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229B1 - 조립식 한옥 정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한옥 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229B1
KR101245229B1 KR1020120111487A KR20120111487A KR101245229B1 KR 101245229 B1 KR101245229 B1 KR 101245229B1 KR 1020120111487 A KR1020120111487 A KR 1020120111487A KR 20120111487 A KR20120111487 A KR 20120111487A KR 101245229 B1 KR101245229 B1 KR 101245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s
window
pillar
yoke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선
Original Assignee
대흥우드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우드산업(주) filed Critical 대흥우드산업(주)
Priority to KR102012011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04B2001/0084Buildings with non right-angled horizontal layout grid, e.g. triangular or hexagonal
    • E04B2001/0092Small buildings with hexagonal or similar horizontal cross-s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에서 가조립 및 분해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 및 재조립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과 복수의 지붕 분할 구조물들을 구비한다. 제1 본체 분할 구조물은 복수의 제1 기둥들과, 복수의 제1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바닥과, 복수의 제1 기둥들 중 첫 번째 제1 기둥부터 마지막 번째 제1 기둥까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1 기둥들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창방들을 구비한다. 제2 본체 분할 구조물은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2 기둥들과, 복수의 제2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바닥과, 복수의 제2 기둥들 중 첫 번째 제2 기둥부터 마지막 번째 제2 기둥까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기둥들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창방을 구비한다. 제3 바닥이 제1 바닥과 제2 바닥을 연결하도록 제1 바닥과 제2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창방이 첫 번째 제1 기둥과 첫 번째 제2 기둥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4 창방이 마지막 번째 제1 기둥과 마지막 번째 제2 기둥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지붕 분할 구조물들은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제2 본체 분할 구조물의 상부에 부챗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말단과 처마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제1 기둥들과 복수의 제2 기둥들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말단을 갖는 한 쌍의 추녀들과, 한 쌍의 추녀들 사이에 부챗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창방들, 복수의 제2 창방들, 제3 창방과 제4 창방 각각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단을 갖는 복수의 서까래들과, 복수의 서까래들의 하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부연들과, 한 쌍의 추녀들 각각의 제1 말단에 결합되어 있고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꼭짓점을 갖는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과,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 각각이 결합되어 있는 중앙 고정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한옥 정자{PREFABRICATED HANOK ARBOR}
본 발명은 정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가조립 및 분해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 및 재조립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정자는 자연 경관을 감상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자의 평면구조는 장방형, 육각형, 팔각형 등이 있다. 정자는 자연과의 동화를 위하여 주위를 대부분 개방하고, 바닥은 마룻바닥으로 처리하며, 난간을 둘러 짓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정자는 휴양지, 공원 등에 목재, 철재, 콘크리트, 벽돌, 점토 등 다양한 자재를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66421호 "조립식 정자"는 바닥골격, 마루, 기둥, 지붕의 자재들을 규격화하여 제작하고, 끼워맞춤 및 볼팅(Bolting)에 의하여 각 자재들을 조립하여 시공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117762호 "정자 및 그 시공방법"은 지붕 주변 구조재와 바닥 구조재가 기둥 구조재에 고정되고, 지붕 구조재의 일단이 모임구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지붕의 중앙에 집결되어 고정되고, 지붕 구조재의 타단이 기둥 구조재에 고정되어 골격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자는 시공현장에서 많은 종류의 자재들을 취급하면서 일일이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구조가 복잡한 정자의 시공에 고임금의 건축기술 숙련공들이 여러 명 투입되는 경우, 인건비가 상승되고, 인력 부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공현장 주위에 자재들을 적치하는 경우, 통행을 방행하게 되고,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에서 가조립 및 분해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 및 재조립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조립식 한옥 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현장에서 소요되는 시공기간과 인력을 줄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공장에서의 가조립에 의하여 시공에 사용되는 자재들의 규격화할 수 있으며, 건축기술 미숙련공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 후에도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과 지붕 분할 구조물들로 분해하여 새로운 장소로 간편하게 이전하여 재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까래들이 금속으로 제작되어 있는 부채꼴 이음판들과 중앙 고정판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지붕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한옥 정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는, 복수의 제1 기둥들과, 복수의 제1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바닥과, 복수의 제1 기둥들 중 첫 번째 제1 기둥부터 마지막 번째 제1 기둥까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1 기둥들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창방들을 구비하는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2 기둥들과, 복수의 제2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바닥과, 복수의 제2 기둥들 중 첫 번째 제2 기둥부터 마지막 번째 제2 기둥까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기둥들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창방을 구비하는 제2 본체 분할 구조물과; 제1 바닥과 제2 바닥을 연결하도록 제1 바닥과 제2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바닥과; 첫 번째 제1 기둥과 첫 번째 제2 기둥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창방과; 마지막 번째 제1 기둥과 마지막 번째 제2 기둥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4 창방과;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제2 본체 분할 구조물의 상부에 부챗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말단과 처마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제1 기둥들과 복수의 제2 기둥들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말단을 갖는 한 쌍의 추녀들과, 한 쌍의 추녀들 사이에 부챗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창방들, 복수의 제2 창방들, 제3 창방과 제4 창방 각각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단을 갖는 복수의 서까래들과, 복수의 서까래들의 하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부연들과, 한 쌍의 추녀들 각각의 제1 말단에 결합되어 있고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꼭짓점을 갖는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과,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 각각이 결합되어 있는 중앙 고정판을 구비하는 복수의 지붕 분할 구조물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는, 지반에 기립되어 있는 복수의 기둥들과; 복수의 기둥들 중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기둥들 사이를 연결하여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도록 두 개의 기둥들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창방들과; 복수의 창방들에 부챗살 모양으로 지지되어 있고, 공간의 중앙을 향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말단과 처마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기둥들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말단을 갖는 한 쌍의 추녀들과; 한 쌍의 추녀들 사이에 부챗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복수의 창방들의 바깥쪽으로 하단이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서까래들과; 복수의 서까래들의 하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부연들과; 한 쌍의 추녀들 각각의 제1 말단에 결합되어 있고,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꼭짓점을 갖는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과;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 각각이 결합되어 있는 중앙 고정판과; 복수의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를 기준으로 복수의 기둥들 중 원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기둥들에 서로 평행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가운데 제1 멍에창방과 가운데 제2 멍에창방을 구비하며, 가운데 제1 멍에창방과 가운데 제2 멍에창방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버팀대들을 구비하는 바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는, 공장에서 정자 본체와 지붕을 가조립한 후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과 지붕 분할 구조물들로 분해하고, 시공현장으로 운반 및 재조립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현장에서 소요되는 시공기간과 인력을 줄여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공장에서의 가조립에 의하여 시공에 사용되는 자재들의 규격화할 수 있으며, 건축기술 미숙련공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후에도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과 지붕 분할 구조물들로 분해하여 새로운 장소로 간편하게 이전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까래들이 금속으로 제작되어 있는 부채꼴 이음판들과 중앙 고정판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지붕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에서 바닥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에서 기둥들과 창방들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에서 지붕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에서 창방들, 장혀들, 주두들과 소로들과 도리들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에서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의 제1 및 제2 기둥들, 제1 및 제2 창방들과 제1 및 제2 마루창방들과 제1 및 제2 바닥 방풍판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제1 및 제2 귀틀들이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1 및 제2 마루판들이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가운데 제1 및 제2 멍에창방에 버팀대들이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제3 바닥의 제3 귀틀이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제3 바닥의 제3 마루판들이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의 지붕에서 서까래들, 부채꼴 이음판들, 중앙 고정판과 ㄱ자 띠쇠들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의 지붕에서 서까래들, 부채꼴 이음판들, 중앙 고정판과 ㄱ자 띠쇠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의 지붕에서 서까래, 부채꼴 이음판, 중앙 고정판과 ㄱ자 띠쇠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의 예로 조립식 한옥 팔각 정자에 사용되는 부채꼴 이음판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평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의 예로 조립식 한옥 육각 정자에 사용되는 부채꼴 이음판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평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의 예로 조립식 한옥 사각 정자에 사용되는 부채꼴 이음판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평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에서 지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의 일례로 조립식 한옥 팔각 정자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는 조립식 한옥 팔각 정자 이외에도 직사각형, 정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는 공장에서 자재의 가공, 가조립 및 분해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 및 조립하여 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의 정자 본체(20)는 좌우대칭구조의 제1 본체 분할 구조물(100)과 제2 본체 분할 구조물(200)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은 정자 본체(20)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중심선(22)을 기준으로 좌우에 설치된다. 제1 본체 분할 구조물(100)은 복수의 제1 기둥(110a~110d)들, 복수의 제1 창방(120a~120c)들, 제1 바닥(130)과 복수의 제1 난간(140)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본체 분할 구조물(200)은 복수의 제2 기둥(210a~210d)들, 복수의 제2 창방(220a~220c)들, 제2 바닥(230)과 복수의 제2 난간(240)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 각각은 조립식 한옥 팔각 정자의 구성을 위하여 팔각형의 꼭짓점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 각각은 지반(30)에 시공되어 있는 복수의 초반(32)들에 수직하게 기립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초반(32)들은 주춧돌 또는 콘크리트기초로 구성될 수 있다. 초반(32)들은 지반(30)에 매립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 각각은 조립식 한옥 사각 정자의 경우 사각형의 꼭짓점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기둥들을 구비하고, 조립식 한옥 육각 정자의 경우 육각형의 꼭짓점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세 개의 기둥들을 구비한다.
복수의 창방들은 다각형의 변들을 이루도록 복수의 기둥들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창방(120a~120c, 220a~220c)들 각각은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 중 첫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a, 210a)으로부터 마지막 번째 기둥(110d, 210d)까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기둥들을 연결하도록 두 개의 기둥들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제3 창방(120d)이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 중 첫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a, 210a)을 연결하도록 첫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a, 210a)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제4 창방(220d)이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 중 마지막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d, 210d)을 연결하도록 마지막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d, 210d)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도 4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부구멍(112)이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 각각의 외면 상부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장부촉(122)이 제1 및 제2 창방(120a~120c, 220a~220c)들, 제3 창방(120d)와 제4 창방(220d)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다. 장부촉(122)은 장부구멍(112)에 맞춤되어 제1 및 제2 창방(120a~120c, 220a~220c)들, 제3 창방(120d)와 제4 창방(220d)을 기둥(110a~110d, 210a~210d)들에 결합시키게 된다.
도 1,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장혀(124)들이 제1 및 제2 창방(120a~120c, 220a~220c)들, 제3 창방(120d)와 제4 창방(220d)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장혀(124)들 각각은 복수의 주두(126a)들과 복수의 소로(126b)들에 지지되어 있다. 주두(126a)들은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소로(126b)들은 장혀(124)들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주두(126a)들과 소로(126b)들 각각은 장혀(124)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을 갖는다. 복수의 도리(128)들이 장혀(124)들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도 3과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바닥(130, 230) 각각은 지반(30)으로부터 떨어져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을 연결하도록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바닥(130, 230)은 복수의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 232)들, 복수의 제1 및 제2 귀틀(134, 234)들과 복수의 제1 및 제2 마루판(136, 236)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 232)들 각각은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귀틀(134, 234)들 각각은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 232)들 위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마루판(136, 236)들 각각은 제1 및 제2 귀틀(134, 234)들 사이를 덮도록 제1 및 제2 귀틀(134, 234)들 사이에 깔려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바닥(130, 230)은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 및 제2 귀틀(134, 234)들 사이에 제1 및 제2 마루판(136, 236)들이 깔려 있는 장마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바닥(130, 230)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은 기둥들 사이에 복수의 장귀틀들을 건너지르고, 장귀틀 사이에 복수의 동귀틀들을 건너지르며, 동귀틀들 사이에 마루청판이라 부르고도 있는 마루판들을 놓는 우물마루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난간(140, 240)들 각각이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 중 첫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a, 210a)으로부터 마지막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d, 210d)까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기둥들을 연결하도록 두 개의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제3 난간(242)이 마지막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d, 210d)을 연결하도록 마지막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d, 210d)의 외면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 난간(140, 240)들과 제3 난간(242)은 제1 및 제2 바닥(130, 23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다. 사용자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첫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a, 210a) 사이를 통하여 출입할 수 있다.
도 3과 도 7 내지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는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 각각의 바닥(130, 23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버팀대(150)들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바닥(130, 230) 각각은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 232)들 중에서 기준중심선(22)의 양쪽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가운데 제1 멍에창방(132a)과 가운데 제2 멍에창방(232a)을 갖는다. 가운데 제1 멍에창방(132a)은 첫 번째 제1 기둥(110a)과 마지막 번째 제1 기둥(110d)을 연결하도록 첫 번째 제1 기둥(110a)과 마지막 번째 제1 기둥(110d)의 외면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가운데 제2 멍에창방(232a)은 첫 번째 제2 기둥(210a)과 마지막 번째 제2 기둥(210d)을 연결하도록 첫 번째 제2 기둥(210a)과 마지막 번째 제2 기둥(210d)의 외면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안장쇠(160)들이 가운데 제2 멍에창방(232a)과 마주하는 가운데 제1 멍에창방(132a)의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안장쇠(162)들이 제1 안장쇠(160)들과 마주하도록 가운데 제2 멍에창방(232a)의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안장쇠(160, 162)들은 가운데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a, 232a)에 볼트를 체결하거나 못을 박아 고정한다. 버팀대(150)들 각각의 양단은 제1 및 제2 안장쇠(160, 162)들에 걸쳐 볼트를 체결하거나 못을 박아 고정한다. 버팀대(150)들은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 사이에 개재되어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서 조립식 한옥 팔각 정자의 형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는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 각각의 바닥(130, 230) 사이를 덮는 제3 바닥(170)을 구비한다. 제3 바닥(170)은 제3 귀틀(172)과 복수의 제3 마루판(174)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귀틀(172)은 버팀대(150)들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버팀대(150)들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제3 마루판(174)들은 제1 및 제2 바닥(130, 230) 사이를 덮도록 제3 귀틀(172)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제1 바닥(130), 제2 바닥(230)과 제3 바닥(170)의 높이는 사람이 계단(180)을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바닥(130), 제2 바닥(230)과 제3 바닥(170)의 높이는 계단(180) 또는 디딤돌 없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는 제1 바닥(130), 제2 바닥(230)과 제3 바닥(170)의 가장자리에 바람을 막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바닥 방풍판들을 구비한다. 복수의 제1 바닥 방풍판(190a~190c)들이 제1 기둥(110a~110d)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 멍에창방(132)들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바닥 방풍판(290a~290c)들이 제2 기둥(210a~210d)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 멍에창방(232)들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다. 제3 바닥 방풍판(190d)이 첫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a, 210a) 사이에 배치되도록 가운데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a, 232a)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다. 제4 바닥 방풍판(290d)이 마지막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d, 210d) 사이에 배치되도록 가운데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a, 232a)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모서리 마감부재(160)들 각각이 제1 바닥 방풍판(190a~190c)들, 제2 바닥 방풍판(290a~290c)들, 제3 바닥 방풍판(190d)과 제3 방풍판(290d) 사이에 그 간격을 메워주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1,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의 지붕(300)은 팔각모를 이루는 복수의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을 구비한다.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은 조립식 한옥 팔각 정자의 구성을 위하여 여덟 개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 각각은 한 쌍의 추녀(312)들, 복수의 서까래(314)들, 복수의 부연(316)들, 제1 평고대(318), 제2 평고대(320)과 복수의 제1 개판(322)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 각각의 추녀(312)들은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의 상방에 정렬되도록 부챗살 모양, 즉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추녀(312)들은 제1 말단(312a)과 제2 말단(312b)을 갖는다. 추녀(312)들의 제1 말단(312a)은 서로에 대하여 이웃하도록 정자 본체(20)의 중앙을 향하여 집중되어 있다. 제2 말단(312a)과 이웃하는 추녀(312)들의 하면은 도리(128)들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서까래(314)들은 추녀(312)들 사이에 부챗살 모양, 즉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선자서까래(선자연)로 구성되어 있다. 부연(316)들 각각은 추녀(312)의 제2 말단(312b)과 이웃하는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평고대(318)는 추녀(312)들과 서까래(314)들을 연결하도록 추녀(312)들의 상면과 서까래(314)들의 상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제1 평고대(318)는 볼팅(Bolting) 또는 못을 박아 추녀(312)들의 상면과 서까래(314)들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평고대(320)는 부연(316)들을 연결하도록 부연(316)들의 하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제2 평고대(318)들은 볼팅 또는 못을 박아 부연(316)들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까래(314)들의 단면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연(316)들의 단면은 약간 역사다리꼴로 형성되어 미관을 좋게 한다.
복수의 제1 개판(322)들은 서까래(312)들과 부연(316)들의 상면에 덮어져 있다. 복수의 제2 개판(324)들이 제1 개판(322)들의 상면에 덮어져 있다. 방수포(326)이 제2 개판(324)들의 상면에 덮어져 있다. 지붕마감부재(326)이 방수포(326)의 상면에 덮어져 있다. 제1 개판(322)들은 목재 루버 판(Wooden louver plate)으로 구성되고, 제2 개판(324)들은 합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붕마감부재(326)은 아스팔트싱글(Asphalt single), 기와, 금속기와, 너새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의 지붕(300)은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Sector joint plate: 330)들, 중앙 고정판(Center mounting plate: 340)을 구비한다. 부채꼴 이음판(330)들 각각은 ㄱ자 띠쇠(350)에 의하여 추녀(312)들의 제1 말단(312a)에 결합되어 있다. 부채꼴 이음판(330)들은 꼭짓점(332)을 갖는 부채꼴 고정판부(334)와, 부채꼴 고정판부(334)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있는 수직 고정판부(336)로 구성되어 있다. 부채꼴 이음판(330)들, 중앙 고정판(340)들과 ㄱ자 띠쇠(350)는 지붕(3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금속을 소재로 제작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채꼴 이음판(330)들 각각은 원판(360)을 등간격으로 절단하여 제작한다. 원판(360)은 조립식 한옥 정자(10)의 모서리 수에 맞게 부채꼴로 분할된다. 조립식 한옥 팔각 정자의 경우, 원판(360)은 여덟 조각으로 분할된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식 한옥 육각 정자의 경우, 원판(360a)은 여섯 조각의 부채꼴 이음판(330a)들로 분할되어 중앙 고정판(340a)에 체결된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립식 한옥 사각 정자의 경우, 원판(360b)은 네 조각의 부채꼴 이음판(330b)들로 분할되어 중앙 고정판(340b)에 체결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ㄱ자 띠쇠(350)의 한쪽은 볼트(352)의 체결에 의하여 추녀(312)들의 제1 말단(312a)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볼트(354)의 체결에 의하여 수직 고정판부(336)에 고정된다. 부채꼴 이음판(330)들 각각은 그 꼭짓점(332)이 중앙 고정판(340)의 상면 중앙에 모이도록 배치된다. 부채꼴 고정판부(334)는 볼트(342)의 체결에 의하여 중앙 고정판(340)의 상면에 고정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는 중앙 고정판(34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반자(370)를 구비한다. 반자(370)는 추녀(312)들에 볼트를 체결하거나 못을 박아 고정한다. 반자(370)는 추녀(312)들의 제1 말단(312a)과 중앙 고정판(340) 전체를 가려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반자(370)는 외관을 위하여 팔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다. 지붕(300)의 장식을 위한 장식물로 절병통(380)이 지붕(30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추녀(312)들과 서까래(314)들은 도리(128)들 대신에 제1 및 제2 창방(120a~120c, 220a~220c)들과 제3 및 제4 창방(120d, 220d) 위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장혀(124)들, 주두(126a)들, 소로(126b)들과 도리(128)들은 삭제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는 공장에서 가조립된 후 분해되어 시공현장으로 운반된다. 작업자는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 즉 여덟 개의 기둥들을 팔각형의 꼭짓점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배치한다. 작업자는 제1 및 제2 창방(120a~120c, 220a~220c)들, 제3 창방(120d)와 제4 창방(220d), 즉 여덟 개의 창방들을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의 상단에 결합하여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을 연결한다.
도 3,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 232)들을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의 외면 하부에 연결한다. 가운데 제1 멍에창방(132a)은 첫 번째 제1 기둥(110a)과 마지막 번째(110d)의 외면 하부에 연결되고, 가운데 제2 멍에창방(232a)은 첫 번째 제2 기둥(210a)과 마지막 번째(210d)의 외면 하부에 가운데 제1 멍에창방(132a)과 평행하도록 연결된다.
작업자는 제1 및 제2 안장쇠(160, 162)들을 가운데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a, 232a)의 마주하는 내면에 장착하고, 버팀대(150)들의 양단을 제1 및 제2 안장쇠(160, 162)에 결합한다. 작업자는 제1 귀틀(134)들과 제1 마루판(136)을 제1 멍에창방(132)들 위에 장착하여 제1 바닥(130)을 완성하고, 제2 귀틀(234)들과 제2 마루판(236)을 제2 멍에창방(232)들 위에 장착하여 제2 바닥(230)을 완성한다. 제1 및 제2 바닥(130, 230)이 완성되면, 작업자는 제1 난간(140)들을 제1 기둥(110a~110d)들 사이에 설치하고, 제2 난간(240)들을 제2 기둥(210a~210d)들 사이에 설치한다.
작업자는 제3 및 제4 창방(120d, 220d)을 분해하고, 가운데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a, 232a)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제3 및 제4 바닥 방풍판(190d, 290d)과 버팀대(150)들을 분해하여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을 분해한다. 분해되어 있는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은 트럭에 실어 공장으로부터 시공현장으로 운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 각각의 운반 시 첫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a, 210a)과 마지막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d, 210d) 각각은 임시 들보에 의하여 연결하여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지붕(300)의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을 제작한다. 작업자는 지붕 분할 구조물(310)의 제작에 앞서 제1 및 제2 창방(120a~120c, 220a~220d)들과 제3 및 제4 창방(120d, 220d)과 같이 여덟 개의 창방들이 팔각형을 이루도록 창방 구조물을 설치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ㄱ자 띠쇠(350)들 각각을 볼트(352)의 체결에 의하여 추녀(312)들의 제1 말단(312a)에 부착하고, 부채꼴 이음판(330)들 각각의 수직 고정판부(336)를 볼트(354)의 체결에 의하여 ㄱ자 띠쇠(350)들에 부착한다. 작업자는 부채꼴 이음판(330)들 각각의 꼭짓점(332)이 중앙 고정판(340)의 상면 중앙에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도록 추녀(312)들을 배치한다. 추녀(312)들의 하면은 창방 구조물의 상면에 지지된다.
도 2,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서까래(314)들을 추녀(312)들 사이에 배치하고, 제1 평고대(318)에 의하여 추녀(312)들과 서가래(314)들을 연결한다. 작업자는 서가래(314)들 각각의 하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부연(316)들을 얹고, 제2 평고대(320)에 의하여 부연(316)들을 연결한다. 작업자는 서까래(314)들과 부연(316)들 각각의 상면에 제1 개판(322)들을 덮는다. 여덟 개의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은 트럭에 실어 공장으로부터 시공현장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중앙고정판(340)은 부채꼴 이음판(330)들 중 하나에 볼트(342)의 체결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1,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과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이 시공현장에 운반되면, 초반(32)들, 예를 들면 여덟 개의 주춧돌들을 팔각형의 꼭짓점들을 이루도록 지반(30)에 배치한다. 작업자는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 각각의 하단을 초반(32)들 위에 지지시켜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을 마주하도록 배치한다.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은 크레인(Crane)에 의하여 들어 올리면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3 창방(120d)을 첫 번째 제1 기둥(110a)과 마지막 번째 제1 기둥(110d)의 상단에 결합하고, 제4 창방(220d)을 첫 번째 제2 기둥(210a)과 마지막 번째 제2 기둥(210d)의 상단에 결합한다. 작업자는 제3 및 제4 바닥 방풍판(190d, 290d) 각각을 가운데 제1 및 제2 멍에창방(132a, 232a)의 양단에 결합한다. 작업자는 버팀대(150)들의 양단을 제1 및 제2 안장쇠(160, 162)들에 결합한다. 작업자는 제3 귀틀(172)을 버팀대(150)들의 상면에 장착한 후, 제3 마루판(174)들을 깔아 제3 바닥(170)을 완성한다. 작업자는 제3 난간(242)을 마지막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d, 210d) 사이에 장착한다. 작업자는 사람의 출입을 위하여 난간이 없는 첫 번째 제1 및 제2 기둥(110a, 210a) 사이의 제3 바닥(170)과 연결되도록 계단(180)을 설치한다.
도 1, 도 2와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주두(126a)들을 제1 및 제2 기둥(110a~110d, 210a~210d)들의 상단에 장착하고, 소로(126b)들을 제1 및 제2 창방(120a~120c, 220a~220c)들과 제3 및 제4 창방(120d, 220d) 위에 장착한다. 작업자는 장혀(124)들을 주두(126a)들과 소로(126b)들에 결합하고, 도리(128)들을 장혀(124)들의 상면에 장착한다.
도 2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의 조립에 의하여 정자 본체(20)가 완성되면, 작업자는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을 설치하여 지붕(300)을 완성한다. 작업자는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 각각의 추녀(312)들에 결합되어 있는 부채꼴 이음판(330)들의 꼭짓점(332)들이 중앙 고정판(340)들의 중앙에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면,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이 정확하게 자리를 잡게 된다.
작업자는 볼트(342)의 체결에 의하여 부채꼴 이음판(330)들의 부채꼴 고정판부(334)를 중앙 고정판(340)에 고정한다. 작업자는 시공현장에서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 각각의 추녀(312)들과 서까래(314)들을 도리(128)들에 볼트를 체결하거나 띠쇠를 못으로 박아 결합한다. 추녀(312)들은 금속으로 제작되어 있는 부채꼴 이음판(330)들, 중앙 고정판(340)들과 ㄱ자 띠쇠(350)에 의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지붕(300)의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2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이 설치되면, 작업자는 제1 개판(322)들 위에 제2 개판(324)들, 방수포(326), 지붕마감부재(326)들을 순차적으로 덮어 지붕(300)을 완성한다. 작업자는 지붕(300)의 중앙에 절병통(380)을 설치하고, 추녀(312)들의 제1 말단(312a), 서까래(314)들의 상단과 중앙 고정판(340) 전체를 가리도록 정자 본체(20)의 천장에 반자(370)를 설치하여 조립식 한옥 정자(10)의 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는 어느 한 장소에 시공한 후 새로운 장소로 이전하여 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어느 한 장소에 시공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의 지붕(300)을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로 분해하고, 정자 본체(20)를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로 분해한 후 트럭에 실어 새로운 장소로 이전한다. 작업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과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을 재조립하여 조립식 한옥 정자(10)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10)는 활용가치가 높아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한옥 정자에서 지붕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지붕(300a)은 네 개의 지붕 분할 구조물(310a)들과 네 개의 보조 지붕 분할 구조물(410)들을 구비한다. 네 개의 지붕 분할 구조물(310a)들 각각은 앞에서 설명한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과 기본적인 구성이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설명한다.
네 개의 지붕 분할 구조물(310a)들 각각은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과 마찬 가지로 한 쌍의 추녀(312)들, 복수의 서까래(314)들, 복수의 부연(316)들, 제1 평고대(318)와 제2 평고대(320)를 구비한다. 지붕 분할 구조물(310)들 각각의 추녀(312)들은 ㄱ자 띠쇠(350)에 의하여 네 개의 부채꼴 이음판(330)들에 결합되어 있다. 네 개의 부채꼴 이음판(330)들은 중앙 고정판(340)에 결합되어 있다.
네 개의 보조 지붕 분할 구조물(410)들은 제1 및 제2 본체 분할 구조물(100, 200)의 상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네 개의 보조 지붕 분할 구조물(410)들 각각은 한 쌍의 추녀 고정대(412)들, 복수의 서까래(414)들, 복수의 부연(416)들, 제1 평고대(418)와 제2 평고대(420)를 구비한다.
한 쌍의 추녀 고정대(412)들은 네 개의 지붕 분할 구조물(310a)들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붕 분할 구조물(310a)들의 추녀(312)들에 결합되어 있다. 추녀 고정대(412)들은 못을 박거나 볼트의 체결에 의하여 추녀(312)들에 결합될 수 있다. 서까래(414)들은 추녀 고정대(412)들 사이에 부챗살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부연(416)들 각각은 추녀 고정대(412)들의 말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평고대(418)는 서까래(414)들의 상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제2 평고대(420)는 부연(416)들을 연결하도록 부연(416)들의 하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지붕(300a)은 네 개의 지붕 분할 구조물(310a)들과 네 개의 보조 지붕 분할 구조물(410)들로 구성되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조립식 한옥 정자 20: 정자 본체
100: 제1 본체 분할 구조물 110a~110d: 제1 기둥
120a~120d: 제1 창방 120d: 제3 창방
124: 장혀 126a: 주두
126b: 소로 128: 도리
130: 제1 바닥 140: 제1 난간
150: 버침대 160: 제1 안장쇠
162: 제2 안장쇠 170: 제3 바닥
190a~190c: 제1 바닥 방풍판 190d: 제3 바닥 방풍판
200: 제2 본체 분할 구조물 210a~210d: 제2 기둥
220a~220d: 제2 창방 220d: 제4 창방
230: 제2 바닥 240: 제2 난간
290a~290c: 제2 바닥 방풍판 290d: 제4 바닥 방풍판
300, 300a: 지붕 310, 310a: 지붕 분할 구조물
312: 추녀 314: 서까래
316: 부연 318: 제1 평고대
320: 제2 평고대 322: 제1 개판
324: 제2 개판 328: 지붕 마감재
330: 부채꼴 이음판 340: 중앙 고정판
350: ㄱ자 꺽쇠 370: 반자
410: 보조 지붕 분할 구조물 412: 추녀 고정대
414: 서까래 416: 부연
418: 제1 평고대 420: 제2 평고대

Claims (10)

  1. 복수의 제1 기둥들과,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바닥과,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들 중 첫 번째 제1 기둥부터 마지막 번째 제1 기둥까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1 기둥들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창방들을 구비하는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상기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제2 기둥들과,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바닥과,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들 중 첫 번째 제2 기둥부터 마지막 번째 제2 기둥까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기둥들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창방을 구비하는 제2 본체 분할 구조물과;
    상기 제1 바닥과 상기 제2 바닥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바닥과 상기 제2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바닥과;
    상기 첫 번째 제1 기둥과 상기 첫 번째 제2 기둥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창방과;
    상기 마지막 번째 제1 기둥과 상기 마지막 번째 제2 기둥의 외면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4 창방과;
    상기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상기 제2 본체 분할 구조물의 상부에 부챗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말단과 처마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1 기둥들과 상기 복수의 제2 기둥들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말단을 갖는 한 쌍의 추녀들과, 상기 한 쌍의 추녀들 사이에 부챗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창방들, 상기 복수의 제2 창방들, 상기 제3 창방과 상기 제4 창방 각각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하단을 갖는 복수의 서까래들과, 상기 복수의 서까래들의 하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부연들과, 상기 한 쌍의 추녀들 각각의 제1 말단에 결합되어 있고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꼭짓점을 갖는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과, 상기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 각각이 결합되어 있는 중앙 고정판을 구비하는 복수의 지붕 분할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조립식 한옥 정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추녀들의 제1 말단에 복수의 ㄱ자 띠쇠들이 각각 더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ㄱ자 띠쇠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에 결합되어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은 상기 첫 번째 제1 기둥과 상기 마지막 번째 제1 기둥의 외면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가운데 제1 멍에창방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닥은 상기 가운데 제1 멍에창방과 마주하도록 상기 첫 번째 제2 기둥과 상기 마지막 번째 제2 기둥의 외면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가운데 제2 멍에창방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상기 제2 본체 분할 구조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운데 제1 멍에창방과 상기 가운데 제2 멍에창방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버팀대들을 더 구비하는 조립식 한옥 정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운데 제2 멍에창방과 마주하는 상기 가운데 제1 멍에창방의 면에 복수의 제1 안장쇠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운데 제1 멍에창방과 마주하는 상기 가운데 제2 멍에창방의 면에 상기 복수의 제1 안장쇠들과 마주하도록 복수의 제2 안장쇠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버팀대들의 양단은 상기 복수의 제1 안장쇠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안장쇠들에 결합되어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창방들, 상기 복수의 제2 창방들, 상기 제3 창방과 상기 제4 창방의 상방에 복수의 장혀들이 복수의 주두들과 복수의 소로들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장혀들의 상면에 복수의 도리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추녀들과 상기 복수의 서까래들은 상기 복수의 도리들에 지지되어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붕 분할 구조물들은 상기 제1 본체 분할 구조물과 상기 제2 본체 분할 구조물의 상부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지붕 분할 구조물들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붕 분할 구조물들 사이에 보조 지붕 분할 구조물들이 각각 장착되어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
  7. 지반에 기립되어 있는 복수의 기둥들과;
    상기 복수의 기둥들 중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기둥들 사이를 연결하여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두 개의 기둥들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창방들과;
    상기 복수의 창방들에 부챗살 모양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공간의 중앙을 향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말단과 처마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기둥들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말단을 갖는 한 쌍의 추녀들과;
    상기 한 쌍의 추녀들 사이에 부챗살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창방들의 바깥쪽으로 하단이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서까래들과;
    상기 복수의 서까래들의 하단과 이웃하는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부연들과;
    상기 한 쌍의 추녀들 각각의 제1 말단에 결합되어 있고, 서로에 대하여 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꼭짓점을 갖는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과;
    상기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 각각이 결합되어 있는 중앙 고정판과;
    상기 복수의 기둥들의 외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기둥들 중 원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기둥들에 서로 평행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가운데 제1 멍에창방과 가운데 제2 멍에창방을 구비하며, 상기 가운데 제1 멍에창방과 상기 가운데 제2 멍에창방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버팀대들을 구비하는 바닥을 포함하는 조립식 한옥 정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추녀들의 제1 말단에 복수의 ㄱ자 띠쇠들이 각각 더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ㄱ자 띠쇠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부채꼴 이음판들에 결합되어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운데 제2 멍에창방과 마주하는 상기 가운데 제1 멍에창방의 면에 복수의 제1 안장쇠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가운데 제1 멍에창방과 마주하는 상기 가운데 제2 멍에창방의 면에 상기 복수의 제1 안장쇠들과 마주하도록 복수의 제2 안장쇠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버팀대들의 양단은 상기 복수의 제1 안장쇠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안장쇠들에 결합되어 있는 조립식 한옥 정자.
KR1020120111487A 2012-10-08 2012-10-08 조립식 한옥 정자 KR101245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487A KR101245229B1 (ko) 2012-10-08 2012-10-08 조립식 한옥 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487A KR101245229B1 (ko) 2012-10-08 2012-10-08 조립식 한옥 정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229B1 true KR101245229B1 (ko) 2013-03-19

Family

ID=4818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487A KR101245229B1 (ko) 2012-10-08 2012-10-08 조립식 한옥 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22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357B1 (ko) * 2015-02-10 2015-06-08 주식회사 금오조경개발 내풍압 구조의 한옥형 퍼걸러
KR101566891B1 (ko) * 2015-06-12 2015-11-06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의 건축물 시공방법
KR101646496B1 (ko) 2016-02-02 2016-08-12 주식회사 와이제이조경산업 정자
KR101691190B1 (ko) * 2016-05-11 2016-12-29 박종규 조립식 정자의 마루판 조립 구조
KR20170018587A (ko) 2015-08-10 2017-02-20 (주)영승조경랜드 조립식 정자의 기둥부재용 주두
KR20180064677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삼성조경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64673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삼성조경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경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39951B1 (ko) 2018-09-20 2019-11-04 김선갑 중보 장악형 구조를 갖는 한식 구조물 시공용 주두 조립체
KR102062511B1 (ko) 2018-09-20 2020-01-03 정용환 한식 구조물 시공용 추녀 매립형 주두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21B1 (ko) 2006-07-21 2007-10-12 김태석 조립식 정자
KR100902642B1 (ko) * 2009-01-30 2009-06-15 대흥우드산업(주) 정자
KR100915976B1 (ko) 2009-04-01 2009-09-10 주식회사 한울 정자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21B1 (ko) 2006-07-21 2007-10-12 김태석 조립식 정자
KR100902642B1 (ko) * 2009-01-30 2009-06-15 대흥우드산업(주) 정자
KR100915976B1 (ko) 2009-04-01 2009-09-10 주식회사 한울 정자 조립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357B1 (ko) * 2015-02-10 2015-06-08 주식회사 금오조경개발 내풍압 구조의 한옥형 퍼걸러
KR101566891B1 (ko) * 2015-06-12 2015-11-06 라은건설 (주) 한옥 양식의 건축물 시공방법
KR20170018587A (ko) 2015-08-10 2017-02-20 (주)영승조경랜드 조립식 정자의 기둥부재용 주두
KR101646496B1 (ko) 2016-02-02 2016-08-12 주식회사 와이제이조경산업 정자
KR101691190B1 (ko) * 2016-05-11 2016-12-29 박종규 조립식 정자의 마루판 조립 구조
KR20180064677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삼성조경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64673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삼성조경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경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96358B1 (ko) * 2016-12-06 2018-09-07 주식회사 삼성조경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경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12098B1 (ko) * 2016-12-06 2018-10-26 주식회사 삼성조경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39951B1 (ko) 2018-09-20 2019-11-04 김선갑 중보 장악형 구조를 갖는 한식 구조물 시공용 주두 조립체
KR102062511B1 (ko) 2018-09-20 2020-01-03 정용환 한식 구조물 시공용 추녀 매립형 주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229B1 (ko) 조립식 한옥 정자
KR100902642B1 (ko) 정자
KR100934458B1 (ko) 철골구조가 적용된 한식 건축물과 그 건축방법
US4426814A (en) Prefabricated gazebo
KR101678908B1 (ko) 옥상 설치형 조립식 온실
KR101180075B1 (ko)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KR101730460B1 (ko) 철골조물과 전통 목조건축기법을 혼용한 하이브리드 한옥 및 그러한 하이브리드 한옥의 건축방법
KR101208892B1 (ko) 조립식 정자
KR20100097979A (ko)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KR20090093012A (ko) 석재를 이용한 정자의 조립구조
KR100766421B1 (ko) 조립식 정자
KR101245230B1 (ko) 조립식 정자
KR101195098B1 (ko) 매립형 고정 브라켓
KR10189635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경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14477B1 (ko)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KR10191209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384784B2 (ja) ガレージデッキ
KR101292748B1 (ko) 가구식 건축물의 맞춤식 공법 및 전통한식 구조
EP3404155A1 (en) A balcony or an attached terrace
KR101248375B1 (ko) 우산형 정자
KR101085007B1 (ko) 전통 한옥지붕을 갖는 건축 구조물
KR102234782B1 (ko)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통 한옥의 외관을 갖는 다층 한옥의 골조
KR20060007545A (ko)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
JP2996983B2 (ja) プレハブ住宅の施工方法
SU1408034A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