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375B1 - 우산형 정자 - Google Patents

우산형 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375B1
KR101248375B1 KR1020110007403A KR20110007403A KR101248375B1 KR 101248375 B1 KR101248375 B1 KR 101248375B1 KR 1020110007403 A KR1020110007403 A KR 1020110007403A KR 20110007403 A KR20110007403 A KR 20110007403A KR 101248375 B1 KR101248375 B1 KR 10124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support
pillar
main
spe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141A (ko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양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양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양백
Priority to KR102011000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3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형 정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형의 지붕, 상기 지붕의 하측에 구비되어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마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나의 상기 기둥이 지붕과 지지부, 마루의 중심부를 연결 및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기둥에 의해 지붕과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앉아서 쉴 수 있는 마루의 공간이 증가되어 실용성이 향상되고, 종래보다 기둥 사용 개수가 감소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형 정자{Umbralla-type pavilion}
본 발명은 정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기둥을 이용하여 지붕과 마루를 연결 및 지지함에 따라 사용되는 부재를 감소시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마루의 턱 전체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우산형 정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자(亭子)는 녹지 공원 또는 도심의 휴양지 등에 설치되어, 주변 경관을 감상하면서 휴식을 취하거나 비(雨) 등의 돌발 상황으로부터 피하기 위한 공간 건축물이다.
이러한, 정자는 전통적인 미를 살려 주변 경관을 아름답게 할 뿐만 아니라 전통과 현대의 조화된 건축물로서, 공원 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 내의 휴양시설로서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정자는 다수의 주춧돌에 기둥을 각각 세우고, 기둥 사이를 창방으로 연결하여 외형을 갖춘 후, 기둥 상단에 지붕을 설치하기 위한 도리를 설치한다.
이 후, 도리의 상측으로 지붕을 얹고, 암기와와 숫기와 또는 널을 이용하여 지붕을 장식하며, 마루를 설치하기 위한 귀틀, 마루의 난간을 보강하고 장식하기 위한 난간 동자 및 난간 막이 등을 추가 설치하여 정자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정자는 원목을 재료로 사용됨에 따라 재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고가의 재료는 물론, 전통방식을 아는 특수한 제작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그 재료를 철재와 콘크리트 및 점토를 이용하여 정자를 제작하고 있어 저 비용으로 다량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와 철재를 이용한 정자는 원목에 비해 저가이고, 튼튼하지만, 자연경관을 해치고,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자는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이 마루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기둥에 의해 마루의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며 전통적인 정자의 느낌을 갖는 동시에, 비용을 감소시키면서 마루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자의 구조변경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원목 또는 목재를 이루어진 다각형의 지붕과 이 지붕을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를 지지하는 하나의 기둥 및 기둥의 하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마루를 구비하여 종래보다 기둥 및 지지부에서 사용되는 재료를 감소시킴에 따라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마루의 중간부는 물론, 가장자리 전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산형 정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다각형의 지붕, 상기 지붕의 하측에 구비되어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마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나의 상기 기둥이 지붕과 지지부, 마루의 중심부를 연결 및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붕과 지지부 사이에 다수의 서까래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붕의 하단을 따라 위치되는 다수의 도리, 및 상기 다수의 도리를 기둥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주심도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주심도리의 일단부를 상기 기둥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끼워마춰 고정시킨 후, 각 주심도리의 타단 사이에 상기 도리를 각각 위치시킨 다음 상호 접하는 두 개의 도리와 하나의 주심도리 타단부가 상호 대응되는 홈과 턱이 형성되어 상호 맞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둥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끼워 맞춰 고정되는 다수의 주심장여와 각 주심장여의 타단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장여를 갖고, 하나의 주심장여와 두 개의 장여가 상호 대응되는 홈과 턱이 형성되어 상호 맞춰 고정되는 장여부, 및 상기 장여부와 지붕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기둥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끼워 맞춰 고정되는 다수의 주심도리와 각 주심도리의 타단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도리를 갖고, 하나의 주심도리와 두 개의 도리가 상호 대응되는 홈과 턱이 형성되어 상호 맞춰 고정되는 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장여부와 도리부는 길이방향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맞닿은 도리부의 폭이 장여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은, 중간부가 상단부와 하단부보다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붕의 처마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돌출된 부위에 광고물을 부착시킨다.
또한, 상기 기둥이나 마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조명이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산형 정자에 의하면, 하나의 기둥에 의해 지붕과 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앉아서 쉴 수 있는 마루의 공간이 증가되어 실용성이 향상되고, 종래보다 기둥 사용 개수가 감소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의 분리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의 평면도를 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에 광고물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에 조명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의 분리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의 평면도를 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에 광고물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형 정자에 조명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형 정자(10)는 지붕(100)과 지지부(200), 기둥(300) 및 마루(400)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우산형상으로 형성된다.
지붕(100)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부(200)는 지붕(100)을 지지하기 위해 지붕(100)의 하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기둥(300)은 지지부(200)의 중심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마루(400)는 기둥(3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우산형 정자(10)는 지붕(100)의 하측에 지지부(200)가 설치되어 하측을 지지하며, 이 지지부(200)를 하나의 기둥(300)이 지지하는 것으로, 하나의 기둥(300)이 지붕(100)과 지지부(200) 및 마루(400)의 중심부를 연결 및 지지한다.
이에 따라, 기둥(300) 및 지지부(200)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 제작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먼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100)을 살펴보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최소 4각 이상으로 형성되며, 6각으로 형성된 지붕(100)을 일 실시 예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지붕(100)은 기본 골격에 나무 널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그 하측에 외주방향으로 다수의 서까래(11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다시 말해, 지붕(100)과 지지부(200) 사이에 다수의 서까래(110)가 구비되어 지붕(100)을 지지함은 물론, 처마를 튼튼하게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지붕(100)을 지지하기 위해 지붕(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붕(100)의 형상과 동일하게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지붕(100)의 형상과 무관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도 1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며, 일 실시 예로, 도 5 내지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심도리(210)와 도리(220)로 구성된다.
먼저, 도리(220)는 지붕(100)의 하단을 따라 다수 개 위치되는 것으로, 지붕(100)의 외측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되, 어느 하나의 도리와 인접한 다른 도리의 단부가 겹치도록 배열하게 된다.
그리고 주심도리(210)는 다수의 도리(220)를 기둥(3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배열된 다수의 도리(220)가 상호 겹치는 단부와 겹치도록 다수 개가 배열된 후, 상호 결합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 다수의 주심도리(210)의 일단부를 기둥(300)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끼워마춰 고정시킨 후, 각 주심도리(210)의 타단 사이에 도리(220)를 각각 위치시킨 다음 상호 접하는 두 개의 도리(222, 224)와 하나의 주심도리(210) 타단부가 상호 맞춰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호 겹치는 주심도리(210)와 도리(220)에 홈과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되기 위한 부분에 홈(210a, 222a, 224a)이 형성되어 주심도리(210)와 각 도리(220)에 다른 위치에 턱이 형성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주심도리(210)의 단부에는 홈(210a)이 상측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두께방향을 3등분하여 상측 2등분 부위에 홈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리(220)는 주심도리(210)에 결합되는 순서로 제1도리(222)와 제2도리(224)로 구분되며, 제1도리(222)의 단부는 상측과 하측으로 홈(222a)이형성되어 중간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역시 두께방향을 3등분하여 상측과 하측의 각 1등분 부위에 홈을 형성하게 된다.
제2도리(224)는 단부 하측으로 홈(224a)이 형성되어 상측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두께방향을 3등분하여 하측 2등분 부위에 홈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주심도리(210)와 각 도리(220)의 두께는 동일함에 따라 각 홈(210a, 222a, 224a)이 형성된 단부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면 각 상면과 하면의 높이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다른 실시 예로, 장여부(210')와 도리부(220')로 구성되며, 장여부(210')의 상측으로 도리부(220')가 구비되어 지붕(100)과 기둥(300)에 설치된다.
먼저, 장여부(210')는 다수의 주심장여(212')와 다수의 장여(214')로 구성되며, 주심장여(212')는 기둥(300)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끼워 맞춰 고정된다.
그리고 장여(214')는 각 주심장여(212')의 타단 사이에 위치되어 각 타단에 걸쳐지는 것으로, 주심장여(212')에 결합되는 순서로 제1장여(214-1')과 제2장여(214-2')로 구분된다.
이러한 주심장여(212')의 단부에는 홈(212a')이 상측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두께방향을 3등분하여 상측 2등분 부위에 홈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장여(214')의 제1장여(214-1')는 단부에 상측과 하측으로 홈(214-1a')이 형성되어 중간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역시 두께방향을 3등분하여 상측과 하측의 각 1등분 부위에 홈을 형성하게 된다.
제2장여(214-2')는 단부 하측으로 홈(214-2a')이 형성되어 상측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두께방향을 3등분하여 하측 2등분 부위에 홈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주심장여(212')와 각 장여(214')의 두께는 동일함에 따라 각 홈(212a', 214-1a', 214-2a')이 형성된 단부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면 각 상면과 하면의 높이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또한, 도리부(220')는 다수의 주심도리(222')와 다수의 도리(224')로 구성되며, 주심도리(222')는 기둥(300)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끼워 맞춰 고정된다.
그리고 도리(224')는 각 주심도리(222')의 타단 사이에 위치되어 각 타단에 걸쳐지는 것으로, 주심도리(222')에 결합되는 순서로 제1도리(224-1')과 제2도리(224-2')로 구분된다.
이러한 주심도리(222')의 단부에는 홈(222a')이 상측으로 형성되어 하측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두께방향을 3등분하여 상측 2등분 부위에 홈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리(224')의 제1도리(224-1')는 단부에 상측과 하측으로 홈(224-1a')이 형성되어 중간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역시 두께방향을 3등분하여 상측과 하측의 각 1등분 부위에 홈을 형성하게 된다.
제2도리(214-2')는 단부 하측으로 홈(224-2a')이 형성되어 상측에 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두께방향을 3등분하여 하측 2등분 부위에 홈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주심도리(222')와 각 도리(224')의 두께는 동일함에 따라 각 홈(222a', 224-1a', 224-2a')이 형성된 단부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면 각 상면과 하면의 높이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때, 장여부(210')와 도리부(220')는 길이방향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맞닿은 도리부(220')의 폭이 장여부(2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물론,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각 실시 예의 지지부(200, 200')는 보조지지대(250)에 의해 기둥(300)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지지부(200, 200')의 주심도리와 주심장여에 연결되어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300)은 중간부가 상단부와 하단부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배흘림의 기둥을 사용함에 따라 세련미를 가미할 수 있으며, 상단부와 중간부 및 하단부의 지름이 같은 다른 기둥도 사용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100) 처마를 따라 광고물(500)을 부착시켜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광고물(500)은 지지부(200)에도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한 지지부(200)는 지붕(100)의 처마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돌출된 부위에 광고물(500)을 부착시킬 수 있어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루(400)는 기둥(3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중간부는 물론, 가장자리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측면에 조명(600)이 더 구비되어 야간이나 조도가 낮은 흐린 날씨에도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600)은 기둥(300)의 상단부에도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지지부(200)가 구비된 기둥(300)의 하측에 조명(600)이 구비되어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도 있다.
10 : 우산형 정자 100 : 지붕
110 : 서까래 200, 200' : 지지부
210 : 주심도리 220 : 도리
210' : 장여부 212' : 주심장여
214' : 장여 220' : 도리부
222' : 주심도리 224' : 도리
300 : 기둥 400 : 마루
500 : 광고물 600 : 조명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다각형의 지붕;
    상기 지붕의 하측에 구비되어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마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나의 상기 기둥이 지붕과 지지부, 마루의 중심부를 연결 및 지지하며,
    상기 지붕과 지지부 사이에 다수의 서까래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붕의 하단을 따라 위치되는 다수의 도리; 및 상기 다수의 도리를 기둥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주심도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주심도리의 일단부를 상기 기둥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끼워마춰 고정시킨 후, 각 주심도리의 타단 사이에 상기 도리를 각각 위치시킨 다음 상호 접하는 두 개의 도리와 하나의 주심도리 타단부가 상호 대응되는 홈과 턱이 형성되어 상호 맞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정자.
  4. 다각형의 지붕;
    상기 지붕의 하측에 구비되어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심부를 지지하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마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나의 상기 기둥이 지붕과 지지부, 마루의 중심부를 연결 및 지지하며,
    상기 지붕과 지지부 사이에 다수의 서까래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둥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끼워 맞춰 고정되는 다수의 주심장여와 각 주심장여의 타단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장여를 갖고, 하나의 주심장여와 두 개의 장여가 상호 대응되는 홈과 턱이 형성되어 상호 맞춰 고정되는 장여부; 및
    상기 장여부와 지붕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기둥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단이 끼워 맞춰 고정되는 다수의 주심도리와 각 주심도리의 타단 사이에 위치되는 다수의 도리를 갖고, 하나의 주심도리와 두 개의 도리가 상호 대응되는 홈과 턱이 형성되어 상호 맞춰 고정되는 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우산형 정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여부와 도리부는 길이방향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맞닿은 도리부의 폭이 장여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정자.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중간부가 상단부와 하단부보다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정자.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붕의 처마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돌출된 부위에 광고물을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정자.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나 마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조명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형 정자.
KR1020110007403A 2011-01-25 2011-01-25 우산형 정자 KR10124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403A KR101248375B1 (ko) 2011-01-25 2011-01-25 우산형 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403A KR101248375B1 (ko) 2011-01-25 2011-01-25 우산형 정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141A KR20120086141A (ko) 2012-08-02
KR101248375B1 true KR101248375B1 (ko) 2013-03-28

Family

ID=4687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403A KR101248375B1 (ko) 2011-01-25 2011-01-25 우산형 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35Y1 (ko) 2021-04-20 2022-05-06 주식회사 큰나무 농업회사법인 우산형 정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21B1 (en) 2003-06-02 2003-11-19 Jeong Dae Lee Moving lookout shed
KR200372371Y1 (ko) * 2004-08-11 2005-01-14 주명칠 이동식 육각정자
KR100820279B1 (ko) 2007-04-03 2008-04-08 서삼덕 이동식 정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21B1 (en) 2003-06-02 2003-11-19 Jeong Dae Lee Moving lookout shed
KR200372371Y1 (ko) * 2004-08-11 2005-01-14 주명칠 이동식 육각정자
KR100820279B1 (ko) 2007-04-03 2008-04-08 서삼덕 이동식 정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35Y1 (ko) 2021-04-20 2022-05-06 주식회사 큰나무 농업회사법인 우산형 정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141A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229B1 (ko) 조립식 한옥 정자
KR101006225B1 (ko) 철골 구조물을 갖는 현대형 한옥
KR100965123B1 (ko) 석재를 이용한 정자의 조립구조
KR200414028Y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KR101248375B1 (ko) 우산형 정자
CN206290016U (zh) 一种铁路站房及其站台雨棚结构
KR101195098B1 (ko) 매립형 고정 브라켓
CN102220810A (zh) 一种仿古建筑檐头木制构件与混凝土构件连接方法
KR102114477B1 (ko)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CN203878838U (zh) 一种用于外挂彩板的天沟节点机构
KR101113991B1 (ko) 정자지붕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7776278U (zh) 用于连接弧形瓦片的超轻钢型材
CN201687081U (zh) 一种木屋
CN204492024U (zh) 一种用于钢结构的加固型屋面结构
KR101245230B1 (ko) 조립식 정자
CN202324395U (zh) 保温隔热屋面
KR10191209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5329955U (zh) 装配式蜂窝混凝土材料老虎窗结构
CN218205149U (zh) 一种骨架膜结构的屋顶系统
CN212984495U (zh) 一种中式可拆卸装饰构件
CN204876661U (zh) 一种集成遮阳挡雨设施的组合式健身装置
CN214833537U (zh) 一种钢构架钢柱与混凝土柱连接节点
CN207878258U (zh) 一种双层廊桥
CN216041670U (zh) 一种无梁观景连廊
CN211286341U (zh) 一种用于仿古建筑的屋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