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750B1 -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750B1
KR100759750B1 KR1020070070097A KR20070070097A KR100759750B1 KR 100759750 B1 KR100759750 B1 KR 100759750B1 KR 1020070070097 A KR1020070070097 A KR 1020070070097A KR 20070070097 A KR20070070097 A KR 20070070097A KR 100759750 B1 KR100759750 B1 KR 10075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member
corner
protrusion
proj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수
Original Assignee
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수 filed Critical 정연수
Priority to KR102007007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조 통나무주택의 건축시 코너부위를 반듯하게 처리하여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코너부위를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나무, 코너부재, 코너부위, 방수, 건축

Description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Corner member of wood log house and method for corner construction of wood log house}
본 발명은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목조 통나무주택의 건축시 코너부위를 반듯하게 처리하여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코너부위를 미려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한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조 통나무주택은 나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상과 자연스러운 굴곡과 자연미를 만끽할 수 있고 외관상의 웅장함을 표현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나무 고유의 색감은 마음의 평온을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나무의 완벽한 습도조절 공기정화 능력은 어떤 건축소재보다 뛰어나며 집 내부의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여 사람이 살기에 최적의 공간을 만들어 주고, 나무에서 발산하는 나무의 향은 사람들에게 안정감과 평안함을 준다.
현대에 뛰어난 기술력으로 만들어낸 건축 소재는 빠르고 쉽고 경제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현재 나무의 장점을 뛰어넘을 만한 건축자재는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 목조 통나무주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목조 통나무주택의 건축공법은 노치(Notch Style), 포스트 앤 빔(Post & Beam Style 목구조방식), 콤비네이션(Combination 혼합구조방식), 피스 앤 피스(Piece & Piece) 공법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노치 공법은, 나무와 나무의 교차부분을 서로 반씩 겹치게 하여 물리고 물리는 형식을 취하는 것으로서 지진이나 지반침하에도 잘 견디는 공법이다.
포스트 앤 빔 공법은, 기둥, 보, 도리 등 기본 뼈대만 통나무를 이용한 형태로 적은 수의 통나무로 구조체로 만드는 공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간 구성이 가능하며 통나무가 주는 압박감이 덜한 장점이 있다.
콤비네이션 공법은, 노치와 포스트 앤 빔 공법을 혼합한 형태로 여러 형태의 구조나 공법을 이용하며 다양한 모양을 연출하는 공법이며 벽체를 황토나 석재 통나무 등 여러 가지 재료로 마감하기도 한다.
피스 앤 피스 공법은, 포스트 사이의 벽체에 짧은 나무를 끼워 넣은 형태로 기둥과 기둥 사이의 필라로그(File Log)라고 부른 짧은 통나무를 쌓아서 마감하는 공법이며 비교적 짧은 원목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목조 통나무주택 건축공법은 도 1과 같이 통나무를 우 물 정(井)자 모양으로 쌓아 집을 짓기 때문에 코너부위의 끝이 앞으로 튀어나오고 이 튀어난 틈 사이로 빗물이 스며드는 등 방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스며든 빗물에 의해 자재가 썩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코너부위가 튀어나온 만큼 자재가 많이 소요되므로 건축비가 상승 되고, 코너를 공장에서 가공해야함으로 시공이 번거로워 시공기간이 길며, 시공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기간만큼 인건비 지출이 높아지고, 코너부위가 튀어나온 만큼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동선이 좁아짐은 물론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목조 통나무주택의 코너부위를 직각모양으로 반듯하게 시공함으로써, 코너부위의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코너부위가 튀어나오지 않으므로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비숙련자일 경우에도 현장시공이 용이하여 시공기간 단축과 이로 인한 인건비절감 및 최대한 넓게 동선을 확보할 수 있고, 반듯한 코너시공을 통해 목조 통나무주택의 건축미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상면과 저면은 일정형태의 밀착면을 이루고 상면 양측에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저면 양측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결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에 있어서, 선단 안쪽부위의 절반을 절단하여 앞쪽으로 튀어나온 제1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돌출부의 형성으로 단차를 이루도록 제1돌출부의 안쪽면과 직각의 라인을 형성하는 제1밀착면이 형성된 제1코너부재와; 상기 제1코너부재의 제1돌출부 및 제1밀착면과 동일한 제2돌출부 및 제2밀착면이 형성되고, 제2돌출부의 안쪽면은 제1돌출부의 선단면과 밀착결합되고 제2밀착면은 제1돌출부의 안쪽면에 밀착결합되며, 상기 상면 양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앞쪽부위는 제2돌출부만큼 절단되는 제2코너부 재와; 상기 제1코너부재의 제1돌출부 및 제1밀착면과 동일한 제3돌출부 및 제3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3돌출부의 선단면 및 바깥쪽면이 제2돌출부의 바깥쪽면 및 선단면과 일치되도록 저면의 오목부가 제1코너부재 상면의 볼록부에 대응결합되며, 상기 상면 양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앞쪽부위는 제1돌출부만큼 절단되는 제3코너부재와; 상기 제2코너부재의 제2돌출부 및 제2밀착면과 동일한 제4돌출부 및 제4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4돌출부의 선단면 및 안쪽면이 제3돌출부의 안쪽면 및 제3밀착면에 밀착결합되도록 저면의 오목부가 제2코너부재 상면의 볼록부에 대응결합되는 제4코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의 선단면 및 안쪽면은 제2돌출부의 안쪽면 및 제2밀착면에 부합되고, 제3돌출부의 안쪽면 및 제3밀착면은 제4돌출부의 선단면 및 안쪽면에 부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코너부재 위에는 제3코너부재가 결합되고, 제2코너부재 위에는 제4코너부재가 결합되도록 교대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코너부재를 저면의 오목부는 아래를 향하고 볼록부는 위를 향하도록 위치시키는 제1단계와; 제1, 2코너부재를 외관상 직각의 코너를 이루도록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코너부재의 제2돌출부 안쪽면 및 제2밀착면이 상기 제1코너부재의 제1돌출부 선단면 및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결합하는 제2단계와; 제3코너부재를 제1코너부재 위에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코너부재의 제3돌출부 선단면 및 바깥쪽면이 상기 제2코너부재의 제2돌출부 바깥쪽면 및 선단면과 일치되도록 제1코너부재 상면의 볼록부에 제3코너부재 저면의 볼록부를 끼움결합하는 제3단계 와; 제3, 4코너부재를 외관상 직각의 코너를 이루도록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4코너부재의 제4돌출부 선단면 및 안쪽면이 제3코너부재의 제3돌출부 안쪽면 및 제3밀착면과 밀착되도록 제2코너부재 상면의 볼록부에 제4코너부재 저면의 볼록부를 끼움결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제2돌출부의 바깥쪽면에서 복수의 피스를 박아 제1, 2코너부재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제3돌출부의 바깥쪽면에서 복수의 피스를 박아 제3, 4코너부재를 결합하고, 제3, 4코너부재의 상면에서 복수의 피스를 박아 제3, 4코너부재와 제1, 2코너부재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코너를 반듯하고 견고하게 시공함으로써, 완벽한 방수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튀어나오지 않은 코너부위만큼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코너가공을 공장을 거치지않고 비숙련자일 경우에도 쉽게 현장에서 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3. 코너부위의 끝이 튀어나오지 않으므로 최대한 넓은 동선을 확보할 수 있으며 외관상 코너가 미려해져 목조 통나무주택의 전체적인 건축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조 통나무주택의 코너 시공상태도이고,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의 시공 과정도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조 통나무주택의 시공완성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는, 가로로 설치되는 제1코너부재(10)와, 상기 제1코너부재(10)와 직각의 코너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2코너부재(20)와, 상기 제1코너부재(10) 위에 설치되는 제3코너부재(30)와, 상기 제2코너부재(20) 위에 설치되면서 제3코너부재(30)와 직각의 코너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제4코너부재(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코너부재(10)는, 일정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상면과 저면은 일정형태의 밀착면으로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는 볼록부(50)가 형성되고 저면 양측에는 상기 볼록부(50)에 대응결합되는 오목부(5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코너부재(10)의 선단 안쪽부위에는 앞쪽으로 튀어나온 제1돌출부(11)가 형성되는데 이 제1돌출부(11)는 선단 안쪽부위를 절반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선단 안쪽의 절단부위에는 제1돌출부(11)의 형성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11)와 단차를 이루도록 제1돌출부(11)의 안쪽면과 직각의 라인을 형성하는 제1밀착면(1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코너부재(20)는, 외관상 평면의 코너를 이루도록 제1코너부재(1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방에는 제1코너부재(10)의 제1돌출부(11) 및 제1밀착면(12)와 동일한 제2돌출부(21) 및 제2밀착면(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코너부재(20)는 제1, 2코너부재(10, 20)의 결합 시공시 제2돌출부(21)의 안쪽면은 제1돌출부(11)의 선단면에 밀착결합되고, 제2밀착면(22)은 제1돌출부(11)의 안쪽면에 밀착결합된다.
상기 제2코너부재(20)의 저면 양측에는 제4코너부재(40) 상면 양측에 형성되는 볼록부(50)에 대응결합되는 오목부(51)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는 제4코너부재(40) 저면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51)와 대응결합되는 볼록부(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코너부재(2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되는 볼록부(50)는 앞쪽을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만큼 절단하여 상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이는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 선단면이 제2돌출부(21) 바깥쪽 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제1코너부재(10) 위에 제3코너부재(30)를 결합할 시 제3코너부재(30)의 저면과 제2코너부재(20)의 상면의 밀착결합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코너부재(20)의 볼록부(50)가 상면 전체에 형성될 경우 볼록부(50) 높이만큼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 저면이 이격되어 밀착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코너부재(20)의 상면에 형성된 볼록부(50)의 앞쪽을 제3돌출부(31)만큼 절단하여 상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3코너부재(30)는, 외관상 평면의 코너를 이루도록 제4코너부재(4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방에는 제1코너부재(10)의 제1돌출부(11) 및 제1밀착면(12)과 동일한 제3돌출부(31) 및 제3밀착면(32)이 형성된다.
상기 제3코너부재(30)는, 제3돌출부(31)의 선단면이 제2코너부재(20)의 제2돌출부(21) 바깥쪽면과 일치되고 제3코너부재(30)의 바깥쪽면이 제2코너부재(20)의 제2돌출부(21) 선단면과 일치되도록 저면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51)가 제1코너부재(10) 상면의 볼록부(50)에 끼움결합된다.
이때, 제2코너부재(20) 상면의 볼록부(50) 앞쪽이 제3돌출부(31) 만큼 절단되어 있어 제3돌출부(31)의 선단면이 제2돌출부(21)의 바깥쪽면과 일치되도록 제3코너부재(30)가 앞쪽으로 당겨지더라도 제3코너부재(30)의 저면과 제2코너부재(20) 상면의 밀착결합에는 문제가 없다.
한편, 제3코너부재(30)를 제1돌출부(11)와 제3돌출부(31)가 일치되도록 제1코너부재(10)의 바로 위에 쌓을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견고한 결합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제3코너부재(30)를 앞쪽으로 당겨서 엇갈리게 결합한다.
즉, 제3코너부재(30)를 제3돌출부(31)의 선단면이 제2돌출부(21)의 바깥쪽면과 일치하도록 제3코너부재(30)가 앞쪽으로 당겨져서 결합될 경우 제1코너부재(10)의 제1돌출부(11) 선단면과 제2코너부재(20)의 제2돌출부(21)의 안쪽면의 연결부위에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가 놓여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층을 쌓아갈수록 견고한 결합상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코너부재(30) 상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볼록부(50)의 앞쪽은 제2코너부재(20)와 마찬가지로 제2코너부재(20)의 제2돌출부(21)만큼 절단하여 제3코너부재(30) 위에 제2코너부재(20)를 결합할 시 제3코너부재(30) 상면과 제2코너부재(20)의 저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제2코너부재(20)의 설명시와 같은 이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4코너부재(40)는, 외관상 평면의 코너를 이루도록 제3코너부재(3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방에는 제2코너부재(20)의 제2돌출부(21) 및 제2밀착면(22)과 동일한 제4돌출부(41) 및 제4밀착면(42)이 형성된다.
상기 제4코너부재(40)는 제4돌출부(41)의 선단면이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 안쪽면과 밀착결합되고, 제4돌출부(41)의 안쪽면이 제3밀착면(32)과 밀착 결합되도록 저면의 오목부(51)가 제2코너부재(20) 상면의 볼록부(50)에 대응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 2, 3, 4코너부재(10, 20, 30, 40)의 제1, 2, 3, 4돌출부(11, 21, 31, 41) 및 제1, 2, 3, 4밀착부(12, 22, 32, 42)는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는 외관상 코너가 직각을 이루도록 제1, 2코너부재(10, 20)를 결합하고, 그 위에 제3, 4코너부재(30, 4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목조 통나무주택의 코너를 원하는 높이까지 미려하면서도 견고하게 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은, 코너 시공을 위해 제1코너부재(10) 위치시키는 제1단계와, 외관상 평면의 코너를 이루도록 제1, 2코너부재(10, 20)를 결합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코너부재(10) 위에 제3코너부재(30) 결합하는 제3단계와, 제1코너부재(10) 위에 제4코너부재(40)를 결합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제1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너부재(10)를 저면의 오목 부(51)는 아래를 향하고 상면의 볼록부(50)는 위를 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제1코너부재(10)의 제1돌출부(11) 안쪽면은 코너의 안쪽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제2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상 튀어나오지 않은 직각의 코너를 이루도록 제1, 2코너부재(10, 2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제2코너부재(20)의 제2돌출부(21) 안쪽면이 제1코너부재(10)의 제1돌출부(11) 선단면과 밀착결합되고 제2밀착면(22)이 제1돌출부(11)의 안쪽면과 밀착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1, 2코너부재(10, 20)를 결합함으로써 외관상 코너부위가 직각의 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함과 더불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 2코너부재(10, 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코너부재(20)의 제2돌출부(21) 바깥쪽면에서 복수의 피스(60)를 박아 제1, 2코너부재(10, 20)를 연결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제3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코너부재(10) 위에 제3코너부재(3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제3코너부재(30)를 제1코너부재(10) 위에 결합함에 있어서,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 선단면은 제2코너부재(20)의 제2돌출부(21) 바깥쪽면과 일 치하고 제3돌출부(31)의 바깥쪽면은 제2돌출부(21)의 선단면과 일치하도록 제3코너부재(30) 저면의 오목부(51)를 제1코너부재(10) 상면의 볼록부(50)에 대응결합한다.
이때, 제2코너부재(20)의 볼록부(50)는 앞쪽이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만큼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제3돌출부(31)의 선단면이 제2돌출부(21)의 바깥쪽면에 일치하도록 앞쪽으로 당겨서 제3코너부재(30)를 결합하더라도 제2코너부재(20)의 상면과 제3코너부재(30)의 저면은 밀착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처럼 제1코너부재(10)의 제1돌출부(11) 선단면과 제2코너부재(20)의 제2돌출부(21) 안쪽면의 연결부위 위에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가 놓이도록 결합함으로써 층을 쌓아 갈수록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제4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상 코너가 직각을 이루도록 제3, 4코너부재(30, 4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제4코너부재(40)의 제4돌출부(41) 선단면은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 안쪽면과 밀착결합되고 제4돌출부(41) 안쪽면은 제3밀착면(32)과 밀착결합되도록 제4코너부재(40) 저면의 오목부(51)를 제2코너부재(20) 상면의 볼록부(50)에 결합한다.
그런 다음 제3코너부재(30)의 제3돌출부(31) 바깥쪽면에서 복수의 피스(60)를 박아 제3, 4코너부재(30, 40)를 연결한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은 제1, 2코너부재(10, 20) 위에 제3, 4코너부재(30, 40)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반복하여 층 쌓아가는 시공방법이다.
그리고 코너의 시공이 완료되면 도 7과 같이 미려하고 깔끔한 마무리를 위해 코너에 방수테이프(80)를 부착 후 마감재(70)를 결합하여 장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코너 시공방법은 일반적인 평면의 각진 건축자재로 코너를 시공할 때는 물론 원형의 통나무를 사용하여 코너를 시공할 때도 얼마든지 응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목조 통나무주택의 코너 시공상태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의 시공 과정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너부재의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조 통나무주택의 시공완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1코너부재 11:제1돌출부 12:제1밀착면
20:제2코너부재 21:제2돌출부 22:제2밀착면
30:제3코너부재 31:제3돌출부 32:제3밀착면
40:제4코너부재 41:제4돌출부 42:제4밀착면
50:볼록부 51:오목부 60:피스
70:마감재 80:방수테이프

Claims (6)

  1. 상면과 저면은 일정형태의 밀착면을 이루고 상면 양측에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저면 양측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결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에 있어서,
    선단 안쪽부위의 절반을 절단하여 앞쪽으로 튀어나온 제1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돌출부의 형성으로 단차를 이루도록 제1돌출부의 안쪽면과 직각의 라인을 형성하는 제1밀착면이 형성된 제1코너부재와;
    상기 제1코너부재의 제1돌출부 및 제1밀착면과 동일한 제2돌출부 및 제2밀착면이 형성되고, 제2돌출부의 안쪽면은 제1돌출부의 선단면과 밀착결합되고 제2밀착면은 제1돌출부의 안쪽면에 밀착결합되며, 상기 상면 양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앞쪽부위는 제2돌출부만큼 절단되는 제2코너부재와;
    상기 제1코너부재의 제1돌출부 및 제1밀착면과 동일한 제3돌출부 및 제3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3돌출부의 선단면 및 바깥쪽면이 제2돌출부의 바깥쪽면 및 선단면과 일치되도록 저면의 오목부가 제1코너부재 상면의 볼록부에 대응결합되며, 상기 상면 양측에 형성된 볼록부의 앞쪽부위는 제1돌출부만큼 절단되는 제3코너부재와;
    상기 제2코너부재의 제2돌출부 및 제2밀착면과 동일한 제4돌출부 및 제4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4돌출부의 선단면 및 안쪽면이 제3돌출부의 안쪽면및 제3밀착면에 밀착결합되도록 저면의 오목부가 제2코너부재 상면의 볼록부에 대응결합되 는 제4코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선단면 및 안쪽면은 제2돌출부의 안쪽면 및 제2밀착면에 부합되고, 제3돌출부의 안쪽면 및 제3밀착면은 제4돌출부의 선단면 및 안쪽면에 부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부재 위에는 제3코너부재가 결합되고, 제2코너부재 위에는 제4코너부재가 결합되도록 교대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4. 제 1항과 같은 구성의 제1코너부재를 저면의 오목부는 아래를 향하고 볼록부는 위를 향하도록 위치시키는 제1단계와;
    제 1항과 같은 구성의 제1, 2코너부재를 외관상 직각의 코너를 이루도록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코너부재의 제2돌출부 안쪽면 및 제2밀착면이 상기 제1코너부재의 제1돌출부 선단면 및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결합하는 제2단계와;
    제 1항과 같은 구성의 제3코너부재를 제1코너부재 위에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코너부재의 제3돌출부 선단면 및 바깥쪽면이 상기 제2코너부재의 제2돌출부 바깥쪽면 및 선단면과 일치되도록 제1코너부재 상면의 볼록부에 제3코너부재 저면의 볼록부를 끼움결합하는 제3단계와;
    제 1항과 같은 구성의 제3, 4코너부재를 외관상 직각의 코너를 이루도록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4코너부재의 제4돌출부 선단면 및 안쪽면이 제3코너부재의 제3돌출부 안쪽면 및 제3밀착면과 밀착되도록 제2코너부재 상면의 볼록부에 제4코너부재 저면의 볼록부를 끼움결합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제2돌출부의 바깥쪽면에서 복수의 피스를 박아 제1, 2코너부재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제3돌출부의 바깥쪽면에서 복수의 피스를 박아 제3, 4코너부재를 결합하고, 제3, 4코너부재의 상면에서 복수의 피스를 박아 제3, 4코너부재와 제1, 2코너부재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 시공방법.
KR1020070070097A 2007-07-12 2007-07-12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시공방법 KR10075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97A KR100759750B1 (ko) 2007-07-12 2007-07-12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97A KR100759750B1 (ko) 2007-07-12 2007-07-12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750B1 true KR100759750B1 (ko) 2007-09-20

Family

ID=3873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097A KR100759750B1 (ko) 2007-07-12 2007-07-12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45Y1 (ko) 2020-05-15 2021-10-15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통나무집의 벽체 변형방지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856A (en) * 1895-10-15 Hat and coat r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856A (en) * 1895-10-15 Hat and coat r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45Y1 (ko) 2020-05-15 2021-10-15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통나무집의 벽체 변형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41482A (ja) 組立家屋及びその組立方法
CN206599879U (zh) 一种可循环使用的轻型木屋墙体组合构件
LV14137B (lv) Dubultas sienas koka bloki un sienas celtniec&amp;imacr;bas pa&amp;ncedil;&amp;emacr;miens
CN109415898A (zh) 建筑物和其建筑工艺方法
US7665270B1 (en) Lattice structure assembly having members with overlapping end sections connected by connection rods
KR100759750B1 (ko)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시공방법
JPH02292438A (ja) 木造家屋の建築構造
KR102277884B1 (ko) 목재블록벽체
US4378663A (en) Structural panel
KR101279041B1 (ko) 철골제를 이용한 한옥용 모서리 기둥부재
KR101127538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JP3986379B2 (ja) ユニット式透明材壁構造建築物の壁部材用木製枠体、透明材壁部材、透明材壁構造建築物ユニットセット及びユニット式透明材壁構造建築物
JP2883868B1 (ja) 建築下地用枠状パネルと該パネルを用いた下地工法
JP6444094B2 (ja) 建築用パネルの接合構造および建物
JP3222171U (ja) 拡張可能なログハウス。
RU24216U1 (ru) С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со стенами криволинейной формы
KR200231137Y1 (ko) 그늘집 기둥 구조
KR200178991Y1 (ko) 구조물용 조립부재
JPH07506880A (ja) 留め継手
US20180187422A1 (en) Faux logs and walls fitted with faux logs
JPS61266756A (ja) 壁部材
RU2155840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рус
JP4806142B2 (ja) 止水構造
KR20230117008A (ko) 조립식 나무블록
KR100694891B1 (ko)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