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878B1 -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878B1
KR101245878B1 KR1020110005155A KR20110005155A KR101245878B1 KR 101245878 B1 KR101245878 B1 KR 101245878B1 KR 1020110005155 A KR1020110005155 A KR 1020110005155A KR 20110005155 A KR20110005155 A KR 20110005155A KR 101245878 B1 KR101245878 B1 KR 101245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gital image
intersection
converter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811A (ko
Inventor
박승희
김주원
장하주
김동진
김태헌
박주형
심우곤
안영종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8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와 교통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두 진입로가 만나는 교차영역으로 각각의 진입로에서 진입하는 물체를 표시하는 교통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차영역에서 각각의 진입로를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변환부; 상기 이미지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영상을 통하여 물체의 유무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하는 제어모듈; 상기 분석부에서 인식된 물체에 따라 각각의 서로 다른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서 발생된 경고신호에 따라 각각의 진입로에서 진입하는 물체에 대한 경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을 제공받되 시간적으로 전후에 각각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물체의 존재 유무를 분석하는 제1비교부, 상기 제1비교부에서 분석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을 인식하는 제2비교부, 상기 제1비교부에서 분석된 디지털 영상에서 보행자를 인식하는 제3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골목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traffic marking apparatus in intersection}
본 발명은 교차로에 설치되는 교통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목의 교차로에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보행자나 차량 등에 따라 골목의 교차로에 별도의 경고신호를 표시함으로써, 골목의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교통 사고의 비율을 고려해 볼 때, 교차로에서의 사고발생비율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교통사고 사망자 2명 중 1명이 보행중에 숨졌으며, 이들 중 40% 이상이 골목길에서 사고를 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주택이 많이 모여 있는 골목 교차로에서는 교차 영역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진입로에서 보행자 또는 차량이 교차 영역으로 진입할 때, 다른 진입로에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골목 교차로에서의 교통안전사고는 매우 잦아 효율적인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해 골목 교차로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수단으로써, 골목 교차로에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는 과속방지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골목 교차로임을 표시하는 표시기호를 교차로의 형태에 따라 "ㄱ"자 또는 "Y" 자 또는 "+" 자로 교차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골목 교차로의 코너 부근에 볼록거울을 설치하여 상호 보이지 않는 두 진입로에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예방수단이 활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골목교차로에서의 교통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골목의 교차로에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의 유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두 진입로가 만나는 교차영역으로 각각의 진입로에서 진입하는 물체를 표시하는 교통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차영역에서 각각의 진입로를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변환부; 상기 이미지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영상을 통하여 물체의 유무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하는 제어모듈; 상기 분석부에서 인식된 물체에 따라 각각의 서로 다른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서 발생된 경고신호에 따라 각각의 진입로에서 진입하는 물체에 대한 경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을 제공받되 시간적으로 전후에 각각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물체의 존재 유무를 분석하는 제1비교부, 상기 제1비교부에서 분석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을 인식하는 제2비교부, 상기 제1비교부에서 분석된 디지털 영상에서 보행자를 인식하는 제3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카메라를 포함한 상기 제어모듈이 내장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교차영역에 매립되는 몸체부와 상기 교차영역에서 노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한턱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연결되어 교차로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상기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촬상 시간 순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경고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발광하여 경고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목 교차로를 통과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골목 교차로에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의 유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교차 영역으로 진입하는 보행자 또는 차량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어두운 밤의 경우, 골목 교차로 부근의 조명 효과를 나타내고,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교통표시장치가 설치된 교차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교통표시장치를 이용한 교통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알고리즘,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교통표시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교통표시장치가 설치된 교차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시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시장치는 적어도 두 진입로(A1, A2, A3, A4)가 만나는 교차영역(C)이 형성된 교차로에서 물체(M)가 교차영역(C)으로 진입할 때 각각의 진입로(A1, A2, A3, A4)에서 교차영역으로 진입하는 물체(M)를 표시하는 장치로써, 카메라(1)와, 제어모듈(2)과, 표시부(3)를 포함한다.
카메라(1)는 교차영역(C)에서 각각의 진입로(A1, A2, A3, A4)를 촬상한다.
제어모듈(2)은 카메라(1)에서 촬상된 영상을 분석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모듈(2)은 이미지변환부(21)와, 컨버터(22)와, 분석부(23)와, 출력부(24)로 포함하고, 저장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변환부(21)는 카메라(1)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변환부(21)는 카메라(1)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변환부(21)는 외부에서 유입된 잡음과 전압신호가 섞여질 확률이 높지만 인식해야 할 물체(M)가 차량 또는 보행자 등으로 단순하기 때문에 높은 집적도를 가지며 가격이 저렴한 이미지센서를 선정할 수 있다. 이미지변환부(21)는 이미지센서로써, CMOS식의 전압 형태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는 포토다이오드(미도시)와 여러 개의 트랜지스터(미도시)로 구분되고, 외부의 빛이 렌즈를 통해 포토다이오드에 입사되면 광전변환 과정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 게이트가 열리고 포토다이오드에 있던 전자들이 이동하면서 전기적 신호를 일으키게 된다.
컨버터(22)는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다. 컨버터(22)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변환부(21)와 컨버터(22) 간에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분석부(23)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분석하여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를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분석부(23)는 제1비교부(231)와, 제2비교부(232)와, 제3비교부(233)를 포함한다.
제1비교부(231)는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비교부(231)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과 기초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변환된 디지털 영상과 기초 영상이 다른 경우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다. 제1비교부(231)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과 기초 영상이 유사 또는 동일한 경우 후술하는 출력부(24)에서 제1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 영상이라 함은 각 진입로(A1, A2, A3, A4)에 물체(M)가 없는 상태에서 각 진입로(A1, A2, A3, A4)를 촬영하여 변환된 디지털 영상으로 후술하는 저장부(25)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비교부(231)는 차례로 촬상되어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상호 비교하면서 시간 순서에 따라 n번째의 변환된 디지털 영상과 n-1번째의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비교하여 두 디지털 영상이 다른 경우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된 두 디지털 영상이 같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출력부(24)에서 제1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비교부(231)는 차례로 촬상되어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상호 비교하면서 시간 순서에 따라 확대되는 부분을 인식하여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되는 디지털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 후술하는 출력부(24)에서 제1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리고 시간 순서에 따라 축소되는 부분을 인식함으로써 교차영역(C)을 통과하는 물체(M)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출력부(24)에서 제1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존재함을 인식한 경우, 제2비교부(232)가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존재함을 인식하는 경우, 제2비교부(232)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M2)을 인식함으로써,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에서 차량(M2)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비교부(232)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을 검출함으로써, 진입하는 물체(M)가 차량(M2)임을 인식할 수 있다. 제2비교부(232)를 통해 진입하는 물체(M)가 차량(M2)으로 인식되면, 후술하는 출력부(24)에서 제2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존재함을 인식한 경우, 제3비교부(233)가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존재함을 인식하는 경우, 제3비교부(233)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보행자(M1)를 인식함으로써,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에서 보행자(M1)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비교부(233)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보행자(M1)의 안면을 검출함으로써, 진입하는 물체(M)가 보행자(M1)임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보행자(M1)의 안면 검출에 따라 자전거나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도 보행자(M1)로 인식할 수 있다. 제3비교부(233)를 통해 보행자(M1)로 인식되면, 후술하는 출력부(24)에서 제3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존재함을 인식하였으나 제2비교부(232)와 제3비교부(233)에서 분석한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M2)과 보행자(M1)를 모두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출력부(24)에서 제4경고신호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24)는 분석부(23)에서 인식된 물체(M)에 따라 각각의 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없는 경우, 출력부(24)는 제1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를 인식하고, 제2비교부(232)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를 차량(M2)으로 인식한 경우, 출력부(24)는 제2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를 인식하고, 제3비교부(233)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를 보행자(M1)로 인식한 경우, 출력부(24)는 제3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를 인식하였으나 제2비교부(232)와 제3비교부(233)를 통해 차량(M2)인지 보행자(M1)인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출력부(24)는 제4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저장부(25)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촬상 시간 순으로 저장한다. 저장부(25)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기초 영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을 통해 교차영역(C) 주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에 대한 블랙박스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방범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표시부(3)는 제어모듈(2)에서 발생된 경고신호에 따라 각각의 진입로(A1, A2, A3, A4)에서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에 대한 경고를 표시한다. 표시부(3)는 경고를 표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출력부(24)에서 제1경고신호가 발생되면 표시부(3)는 제1경고를 표시한다. 또한, 출력부(24)에서 제2경고신호가 발생되면 표시부(3)는 제2경고를 표시한다. 또한, 출력부(24)에서 제3경고신호가 발생되면 표시부(3)는 제3경고를 표시한다. 또한, 출력부(24)에서 제4경고신호가 발생되면 표시부(3)는 제4경고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표시부(3)는 표시램프로 구성되고, 제어모듈(2)에서 발생된 경고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4)에서 발생된 제1경고신호에 따라 표시부(3)는 제1경고로써, 녹색의 표시램프가 발광한다. 또한, 출력부(24)에서 발생된 제2경고신호에 따라 표시부(3)는 제2경고로써, 빨강색의 표시램프가 발광한다. 또한, 출력부(24)에서 발생된 제3경고신호에 따라 표시부(3)는 제3경고로써, 노랑색의 표시램프가 발광한다. 또한, 출력부(24)에서 발생된 제4경고신호에 따라 표시부(3)는 제4경고로써, 파랑색의 표시램프가 발광한다. 표시램프의 발광색은 각각의 경고신호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램프의 종류는 공지된 다양한 램프면 충분하다. 출력부(24)와 표시부(3) 간에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경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와 제어모듈(2)은 교차영역(C)에서 모듈화되어 설치됨으로써, 교통표시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와 제어모듈(2)을 모듈화하되, 제어모듈(2)의 컨버터(22)와 분석부(23)와 저장부(25)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교통표시장치를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교통표시장치 간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시장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교차영역(C)에 매립되는 몸체부(H)와 교차영역(C)에서 노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몸체부(H)에 결합되는 제한턱(G)을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교통표시장치의 카메라(1) 또는 카메라(1)를 포함한 제어모듈(2)의 일부 또는 전체가 내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내에 내장된 카메라(1)가 진입로(A1, A2, A3, A4)를 촬상할 수 있도록 제한턱(G)의 일부 또는 제한턱(G)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제한턱(G)의 일부가 개구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은 교차영역(C)에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진입로(A1, A2, A3, A4)에 대응하여 적어도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하우징은 상호 연결되어 교차로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표시부(B)가 교차영역(C)의 노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또는 형태표시부(B)를 포함한 하우징은 교차영역(C)에서 돌출됨에 따라 과속방지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는 하우징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교통표시장치를 통한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교통표시장치를 이용한 교통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알고리즘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교통표시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시방법은 먼저, 카메라(1)를 통하여 진입로(A1, A2, A3, A4)를 촬상하게 된다.(S1) 그리고 촬상된 영상은 이미지변환부(21)와 컨버터(22)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다.(S2)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영상은 분석부(23)에서 분석된다.(S3)
먼저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의 유무를 인식하게 된다.(S41) 제1비교부(231)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과 기초 영상을 비교하거나 차례로 촬상되어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물체(M)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출력부(24)는 제1경고신호를 발생한다.(S51) 그리고 제1경고신호에 따라 표시부(3)는 제1경고를 표시하게 된다.(S61) 표시부(3)가 표시램프로 형성됨에 따라 제1경고로써, 녹색 램프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2비교부(232)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M2)의 유무를 인식하게 된다.(S42) 제2비교부(232)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 번호판을 검출함으로써,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차량(M2)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차량(M2)으로 인식되는 경우, 출력부(24)는 제2경고신호를 발생한다.(S52) 그리고 제2경고신호에 따라 표시부(3)는 제2경고를 표시하게 된다.(S62) 표시부(3)가 표시램프로 형성됨에 따라 제2경고로써, 빨강색 램프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3비교부(233)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보행자(M1)의 유무를 인식하게 된다.(S43) 제3비교부(233)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보행자(M1)의 안면을 검출함으로써,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보행자(M1)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보행자(M1)로 인식되는 경우, 출력부(24)는 제3경고신호를 발생한다.(S53) 그리고 제3경고신호에 따라 표시부(3)는 제3경고를 표시하게 된다.(S63) 표시부(3)가 표시램프로 형성됨에 따라 제3경고로써, 노랑색 램프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비교부(231)를 통해 교차영역(C)으로 진입하는 물체(M)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제2비교부(232)와 제3비교부(233)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M2)과 보행자(M1)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출력부(24)는 제4경고신호를 발생한다.(S54) 그리고 제4경고신호에 따라 표시부(3)는 제4경고를 표시하게 된다.(S64) 표시부(3)가 표시램프로 형성됨에 따라 제4경고로써, 파랑색 램프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제4경고신호는 변환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M2)과 보행자(M1)를 인식할 수 없는 상태로써, 본 발명의 교통표시장치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암시할 수 있다. 또한, 제4경고신호는 확인되지 않은 물체(M)가 교차영역(C)으로 접근함을 표시함으로써,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사각지대에서 방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서 도면부호 A1, A2, A3, A4는 교차영역(C)에 연결된 각각의 진입로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M1은 보행자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M2는 차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교통표시장치에 따르면, 컨버터(22)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은 촬상 시간 순서대로 저장부(25)에 저장됨으로써, 블랙박스 또는 CCTV와 같은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A1, A2, A3, A4: 진입로 C: 교차영역
M: 물체 M1: 보행자 M2: 차량
H: 몸체부 G: 제한턱 B: 형태표시부
1: 카메라 2: 제어모듈
21: 이미지변환부 22: 컨버터
23: 분석부 231: 제1비교부
232: 제2비교부 233: 제3비교부
24: 출력부 25: 저장부
3: 표시부

Claims (7)

  1. 적어도 두 진입로가 만나는 교차영역으로 각각의 진입로에서 진입하는 물체를 표시하는 교통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차영역에서 각각의 진입로를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변환부;
    상기 이미지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영상을 통하여 물체의 유무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하는 제어모듈;
    상기 분석부에서 인식된 물체에 따라 각각의 서로 다른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에서 발생된 경고신호에 따라 각각의 진입로에서 진입하는 물체에 대한 경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컨버터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을 제공받되 시간적으로 전후에 각각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물체의 존재 유무를 분석하는 제1비교부, 상기 제1비교부에서 분석된 디지털 영상에서 차량을 인식하는 제2비교부, 상기 제1비교부에서 분석된 디지털 영상에서 보행자를 인식하는 제3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또는 상기 카메라를 포함한 상기 제어모듈이 내장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교차영역에 매립되는 몸체부와 상기 교차영역에서 노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제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호 연결되어 교차로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상기 하우징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변환된 디지털 영상을 촬상 시간 순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경고신호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발광하여 경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10005155A 2011-01-18 2011-01-18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KR10124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55A KR101245878B1 (ko) 2011-01-18 2011-01-18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55A KR101245878B1 (ko) 2011-01-18 2011-01-18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811A KR20120083811A (ko) 2012-07-26
KR101245878B1 true KR101245878B1 (ko) 2013-03-20

Family

ID=4671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155A KR101245878B1 (ko) 2011-01-18 2011-01-18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569B1 (ko) * 2020-06-24 2020-12-11 주식회사 문창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015A1 (ko) * 2014-11-28 2016-06-02 주식회사 미르메이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27061B1 (ko) * 2016-01-26 2022-07-29 렉스젠(주) 객체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454252B1 (ko) * 2022-03-22 2022-10-14 지티에스 주식회사 조향제어 및 조도제어를 이용하여 안전성과 시인성을 향상시킨 경광등
KR102589218B1 (ko) * 2023-07-12 2023-10-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통신호 표시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교통신호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36Y1 (ko) 2006-01-26 2006-04-05 (주)아이티에스뱅크 교통정온화용 교통사고 방지 경고시스템
KR100916632B1 (ko) 2008-10-20 2009-09-08 군산시 카메라를 이용한 보행자 및 차량 자동안전안내 송출을 통한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36Y1 (ko) 2006-01-26 2006-04-05 (주)아이티에스뱅크 교통정온화용 교통사고 방지 경고시스템
KR100916632B1 (ko) 2008-10-20 2009-09-08 군산시 카메라를 이용한 보행자 및 차량 자동안전안내 송출을 통한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569B1 (ko) * 2020-06-24 2020-12-11 주식회사 문창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811A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878B1 (ko) 교차로에서의 교통표시장치
KR101903981B1 (ko) 카메라와 라이트를 사용하여 창에 떨어지는 빗방울 감지
CN104134352B (zh) 基于长短曝光结合的视频车辆特征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ES2209257T3 (es) Dispositivo para la vigilancia de un recinto.
KR102322831B1 (ko) 인공지능 기반 횡단보도 보행자 검출 및 사고 예방 시스템
US20070008176A1 (en) Traffic light status remote sensor system
KR100970750B1 (ko) 외부환경 조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의 작동장치 및작동방법
JP2017091574A (ja) 空間および時間内のイベントのキャプチャ
US10479653B2 (en) Monitoring system of a passenger conveyor, a passenger conveyor, and a monitoring method thereof
KR101995401B1 (ko) 방재기능이 구비된 멀티미디어 정보융합 기반 디밍제어 스마트 조명 시스템
US20210086692A1 (en) Detection system and a vehicle therewith
JP2009157492A (ja) 車両検出装置、車両検出システム及び車両検出方法
CN106926794A (zh) 车辆监控系统及其方法
CN103186905A (zh) 车用颜色检测器
JP3926673B2 (ja) 車種識別装置
KR101259159B1 (ko) 신호등 인식을 통한 차량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JP4511750B2 (ja) 車両監視システム
JP5921294B2 (ja) 支障物検知システム
US2020013487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computer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CN102542241A (zh) 嵌入式图像处理辨识系统与方法
JP2008026991A (ja) 信号機識別装置
US8963092B2 (en) Traffic monitoring based on non-imaging detection
JP2020144738A (ja) 防犯装置、及び、防犯方法
US12002350B2 (en) System for detecting pedestrian at crosswalk and preventing accident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27061B1 (ko) 객체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