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084B1 - 모형한옥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모형한옥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084B1
KR100777084B1 KR1020070044264A KR20070044264A KR100777084B1 KR 100777084 B1 KR100777084 B1 KR 100777084B1 KR 1020070044264 A KR1020070044264 A KR 1020070044264A KR 20070044264 A KR20070044264 A KR 20070044264A KR 100777084 B1 KR100777084 B1 KR 100777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illar
groove
window
han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재
Original Assignee
최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재 filed Critical 최희재
Priority to KR102007004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형한옥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통한옥을 최대한 실물과 유사하도록 축소하여 조립함으로써 전통가옥 건축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조립품을 실내인테리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모형한옥 조립구조는, 모형한옥에 있어서, 사각판체로 구성되고 내면에 다수의 결합홈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된 기단과; 상기 기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주초를 결합하고, 상기 주초에는 기둥을 조립하여 구성하되, 상기 기둥은 직사각형으로 배열된 귀기둥과, 상기 귀기둥의 장변과 단변에 각각 조립되는외기둥과, 상기 귀기둥의 내측에 조립된 내기둥으로 구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를 창방으로 서로 연결하고, 창방과 기둥부가 형성하는 측면에 중방과 문선을 연결하고 창호를 조립하여 형성된 벽면부와; 상기 창방의 상부에는 주심장여를 안치 한 후 좌우측대량과 좌우측충량을 조립한 후 주심도리를 안착시키고, 상기 좌우측대량과 좌우측충량에는 동주와 화반동자를 이용하여 중장여와 종보를 설치하고, 상기 중장여에는 중도리와 외기도리를 안치하고, 상기 종보와 외기도리에는 대공을 결합하여 상기 대공에 마루장여와 마루도리를 장착하고, 상기 주심도리와 중도리와 마루도리를 잇는 장연과 단연 선자연 및 추녀를 설치하여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형한옥, 조립구조, 기단, 기둥, 도리

Description

모형한옥 조립구조{Assambly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Mod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형한옥을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단에 조립될 기둥과 머름과 하인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기둥이 조립된 기단에 중인방과 마루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4d는 상인방과 초익공과 창방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e는 모형한옥의 측벽을 형성하는 중방과 문선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반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e는 기둥의 상단부에 주두와 이익공과 주심장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대량과 충량과 주심도리의 장착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대량과 충량 상부에 동주와 화반동자를 결합하고 이에 중장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9a 내지 도 9d는 중도리와 마루도리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도시한 결합시시도 및 평면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추녀와 단연과 장연과 부연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지붕부의 덧도리와 박공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과정의 일부분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형한옥 2 : 기단
3 : 기둥부 4 : 벽면부
5 : 지붕부 10 : 기둥
11 : 귀기둥 12 : 외기둥
13 : 내기둥 14 : 익공
15a : 주두 15b : 재주두
16 : 첨차 17 : 소로
20 : 인방 21 : 하인방
22 : 중인방 23 : 상인방
24 : 머름 25 : 마루판
26 : 중방 27 : 문선
28 : 창호 30 : 창방
31 : 내창방 32 : 화반
40 : 장여 41 : 주심장여
42 : 중장여 43 : 마루장여
50 : 대량 51 : 좌측대량
52 : 우측대량 53 : 좌측충량
54 : 우측충량 55 : 화반동자
56 : 동주 57 : 종보
58 : 대공 60 : 도리
61 : 주심도리 62 : 중도리
63 : 외기도리 64 : 마루도리
65 : 덧도리 71 : 추녀
72 : 장연 73 : 단연
74 : 선자연 75 : 평고대
76 : 사래 77 : 부연
78 : 선자부연 80 : 박공
81 : 목기연 141 : 초익공
142 : 이익공 142a : 상부이익공
142b : 하부이익공 142c : 내이익공
161 : 동주첨차 162 : 대공첨차
171 : 일자소로 172 : 십자소로
201 : 주초 202, 511 : 결합홈
501 : 안치홈 521 : 걸림홈
551 : 하부우측화반동자 552 : 상부우측화반동자
553 : 하부좌측화반동자 554 : 상부좌측화반동자
561 : 상부동주 562 : 하부동주
581 : 하부대공 582 : 상부대공
651 : 집부사 711 : 갈모산방
712 : v자홈
* 미도시부호 : 10, 14, 17, 40, 60
본 발명은 모형한옥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통한옥을 최대한 실물과 유사하도록 축소하여 조립함으로써 전통가옥 건축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조립품을 실내인테리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형물이라함은 실제 물건을 일정비율로 축소하는 것으로, 대개 비행기, 배, 자동차 등의 기구에 관한 것이며, 일부 유명건축물에 대한 모형이 제 공되고 있다. 이러한 모형은 단순히 인테리어적인 요소가 강하여 외적으로 표출되는 부분만 상세하게 구성하고 내부적으로는 구조를 단순화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일예로 한옥의 경우에는 다수의 부재가 유기적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지붕을 형성하는 도리, 장연, 단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다수의 기둥을 설치하여 각 기둥마다 분산된 하중을 전달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둥은 다수의 익공과 소로 등이 적층되어 외관을 수려하게 함은 물론 각 부재간에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구조를 갖는 한옥을 모형화 할 경우 기둥공포, 지붕 등과 같이 다수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하나로 블록화하여 간단한 조립과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조모형은 외관상만 한옥을 나타나는 것으로, 조립이 전통한옥축조와는 상이함으로 단순히 인테리어로만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건축학습용으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다소 정교한 부재를 사용하여 다중조립구조를 갖는 모형건축물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 역시 조립부재중 일부를 블록화하기 때문에 한옥건축을 습득하기 위한 학습자료로는 사용하기 힘들다. 즉, 상기 복잡한 건축부재의 블록화에 의한 단순화는 학습자의 조립과정을 대폭적으로 축소하게 됨으로 조립에 의한 건축물의 학습효과는 블록화되는 만큼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형 건축물 조립에 의한 건축술 학습효과의 저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형 건축물의 각 부품이 실물과 거의 동일한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모형을 통해 직접 건물을 지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전통한옥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동일한 비율로 축소함에 있어 소형부재의 블록화를 최소화하여 모형한옥을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건물을 축조하는 것과 유사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어린이에게는 전통문화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 건축지망생에게는 전통 목조건물의 건축술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형한옥 조립구조는,
모형한옥에 있어서, 사각판체로 구성되고 내면에 다수의 결합홈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된 기단과; 상기 기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주초를 결합하고, 상기 주초에는 기둥을 조립하여 구성하되, 상기 기둥은 직사각형으로 배열된 귀기둥과, 상기 귀기둥이 형성하는 장변과 단변 사이에 조립되는 외기둥과, 상기 귀기둥의 내측에 조립되는 내기둥으로 구성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를 창방으로 서로 연결하고, 창방과 기둥부가 형성하는 측면에 중방과 문선을 연결하고 창호를 조립하여 형성된 벽면부와; 상기 창방의 상부에는 주심장여를 안치 한 후 좌우측대량과 좌우측 충량을 조립한 후 주심도리를 안착시키고, 상기 좌우측대량과 좌우측충량에는 동주와 화반동자를 이용하여 중장여와 종보를 설치하고, 상기 중장여에는 중도리와 외기도리를 안치하고, 상기 종보와 외기도리에는 대공을 결합하여 상기 대공에 마루장여와 마루도리를 장착하고, 상기 주심도리와 중도리와 마루도리를 잇는 장연과 단연 선자연 및 추녀를 설치하여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형한옥 조립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형한옥을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기단에 조립될 기둥과 머름과 하인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기둥이 조립된 기단에 중인방과 마루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4d는 상인방과 초익공과 창방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e는 모형한옥의 측벽을 형성하는 중방과 문선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화반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e는 기둥의 상단부에 주두와 이익공과 주심장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대량과 충량과 주심도리의 장착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대량과 충량 상부에 동주와 화반동자를 결합하고 이에 중장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d는 중도리와 마루도리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도시한 결합시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d는 추녀와 단 연과 장연과 부연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지붕부의 덧도리와 박공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형한옥(1)은 기단(2)과, 상기 기단에 다수 기둥을 결합한 기둥부(3)와, 상기 기둥부사이를 연결하는 벽면부(4)와, 상기 기둥부와 벽면부의 상부를 덮는 지붕부(5)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기단(2)은 장변과 단변(이하 장변과 단변은 각귀기둥 또는 기단이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측을 일컷는 것을 의미한다)으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판체로 상부면에는 다수의 결합홈(202)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202)은 기둥을 지지하는 주초(201)를 결합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장변인 가로와 단변인 세로에 4*3으로 배열되며, 우측내부에 하나의 내부결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주초(201)는 사각 또는 원형 등 다양한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둥을 사각형으로 형성함으로 주초도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주초(201)가 결합된 기단(2)에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직사각형으로 배열된 모서리부분의 주초에 결합되는 귀기둥(11)과, 상기 귀기둥이 형성하는 장변 사이에 결합되는 두개의 외기둥(12)과, 귀기둥이 형성하는 단변 사이에 하나의 외기둥(12)이 결합되고, 우측의 내측에는 내기둥(13)이 결합되며, 상기 귀기둥과 외기둥 사이의 하부에는 하인방(21)과 머름(24)을 결합하여 기둥하부를 지지하여 기둥이 일측으로 기울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하인방(21)과 머름(24)이 결합되도록 기둥의 측면에는 홈을 형성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 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귀기둥(11)이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내부에 내기둥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에는 마루판(25)이 안치된다. 상기 마루판은 하나의 판체로 형성하거나 둘 이상으로 분리된 판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마루판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목판을 연결한 것과 유사한 형태로 마루조각이 음각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루판(25)은 각 기둥 사이에 삽설되어 주초(201)의 상단에 안치되며, 마루판이 설치되는 후면과 좌측면의 기둥사이에 머름(24)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우측단변의 외기둥(12)과 후면우측의 외기둥과 우측과 후면이 교차되는 귀기둥(11) 사이에는 기둥의 중단에 중인방(22)이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기단(2)에 기둥(11, 12)과 머름(24), 하인방(21), 중인방(22)이 결합된 모형한옥에는 기둥상단에 장변과 단변을 따라 상인방이 결합된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상인방(23)은 일단과 타단이 양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인방을 결합하는 기둥은 상단이 십자홈이 형성되어 상인방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며, 기둥의 상단에서는 인접한 두 상인방(23)이 일정폭의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틈에 초익공(141)이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초익공(141)은 우측단변의 외기둥(12)을 제외한 다른 외기둥에 상인방(23) 사이의 틈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초익공(141)이 결합되지 않은 단변의 외기둥(12)과 내기둥(13)의 상단에는 내창방(31)이 결합되고, 장변과 단변의 상인방 상부에는 창방(3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단변과 장변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일측 창방(30)은 상부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에 결합되는 타측창방은 하부면에 홈을 형성하도록 하는 반턱맞춤에 의해 결합하고, 창방(30)과 초익공(141)사이, 창 방(30)과 내창방(31) 사이도 반턱맞춤으로 결합하여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도 4e를 참조한 바와같이 모형한옥의 벽면부(4)를 형성하는 측면은 수직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중방(26)과 상기 중방과 기둥사이에 가로로 결합되는 다수의 문선(27)이 장착된다. 상기 중방(26)은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의 하인방(21)과 머름(24) 상측과 상인방(23)의 하부면에 각각 홈을 형성하여 중방의 하단과 상단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문선(27)은 중방(26) 사이와 중방(26)과 기둥(11, 12)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기둥에는 홈부를 형성하여 문선(27)이 삽설되도록 하고, 중방(26)에는 v자 형태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중방(26)과 접하는 문선(27)의 단부는 v자로 돌출되도록 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선(27)과 중방(26)의 결합에 의해 창호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이 때 상기 창호(28)는 문선과 중방 결합후 즉시 부착하거나, 도 10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기본틀이 완료된 후 부착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기둥사이에 결합되는 창방(30)의 중간부분 상면에는 화반(32)을 안치된다. 상기 화반(32)의 상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화반의 홈에 상부에 일자홈이 형성된 일자소로(171)를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일자소로(171)는 측면에 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홈에 화반을 끼워넣음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6a를 참조한 바와같이 각 기둥(11, 12, 13)의 상단에는 주두(15a) 를 각각 결합하되,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귀기둥(11)에 결합된 주두(15a) 십자홈에는 상하부가 반턱맞춤으로 결합된 상하부이익공(142a, 142b)이 결합되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기둥(12)에 결합된 주두(15a)의 결합홈에는 이익공(142)이 안치되고 상기 이익공의 상부홈에 첨차(16)를 반턱맞춤으로 결합하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기둥(13)에 결합된 주두(15a)의 결합홈에는 내이익공(142c)을 안치하고 상기 내이익공의 상부에는 첨차(16)를 반턱맞춤으로 결합한다. 이 때 상기 귀기둥(11)간을 연결하는 창방(30)의 수직상부면에 위치하는 이익공(142)·첨차(16)의 단부와 화반(32)의 중단에는 일자소로(171)를 결합하고, 상기 귀기둥(11)에 결합된 상하부이익공(142a, 142b)의 상부와, 상기 외기둥(12)과 내기둥(13)의 상부에 결합된 첨차의 상부에는 재주두(15b)를 결합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6e에 도시된 바와같이 재주두(15b)의 상부에는 상인방와 동일한 형태로 주심장여(41)를 결합하되 상기 주심장여는 곡면의 홈이 형성된 면을 상부로 하여 결합한다.
또한, 상기 소로는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의한 일자(171) 및 십자소로(172)로 크게 구분하고 있으나,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소로의 일측면에만 홈이 형성된 외옆갈소로와, 양측면에 홈이 형성된 양옆갈소로로 더 세분화할 수 있다. 상기 소로의 측면홈은 결합시 측면에 접촉되는 부재와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익공(142a, 142b)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일자소로(171)는 일측면만 이익공의 홈에 접함으로, 일자소로 중 외옆갈소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b와 같이 소로가 화반(32)의 중앙에 결합되는 일자소로(171) 는 양측면이 화반의 홈과 접함으로 양옆갈소로를 사용하여 양측면에 의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는 소로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을 중심으로 상술하고, 측면홈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지만 도시된 도면 또는 구조상으로 측면이 다른 부재와의 접함정도에 따라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홈이 형성된 다른형태의 소로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장변에 설치된 외기둥(12)간에는 대량(51, 52)을 조립한다. 상기 조립되는 대량중 내기둥(13)과 교차되는 우측대량(52)은 중단에 하측방향으로 함몰된 걸림홈(521)이 형성되어 우측충량(54)의 일단과 반턱맞춤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우측충량(54)의 타단은 양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단변의 외기둥(12)의 재주두(15b)에 안치된 주심장여(41)가 각각 결합되게 유기적으로 결합한다.
한편, 좌측대량(51)은 측면의 상단에 결합홈(511)이 형성되어 좌측충량(53)의 일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설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좌측충량(53)의 타단은 양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주심장여(41)가 삽설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기둥(12)과 교차되는 좌우측대량(51, 52)의 양단부와 좌우측충량(53, 54)의 일측단부에는 상부면에 원형의 안치홈(501)을 형성하여 주심도리(61)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안치홈(501)의 라운드면은 주심도리(61)의 외주연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주심도리(61)는 상기 귀 기둥(11)간을 연결하는 것으로, 장변으로 전면과 후면 두개와 단변으로 좌우측 두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4개로 구성된 주심도리(61)는 모서리 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결합되며 이때 상기 결합은 반턱맞춤에 의해 동일한 평면상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a를 참고한 바와같이 대량(51, 52)과 충량(53, 54) 상부에는 동주(56)와 화반동자(55)를 결합한 후 중장여(42)를 장착한다.
상기 우측충량(54)의 상부면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하부우측화반동자(551)가 결합된다. 도 8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우측화반동자(551)의 상부면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십자소로(172)가 결합되며, 상기 십자소로(172)에는 하부우측화반동자(55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첨차(16)를 안치된다. 상기 첨차(16)는 상부우측화반동자(552)와 반턱맞춤으로 결합되고, 첨차(16)의 양단부 상측에는 일자소로(171)가 각각 부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우측화반동자(552)는 첨차(16)와 결합되는 하부가 십자소로(172)에 맞물리도록 하며, 상부우측화반동자(552)의 상부에서 하부로 장홈이 형성되어 상기 장홈에 십자소로(172)가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십자소로(172)의 홈은 첨차(16)의 양단부에 결합된 일자소로(171)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도 8c를 참조한 바와같이 우측대량(52)의 상부면 즉, 내기둥(13)과 외기둥(12) 사이의 우측대량(52) 상부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각각 하부동주(562)가 결합된다. 상기 하부동주의 상부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십자소로(172)가 결합되며, 상기 십자소로에는 상부동주(561)가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동 주(561)의 상부면에도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동주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동주첨차(161)를 반턱맞춤으로 결합되며, 상기 동주첨차(161)의 양단부 상측에는 일자소로(171)가 각각 결합되고, 동주첨차의 중앙상부면에는 재주두(15b)가 결합된다.
또한, 도 8d를 참조한 바와같이 좌측대량(51)에는 상부 양측에 동주(56)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동주(56)에는 동주첨차(161)를 반턱맞춤으로 결합한다. 상기 동주첨차(161)의 상부 중앙에는 재주두(15b)를 결합하고, 양단부에는 일자소로(171)를 결합하여 재주두와 일자소로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도 8e를 참조한 바와같이 좌측충량(53)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는 하부좌측화반동자(553)를 장착하고, 상기 하부좌측화반동자의 상부에 형성된 장홈에는 상부좌측화반동자(554)와 십자소로(172)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상부좌측화반동자(554)의 양단부에는 일자소로(171)를 장착하여 십자소로와 일자소로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대량과 충량에 각각 결합된 좌우측화반동자(55)와 동주(56)에는 장착된 소로(171, 172) 및 재주두(15b)에 중장여(42)를 안치한다. 이 때 상기 중장여(42)가 교차되는 부분은 반턱맞춤으로 결합하고, 재주두(15b)에 안치되는 중장여는 중간에 이격틈이 형성되도록 장착하되 상기 중장여는 라운드된 홈이 형성된 면을 상부로 향하게 하여 장착한다.
도 9a를 참조한 바와같이 좌우측대량(51, 52) 상부의 동주(56)에 장착된 재주두(15b)에는 대량(51, 52)과 동일한 방향으로 종보(57)를 안치한다. 상기 종 보(57)의 양단부에는 측면에 홈을 형성하여 재주두에 안치된 중장여(42)의 단부가 삽설되도록 하고, 상기 재주두에 안되는 종보(57)의 상부면에는 중장여(42)와 상부곡면과 동이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중장여(42)와 종보(57) 양단부의 곡면 상측에는 중도리(62)와 외기도리(63)를 안착하되 상기 중도리와 외기도리의 교차부분은 반턱맞춤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도 9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종보(57)와 외기도리(63)에는 상부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각각 하부대공(581)을 결합한다. 상기 하부대공의 상부홈에는 십자소로(172)와 대공첨차(162)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대공첨차(162)의 상부에는 상부대공(582)을 반턱맞춤으로 결합하며, 상기 대공첨차(162)의 양단부에는 일자소로(171)를 결합한다.
또한, 도 9d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상부대공(582)의 상단에 마루장여(43)가 안치되고, 상기 마루장여(43)의 상부에는 마루도리(64)를 안치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대공(582)의 상단에는 마루장여(43)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상부에는 마루도리(64)가 안치되도록 마루도리의 직경과 유사한 라운드된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10a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부에는 외기도리(63)와 중도리(62)의 모서리 부분과 주심도리(61)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는 추녀(71)가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상기 추녀(71)의 상단부는 외기도리(63)와 중도리(62)의 교차부 분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주심도리(61)의 모서리 부분에서 더 연장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추녀(71)와 교차되는 주심도리(61)의 양측에는 주심도리를 따라 갈모산방(711)을 설치하여 추녀를 지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0b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부에는 중도리(62)와 주심도리(61)를 잇는 장연(72)과, 마루도리(64)와 중도리(62)를 잇는 단연(73)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한다. 이 때 상기 마루도리(64)의 상부에 부착되는 단연(73)은 전면과 후면의 단연이 서로 어긋나도록 결합하고, 상기 단연(73)의 하단은 장연(72)과 어긋나게 결합하여 단연간 및 장연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연(72)의 하측단부는 추녀(71)의 하측단부와 연장된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처마끝이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추녀(71)와 장연(72) 사이에는 일정각으로 회전되면서 선자연(74)이 결합된다. 상기 선자연(74)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으로 형성하여 상부 쐐기 부분을 접하여 설치할 경우 일정각 회전되면서 추녀와 장연 사이를 메우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장연(72), 단연(73), 선자연(74)은 중도리(62), 외기도리(63), 주심도리(61), 마루도리(64)와 접하는 면을 상기 도리의 외주연과 동일한 호를 같도록 홈을 형성하여 도리와 연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0b와 10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추녀(71)의 하단부에는 v자홈(712)을 형성하고 상기 v자홈(712)에 평고대(75)를 결합한다. 상기 평고대(75)는 상부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어 양단부가 추녀의 v자홈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평고대(75)가 결합된 추녀(71)의 단부에는 사래(76)를 부착시켜 평고대를 추녀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평고대(75)의 상부 요홈에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연(77)이 결합되는데 상기 부연(77)은 일단이 평고대(75)의 요홈에 결합되고 타단은 장연(72)사이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단연(73)에서 장연(72)과 부연(77)으로 내려오면서 각도가 점진적으로 완만하게 다단 꺾이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선자연(74)이 결합되는 부분에도 선자부연(78)이 결합되는데, 상기 선자연(74)은 인접한 선자연과 이루는 간격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짐으로 상기 선자부연(78)도 좁아지는 간격에 맞추어 상부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마루도리(64) 양단부의 상부에는 덧도리(65)를 상향부착한다. 이 때 상기 덧도리(65)의 단부는 마루도리의 단부와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덧도리(65)에는 장변에 형성된 단연(73)으로부터 연속되게 집부사(651)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집부사(651)의 하단은 추녀(71)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상단은 서로 엇갈리게 부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최외측의 집부사(651)는 상단부가 서로 맞물리게 부착하고, 맞물린 집부사의 측면은 마루도리(64)의 단부와 일치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맞물린 집부사가 형성된 마루도리(64)의 양단부에는 박공(80)이 부 착된다. 상기 박공(80)은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를 분리구성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되며, 박공(80)의 상단면에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박공은 마루도리와 덧도리의 단부와 최외측 집부사의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부착하고, 박공의 상부 요홈에는 목기연(81)을 결합하여 도 1과 같이 지붕부를 완성한다. 이때 상기 목기연(81)은 일단이 박공(80)의 요홈에 결합되고, 타단은 집부사(651)에 결합하도록 하여 박공을 견고히 고정시킨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둥(10)에 초익공(141)과 창방(30)과 주두(15a)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주두의 상부에 이익공(142)을 안치한 후 장여(72)를 설치하는 이익공구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초익공만 적용하여 대량과 충량을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익공(141)과 창방(30)이 설치된 기둥의 상부에 주두(15a)를 결합하고 창방의 상부에는 일자소로(171)를 다수 설치하고, 상기 주두(15a)에 대량(51, 52)과 충량(53, 54)을 직접 설치하고 장여와 주심도리를 결합하는 순으로 축조하여 초익공 한옥모형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기둥에 초익공을 설치하지 않고 창방을 설치한 후 주두를 결합하고 대량과 충량을 직접설치여 장여와 주심도리를 결합하는 민도리한옥을 제조하는 등 부분 변경에 의해 다양한 한옥구조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형한옥 조립구조는,
전통한옥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동일한 비율로 축소함에 있어 소형부재의 블록화를 최소화하여 모형한옥을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건물을 축조하는 것과 유사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어린이에게는 전통문화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 건축지망생에게는 전통 목조건물의 건축술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2)

  1. 모형한옥에 있어서,
    사각판체로 구성되고 내면에 다수의 결합홈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된 기단(2)과;
    상기 기단에 형성된 결합홈(202)에 주초(201)를 결합하고, 상기 주초에는 기둥을 조립하여 구성하되, 상기 기둥은 직사각형으로 배열된 귀기둥(11)과, 상기 귀기둥이 형성하는 장변과 단변 사이에 조립되는 외기둥(12)과, 상기 귀기둥의 내측에 조립되는 내기둥(13)으로 구성되는 기둥부(3)와;
    상기 기둥부를 창방(30)으로 서로 연결하고, 창방(30)과 기둥부가 형성하는 측면에 중방(26)과 문선(27)을 연결하고 이에 창호(28)를 조립하여 형성된 벽면부(4)와;
    상기 창방(30)의 상부에는 주심장여(41)를 안치 한 후 좌우측대량(51,52)과 좌우측충량(53,54)을 조립한 후 주심도리(61)를 안착시키고, 상기 좌우측대량(51,52)과 좌우측충량(53,54)에는 동주(56)와 화반동자(55)를 이용하여 중장여(42)와 종보(57)를 설치하고, 상기 중장여(42)에는 중도리(62)와 외기도리(63)를 안치하고, 상기 종보(57)와 외기도리(63)에는 대공(58)을 결합하여 상기 대공에 마루장여(43)와 마루도리(64)를 장착하고, 상기 주심도리(61)와 중도리(62)와 마루도리(64)를 잇는 장연(72)과 단연(73)과 선자연(74) 및 추녀(71)를 설치하여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부(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기둥(11)과 외기둥(12) 사이의 하부에는 하인방(21)과 머름(24)을 결합하고, 내기둥(13)과 근접된 귀기둥(11)의 양측에는 중인방(22)을 결합하며, 상기 귀기둥(11)과 외기둥(12) 사이의 상부에는 상인방(23)을 결합하여 인접된 기둥과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내기둥(13)과 이와 인접한 단변 외기둥(12)은 내창방(31)을 조립하여 내기둥을 견고히 고정시키고, 상기 내창방(31)이 조립되는 타측의 내기둥과 단변 외기둥 사이에는 마루조각이 음각된 마루판(25)을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창방(31)과, 내창방이 결합되는 외기둥(12)을 제외한 외기둥의 상단에는 초익공(141)을 결합하고, 귀기둥(11) 간에는 창방(30)을 결합하되, 상기 창방(30)사이, 창방과 초익공(141)사이, 창방과 내창방(31) 사이는 반턱맞춤으로 결합하여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기둥사이에 결합되는 창방(30)의 상면에는 화반(32)을 안치하고, 상기 귀기둥(11)과 외기둥(12)과 내기둥(13)의 상단에는 십자홈이 형성된 주두(15a)를 결합하되 상기 귀기둥(11)에 결합된 주두 십자홈에는 상하부가 반턱맞춤으로 결합된 상 하부이익공(142a,142b)이 결합되고, 상기 외기둥(12)에 결합된 주두의 결합홈에는 이익공(142)과 첨차(16)를 결합하고, 상기 귀기둥 간을 연결하는 창방의 수직상부면에 위치하는 이익공(142)·첨차(16)의 단부와 화반(32)의 중단에는 일자홈이 형성된 일자소로(171)를 결합하도록 하고, 상기 귀기둥과 외기둥의 상부에는 재주두(15b)를 더 장착하여 귀기둥을 연결하는 장변과 단변에 각각 주심장여(41)를 안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변에 설치된 외기둥간에는 대량(51,52)을 조립하되, 내기둥(13)과 교차되는 우측대량(52)은 중단에 하측방향으로 함몰된 걸림홈(521)이 형성되어 우측충량(54)의 일단과 반턱맞춤으로 결합하며 상기 우측충량(54)의 타단에는 양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주심장여(41)가 각각 삽설되도록 하고,
    좌측대량(51)에는 측면상부에 결합홈(511)이 형성되어 좌측충량(53)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좌측충량의 타단에는 양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주심장여(41)가 각각 삽설되도록 하고,
    상기 충량(53,54)과 대량(51,52) 중 외측으로 표출된 단부는 상부에 원형의 안치홈(501)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에는 귀기둥이 형성하는 장변과 단변으로 주심도리(61)를 각각 안치하고, 상기 교차되는 주심도리는 반턱맞춤으로 결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충량(54)의 상부면에는 하부우측화반동자(551)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우측화반동자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는 십자소로(172)를 결합하고, 상기 십자소로에는 하부우측화반동자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첨차(16)를 안치하고, 상기 첨차에는 상부우측화반동자(552)를 반턱맞춤으로 결합하고, 상기 상부우측화반동자의 상부 홈에는 십자소로(172)를 결합하되 상기 첨차의 양단에 부착되는 일자소로(171)와 동일한 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우측대량(52)에는 외기둥과 내기둥 사이에 각각 하부동주(562)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동주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는 십자소로(172)를 결합하고, 상기 십자소로에는 상부동주(561)가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동주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동주첨차(161)를 반턱맞춤으로 결합하고, 상기 동주첨차(161)의 상부에는 중앙과 양단부에는 재주두(15b)와 일자소로(171)를 각각 결합하여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좌측대량(51)에는 상부 양측에 동주(56)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동주에는 동주첨차(161)를 반턱맞춤으로 결합하고, 상기 동주첨차의 상부 중앙에는 재주두(15b)를 결합하고 양단부에는 일자소로(171)를 결합하여 재주두와 일자소로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좌측충량(53)의 상부면에는 하부좌측화반동자(553)를 장착하고, 상기 하부좌측화반동자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는 상부좌측화반동자(554)와 십자소로(172)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상부좌측화반동자의 양단부에는 일자소로(171)를 장 착하여 십자소로와 일자소로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좌우측화반동자(551~554)와 동주(56)에 결합된 소로 및 재주두(15b)에는 중장여(42)를 안치하되 서로 교차되는 부분을 반턱맞춤으로 결합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대량(51,52) 상부의 동주(56)에 장착된 재주두(15b)에는 대량과 동일한 방향으로 종보(57)를 안치하되 상기 종보의 양단부에는 측면에 홈을 형성하여 재주두에 안치된 중장여(42)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재주두에 안치되는 종보(57)의 상부면에는 중장여(42)와 상부곡면과 동일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중장여(42)와 종보(57) 양단부의 곡면 상측에는 중도리(62)와 외기도리(63)를 안착하되 상기 중도리와 외기도리의 교차부분은 반턱맞춤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보(57)와 외기도리(63)에는 각각 하부대공(581)을 결합하고, 상기 하부대공의 상부홈에는 십자소로(172)와 대공첨차(162)를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대공첨차(162)의 상부에는 상부대공(582)을 반턱맞춤으로 결합하고, 상기 대공첨차의 양단부에는 일자소로(171)를 결합하고, 상기 대공첨차의 일자소로와 상부대공의 상부중앙에는 마루장여(43)가 안치되고, 상기 마루장여의 상부에는 마루도리(64)를 안치하되 상기 마루도리는 상부대공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에는 외기도리(63)와 중도리(62)의 모서리 부분과 주심도리(61)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는 추녀(71)가 각 모서리마다 설치되고, 상기 추녀와 교차되는 주심도리의 양측에는 주심도리를 따라 갈모산방(711)을 설치하여 추녀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에는 중도리(62)와 주심도리(61)를 잇는 장연(72)과, 마루도리(64)와 중도리(62)를 잇는 단연(73)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고, 외기도리(63)와 중도리(62)와 주심도리(61)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추녀(71)를 중심으로 양측면에는 장연(72)과의 사이에 일정각으로 회전되면서 선자연(74)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중도리(62), 외기도리(63), 주심도리(61), 마루도리(64)와 접하는 장연(72), 단연(73), 선자연(74)의 접합면에는 반원의 홈을 형성하여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녀(71)의 단부에는 v자홈(712)을 형성하고 상부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평고대(75)의 양단부를 추녀의 v자홈(712)에 각각 결합하여 처마를 형성하는 장연(72)의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추녀의 단부에는 사래(76)를 결합하여 v자홈에 결합된 평고대(75)를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평고대의 상부 요홈에는 부연(77)의 일단을 결합하고 부연의 타단은 장연(72)사이에 끼워서 결합하고, 상기 추녀부분의 평고대 요홈에는 선자부연(78)의 일단을 결합하고 선자부연의 타단은 선자연 사이에 끼워 결합하여 단연으로부터 내려오는 각도를 완만하게 다단 꺾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도리(64) 양단의 상부에는 덧도리(65)를 상향부착하여 덧도리의 단부와 마루도리의 단부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장변에 형성된 단연(73)으로부터 연속되도록 집부사(651)를 엇긋나게 결합하되 최외측의 집부사는 상단부가 서로 맞물리게 부착하여 측면이 마루도리(64)의 단부와 일치되도록 하고, 상기 맞물린 집부사가 형성된 마루도리(64)의 양단부에는 좌우측이 결합된 한쌍의 박공(80)을 마루도리와, 덧도리의 단부와, 맞물린 집부사의 측면과 일치하도록 부착하고, 상기 박공(80)의 상부에 다수 형성된 요홈에는 목기연(81)의 일단을 결합하고 상기 목기연의 타단은 집부사(651)에 부착되도록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한옥 조립구조.
KR1020070044264A 2007-05-07 2007-05-07 모형한옥 조립구조 KR100777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264A KR100777084B1 (ko) 2007-05-07 2007-05-07 모형한옥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264A KR100777084B1 (ko) 2007-05-07 2007-05-07 모형한옥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084B1 true KR100777084B1 (ko) 2007-11-28

Family

ID=3907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264A KR100777084B1 (ko) 2007-05-07 2007-05-07 모형한옥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0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225B1 (ko) * 2009-02-27 2011-01-07 주식회사 만상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KR101045350B1 (ko) * 2011-02-01 2011-06-30 임지중 모형용 조립체
KR20160028770A (ko) 2014-09-04 2016-03-14 송경호 전통 가옥의 미니어처 어셈블리
KR20160109393A (ko) * 2015-03-11 2016-09-21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조립식 화장실
KR20180059198A (ko) * 2016-11-25 2018-06-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통 목조 건축물의 지붕 모형
KR101880666B1 (ko) * 2017-07-17 2018-07-20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기밀성 향상된 한옥
CN113053227A (zh) * 2021-03-17 2021-06-29 温州大学 一种用于异形屋顶模型的构成要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912A (ko) * 1999-05-03 2000-12-05 이완수 모형 제조방법 및 그 모형
KR200206963Y1 (ko) * 2000-02-09 2000-12-15 김정애 세계 건축물 축소 모형 시리즈 - 한국편, 전통건축물시리즈
KR20020037002A (ko) * 2002-04-17 2002-05-17 어경해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KR200363394Y1 (ko) * 2004-06-15 2004-10-01 전주시 모형 한옥의 공포 조립구조
KR200363395Y1 (ko) * 2004-06-15 2004-10-01 전주시 모형 한옥의 동자주 조립구조
KR200363396Y1 (ko) * 2004-06-15 2004-10-01 전주시 모형 한옥의 종도리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912A (ko) * 1999-05-03 2000-12-05 이완수 모형 제조방법 및 그 모형
KR200206963Y1 (ko) * 2000-02-09 2000-12-15 김정애 세계 건축물 축소 모형 시리즈 - 한국편, 전통건축물시리즈
KR20020037002A (ko) * 2002-04-17 2002-05-17 어경해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KR200363394Y1 (ko) * 2004-06-15 2004-10-01 전주시 모형 한옥의 공포 조립구조
KR200363395Y1 (ko) * 2004-06-15 2004-10-01 전주시 모형 한옥의 동자주 조립구조
KR200363396Y1 (ko) * 2004-06-15 2004-10-01 전주시 모형 한옥의 종도리 조립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225B1 (ko) * 2009-02-27 2011-01-07 주식회사 만상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KR101045350B1 (ko) * 2011-02-01 2011-06-30 임지중 모형용 조립체
KR20160028770A (ko) 2014-09-04 2016-03-14 송경호 전통 가옥의 미니어처 어셈블리
KR20160109393A (ko) * 2015-03-11 2016-09-21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조립식 화장실
KR101710913B1 (ko) * 2015-03-11 2017-02-28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조립식 화장실
KR20180059198A (ko) * 2016-11-25 2018-06-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통 목조 건축물의 지붕 모형
KR101882583B1 (ko) 2016-11-25 2018-07-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통 목조 건축물의 지붕 모형
KR101880666B1 (ko) * 2017-07-17 2018-07-20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기밀성 향상된 한옥
CN113053227A (zh) * 2021-03-17 2021-06-29 温州大学 一种用于异形屋顶模型的构成要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084B1 (ko) 모형한옥 조립구조
US3416275A (en) Wall construction
JPH0439349B2 (ko)
CN206599879U (zh) 一种可循环使用的轻型木屋墙体组合构件
US9327206B2 (en) Building toy
JP5618132B2 (ja) 建物構造体
JP2007510834A (ja) 丸太小屋式ファサード
CN105625560B (zh) 一种可工业化生产的装配式中式仿古木建筑
KR100690041B1 (ko) 전통 초가집 조립 모형
Hewett Anglo-Saxon carpentry
JP4159405B2 (ja) 壁式構造の建物
JP2006132240A (ja) 階段構造
CN201003212Y (zh) 活动支架
KR200360429Y1 (ko) 모형 건축물용 하앙식 공포의 조립구조
JP2005201011A (ja) ユニット建物及びユニット建物の施工方法
Courtenay The Westminster Hall Roof and Its 14th-Century Sources
CN211114062U (zh) 一种耐腐蚀可快速拼接的仿古建筑结构
CN205557900U (zh) 一种适用于木构架的装配式环保墙体
KR100759750B1 (ko)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시공방법
KR102195114B1 (ko)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KR102502779B1 (ko) 벽체부재의 수평조절장치
CN216798699U (zh) 古建筑模型中斗拱与额枋组件
KR101581428B1 (ko) 한옥모형체를 이용한 한옥교육방법 및 한옥모형체
KR200360428Y1 (ko) 모형 건축물용 다포의 조립구조
KR20100009211U (ko) 자유조립이 가능한 건축모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