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421B1 - 조립식 정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421B1
KR100766421B1 KR1020060068439A KR20060068439A KR100766421B1 KR 100766421 B1 KR100766421 B1 KR 100766421B1 KR 1020060068439 A KR1020060068439 A KR 1020060068439A KR 20060068439 A KR20060068439 A KR 20060068439A KR 100766421 B1 KR100766421 B1 KR 10076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illar
coupled
support
spe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석
Original Assignee
김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석 filed Critical 김태석
Priority to KR102006006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04B2001/0084Buildings with non right-angled horizontal layout grid, e.g. triangular or hexagonal
    • E04B2001/0092Small buildings with hexagonal or similar horizonta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정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골격부에서부터 마루판, 기둥, 지붕까지 규격화하여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고 볼트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인원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욱더 안정된 결합구조에 의해 견고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정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중앙에 설치된 허브(11)에 다수의 지지대(12)를 각각 방사상으로 결합하여 다각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바닥골격부(10); 상기 바닥골격부(10)의 각 지지대(12)의 사이에 각각 분할 조립되는 마루판(20); 상기 각 지지대(12)의 외측단부에 기둥결합수단(60)을 통해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기둥(30); 상기 각 기둥(30)의 상단에 지붕결합수단(70)을 통해 결합되되 각 기둥(30)의 사이에 각각 분할 조립되면서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붕(40); 상기 지붕(40)의 상단에 조립됨과 아울러 지붕(40)의 조립시 상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탑지붕(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허브(11)는 상기 각 지지대(12)의 내측단부의 상,하측면에 볼트(11c)로 결합되는 다각형의 상판(11a)과 하판(11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식, 정자, 팔각형, 바닥골격부, 마루판, 기둥, 지붕, 탑지붕

Description

조립식 정자{Prefabrication Type Pavil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바닥골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허브와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기둥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지붕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의 지붕을 다층구조로 조립한 경우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의 지붕을 다층구조로 조립한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바닥골격부를 평면 도 및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조립식 정자 10: 바닥골격부
11: 허브 12,18: 지지대
12a: 제 2 결합홈
13: 앙카탭 15: 콘크리트 구조물
16: 가림판 17: 연결보
20: 마루판 21: 판재
22: 가이드부재 30: 기둥
31: 돌출부 32: 제 1 결합홈
33: 관통공
40: 지붕 41: 측벽
42: 삽입홈 43: 홈
50: 탑지붕 51: 조명
60: 기둥결합수단 61: 고정탭
62,63,71: 볼트 70: 지붕결합수단
80: 전선 90a,90b: 난간
95: 보조기둥 96: 보조난간
본 발명은 조립식 정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골격부에서부터 마루판, 기둥, 지붕까지 규격화하여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고 볼트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인원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욱더 안정된 결합구조에 의해 견고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정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자는 놀거나 쉬기 위하여 주로 경치나 전망이 좋은 곳에 아담하게 지은 집을 뜻하는 것으로, 미관상 미려하고 주변 전경을 한눈에 전망할 수 있도록 시공되고 있다.
이처럼 휴양지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정자는 목재, 철재, 콘크리트, 벽돌, 점토기 등 다양한 재료 등을 사용하므로 이로인한 재료비가 많이 들고 설치시간도 오래 걸리며 시공시 전문공정별 전문기술자가 설치하여야 하므로 인건비도 많이 들어 쉽게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철재, 콘크리트, 벽돌, 점토기 등은 한번 설치되면 분리 및 이동이 불가능함에 따라 철거해야 할 때에는 비용이 증대하고 재활용이 어려움은 물론 주변 자연환경과 어울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변 자연환경과 어울리는 재료로써 친환경적인 목재 정자를 많이 설치하고 있으나, 목재 정자의 경우, 목재를 일일이 가공해야 함은 물론 시공시 주로 못을 박아서 시공하기 때문에 견고하지 못하고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며 전문기술자 등 인원이 많이 필요한 문제가 있고, 또한 목재를 못으로 고정/결합하기 때문 에 한번 설치하면 분리 및 이동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아울러, 종래 목재 정자의 경우 규격화 되지 않아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골격부에서부터 마루판, 기둥, 지붕까지 규격화하여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고 볼트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인원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욱더 안정된 결합구조에 의해 견고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정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설치된 허브에 다수의 지지대를 각각 방사상으로 결합하여 다각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바닥골격부; 상기 바닥골격부의 각 지지대의 사이에 각각 분할 조립되는 마루판; 상기 각 지지대의 외측단부에 기둥결합수단을 통해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기둥; 상기 각 기둥의 상단에 지붕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되 각 기둥의 사이에 각각 분할 조립되면서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붕; 상기 지붕의 상단에 조립됨과 아울러 지붕의 조립시 상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탑지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허브는 상기 각 지지대의 내측단부의 상,하측면에 볼트로 결합되는 다각형의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바닥골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허브와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기둥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지붕결합수단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의 지붕을 다층구조로 조립한 경우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의 지붕을 다층구조로 조립한 경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정자(1)는, 크게 바닥골격부(10), 마루판(20), 기둥(30), 지붕(40), 탑지붕(50)이 모두 조립식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립식 정자(1)는 전체모양이 정팔각형이나 길쭉한 팔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팔각형 외에 다른 다각형도 가능하다.
먼저,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립식 정자(1)의 전체모양이 정팔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로써, 상기 바닥골격부(10)는, 중앙에 설치된 허브(11)에 다수의 지지대(12)를 각각 방사상으로 결합하여 다각형(정팔각형)의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지지대(12)의 외측단부를 모두 연결하면 정팔각형이 된다.
한편, 상기 바닥골격부(10)는 조립식 정자(1)를 정팔각형으로 조립할건지 아 니면 길쭉한 팔각형으로 조립할건지에 따라 그 구조가 결정된다. 길쭉한 팔각형일 경우의 구조는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허브(11)는 상기 각 지지대(12)의 내측단부의 상,하측면에 볼트(11c)로 결합되는 다각형(정팔각형)의 상판(11a)과 하판(1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골격부(10)에 각각 분할된 8개의 마루판(20)을 조립할때 각 마루판(20)의 내측단부가 모이는 허브(11)의 상측에는 공간부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부를 없애기 위해 상기 허브(11)의 상측에 보조판(11d)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바닥골격부(10)는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보다 견고한 설치를 위해서 지면에 먼저 일정두께의 콘크리트 구조물(15)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5)의 상측에 바닥골격부(10)를 조립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수의 지지대(12)는 "ㄱ"자 형태의 앙카탭(13)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15)과 볼트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마루판(20)은 상기 바닥골격부(10)의 각 지지대(12)의 사이에 각각 분할 조립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립식 정자(1)는 팔각형이기 때문에 총 8개의 분할된 마루판(20)이 각 지지대(12)의 사이에 조립된다.
상기 마루판(20)은 이웃하는 지지대(12)의 상측면에 양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길어지는 복수개의 판재(21)와, 상기 복수개의 판재(21)를 결합함과 동시에 판재(21)를 지지대의 상측면에 간편하게 안착/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판재(21)의 하측 양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12)의 측면과 밀착되는 가이드부재(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마루판(20)이 이웃하는 지지대(12)의 상측면에 안착/조립될 때 상기 판재(21)의 양 끝단부는 각 지지대(12)의 상단면의 반만 겹치게 안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22)는 이웃하는 지지대(12)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면서 지지대(12)의 측면과 밀착되기 때문에 마루판(20)을 바닥골격부(10)에 조립할때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닥골격부(10)에 마루판(20)을 조립하고 나면, 상기 바닥골격부(10)의 각 지지대(12)의 사이 공간부가 외부에서 보이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이 공간부를 가릴수 있도록 격자형태의 가림판(16)이 각 지지대(12)의 외측 끝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30)은 상기 각 지지대(12)의 외측단부에 기동결합수단(60)을 통해 수직으로 결합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각 지지대(12) 하나당 일대일 대응하여 기둥(30)이 세워진다.
상기 기둥결합수단(60)은 상기 기둥(30)의 하단면 중심에 형성되는 일정깊이의 제 1 결합홈(32)과, 상기 지지대(12)의 상단면 중앙에 형성되는 일정깊이의 제 2 결합홈(12a)과, 일단부가 상기 제 1 결합홈(32)에 삽입되어 볼트(63)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결합홈(12a)에 삽입되어 볼트(62) 결합되는 고정탭(6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대(12)와 고정탭(61)을 결합하는 볼트(62)는, 상기에서 지지 대(12)를 콘크리트 구조물(15)에 결합하기 위해 지지대(12)와 앙카탭(13)을 고정하는 볼트(62)와 동일한 볼트이다.
즉, 상기 고정탭(61)을 지지대(12)의 제 2 결합홈(12a)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앙카탭(13)과 지지대(12) 및 고정탭(61)을 동시에 하나의 볼트(62)로 고정/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앙카탭(13)과 지지대(12) 및 고정탭(61)을 결합하는 볼트(62)는 그 단부를 상기 마루판(20)의 가이드부재(22)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붕(40)은 상기 각 기둥(30)의 상단에 지붕결합수단(70)을 통해 결합되되 각 기둥(30)의 사이에 각각 분할 조립되면서 조립식 정자(1)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지붕(40) 역시 8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각 지붕(40)의 측벽(41)은 이웃하는 지붕(40)의 측벽(41)과 서로 볼트(미도시) 결합된다.
상기 지붕결합수단(70)은 상기 복수개로 분할된 지붕(40)의 서로 마주하는 각 측벽(41)에 형성되는 삽입홈(42)과, 상기 기둥(30)의 상단에 기둥(30) 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홈(42)에 삽입되는 돌출부(31)와, 상기 돌출부(31)가 삽입홈(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붕(40)의 측벽(41)과 기둥(30)의 돌출부(31)를 결합하는 볼트(7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로 마주하는 지붕(40)의 각 측벽(41)은 상기 기둥(30)의 상단에 안착됨과 아울러 서로 마주하는 각 측벽(41)의 두께의 합은 상기 기둥(30) 하나의 폭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지붕(40)은 단층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7 및 도 8과 같이 다층(도면에서는 2층)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붕(40)을 다층 구조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지붕(40)을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분할하여 다층이 되도록 하고, 이때 각 층의 지붕(40a)(40b)간에는 보조기둥(95)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기둥(95)의 사이에는 보조난간(9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기둥(95)의 상단은 상기 지붕결합수단(70)과 동일 구조로 윗층 지붕(40a)과 결합되고, 보조기둥(95)의 하단은 상기 기둥결합수단(60)과 동일 구조로 아래층 지붕(40b)과 결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둥(30)과 보조기둥(95)은 높이만 다를뿐 모두 동일한 결합구조로 대상물과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고 규격화에도 용이한 구조이다.
즉, 상기 기둥(30)과 보조기둥(95)의 상단은 상기 지붕결합수단(70)을 통해 대상물인 지붕과 결합되고, 상기 기둥(30)과 보조기둥(95)의 하단은 상기 기둥결합수단(60)을 통해 대상물인 지지대(12)나 아래층 지붕(40b)과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붕(40)을 2층구조 뿐만아니라 3층구조로 구성할 경우에도 상기 보조기둥(95)의 결합구조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탑지붕(50)은 상기 지붕(40)의 상단에 조립되는데, 즉, 8개의 분할된 지붕(40)의 조립시 각 지붕(40)의 상단이 맞나는 부분에는 개구부가 필연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개구부를 덮도록 탑지붕(5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 기 탑지붕(50)은 상기 지붕(40)의 상단에 볼트(미도시)나 연결고리(미도시) 등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탑지붕(50)의 내측에는 조명(51)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명(51)에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조립식 정자(1)에는 상기 조명(51)과 연결되는 전선(8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선(80)이 미관상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지면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로 분할된 지붕(40)의 측벽(4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전선(80)이 지나가도록 홈(43)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30)(지붕이 다층구조일 경우에는 보조기둥도 포함)의 내부에는 전선(80)이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관통공(33)이 형성되며, 상기 마루판(20)에는 상기 기둥(30)의 관통공(33)을 통과한 전선(80)이 지면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80)의 단부에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조명(51)과 간편하게 연결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기둥(30)의 상부측과 하부측 중 적어도 한곳에는 각 기둥(30)의 사이를 연결하는 난간(90a)(90b)이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기둥(30)의 상부와 하부측에 모두 난간(90a)(90b)을 설치하였다.
상기 난간(90a)(90b)은 상기 기둥(30)과 볼트(63)(71) 결합되는데, 이때 상부측에 설치되는 난간(90b)과 기둥(30)의 최상단을 결합시키는 볼트(71)는 상기 지붕결합수단(70)에서 사용하는 볼트(71)와 동일한 볼트이다. 즉, 상기 지붕결합수단(70)인 상기 기둥(3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31)를 지붕(40)의 측벽(41)에 형 성된 삽입홈(42)에 삽입한 후 볼트(71) 결합하기 전에 상기 기둥(30)의 양측에 난간(90b)을 위치시켜 상기 하나의 볼트(71)로 난간(90b)까지 한번에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측에 설치되는 난간(90a)과 기둥(30)의 최하단을 결합시키는 볼트(63)는 상기 기둥결합수단(60)에서 사용하는 볼트(63)와 동일한 볼트이다. 즉, 상기 기둥결합수단(60)인 상기 고정탭(61)의 일단부를 기둥(30)의 제 1 결합홈(32)에 삽입한 후 볼트(63) 결합하기 전에 상기 기둥(30)의 양측에 난간(90a)을 위치시켜 상기 하나의 볼트(63)로 난간(90a)까지 한번에 결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난간(90a)이 결합되는 각 기둥(30)에는 난간(90a)의 결합부위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보호커버(35)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기둥(30)의 사이에 난간(90a)을 설치할 때, 한 곳은 난간(90a)을 설치하지 않거나 일부만 설치하여 출입구를 설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붕(40)의 상측에는 동판(미도시)이나, 기와(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1)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 앞서, 상기 조립식 정자(1)는, 정자(1)의 크기에 따라 공장에서 미리 규격화된 다양한 크기로 모든 구조물(바닥골격부,마루판,기둥,지붕,탑지붕 등)이 제작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크기 및 디자인의 정자(1)를 주문하여 설치할 장소에서 간편하게 조립만 하면 된다.
먼저, 지면에 콘크리트 구조물(15)을 시공하게 되는데, 물론 반드시 콘크리트 구조물(15)을 시공할 필요는 없다.
이후,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5)의 상단에는 상기 바닥골격부(10)를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허브(11)에 다수의 지지대(12)를 방사상으로 볼트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각 지지대(12)의 외측단부는 앙카탭(13)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5)에 견고하게 볼트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기둥결합수단(60)인 고정탭(61)의 일단부도 상기 지지대(12)의 제 2 결합홈(12a)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62)로 함께 결합한다.
계속해서, 상기 바닥골격부(10)의 각 지지대(12)의 사이에는 상기 8개로 분할된 마루판(20)을 각각 안착시켜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마루판(20)을 조립하게 되면, 상기 고정탭(61)의 상단은 각 마루판(20)의 사이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각 지지대(12)의 외측단부에 기둥결합수단(60)을 이용하여 기둥(30)을 세우게 되는데, 즉, 상기 기둥(30)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 1 결합홈(32)을 상기 고정탭(61)에 끼운 상태에서 각 기둥(30)의 사이에 하부측 난간(90a)을 위치시키고 하나의 볼트(63)로 난간(90a)과 기둥(30) 및 고정탭(61)을 한번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30)의 상단에 지붕결합수단(70)을 이용하여 8개의 분할된 지붕(4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된다. 즉, 서로 이웃하는 지붕(40)의 마주하는 측 벽(41)을 기둥(30)의 상단에 안착시키고, 이때 기둥(3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31)를 지붕(40)의 측벽(41)에 형성된 삽입홈(42)에 삽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각 기둥(30)의 사이에 상부측 난간(90b)을 위치시키고 하나의 볼트(71)로 난간(90b)과 지붕(40)의 측벽(41) 및 기둥(30)의 돌출부(31)를 한번에 결합한다. 이런 방법으로 8개의 지붕(40)을 모두 결합하게 되며, 각 지붕(40)의 측벽(41)은 서로 볼트(미도시)로 결합한다.
이후, 상기 지붕(40)의 상단에 상기 탑지붕(50)을 볼트로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각 기둥(30)의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측 난간(90a) 중 하나를 생략하여 이 부분에 출입구를 만든다. 상기 출입구에는 양쪽 기둥에 문(미도시)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출입구의 양측 기둥에 별도의 좁은 난간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정자(1)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탑지붕(50)의 내측에 설치된 조명(5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80)은 상기 기둥(30)을 조립하기 전에 미리 기둥(30)의 관통공(33)에 전선(80)을 삽입한 후 기둥(30)을 조립하게 되며, 상기 지붕(40)의 조립시에도 지붕(40)의 측벽(41)에 형성된 홈(43)에 전선(80)을 끼운상태로 조립하여 전선(8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정자에서 바닥골격부를 평면 도 및 사시도로써,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정팔각형(제 1 실시예)이 아닌 길쭉한 팔각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길쭉한 팔각형 형태의 조립식 정자(1)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바닥골격부(10)를 일부만 변형하면 된다.
즉, 상기 바닥골격부(10)는 상기 다수의 지지대(12)가 방사상으로 결합된 허브(11)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허브(11)는 연결보(17)에 의해 서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보(17)에는 지지대(18)가 결합된다.
이처럼, 정팔각형 아닌 길쭉한 팔각형 형태의 조립식 정자(1)를 만들기 위해서는 2개의 허브(11)를 사용하면 된다.
이때, 일측 허브(11)에는 4개의 지지대(12)가 방사상으로 볼트 조립되고, 타측 허브(11)에도 4개의 지지대(12)가 방사상으로 볼트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대(12)의 사이에 마루판(20)을 조립하고, 상기 각 지지대(12)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기둥(30)을 조립하며, 상기 기둥(30)의 상단에는 지붕(40)을 조립하는 것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정자(1)는 크기나 디자인별로 규격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크기 및 디자인을 구입하여 원하는 설치장소에 끼워 맞춤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의 인원으로도 조립이 가능하고 전문인력이 필요없으며, 시공시간도 단축할수 있어서 전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정팔각형 정자와 길쭉한 팔각형 정자 모두 대부분의 구조물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40)도 단층 뿐만 아니라 다층도 가능하며, 전선(80)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골격부에서부터 마루판, 기둥, 지붕까지 크기 및 디자인별로 규격화하여 끼워 맞춤식으로 조립하고 볼트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전문인력 필요없이 최소한의 인원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둥결합수단 및 지붕결합수단과 같은 더욱더 안정된 결합구조에 의해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정팔각형 정자와 길쭉한 팔각형 정자 모두 대부분의 구조물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더욱더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지붕도 단층 뿐만 아니라 다층도 가능하며, 전선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립식 정자를 분리 및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도 간편하게 볼트만 풀면 되기 때문에 분리 및 이동이 자유롭고, 이에따라 파손된 부분도 쉽게 교체 가 가능하다.

Claims (9)

  1. 중앙에 설치된 허브(11)에 다수의 지지대(12)를 각각 방사상으로 결합하여 다각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바닥골격부(10);
    상기 바닥골격부(10)의 각 지지대(12)의 사이에 각각 분할 조립되는 마루판(20);
    상기 각 지지대(12)의 외측단부에 기둥결합수단(60)을 통해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기둥(30);
    상기 각 기둥(30)의 상단에 지붕결합수단(70)을 통해 결합되되 각 기둥(30)의 사이에 각각 분할 조립되면서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붕(40);
    상기 지붕(40)의 상단에 조립됨과 아울러 지붕(40)의 조립시 상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탑지붕(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허브(11)는 상기 각 지지대(12)의 내측단부의 상,하측면에 볼트(11c)로 결합되는 다각형의 상판(11a)과 하판(11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판(20)은 이웃하는 지지대(12)의 상측면에 양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길어지는 복수개의 판재(21)와,
    상기 판재(21)를 지지대(12)의 상측면에 간편하게 안착/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판재(21)의 하측 양 끝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대(12)의 측면과 밀착되는 가이드부재(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결합수단(60)은 상기 기둥(30)의 하단면 중심에 형성되는 일정깊이의 제 1 결합홈(32)과,
    상기 지지대(12)의 상단면 중앙에 형성되는 일정깊이의 제 2 결합홈(12a)과,
    일단부가 상기 제 1 결합홈(32)에 삽입되어 볼트(63)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결합홈(12a)에 삽입되어 볼트(62) 결합되는 고정탭(6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결합수단(70)은 상기 복수개로 분할된 지붕(40)의 서로 마주하는 각 측벽(41)에 형성되는 삽입홈(42)과,
    상기 기둥(30)의 상단에 기둥(30) 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홈(42)에 삽입되는 돌출부(31)와,
    상기 돌출부(31)가 삽입홈(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붕(40)의 측벽(41)과 기둥(30)의 돌출부(31)를 결합하는 볼트(7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지붕(50)의 내측에는 조명(51)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명(51)에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조명(51)과 연결되는 전선(80)이 설치되되, 상기 전선(8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지면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지붕(40)의 측벽(41)에는 전선(80)이 지나가도록 홈(43)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30)의 내부에는 전선(80)이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관통공(33)이 형성되며, 상기 마루판(20)에는 상기 기둥(30)의 관통공(33)을 통과한 전선(80)이 지면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30)의 상부측과 하부측 중 적어도 한곳에는 각 기둥(30)의 사이를 연결하는 난간(90a)(90b)이 설치되며, 상기 난간(90a)이 결합되는 각 기둥(30)에는 난간(90a)의 결합부위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보호커버(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40)은 다층 구조로 형성되며, 각 층의 지붕(40a)(40b)간에는 보조기둥(95)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기둥(95)의 사이에는 보조난간(96)이 설치되되, 상기 보조기둥(95)의 상단은 상기 지붕결합수단(70)과 동일 구조로 윗층 지붕(40a)과 결합되고, 보조기둥(95)의 하단은 상기 기둥결합수단(60)과 동일 구조로 아래층 지붕(40b)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골격부(10)는 상기 다수의 지지대(12)가 방사상으로 결합된 허브(11)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허브(11)는 연결보(17)에 의해 서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보(17)에는 지지대(18)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정자.
KR1020060068439A 2006-07-21 2006-07-21 조립식 정자 KR10076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39A KR100766421B1 (ko) 2006-07-21 2006-07-21 조립식 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39A KR100766421B1 (ko) 2006-07-21 2006-07-21 조립식 정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421B1 true KR100766421B1 (ko) 2007-10-12

Family

ID=3942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439A KR100766421B1 (ko) 2006-07-21 2006-07-21 조립식 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4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70B1 (ko) 2010-09-29 2011-07-11 조규철 정자 구조를 지닌 전망대
KR101191080B1 (ko) 2012-03-16 2012-10-15 서삼덕 일체형 조립식 파라솔
KR101245229B1 (ko) 2012-10-08 2013-03-19 대흥우드산업(주) 조립식 한옥 정자
KR101270564B1 (ko) 2013-02-08 2013-06-03 진도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정자
KR101610673B1 (ko) * 2015-02-24 2016-04-08 (주)경구 조립식 파라솔의 지붕 중심 프레임
KR101694992B1 (ko) 2016-05-11 2017-01-10 문종선 정자의 지붕 구조물 연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437U (ko) * 1997-08-04 1999-03-05 이은구 목재 구조물 시공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437U (ko) * 1997-08-04 1999-03-05 이은구 목재 구조물 시공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70B1 (ko) 2010-09-29 2011-07-11 조규철 정자 구조를 지닌 전망대
KR101191080B1 (ko) 2012-03-16 2012-10-15 서삼덕 일체형 조립식 파라솔
KR101245229B1 (ko) 2012-10-08 2013-03-19 대흥우드산업(주) 조립식 한옥 정자
KR101270564B1 (ko) 2013-02-08 2013-06-03 진도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정자
KR101610673B1 (ko) * 2015-02-24 2016-04-08 (주)경구 조립식 파라솔의 지붕 중심 프레임
KR101694992B1 (ko) 2016-05-11 2017-01-10 문종선 정자의 지붕 구조물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421B1 (ko) 조립식 정자
KR100902642B1 (ko) 정자
US20120079782A1 (en) Support beam structure capable of extending span and reducing height of ceiling structure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US7963072B2 (en) Gazebo structure
CN105189887B (zh) 配合形成临时楼梯的阶梯模块
KR101180075B1 (ko) 패널조립식 한옥구조
KR102154095B1 (ko) Pc세그먼트를 이용한 모듈형 조립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JP2006257778A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建物ユニット
KR101048470B1 (ko) 정자 구조를 지닌 전망대
US20190234061A1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KR200326249Y1 (ko) 행사용 조립식 부스
KR101173046B1 (ko) 정자 마루틀 지지구조
JPH06294192A (ja) 階段用組立具
JP7426974B2 (ja) 階段室の施工方法及び階段室構造
JP6436361B2 (ja) 階段下地構造、階段、及び階段の施工方法
JP7438492B2 (ja) 木製の螺旋階段
KR100501270B1 (ko) 계단실용 조립식 거푸집
CN203755717U (zh) 深基坑装配式上下人行通道
KR102198690B1 (ko) 정자형 파고라 설치 방법
JP7209478B2 (ja) 床構造体
JPH0235136A (ja) 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造りの低層住宅及びその工法
JP2007162261A (ja) ユニット建物
JP2022115597A (ja) 建物
KR101691190B1 (ko) 조립식 정자의 마루판 조립 구조
JP2586994B2 (ja) 組み立て階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