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979A -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 Google Patents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979A
KR20100097979A KR1020090016900A KR20090016900A KR20100097979A KR 20100097979 A KR20100097979 A KR 20100097979A KR 1020090016900 A KR1020090016900 A KR 1020090016900A KR 20090016900 A KR20090016900 A KR 20090016900A KR 20100097979 A KR20100097979 A KR 20100097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ructure
hanok
fixed
built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225B1 (ko
Inventor
황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상
Priority to KR1020090016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2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6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modules,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2003/023Lint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1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edges, e.g. intersections with walls
    • E04D2001/303Eave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 있어서,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지면 위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을 설정하여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놓여진 주초석; 상기 주초석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는 창방; 상기 창방의 상단면에 대향하게 고정되는 하부와, 하부 위에 지붕 형태로 형성된 상부로 구성되는 철골 구조물;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처마조립체;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철골 구조물을 가리는 외형조립체; 및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를 덮는 지붕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은 목재보다 균질성 높은 철골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붕을 건축하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기둥, 창방, 철골 구조물, 처마조립체, 외형조립체, 지붕조립체

Description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Modern korean-style house having steel structure}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옥을 건축하는데 있어서 지붕에 철골 구조물을 채용하여 안정성이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 관한 것이다.
한옥이란 한국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을 말하는데, 먼저 건축하고자하는 터에 기초공사를 실시하고, 기둥을 세울 자리에 주초석을 놓고, 주초석 위에 기둥을 세운 후, 기둥 위에 대들보와 중간보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교차시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공간의 안쪽 바닥에 온돌을 구비하는 방바닥을 형성하고, 기둥과 기둥사이는 흙벽돌 또는 창문 등으로 막아 방과 마루 등을 구획하며, 서까래 또는 부연 등 위에 기와를 얹어 지붕을 형성한다.
한 때, 한옥은 고루한 건축물과 비효율적인 건축으로 인식되어 대부분 양옥으로 대체되었다. 없애야할 구시대의 잔재로 여김에 따라 많은 역사적 가치가 있는 한옥까지 사라졌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 한옥의 개성과 자연친화적 기능에 힘입어 재조명되고 있다. 게다가, 아토피나 천식 등의 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극 드라마의 영향으로 한옥을 중심으로 한 드라마세트장 건설이 붐을 이루고 있어 한옥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옥의 전통적 건축방식은 소수의 전문가에게만 전해지고 있고 전문가가 설계부터 자재 선정, 조립까지 책임지고 해결해야하기 때문에 한옥이 완성되기까지는 공사기간이 길고 공사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옥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대들보와 기둥을 사용하는데 목재인 대들보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에 취약한 약점이 있어 건축 후 비틀리거나 갈라지는 현상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하다. 그에 따라 지붕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서 한옥 내부에도 기둥을 세웠는데, 이 기둥으로 인하여 내부 형태에 제한을 받고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한옥은 부분적인 하자가 발생하여도 부재 간의 복잡한 결합관계로 인하여 많은 수리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한옥의 지붕으로 철골 구조물을 채용하고, 철골 구조물 외부를 목재와 기와 등을 이용하여 덮음으로써 외형상 종래의 한옥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한옥의 안정성 확보와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한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과 관련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 있어서,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지면 위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을 설정하여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놓여진 주초석; 상기 주초석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는 창방; 상기 창방의 상단면에 대향하게 고정되는 하부와, 하부 위에 지붕 형태로 형성된 상부로 구성되는 철골 구조물;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처마조립체;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철골 구조물을 가리는 외형조립체; 및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를 덮는 지붕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상기 창방과 직교하고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는 보아지; 및 상기 기둥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창방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인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마조립체는,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꼭짓점 위의 상기 철골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테두리 외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추녀; 양단이 상기 추녀의 말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창방에서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초막이; 상기 초막이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서까래; 및 상기 초막이의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상기 서까래의 상단을 덮는 골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마조립체는, 상기 추녀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추녀와 평행하게 더 돌출되는 사래추녀; 양단이 상기 사래추녀의 말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초막이에서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이매기; 상기 이매기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골개판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부연; 상기 부연 사이에 상기 부연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부연착고; 및 상기 이매기의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상기 부연의 상단을 덮는 부연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형조립체는,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의 상기 보아지 윗부분에 설치되는 주두;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의 상기 주두 사이에 상기 창방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소로착고; 상기 소로착고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을 가리는 장여; 상기 장여와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주 두 위에 설치되는 보머리; 및 상기 소로착고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지붕조립체는, 상단면이 연속된 부채꼴 형태로 절삭가공되고, 상기 이매기의 상단면에 설치되는 연함;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와 상기 골개판 또는 상기 부연개판 위에 상기 창방과 평행하게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기와걸이; 상기 연함의 부채꼴 형태의 상단면에 일부가 접하고, 상기 기와걸이에 고정되어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를 덮는 다수의 기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은 목재보다 균질성 높은 철골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붕을 건축하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골 구조물은 목재보다 뛰어난 내구성과 내진성을 보유하고 있고 지붕에 하중으로 인한 굽힘 모멘트에 강하기 때문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어서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철골 구조물 외부를 목재와 기와로 덮음으로써 외형상 종래의 한옥의 심미적 미와 개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부재 사이에 복잡한 결합관계가 없어 특정한 부재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그 부재만 보수가 가능하여 수리비용을 점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효과들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청구항 및 실시예에서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가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생략된다.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골 구조물(4)의 배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둥(2), 창방(3) 및 보아지(8)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외형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초석(1), 기둥(2), 창방(3), 철골 구조물(4), 처마조립체(5), 외형조립체(6), 지붕조립체(7), 보아지(8) 및 인방(9)을 포함한다.
주초석(1)은 기둥(2)을 고정하여 세우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지면 위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놓인다. 주초석(1)의 수에 의해서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2)의 수가 결정되므로, 지붕의 하중을 고려해서 상대적으로 무겁다면 주초석(1)의 수를 늘리기 위해서 소정 간격을 좁히고, 지붕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가볍다면 주초석(1)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 소정 간격을 넓힌다.
한편, 기둥(2)은 전술한 주초석(1)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어 세워진다. 바람직하게는, 기둥(2)의 직경과 주초석(1)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의 직경이 일치하여 기둥(2)이 주초석(1)에 완전히 고정되게 한다.
또한, 기둥(2)은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이므로, 지붕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무겁다면 직경을 크게 형성시키고 지붕의 하중이 상대적으로 가볍다면 직경을 작게 형성시킨다.
이때, 기둥(2)은 전통 한옥에서 사용되는 베흘림 기둥, 민흘림 기둥, 도랑주, 사모기둥 등 다양한 형태의 기둥(2)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창방(3)은 기둥(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단면에 철골 구조물(4)을 적재시키는 부재로써, 기둥(2)의 상단부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양단이 삽입설치된다.
또한, 보아지(8)는 기둥(2)의 상단부에서 한옥의 외부로 돌출되어 한옥의 미를 나타내는 부재로써, 기둥(2)의 상단부에 상기 창방(3)과 직교하고 건설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방(3)과 보아지(8)는 기둥(2)의 상단부에 형성된 십자 홈 내에 삽입설치되고, 그 위에 기둥(2)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철판(10)을 위치시키고 볼트(30)를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기둥(2)에 결합시킴으로써 기둥(2), 창방(3) 및 보아지(8) 간의 결합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때, 철판(10)을 채용함으로써 철판(10)의 두께만큼 철골구조물(4)의 하부(42)와 창방(3) 사이가 이격되므로, 이를 막기 위해 창방(3)과 보아지(8)의 상단면에 철판(10) 형상의 홈을 구비해 전술한 홈 안에 철판(10)을 위치시킴으로써 철골구조물(4)의 하부(42)와 창방(3)이 전체적으로 밀착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방(9)은 기둥(2)과 기둥(2) 사이에 창틀이나 문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써, 기둥(2)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양단이 삽입되어 창방(3)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방(9)은 기둥(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인방과 기둥(2)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중인방 및 기둥(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인방을 포함하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상인방, 중인방 또는 하인방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구조물(4)은 하부(42)와 상부(41)로 구성되며, 하부(42)는 전술한 창방(3)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창방(3)의 상단면에 대향하게 적재되고, 상부(41)는 하부(42)의 위에 지붕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는 볼트를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창방(3) 또는 기둥(2) 등에 결합하고, 상부(41)의 지붕 형태는 팔작 지붕, 맞배 지붕, 우진각 지붕 등 실시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철골 구조물(4)로는 H빔이나 C형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용접 등을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4)의 형태를 형성시킨다.
본 발명은 굽힘 모멘트에 강한 철골 구조물(4)을 채용함으로써 기둥(2)의 수를 줄일 수 있어 한옥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마조립체(5)는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에 설치되어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처마조립체(5)의 상세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처마조립체(5)는 추녀(11), 초막이(12), 서까래(13), 골개판(14)을 포함한다.
추녀(11)는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꼭짓점 위의 철골 구조물(4)에 고정되고 테두리 외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추녀(11)는 볼트 등을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4)과 결합시킨다.
또한, 초막이(12)는 양단이 추녀(11)의 말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창방(3)에서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초막이(12)는 추녀(11) 양단을 연결하는 부재이고 후술할 서까래(13)를 설치할 때 기준이 된다.
그리고, 서까래(13)는 추녀(11)와 함께 처마조립체(5)의 뼈대가 되는 부재로써, 초막이(12)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골개판(14)은 비나 눈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초막이(12)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서까래(13)의 상단을 덮는다.
전술한 추녀(11), 초막이(12), 서까래(13) 및 골개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처마조립체(5)는 전통적인 처마의 한 형태인 홑처마(단첨)를 형성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처마조립체(5)의 상세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처마조립체(5)는 전술한 추녀(11), 초막이(12), 서까래(13) 및 골개판(14) 외에 추가로 사래추녀(15), 이매기(16), 부연(17), 부연착고(18), 부연개판(19)을 더 포함한다.
사래추녀(15)는 추녀(11)를 더 연장하는 부재로써, 추녀(11)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추녀(11)와 평행하게 전술한 테두리의 외부 대각선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또한, 이매기(16)는 초막이(12)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양단이 사래추녀(15)의 말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초막이(12)에서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이매기(16)는 사래추녀(15) 양단을 연결하는 부재이고 후술할 부연(17)을 설치할 때 기준이 된다.
그리고, 부연(17)은 서까래(13)를 더 연장하는 부재로써, 이매기(16)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골개판(14)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부연착고(18)는 건축될 한옥 외부에서 보았을 때 부연(17) 사이의 공간을 막는 널빤지 형태의 부재로써, 부연(17)과 부연(17) 사이에, 부연(17)과 수직으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부연(17)의 양측면에 홈을 형성하여 부연착고(18)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부연개판(19)은 골개판(14)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부재로써, 이매기(16)의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부연(17)의 상단을 덮는다.
전술한 추녀(11), 초막이(12), 서까래(13) 및 골개판(14) 외에 추가로 사래추녀(15), 이매기(16), 부연(17), 부연착고(18), 부연개판(19)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처마조립체(5)는 전통적인 처마의 한 형태인 겹처마를 형성한다.
한편, 외형조립체(6)는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에 설치되어 철골 구조물(4)을 가려 전통적인 한옥의 미를 유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외형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외형조립체(6)는 주두(20), 소로착고(21), 장여(22), 보머리(23) 및 소로(24)를 포함한다.
전술한 주두(20), 소로착고(21), 장여(22), 보머리(23) 및 소로(24) 등은 전통적인 한옥 건축방식에서는 지붕을 지지하는 부재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서는 지붕을 지지하는 역할보다는 철골 구조물(4)을 가리거나 한옥의 심미적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주두(20)는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의 보아지(8) 윗부분에 설치된다. 본래 주두(20)는 상단면에 십자홈이 형성되어 대들보와 장여(22)를 지지하는 부재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대들보가 없고 후술할 장여(22)도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주두(20)는 대들보와 장여(22)를 지지하지 않는다.
또한, 소로착고(21)는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의 주두(20) 사이에 창방(3)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장여(22)는 널빤지 형태의 부재로써, 소로착고(21)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을 가린다. 따라서, 본래 장여(22)도 지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소로착고(21)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지붕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보머리(23)는 장여(22)와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주두(20) 위에 설치된다. 본래 보머리(23)는 대들보의 말단부이지만, 본 발명에는 대들보가 없으므로 단지 주두(20) 위에 보머리(23)의 형상만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소로(24)는 소로착고(21)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본래 소로(24)는 장여(22)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장여(22)가 이미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 측면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소로(24)가 장여(22)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형조립체(6)의 부재들은 전통적인 한옥 건축방식과 달리 서로 복잡한 결합을 이루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하지 않아서, 각 부재들의 시공 순서를 편의대로 조정가능하고 특정 부재에 하자가 발생했을 때 다른 부재들을 모두 해체할 필요없이 특정 부재만 손쉽게 정비 또는 교환가능하여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조립체(7)는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를 덮어 철골 구조물(4)을 가림으로써 전통적인 한옥의 미를 유지시키고 한옥 내부의 비 바람을 막는다.
한편,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붕조립체(7)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붕조립체(7)는 연함(25), 기와걸이(26), 다수의 기와(27)를 포함한다.
연함(25)은 가장 아래쪽에 있는 기와(27)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로써, 상단면이 연속된 부채꼴 형태로 절삭가공되고, 이매기(16)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부채꼴 형태로 절삭가공된 연함(25)의 상단면은 가장 아래쪽에 있는 기와(27)의 하단면과 접하여 기와(27)를 지지한다.
또한, 기와걸이(26)는 기와(27)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써,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와 골개판(14) 또는 부연개판(19) 위에 창방(3)과 평행하게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기와걸이(26)의 소정 간격은 기와(27)의 크기와 무게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다수의 기와(27)는 지붕조립체(7) 중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를 가려 비바람을 막고 한옥의 미를 유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부재로써, 연함(25)의 부채꼴 형태에 가장 아래쪽에 있는 기와(27)의 하단면이 접하여 지지받고, 기와걸이(26)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다수의 기와(27)는 암키와와 수키와로 구성되고 암키와가 설치된 후에 수키와로 암키와를 덮는다.
이때, 실시자의 선택에 따라 토기와, 시멘트기와, 금속기와 등 다양한 기와(27)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를 덮는 널빤지, 판넬 또는 금속판 등을 채용하고 그 위에 다수의 기와(27)를 설치함으로써 지붕조립체(7)의 시공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4)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건축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지면 위에 건축하고자 하는 면적을 설정하고, 설정된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주초석(1)을 놓는다. 그리고, 주초석(1) 상단부에 형성된 홈에 기둥(2)을 삽입하여 세운다.
그 후, 기둥(2)의 상단부에 형성된 십자 홈에 창방(3)과 보아지(8)를 삽입 설치하고, 그 위에 기둥(2)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철판(10)을 볼트(30)를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기둥(2)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철골 구조물(4)의 하부(42)가 창방(3)의 상단면에 대향하게 철골 구조물(4)을 위치시킨 후 볼트를 포함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추녀(11)를 건설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꼭지점 위의 철골 구조물(4)에 고정하고, 전술한 테두리 외각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초막이(12)는 양단을 추녀(11)의 말단부에 각각 고정하여 설치한다. 서까래(13)는 양단을 초막이(12)와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서까래(13) 위를 골개판(14)으로 덮음으로써 홑처마(단첨)를 형성한다.
그 후, 사래추녀(15)를 추녀(11)위에 설치하여 추녀(11)와 평행하게 더 돌출시킨 후, 이매기(16)는 양단을 사래추녀(15)의 말단부에 각각 고정하여 설치한다. 부연(17)은 양단을 이매기(16)와 골개판(14)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부연(17)과 부연(17) 사이의 공간은 부연착고(18)를 이용하여 막고, 부연(17) 위를 부연개판(19)으로 덮음으로써 겹처마를 형성한다. 다만, 겹처마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주두(20)를 보아지(8) 위에 설치하고, 소로착고(21)와 장여(22)를 철골 구조물(4) 하부(42) 측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주두(20) 위에 보머리(23)를 설치하고, 소로착고(21)의 측면에 소정간격으로 소로(24)를 설치함으로써 외형조립체(6)를 완성한다. 다만, 외형조립체(6)의 부재들은 독립적으로 설치가능하므로 반드시 위 순서대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매기(16) 상단면에 연함(25)을 설치하고,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와 골개판(14) 또는 부연개판(19) 위에 기와걸이(26)를 설치한다. 이때, 철골 구조물(4)의 상부(41)를 널빤지, 판넬 또는 금속판 등으로 덮을 수 있다. 그 후, 연함(25)의 부채꼴 형태의 상단면에 가장 아래쪽에 있는 기와(27)를 얹고, 기와걸이(26)에 다수의 기와(27)를 고정함으로써 지붕조립체(7)를 완성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 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져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골 구조물의 배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둥, 창방 및 보아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처마조립체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처마조립체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의 외형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붕조립체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주초석
2: 기둥
3: 창방
4: 철골 구조물
5: 처마조립체
6: 외형조립체
7: 지붕조립체
8: 보아지
9: 인방
10: 철판
11: 추녀
12: 초막이
13: 서까래
14: 골개판
15: 사래추녀
16: 이매기
17: 부연
18: 부연착고
19: 부연개판
20: 주두
21: 소로착고
22: 장여
23: 보머리
24: 소로
25: 연함
26: 기와걸이
27: 기와

Claims (6)

  1.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에 있어서,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지면 위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을 설정하여 면적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놓여진 주초석;
    상기 주초석의 상단부에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양단이 삽입설치되는 창방;
    상기 창방의 상단면에 대향하게 고정되는 하부와, 하부 위에 지붕 형태로 형성된 상부로 구성되는 철골 구조물;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처마조립체;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철골 구조물을 가리는 외형조립체; 및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를 덮는 지붕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상기 창방과 직교하고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삽입설치되는 보아지; 및
    상기 기둥의 측면에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양단이 삽입설치되는 인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조립체는,
    건축하고자하는 면적의 테두리 꼭짓점 위의 상기 철골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테두리 외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추녀;
    양단이 상기 추녀의 말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창방에서 건축될 한옥 외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초막이;
    상기 초막이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서까래; 및
    상기 초막이의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상기 서까래의 상단을 덮는 골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처마조립체는,
    상기 추녀의 상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추녀와 평행하게 더 돌출되는 사래추녀;
    양단이 상기 사래추녀의 말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초막이에서 건축될 한옥 외 부 방향으로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이매기;
    상기 이매기의 하단면에 일단부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골개판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부연;
    상기 부연 사이에 상기 부연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부연착고; 및
    상기 이매기의 일측면과 일단이 접하고 상기 부연의 상단을 덮는 부연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조립체는,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의 상기 보아지 윗부분에 설치되는 주두;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의 상기 주두 사이에 상기 창방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소로착고;
    상기 소로착고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철골 구조물의 하부 측면을 가리는 장여;
    상기 장여와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주두 위에 설치되는 보머리; 및
    상기 소로착고의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6.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조립체는,
    상단면이 연속된 부채꼴 형태로 절삭가공되고, 상기 이매기의 상단면에 설치되는 연함;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와 상기 골개판 또는 상기 부연개판 위에 상기 창방과 평행하게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기와걸이;
    상기 연함의 부채꼴 형태의 상단면에 일부가 접하고, 상기 기와걸이에 고정되어 상기 철골 구조물의 상부를 덮는 다수의 기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KR1020090016900A 2009-02-27 2009-02-27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KR101006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900A KR101006225B1 (ko) 2009-02-27 2009-02-27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900A KR101006225B1 (ko) 2009-02-27 2009-02-27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979A true KR20100097979A (ko) 2010-09-06
KR101006225B1 KR101006225B1 (ko) 2011-01-07

Family

ID=4300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900A KR101006225B1 (ko) 2009-02-27 2009-02-27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050B1 (ko) * 2020-09-23 2021-08-10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서강종합 10m 이상급 대공간 한옥 구조
CN114411956A (zh) * 2021-12-16 2022-04-29 杭萧钢构(安徽)有限公司 一种斜柱模块化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434B1 (ko) 2011-08-10 2011-10-25 서대수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KR101350307B1 (ko) * 2013-05-30 2014-01-16 (주)대청기와건설 지붕 기와의 낙하 방지용 연암
CN104372854A (zh) * 2014-11-06 2015-02-25 安徽鸿路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天井楼组合钢构架
KR102227234B1 (ko) 2019-07-17 2021-03-12 류운형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는 다층 하이브리드 전통 목조 건축물의 골조
KR102234782B1 (ko) 2019-08-22 2021-04-01 류운형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통 한옥의 외관을 갖는 다층 한옥의 골조
KR102113157B1 (ko) 2019-08-22 2020-05-20 류운형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통 한옥의 외관을 갖는 다층 한옥의 골조
KR20210023656A (ko) 2020-02-18 2021-03-04 김종화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통 한옥의 외관을 갖는 다층 한옥의 골조
KR20210023655A (ko) 2020-02-18 2021-03-04 김종화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통 한옥의 외관을 갖는 다층 한옥의 골조
KR20210023654A (ko) 2020-02-18 2021-03-04 김종화 철골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전통 한옥의 외관을 갖는 다층 한옥의 골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64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0437664Y1 (ko) * 2007-03-22 2007-12-17 윤범진 하우 트러스를 이용한 한옥 건축조립체
KR100777084B1 (ko) * 2007-05-07 2007-11-28 최희재 모형한옥 조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050B1 (ko) * 2020-09-23 2021-08-10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서강종합 10m 이상급 대공간 한옥 구조
CN114411956A (zh) * 2021-12-16 2022-04-29 杭萧钢构(安徽)有限公司 一种斜柱模块化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225B1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225B1 (ko)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KR100934458B1 (ko) 철골구조가 적용된 한식 건축물과 그 건축방법
CA2541653A1 (en) Panelized log home construction
KR101245229B1 (ko) 조립식 한옥 정자
WO2017041517A1 (zh) 可移动式铝合金房屋
RU2154716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листовой обшивки, основанная на решетчатой системе, и метод для ее установки
CN114351853A (zh) 复杂仿古阁楼钢木组合结构构造及其施工方法
CN110847422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外墙板施工方法
KR102114477B1 (ko)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CN208056319U (zh) 门式刚架轻型房屋中非角部支撑钢柱与外围墙的连接结构
JPH10168902A (ja) 建築物基礎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KR101076434B1 (ko)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RU104948U1 (ru) Безригельное каркасное здание (варианты)
CN114277965B (zh) 一种采用保温墙体的建筑框架及其施工工艺
CN216476701U (zh) 一种全干式连接的装配式混凝土围墙
CN204252494U (zh) 减少偏差建筑结构
KR102528642B1 (ko) 파고라 지붕 확장 구조 및 확장 방법
KR101245230B1 (ko) 조립식 정자
CN219316194U (zh) 一种钢混结构装配式房屋构造
KR102593955B1 (ko) 장연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216787920U (zh) 一种木结构承重房地坪加固结构
CN215290670U (zh) 一种仿古连体木制檐椽飞椽与混凝土主体屋面连接结构
AU20152719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Building Panels to the Framework Assembly of a Wall Structure
KR20220127012A (ko) 곡면 형상의 건물 벽체 마감용 마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