기 결합 평면상의 안착용 발 부분으로써 끝나는 실질적으로 수직 부분 및, 작업중에 상기 발 부분에 대하여 오프셋되고 실질적으로 돌출되는 상기 U 자 형상의 수평 부분에 의하여 정해지며, 상기 U 자 형상 부분은 상기 안착용 발 부분에 대하여 캐비닛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돌출하는 단열 재료의 외주 돌출부를 상기 챔버의 위치에서 형성하는 상기 단열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장고 제조자들이 선호하는 일 구현예에서,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는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용 평면의 위치에서 정렬되고, 상기 베이스 부분은 역전된 U 자 형상으로서, U 자 형상의 수평 부분은, 상기 결합 평면상에 안착된 상기 발 부분에 대하여, 그리고 따라서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 사이 정렬의 상기 평면에 대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중에 오프셋되고 실질적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경우에, U 자 형상 부분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이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 사이에는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U 자 형상 부분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들은 상이한 길이일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분은 적절한 경직성(stiffness)의 특성들을 가져야 하는데, 상기 특성들은 재료 자체의 고유한 경직성의 특성들을 통하여, 또는 예를 들면 충분한 두께를 가진 재료의 치수 설정을 통하여, 예를 들면 베이스 부분이 제작되는 재료나 또는 재료들의 혼합에 의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성들 및 장점들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제 적용예의 비제한적인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로서, 냉장고의 도어에 작업중에 적용되는 자기 유형(magnetic type)의 것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스킷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단면도로서, 비자기(non-magnetic)의 유형이며, 작업중에 냉장고의 도어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에 대한 단면도로서, 외측 도어와 내 측 도어에 의해 형성된 외피를 단열 재료로 최종 충전시키기 전에 작업중에 냉장고의 도어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5 는 외측 도어 및 내측 도어에 의해 형성된 외피를 단열 재료로 최종 충전시킨 국면 이후에 도 4 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은 도 1 의 개스킷을 나타낸 것으로서 여분의 개스킷이 원래의 개스킷을 대체하도록 적용된 것을 나타낸다.
도 7 은 개스킷의 다른 변형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단일 압출 유형, 즉, 단일 재료로 압출된 유형의,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스킷(10)은 단단한 PVC 와 같은 재료의 베이스 부분(12)과 공압출된, 가소화된 PVC 나 또는 그와 유사한 연질 재료로 제작된 벨로우즈 부분(11)을 포함한다. 적절한 대안의 재료들은, 예를 들면, 연질의 부분들에 대해서는 TPE-O 및 TPE-S 와, 단단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것의 공중합체들의 패밀리에 속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들이다.
벨로우즈 부분(11)은 도 1 의 구현예에서와 같은 자기 유형(magnetic type)일 수 있거나, 또는 도 3 의 구현예에서와 같은 비자기 유형(non-mangnetic type)일 수 있으며, 상기 후자의 변형예는 특히 수평형 냉동기에 적절하다.
도 1, 도 2 및 도 3 의 구현예에서, 개스킷(10)의 상기 베이스 부분(12)은 수평 부분(12) 및 한쌍의 실질적으로 수직의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역전의 U 자 형 상(inverted U shape)인데, 상기 한쌍의 부분들중 하나는 평면(9)으로써 끝나는 굽혀진 시이트 재료로 제작된 외측 도어(30)와 결합되기 위한, 작업중의 외부 부분(16)이고, 다른 하나는 내측 도어(31)와 결합되기 위한 작업중의 내부 부분(19)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상기 외부 부분(16)은 외측 도어(30)상의 결합 평면(9)상에 안착되는 발 부분(20)으로써 끝나게 되고, 이에 반해 상기 내부 부분(19)은 발 부분(21)으로써 끝나게 되며, 상기 발 부분(21)의 내측으로부터 수직 부분(22)이 연장되어 스냅 고정 수단(23)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냅 고정 수단은 예를 들면 출원인의 유럽 특허 출원 EP146994 및 EP319087 에 설명된 바와 같이 내측 도어(31)의 단부상에서 연질 재료로 제작된 엘보우(elbow, 24)에 의해 활성화된다.
가스켓(10) 안에, 연질 재료의 부분(11)은 외부 부분(16)의 전체적인 신장 길이를 따라서 단단한 부분(12)과 공압출되고(co-extruded), 시일링 립(sealing lip, 25)으로써 끝나게 되는데, 상기 시일링 립은 최종의 충전 국면에서 단열 재료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작업중에 외측 도어(30)의 평면(9)에 대하여 설치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시일링의 목적을 위해서, 연질 재료로 공압출된 다른 립들이 제공되는데, 즉, 상기 고정 수단(23)상의 립(27) 및 개스켓 베이스의 상기 발 부분(21)상의 립이 제공된다. 시일링 립(25)은 단열 재료의 누설을 방지하는 보유 수단(means of retention)의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개스킷(10)은 베이스 부분(12)을 가지는데,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부분(16,19)이 형성된 역전의 U 형상의 수평 부분(13)으로부터, 수직 부분(32)이 내측 도어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질 재료로 공압출된 한쌍의 시일링 립(33)으로써 끝난다. 이러한 구조는 내측 도어(31)상의 고 정 수단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상기의 목적을 위해서 수직 부분(32)을 수용하는 중공형 하우징(34)으로서 형상화되고, 굽혀지는 동안 상기 중공형 하우징(34)의 벽들에 대하여 시일을 형성하는 연질 립(33)들의 효과 때문에 수직 부분과 안정된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구현예에서, 최종의 발포 국면(foaming phase) 동안에 개스킷의 챔버(14)를 단열 재료로 충전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내측 도어(31)에는 중공형 하우징(34)을 따라서 충분한 수의 통로(35)들이 제공되는데, 상기 통로는 발포 국면에서 단열 재료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적절한 치수를 가진다. 상기 통로(35)들은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중공형 하우징에서 아래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에서, 개스킷(10) 안에서 연질 재료의 부분(11)은 부분(16)의 전체 신장 길이를 따라서 단단한 재료의 부분(12)과 공압출되고 시일링 립(25)으로써 끝나게 되며, 상기 시일링 립은 최종의 충전 단계에서 단열 재료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외측 도어(30)의 결합 평면(9)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질적으로 수직 부분(16,19)들의 안착용 발 부분(20,21)은, 단열 재료를 위한 연질의 공압출된 립으로서, 수직 부분(16)에 대해서는 시일링 립(25)을, 그리고 수직 부분(19)에 대해서는 시일링 립(28,29)을 각각 가진다.
도 6 은 도 1 의 개스킷을 도시하는데, 원래의 연질 부분(11)을 대체하도록 상기 개스킷에 대하여 공압출된 예비 개스킷(8)이 적용되어, 상기 연질 부분(11)이 일단 마모되면 점으로 형성된(dotted) 파단 지점을 따라서 편리하게 단단한 베이스(13)의 부분(12)을 따라 찢어짐으로써 제거된다. 공압출된 예비 개스킷(8)은 개 스킷의 베이스 부분(12)상에 고정되기 위한 단단한 부분(7) 및 대체된 것과 동일한 연질의 벨로우즈를 구비하며, 이것과 관련하여 베이스(12)와의 간섭에 기인한 안정된 고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만곡된 측벽(6)을 가지는 보완의 U 자 형상 부분으로써 형상화된다.
변형된 구현예들에서, 상기 예비 개스킷은 접착제, 양면 접착제, 벨크로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원래 개스킷의 베이스(12)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구현예는 도 4 의 발명과 구조적인 관점에서 상이하다. 그러나 상기 경우에서 내측 도어(31)는 중공형 하우징의 형태로 형상화되지 않는다: 내측 도어(31)의 단부에 개스킷(10)의 베이스 부분(12)을 고정시키는 것은 수직 부분(32)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수직 부분은 가동 아암(mobile arm, 39)을 가지고 내측 도어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동 아암은 연질의 공압출된 재료인 엘보우(40)의 효과에 기인하여 굽혀지며, 공압출된 연질의 립(41)으로써 끝난다. 내측 도어(31)상에 안착된 베이스(12)의 수직 부분(19)은 한쌍의 시일링 립(42)으로써 끝나는 반면에, 외부 수직 부분(16)의 발 부분(20)에는 도 4 의 상기 언급된 구현예와 유사한 시일링 립(25) 및 다른 시일링 립(26)이 설치된다.
도 7 의 경우에, 유체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내측 도어(31)를 따라서 얻어지는 통로(35)를 통해서나, 또는 외측 도어(30)의 평면(9)을 따라서 통로(36)를 통하여 수직 부분(32)의 위치에서 비어 있는 공간 안으로, 그리고 챔버(14) 안으로 유 동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10)의 구현예는 도 7 의 구현예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벨로우즈 부분(11)에 대하여 이용된 유형의 단일의 연질 재료(즉, 단일 압출)의 압출로 제작되어, 수평 부분(13)에 있는 수직 부분(16,19)들의 두께 증가에 의해 충분한 경직성(stiffness)이 베이스 부분(12)에 부여되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분(12)의 두께를 적절하게 증가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내측 도어(31)상에 안착되는 아암(39)의 굽힘 운동은 엘보우(40)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이한 두께를 가지면서 유사하게 단일 압출된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의 변형들이 도 1 에 도시된 구현예의 구조들과 유사한 구조들에 대하여 제공된다.
그 어떤 구현예에서도, 내측 도어와 외측 도어에 의해 형성된 외피(18)를 단열 재료로써 최종 충전시키는 국면 이전에 본 발명의 개스킷(10)은 외측 도어(30)및 내측 도어(3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연속적인 프레임 형태의 코너에서 용접되면, 이것은 본 출원인의 유럽 특허 EP 319087 에 설명된 방식으로 외측 도어 및 내측 도어에 조립될 준비 상태로 공급되어, 예를 들면 도 4 에 도시된 작업 위치에 배치되어, 조립된 개스킷, 외측 도어 및 내측 도어에 의해 형성된 폐쇄 외피(18)의 단열 재료를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충전시키는 것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작업 위치에서, 역전된 U 자 형상의 상기 베이스 부분(12)에서 U 자 형상의 수평 부분(13)은 상기 안착용 발 부분(20)에 대하여 작업중에 오프셋(offset)되고 기본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U 자 형상 부분이 상기 단열 재료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챔버(14)를 형성한다. 다음에 단열 재료의 일부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사출하여 폐쇄된 외피(18) 안으로 공급되며, 그에 의해 챔버(14)가 포함된 외피를 완전히 채우고, 상기 시일링 립(25,27,28)들은 조립된 시스템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한다. 즉, 시일링 립(25,27,28)들은 단열 재료의 누설을 방지하는 보유 수단(means of retention)의 역할을 한다.
일단 발포체로 충전하는 것이 예를 들어 도 1, 도 2,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되면, 이제 경화된 단열 재료의 블록에 의하여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 사이에 한정적으로 포함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용접된 개스킷(10)의 상기 챔버(14)는, 외측 도어(30)상에 안착되는 개스킷의 상기 발 부분(20)에 대하여 캐비닛(cabinet, 17)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돌출하는 단열 재료의 연속적인 주위 돌출부(15)를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들에서, 외측 도어(30)와 내측 도어(31)는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 평면(9)의 위치에 실질적으로 정렬됨으로써, 상기 역전된 U 자 형상 부분에서 U 자 형상의 수평 부분(13)은 상기 안착되는 발 부분(20)에 대하여 그리고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 사이에 있는 정렬의 상기 평면에 대하여 작업중에 오프셋(offset)되고 실질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평면(9)과 어느 정도 부합된다. 외측 도어와 내측 도어의 2 개 평면들 사이에서 정렬을 오프셋시키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된 기술적인 효과를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며, 이는 개스킷 베이스의 U 자 형상 부분이 외측 도어(30)상에 안착된 베이스의 상기 발 부분(20)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돌출하고 작업중에 오프셋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돌출한다'라고 하는 용어가 의미하는 것은, 바람직스 럽기는 하지만 비제한적인 것으로서, 개스킷의 벨로우즈 기능을 허용하도록, 상기 역전된 U 자 형상 부분에서 U 자 형상의 수평 부분이 외측 도어상에 안착되는 베이스의 상기 발 부분(20)으로부터 상기 발 부분(20)과 캐비넷(17)의 접촉 선 사이 거리의 대략 적어도 1/4 의 거리로, 베이스의 수평 부분과 캐비넷 사이에 남아있는 공간에 대응하는 최대 거리까지 돌출하는 것이다.
또한, '실질적으로 수직 부분'이라고 하는 것은, 수평 부분과 실질적으로 수직 부분들의 쌍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역전된 U 자 형상 부분에서, 수직 부분들이 도 1에서 도면 번호 19 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평 부분에 직각이거나 또는 도 1 의 도면 번호 16 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경사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인 효과는, 개스킷과 외측 도어 사이의 상기 결합 평면에 대하여 캐비넷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돌출하는 단열 재료의 외주 돌출부가 연속적인 단열 방벽을 형성하여, 외측 도어와 외주 돌출부가 돌출되는 냉장고 캐비넷 사이 공간의 현저한 부분을 상기 단열 방벽이 점유한다는 사실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비제한적인 것으로서, 프로젝트에서 냉장고 캐비닛과 외측 도어상의 개스킷과의 결합 평면 사이 거리가 16 mm 이고 공지된 유형의 개스킷을 가지고 있다면, 단열 재료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상기 거리의 몫은 다소 같게 되어, 개스킷 안에 포획된 공기의 체적이 나타나서 그것을 통하여 외부 환경과의 열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개스킷으로써, 16 mm 의 상기 거리를 전체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 유지하면서, 단열 재료에 의해 점유되지 않고 공기가 포획된 공간의 분량은 단지 약 8 mm 로 감소됨으로써, 외부와 냉각된 내부 사이에서 열 전달의 급격한 감 소를 획득하게 되며, 따라서 냉장고의 성능을 고도로 증진시킬 수 있으며, 즉, (소프트웨어의 수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평가된) 5 내지 10 % 로서 수량화될 수 있는 소비 전력 절감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주목할만한 장점은 관련된 냉장고 모델 프로젝트의 그 어떤 국면도 변경하지 않으면서 냉장고의 제조에 의해 바람직스럽게 획득되며, 따라서 새로운 기술적 효과로서 이미 채택된 동일한 장비 및 제조 과정을 이용하는 것은 구조 변경을 통하여 개스킷에 의하여 점유된 공간에만 제한되며, 그것의 전체적인 치수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열 재료로 최종 충전시키는 단계에서 작업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본 발명의 외측 도어, 내측 도어/개스킷을 포함하는 조립체의 최종적인 단단한 평면 구조는 도어의 치수 및 구조적인 안전성과 관련하여 냉장고의 제조에서 장점을 더욱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냉장고 캐비닛의 개스킷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밀폐 시일링을 제공하는 연질 벨로우즈 유형 부분(11)과, 외측 도어 및 내측 도어에 의해 형성된 외피(18)의 단열 재료로 충전시키는 최종의 단계 이전에 냉장고 캐비넷(17)의 외측 도어(30) 및 내측 도어(31)에 대하여 설치되도록 설계된 베이스 부분(12)을 구비하는 유형의 냉장고 캐비넷을 위한 개스킷(10)으로서, 상기 외측 도어(30)상에서 개스킷의 상기 베이스 부분(12)과의 결합 평면(9)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분(12)은, 작업중에 외부 부분(16)이 상기 결합 평면(9)상에 안착되는 발 부분(20)으로써 끝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16,19)들 및, 상기 발 부분(20)에 대하여 작업중에 오프셋되고 실질적으로 돌출되는 U 자 형상 부분의 수평 부분(13)에 의하여 정해지는 역전된(inverted) U 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U 자 형상 부분은 상기 단열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챔버(14)를 형성하여, 작업중에 상기 단열 재료는 상기 발 부분(20)에 대하여 캐비닛(17)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돌출하는 단열 재료의 외주 돌출부(15)를 상기 챔버의 위치에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 도어(30)와 내측 도어(31)가 상기 결합 평면(9)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U 자 형상 부분의 수직 부분(16,19)들은 실질적으로 같은 신장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12)은 수평 부분(13)과 실질적으로 수직의 부분(16,19)들을 구비하는 역전된 U 자 형상이고, 상기 수직 부분(16)은 외측 도어(30)상에 있는 결합 평면(9)상에 안착되도록 발 부분(20)으로써 끝나며, 상기 수직 부분(19)은 발 부분(21)으로써 끝나게 되며, 상기 발 부분(21)의 내측으로부터 수직 부분(22)이 스냅 고정 수단(snap means, 23)과 함께 연장되며, 스냅 고정 수단(23)은 연질 재료인 엘보우(24)의 삽입에 기인하여 내측 도어(31)의 단부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 부분(20,21) 및 스냅 고정 수단(23)에는 상기 단열 재료의 보유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12)에서, 역전된 U 자 형상 부분의 상기 수평 부분(13)으로부터, 수직 부분(32)은 내측 도어(31)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립(lip, 33)으로써 끝나고, 상기 립은, 수직 부분(32)을 수용하는 중공형 하우징(34)의 형태로 형상화된 내측 도어(31)상의 고정 수단으로서 연질 재료로 공압출되고, 상기 중공형 하우징(34)은 상기 챔버(14)로의 단열 재료 접근을 위한 통로(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12)은 수평 부분(12) 및 수직 부분(16,19)들을 구비하는 역전된 U 자 형상이고, 상기 수직 부분(16)은 외측 도어(30)의 상기 결합 평면(9)상에 안착되기 위한 발 부분(20)으로써 끝나는데 반하여, 상기 수직 부분(19)은 내측 도어(31)상에 안착되기 위한 발 부분(21)으로써 끝나며, 상기 발 부분(20) 및 발 부분(21)에는 상기 단열 재료의 보유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12)에서 역전된 U 자 형상의 상기 수평 부분(13)으로부터 수직 부분(32)이 내측 도어(31)의 방향으로 가동 아암(39)과 함께 연장되며, 상기 가동 아암은 연질의 공압출 재료인 엘보우(elbow, 40)의 작용에 기인하여 굽혀지며, 내측 도어(31)의 단부상에 안착되는 연질의 시일링 립(41)으로써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8.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의 실질적으로 연질인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분(12)은 상기 연질의 벨로우즈(11)의 두께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큰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9. 삭제
KR1020077019563A 2005-01-28 2006-01-26 높은 단열 특성을 가지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KR101246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121A ITMI20050121A1 (it) 2005-01-28 2005-01-28 Guarnizione per mobili frigoriferi con elevate proprieta' di isolamento termico
ITMI2005A000121 2005-01-28
PCT/EP2006/050475 WO2006079650A1 (en) 2005-01-28 2006-01-26 Gasket for refrigerator cabinets with high heat insulation proper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056A KR20070096056A (ko) 2007-10-01
KR101246045B1 true KR101246045B1 (ko) 2013-03-26

Family

ID=3617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563A KR101246045B1 (ko) 2005-01-28 2006-01-26 높은 단열 특성을 가지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104228B2 (ko)
EP (1) EP1848941B1 (ko)
KR (1) KR101246045B1 (ko)
AT (1) ATE486257T1 (ko)
BR (1) BRPI0607218B8 (ko)
DE (1) DE602006017808D1 (ko)
ES (1) ES2354624T3 (ko)
IT (1) ITMI20050121A1 (ko)
MX (1) MX2007009134A (ko)
PL (1) PL1848941T3 (ko)
PT (1) PT1848941E (ko)
SI (1) SI1848941T1 (ko)
WO (1) WO2006079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2231U1 (de) * 2005-01-25 2006-06-08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ITMI20050455A1 (it) 2005-03-21 2006-09-22 Ilpea Ind Spa Guarnizione per mobili frigoriferi a doppia tenuta con elevata proprieta' di isolamento termico
DE102007008707A1 (de) 2007-02-19 2008-08-21 Rehau Ag + Co Kühlgerät
US9060025B2 (en) 2013-02-05 2015-06-16 Fortinet, Inc. Cloud-based security policy configuration
EP2843334A1 (en) 2013-08-28 2015-03-0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Gasket for heat insulated cabinets
KR102267891B1 (ko) * 2014-12-01 202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17190807A1 (en) * 2016-05-06 2017-11-09 Arcelik Anonim Sirketi Cool air deflector device for use with an ice maker in a refrigerator
USD843599S1 (en) * 2016-12-20 2019-03-19 Criser, S.A. De C.V. Refrigerator gasket with magnetic sealing element
CN107965967A (zh) * 2017-11-13 2018-04-27 澳柯玛股份有限公司 具有通用把手组件的冰箱门体
WO2020217313A1 (ja) * 2019-04-23 2020-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11898791B2 (en) 2020-05-08 2024-02-13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door gasket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0971A1 (en) 2001-03-07 2002-09-12 Industrie Ilpea S.P.A. Improved seal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cabinets and the like with a profile made of plastic material
JP2004538433A (ja) 2001-02-02 2004-12-24 インダストリエ イルピア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冷蔵家具ユニット用に特化したプロフィ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0194A (en) * 1950-10-06 1955-01-25 Gibson Refrigerator Co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US3289352A (en) * 1964-01-15 1966-12-06 Glenco Refrigeration Corp Gasket construction
US4305230A (en) * 1979-12-19 1981-12-15 Jarrow Products, Inc. Sealing retainer
US4617759A (en) * 1983-12-23 1986-10-21 Pantasote Inc. Profile of plastic material for refrigerator cabinets
IT8420914V0 (it) * 1984-02-20 1984-02-20 Eurodomestici Ind Riunite Porta con guarnizione amovibile, particolarmente per frigoriferi, congelatori e simili.
IT1223221B (it) 1987-12-04 1990-09-19 Ilpea Spa Profilo perfezionato in materiale sostanzialmente rigido, per mobili frigoriferi e simili, dotato di una guarnizione di tenuta in materiale sostanzialmente morbido
US5289657A (en) * 1992-03-13 1994-03-01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Refrigerator gasket and retainer
DE9211008U1 (ko) * 1992-08-17 1993-01-07 Hakemann, Fritz, 2849 Goldenstedt, De
US5476318A (en) * 1994-09-08 1995-12-19 Traulsen & Co. Inc. Regrigerator/freezer thermal breaker and door handle
IT1281660B1 (it) * 1996-01-15 1998-02-26 Ilpea Ind Spa Profilo perfezionato di materia plastica per mobili frigoriferi e simili
IT1303330B1 (it) * 1998-11-05 2000-11-06 Ilpea Ind Spa Guarnizione per frogoriferi con controporta sagomata.
SE519195C2 (sv) * 2001-06-14 2003-01-28 Electrolux Ab Dörrtätning vid en kyl-eller frysmöbel
ITMI20050455A1 (it) * 2005-03-21 2006-09-22 Ilpea Ind Spa Guarnizione per mobili frigoriferi a doppia tenuta con elevata proprieta' di isolamento termic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8433A (ja) 2001-02-02 2004-12-24 インダストリエ イルピア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冷蔵家具ユニット用に特化したプロフィル
WO2002070971A1 (en) 2001-03-07 2002-09-12 Industrie Ilpea S.P.A. Improved seal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cabinets and the like with a profile made of plastic material
JP2004521304A (ja) 2001-03-07 2004-07-15 インドゥストリエ イルペア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冷蔵庫及び同種製品用であって、プラスチック材料で作られている異形材を備えている改良した密封装置
KR100739896B1 (ko) 2001-03-07 2007-07-13 인더스트리 아이엘피이에이 에스.피.에이.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프로파일을 가지는 냉장고캐비넷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위하여 개선된 실링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07710A1 (en) 2008-12-18
MX2007009134A (es) 2008-11-04
US8104228B2 (en) 2012-01-31
ITMI20050121A1 (it) 2006-07-29
PL1848941T3 (pl) 2011-05-31
ES2354624T3 (es) 2011-03-16
BRPI0607218B8 (pt) 2019-03-19
BRPI0607218B1 (pt) 2018-12-26
EP1848941A1 (en) 2007-10-31
EP1848941B1 (en) 2010-10-27
KR20070096056A (ko) 2007-10-01
BRPI0607218A2 (pt) 2009-08-18
PT1848941E (pt) 2011-01-27
WO2006079650A1 (en) 2006-08-03
SI1848941T1 (sl) 2011-03-31
ATE486257T1 (de) 2010-11-15
DE602006017808D1 (de)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045B1 (ko) 높은 단열 특성을 가지는 냉장고 캐비닛을 위한 개스킷
RU2389956C2 (ru) Прокладка с двусторонним уплотнением для корпусов холодильника с высокими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ими свойствами
KR100728382B1 (ko) 냉장고용 도어가스켓
US8490333B2 (en) Sealing gaskets
CA2349197C (en) Gasket for refrigerators with a profiled outer door
KR101319760B1 (ko) 단열 및 방화문틀 프레임
KR101820052B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에어충진도어
JP6371151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US20090184615A1 (en) System for Anchoring the Seal to a Refrigerator
JP2002318057A (ja) 冷蔵庫
JP2003121064A (ja) 冷蔵庫
KR20110016171A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구조
KR100561942B1 (ko) 저장고
KR100588840B1 (ko) 상업용 냉장고의 라이너 프레임
JP7386448B2 (ja) 封止部材
JPS5825258Y2 (ja) 断熱扉
JP2001317863A (ja) 冷蔵庫
KR19990020171U (ko) 냉장고의 내상과 캐비넷의 결합장치
JPH06129753A (ja) 冷蔵庫
KR19980067382U (ko) 냉장고의 내상과 캐비넷의 결합구조
KR100438305B1 (ko) 냉장고 도어
CN111595094A (zh) 制冷装置
JPH04371786A (ja) 冷蔵庫用マグネットパッキング
CN116678168A (zh) 门体结构及其成型方法、箱体结构和制冷设备
KR19990041841A (ko) 냉장고의 캐비넷 변형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