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4891B1 -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4891B1
KR100694891B1 KR1020050080020A KR20050080020A KR100694891B1 KR 100694891 B1 KR100694891 B1 KR 100694891B1 KR 1020050080020 A KR1020050080020 A KR 1020050080020A KR 20050080020 A KR20050080020 A KR 20050080020A KR 100694891 B1 KR100694891 B1 KR 10069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g
wedge
logs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354A (ko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정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수 filed Critical 정인수
Priority to KR102005008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89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1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 E04B2/70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integrated supporting and obturation function with longitudinal horizont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0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24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45Wooden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 전통방식의 귀틀집에서 사용하던 원통형 통나무 대신 시공 시 통나무들이 엇물리는 부분의 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3면이 평면인
Figure 112005048393624-pat00001
형태의 통나무를 사용함으로써 벽체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동시에, 벽체를 이루는
Figure 112005048393624-pat00002
형 통나무의 내측 끝단에 일정 간격으로
Figure 112005048393624-pat00003
형 쐐기홈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홈과 대응하는 형태의 쐐기목으로 상하 통나무들을 연결하고 상기 쐐기목에 보조목을 연속하여 덧대어 벽체 골격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벽체의 두께를 원하는 만큼 두껍게 할 수 있도록 한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 발명은 귀틀집의 벽체로
Figure 112005048393624-pat00004
형 통나무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원통형에서처럼 하나의 통나무를 쌓을 때마다 홈을 파고 수평 수직을 맞출 필요가 없어져 초보자도 용이하게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되며 벽체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체 골격의 내측면에 쐐기목과 보조목을 덧대는 방식으로 벽체의 두께를 자유자재로 늘일 수 있어 종래 값비싼 직경이 큰 외국 원목을 사용하지 않고 국내에서 쉽고 값싸게 구할 수 있는 직경이 작은 낙엽송 등의 원목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귀틀집, 통나무, 쐐기목, 보조목

Description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a method of construction for wall of a cabin}
도 1a는 종래 귀틀집 벽체의 골격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 귀틀집 벽체의 골격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c는 종래 귀틀집 벽체의 골격 분해사시도,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 벽체를 구성하는
Figure 112005048393624-pat00005
형 통나무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이 발명에 따라 통나무를 쌓아 올린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이 발명에 따라 쐐기목을 이용하여 통나무들을 고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이 발명에 따라 일차적으로 완성된 벽체 골격의 두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이 발명에 따라 보조목을 쐐기목에 덧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이 발명의 벽체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벽체 골격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이 발명의 벽체시공방법에 따라 완성된 벽체 내측을 보여주는 도면8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로목 2 : 세로목
3 : 홈 10 :
Figure 112005048393624-pat00006
형 통나무
11 : 쐐기홈 20 : 쐐기목
30, 30' : 보조목 40, 40' : 결합수단
50 : 진흙
이 발명은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종래 전통방식의 귀틀집에서 사용하던 원통형 통나무 대신 시공 시 통나무들이 엇물리는 부분의 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3면이 평면인
Figure 112005048393624-pat00007
형태의 통나무를 사용함으로써 벽체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시공기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동시에, 벽체를 이루는
Figure 112005048393624-pat00008
형 통나무의 내측 끝단에 일정 간격으로
Figure 112005048393624-pat00009
형 쐐기홈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홈과 대응하는 형태의 쐐기목으로 상하 통나무들을 연결하고 상기 쐐기목에 보조목을 연속하여 덧대어 벽체 골격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벽체의 두께를 원하는 만큼 두껍게 할 수 있도록 한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귀틀집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만주, 시베리아, 미국의 로키산맥, 북구의 스칸디나비아 반도 일대에서 목재가 풍부한 산간 지대의 주민들이 짓고 살던 원시 주거의 한 형태이다. 원통형의 나무를 가로 세로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쌓아 올려서 벽체를 삼으므로 이를 방틀집, 또는 말집이라고도 불렀다.
전통적인 귀틀집의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를 이루는 통나무(가로목, 1)와 통나무(세로목, 2)를 엇물리도록 쌓아올리되, 엇물리는 네 귀가 잘 들어맞아 고정되도록 움푹한 홈(3)을 파서 가로목과 세로목을 교대로 쌓아올리면 벽체의 골격이 구성된다.
그 다음 귀틀집의 보온과 단열을 위하여 통나무 사이의 공간을 황토나 진흙으로 메우면 벽체가 완성된다.
그러나 귀틀집의 벽체를 이루는 통나무들은 그 직경과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통나무를 쌓을 때마다 수평과 수직을 맞추기 위하여 엇물리는 부분을 측정하여 그에 맞게 홈을 파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벽체를 이루는 통나무들의 수평과 수직을 맞추는 일은 벽체시공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작업 중의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통나무들이 엇물리는 부분의 홈을 파는 작업이 귀틀집의 벽체시공에 있어서 가장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통나무에 홈을 적절하게 파는 작업은 오랜 숙련과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시공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시공비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전통적인 귀틀집은 사용되는 통나무의 직경이 곧 벽체의 두께가 되므로 벽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기 위해서는 직경이 큰 통나무를 사용해야만 한다.
한편, 귀틀집을 포함한 통나무를 벽체로 사용하는 통나무집의 벽체는 최소 40cm 이상이 되어야 보온과 단열에 문제가 없다.
따라서 보온과 단열을 위해서는 최소 40cm 이상의 통나무를 자재로 사용하여야 하는 데, 우리나라에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낙엽송은 대부분 직경이 30cm 이하로 작고, 길이도 360~450cm 정도가 한계이기 때문에 이러한 낙역송 및 그보다 직경이 작은 잡목을 벽체로 사용한 전통적인 귀틀집은 보온과 단열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근래에 와서 귀틀집을 비롯하여 전통적인 황토집, 통나무집, 너와집 등을 현대적으로 개량하여 별장, 전원주택, 음식점, 펜션, 콘도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데 그 중 통나무를 이용하는 귀틀집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귀틀집은 보온과 단열의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귀틀집은 보온과 단열을 위해서 국내에서 벌목되고 있는 직경이 작은 통나무를 사용하지 않고 직경이 40~50cm 정도인 수입산 통나무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직경이 40~50cm 정도인 수입산 통나무를 사용하면 귀틀집의 벽체를 두껍게 할 수 있어 보온단열을 할 수 있으나, 국산 통나무보다 비싸고 직경이 크고 길어 무겁기 때문에 시공 시 크레인 등의 장비가 필요하게 되어 시공비가 증가되고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입하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통나무를 신속하게 구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귀틀집의 벽체 시공 시 통나무들이 엇물리는 부분의 홈을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3면이 평면인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0
형태의 통나무를 사용하여 벽체를 쌓음으로써 벽체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키는 동시에, 벽체를 이루는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1
형 통나무의 내측 끝단에 일정 간격으로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2
형 쐐기홈을 형성하고 상기 쐐기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쐐기목으로 상하 통나무들을 연결함으로써 벽체를 이루는 통나무들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기 쐐기목에 보조목을 원하는 두께가 될 때까지 연속으로 덧댄 후 통나무 사이와 쐐기목 및 보조목 사이의 공간을 진흙 또는 황토 등으로 채움으로써 벽체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온과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은 먼저 직경이 30cm 이하의 통나무를 1측면은 라운드지고 다른 3측면은 각각 평면이 되도록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3
형 단면으로 가공하고; 상기 라운드진 면의 반대편 직선면의 끝단에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4
형 쐐기홈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가공한 다음; 상기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5
형 통나무의 라운드진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하여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6
형 통나무를 벽체 높이만큼 가로 세로 우물 정(井)자 형태로 쌓고; 상기 쐐기홈에 대응되는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7
형으로 제작된 쐐기목을 상기 상하로 쌓여 진 통나무들의 쐐기홈에 끼워 벽체를 이루는 통나무들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귀틀집의 벽체 골격을 완성한 다음; 통나무, 쐐기목으로 구성된 벽체의 목재 사이의 공간을 반죽된 진흙 또는 황토로 메워 벽체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벽체 골격이 완성되었으나 벽체의 두께 즉,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8
형 통나무의 직경과 쐐기목의 두께를 합한 두께가 보온과 단열을 위한 벽체의 두께(일반적으로 약 40~50cm)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쐐기목에 직각방향으로 보조목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덧대어 쐐기목과 보조목을 격자형태로 결합 배열하여 벽체의 골격 두께를 늘이면 된다. 만약 보조목을 1회 덧대었으나 원하는 벽체 두께가 나오지 않을 경우 또 다시 첫 보조목에 직각방향으로 두번째 보조목을 덧대는 방식으로 벽체 골격의 두께를 원하는 대로 늘일 수 있다.
이하,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 벽체를 구성하는
Figure 112005048393624-pat00019
형 통나무(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산에서 벌목한 원통형의 통나무 원목을 제재소 또는 현장에서 직접 3면을 면치기해서 3면은 평면으로, 나머지 1면은 껍질만 제거하여 라운드진 그대로 가공하여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0
형으로 가공하고, 벽체를 이루는 각각의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1
형 통나무들을 쐐기목으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라운드진 면의 반대쪽 직선면의 끝단에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2
형상으로 쐐기홈(11)을 형성시킨다. 이 때 상기 쐐기홈(11)의 형상은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3
형상이 가공성 및 고정성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형상일 뿐 적층된 통나무들을 쐐기목으로 고정시킨다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의 쐐기홈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다음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상기한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4
형 통나무(10)를 가로 세로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쌓아 올린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각각의 통나무에 형성된 쐐기홈(11)들이 상하 일렬로 일치되도록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5
형 통나무를 엇물리게 차곡차곡 쌓아 올리고, 쌓아 올린 통나무들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통나무들이 서로 엇물리는 네 귀부분을 철심, 쇠못, 나무못 등의 결합수단(40)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쌓여 진 통나무들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네 귀부분 이외에 통나무 중간부분에도 철심, 쇠못, 나무못 등의 결합수단(40')을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6
형 통나무를 이용하여 벽체를 쌓아 올리면 가로목과 세로목이 엇물리는 부분이 모두 평면으로 접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홈(3)을 별도로 가공할 필요없이 통나무들을 차곡차곡 쌓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홈을 가공하는 시간과 수평 수직을 맞추는 데 필요한 숙련과 시간이 대폭 줄어들게 되어 시공기간을 종래보다 1/3 이상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귀틀집의 벽체 외부 골격이 완성되면 도 4와 같이 적층된 통나무들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고 벽체의 두께를 늘이기 위한 골격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7
형 통나무(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쐐기홈(11)에 쐐기목(20)을 끼우면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의 벽체 골격이 일차적으로 완성된다.
도 5는 상기와 같이 일차적으로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8
형 통나무(10)와 쐐기목(20)으로 구성된 벽체의 늘어난 두께를 보여 주기 위한 단면도로서,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의 벽체 두께는 도 5에 'W'로 표시된 두께가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Figure 112005048393624-pat00029
형 통나무(10) 사이의 공간과 쐐기목(20) 사이의 공간을 반죽된 진흙 또는 황토 등의 마감재로 메우면 벽체가 완성되는 데, 최종 완성된 벽체의 두께는
Figure 112005048393624-pat00030
형 통나무의 폭과 쐐기목의 일부 폭을 합한 두께 즉, 도 5의 'W'로 표시된 두께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4와 같이 일차적으로
Figure 112005048393624-pat00031
형 통나무(10)와 쐐기목(20)으로 구성된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의 벽체 골격의 두께가 보온과 단열을 위하여 필요한 벽체의 최소 두께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목(20)에 직각방향으로 보조목(30)을 철심, 쇠못, 나무못 등의 결합수단(40)을 이용하여 덧대어(결합하여) 벽체 두께를 늘리고, 상기 보조목(30)을 덧대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벽체 두께가 나오지 않을 경우 또 다시 상기 보조목(30)에 직각방향으로 또 다른 보조목(30')을 덧대어 벽체의 두께를 늘여 나가면 된다.
상기에서 최초 쐐기목(20)의 직각방향으로 덧대어지는 보조목(30)을 두꺼운 목재를 사용한다면 추가적인 보조목(30')이 불필요하나 상기 보조목(30)을 구하기 쉽고 두께가 얇은 잡목을 사용할 경우에는 추가적인 보조목을 가로세로 격자 형태로 계속 덧대어 벽체 골격을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한 보조목(30)은 쐐기목(20)에 반드시 직각방향으로 결합될 필요는 없으나 작업의 용이성과 골격 작업 완성 후 반죽된 흙을 보조목과 쐐기목 사이에 채워 벽체를 완성했을 때의 강도 등을 고려했을 경우 직각방향이 가장 적합하기 때문에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로 제시한 것이라는 것을 밝혀둔다.
도 7은 이와 같이
Figure 112005048393624-pat00032
형 통나무와 쐐기목으로 구성된 기본 벽체 골격에 두 차례 보조목(30, 30')을 덧대고 완성한 벽체 골격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기본 벽체 골격보다 두께가 훨씬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7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의 최종 벽체 골격이 완성하고 벽체 골격 사이 사이의 빈 공간을 반죽된 흙, 특히 진흙 또는 황토 등으로 채워 메우면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의 벽체가 도 8과 같이 완성된다.
도 8에서 'W'로 표시된 두께가 최종적인 귀틀집의 벽체 두께가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에 의하면, 귀틀집의 벽체로
Figure 112005048393624-pat00033
형 통나무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원통형에서처럼 하나의 통나무를 쌓을 때마다 홈을 파고 수평 수직을 맞출 필요가 없어져 초보자도 용이하게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되며 벽체 시공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며, 벽체 골격의 내측면에 쐐기목과 보조목을 덧대는 방식으로 벽체의 두께를 자유자재로 늘일 수 있어 종래 값비싼 직경이 큰 외국 원목을 사용하지 않고 국내에서 쉽고 값싸게 구할 수 있는 직경이 작은 낙엽송 등의 원목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으로 귀틀집을 시공할 경우 시공시간이 종래 방식보다 1/3 이상 줄어들게 되어 시공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인건비가 줄어들고, 원자재인 통나무 구입비용도 대폭 줄어 전체적으로 귀틀집의 시공비가 종래보다 1/3 이상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Claims (2)

  1.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면은 원호의 형태로 라운드지게 구성된 통나무(10)에 일정간격으로 쐐기홈(11)을 형성한 후, 가로 세로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쌓아 올려 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통나무(10)에 형성된 쐐기홈(11)에 상기 쐐기홈(11)에 대응하는 형상의 쐐기목(20)을 끼워 상기 쌓아 올려진 통나무(10)들을 연결 고정시켜 기본 벽체의 골격을 형성한 후;
    상기 쐐기목(20)과 직각방향으로 보조목(30)을 연속해서 덧대어 벽체의 두께를 증가시킨 후;
    상기 벽체를 구성하고 있는 통나무(10), 쐐기목(20) 및 보조목(30) 사이사이의 공간을 반죽된 흙으로 채워 귀틀집의 벽체를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쐐기홈(11)이 역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KR1020050080020A 2005-08-30 2005-08-30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KR10069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020A KR100694891B1 (ko) 2005-08-30 2005-08-30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020A KR100694891B1 (ko) 2005-08-30 2005-08-30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354A KR20050092354A (ko) 2005-09-21
KR100694891B1 true KR100694891B1 (ko) 2007-03-13

Family

ID=3727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020A KR100694891B1 (ko) 2005-08-30 2005-08-30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8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715U (ko) 1986-08-08 1988-02-25
JPS6354708U (ko) 1986-09-29 1988-04-12
JPH0487903U (ko) * 1990-12-18 1992-07-30
JPH05156727A (ja) * 1991-12-05 1993-06-22 Takanari Nakajima 丸太小屋の構築工法および丸太小屋構築用 主枠材
KR200384157Y1 (ko) 2005-02-25 2005-05-11 윤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715U (ko) 1986-08-08 1988-02-25
JPS6354708U (ko) 1986-09-29 1988-04-12
JPH0487903U (ko) * 1990-12-18 1992-07-30
JPH05156727A (ja) * 1991-12-05 1993-06-22 Takanari Nakajima 丸太小屋の構築工法および丸太小屋構築用 主枠材
KR200384157Y1 (ko) 2005-02-25 2005-05-11 윤상기 경량 콘크리트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354A (ko)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281B2 (en) Veneer connectors,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walls
US3557505A (en) Wall construction
US8662120B2 (en) Complete assembling of massive elements
US20070204548A1 (en) Building blocks with integrated assembling design
JP5654699B1 (ja) 木造軸組における柱と横架材の接合構造
US6363672B1 (en) Log home construction, and methods
US4281491A (en) Modular wall framing
JP5618132B2 (ja) 建物構造体
KR100694891B1 (ko)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US5010707A (en) Retaining wall block module
US6796094B1 (en) Mortarless concrete wall system
KR20090029019A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AU692868B2 (en) Improved wall forming method
JP5389392B2 (ja) 塀材及び塀の構築方法
KR100659504B1 (ko) 귀틀집의 벽체시공방법
KR101347155B1 (ko) 건축용 목재블록
CA2446384C (en) Building blocks with integrated assembling design
KR100759750B1 (ko)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부재 및 목조 통나무주택 코너시공방법
KR101312538B1 (ko) 치장 벽목을 이용한 황토벽체 및 그 황토벽체 제조방법
KR100519121B1 (ko) 옹벽 구축용 나무, 그를 이용한 나무 옹벽구조 및 그의시공방법
CN213681990U (zh) 一种生态基础块
CN210177683U (zh) 次梁与主梁的连接节点结构
KR102656296B1 (ko) 건축용 조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RU131395U1 (ru) Угл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дома в четырехсторонний замочный паз (в "обло")
EP4442919A1 (en) Structural element, layout and wall for architectural construction, especially frame ho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