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545A -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545A
KR20060007545A KR1020040056368A KR20040056368A KR20060007545A KR 20060007545 A KR20060007545 A KR 20060007545A KR 1020040056368 A KR1020040056368 A KR 1020040056368A KR 20040056368 A KR20040056368 A KR 20040056368A KR 20060007545 A KR20060007545 A KR 20060007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steel
room
forming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치영
Original Assignee
양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치영 filed Critical 양치영
Priority to KR102004005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7545A/ko
Publication of KR2006000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8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스틸하우스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완성한 후,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크레인을 통해 들어 올려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의 상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의 상단과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 내측과의 결합을 통해 고정시켜 완성되어진다.
스틸하우스, 조립식 하우스, 철강재, 기와

Description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Construction method of steel framed house and steel framed hous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의 조립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룸 구조체에서 스틸 벽체의 외부면에 자연석을 설치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형강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형강 구조물 상부에 스틸 또는 FRP의 기와를 설치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 완성된 룸 구조체 상부에 조립 완성된 지붕 구조체를 올리는 것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 완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틸하우스 110. 룸 구조체
112. 룸 골조 112a. 바닥골조
112b. 측벽골조 112c. 천정골조
114. 스틸패널 116, 118. 마감재
120. 지붕 구조체 122. 지붕 골조
122a. 종마루 형강 122b. 내림마루 형강
122c. 동자주 형강 122d. 트러스 형강
122e. 추녀 형강 122f. 종보 형강
122g. 중도리 형강 122h. 도리 형강
122i. 대들보 형강 124. 기와
130. 고정철물 132. 자연석
134. 접착제 140. 주춧돌
본 발명은 조립식 스틸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를 조립 형성한 후, 별도로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활발하게 건설되고 있는 스틸하우스(STEEL FRAMED HOUSE)는 기존 주택의 골조를 경량 철강재로 대체한 것으로, 기존 주택의 특징과 외관을 모두 가질 뿐만 아니라 보다 우수한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스틸하우스의 가장 큰 장점은 내구성이며, 마감재는 기존 주택과 같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외관과 기능이 더욱 우수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틸하우스(Steel House)는 호주를 비롯한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 활발히 건축되고 있으며, 이들 선진국에서는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환경 친화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스틸하우스(Steel House)의 건축을 장려하고 있다. 한국에도 1995년 건교부 공고 95-306호로 국가 농어촌 표준화주택 도서에 철골조 단열보강 패널식 주택을 국가 표준화주택으로 지정하여 장려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스틸하우스(Steel House)는 내구성, 단열성 등에서 다른 구조재보다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지진이나 화재 등 천재지변에도 뛰어난 안전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스틸하우스는 목구조나 벽돌조를 대체하는 새로운 구조 형태로 골조는 두께 1mm 내외의 아연도금강판을 "C"형태로 가공하여 강도를 높인 스터드(STUD : 수직재) 등을 기본 재료로 하며, 이들을 조립하여 패널 형태로 시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스틸하우스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완성한 후, 기초 위에 수직재인 스터드를 세우고 그 상단으로 지붕을 형성하는 형강을 조립한다. 이처럼 스터드와 형강을 통해 짖고자 하는 주택의 기본 골격을 형성한 후에는 외부에 스틸패널을 조립한 후 내외부에 마감재를 통해 마감을 하여 스틸하우스를 조립 완성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경우에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분 구조체의 골격을 일체로 조립한 후, 스틸패널을 지붕의 골격에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즉, 작업자들이 지붕의 골격위로 올라가 스틸패널의 조립작업을 하기 때문에 위험성이 있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경우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골격이 일체로 조립 형성되기 때문에 장소를 이동시킬 때, 조립식 스틸하우스 자체를 전부 분해하여 옮기고자 하는 장소에서 다시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경우 기와집 형태의 스틸하우스를 건축하고자 하는 경우 지붕에 스틸기와를 조립할 때 중량의 스틸기와가 지붕골격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지붕 위의 작업자는 물 론, 밑에서 일하는 작업자 역시 위험한 작업이 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안전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성된 스틸하우스를 이동시키는 경우 룸 구조체와 지붕 구조체만을 분리한 후 용이하기 장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 도록 함으로써 기와집 형태의 스틸하우스를 건축하는 경우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조립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은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골조를 경량 철강재로 대체하여 건축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스틸하우스를 건축하고자 하는 지면을 평탄하게 하여 기초를 마련하는 단계; 지면의 평탄면 상에 일정크기로 절단된 경량 철강재를 통해 건축하고자 하는 크기로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골조와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골조 및 천정을 형성하는 천정골조를 조립하여 룸의 골격을 형성하는 일정크기의 룸 골조를 완성하는 단계; 룸 골조의 내외부에 내외용 마감재를 부착 설치하여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를 완성하는 단계; 룸 구조체와는 별도로 일정크기로 절단된 경량 철강재를 통해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붕 골조를 조립 형성하는 단계; 조립 형성된 지붕 골조의 상면에 일정 형태의 크기로 제조된 스틸 또는 합성수지재의 기와를 지붕의 최상단인 용마루 형강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에 결합부재를 통해 조립하여 지붕 구조체를 완성하는 단계; 및 완성된 지붕 구조체를 크레인을 통해 들어 올려 완성된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 고정시킨 후 기와가 설치되지 않는 용마루 형강의 일부분에 기와를 조립하여 스틸하우스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스틸하우스를 건축하고자 하는 지면을 평탄하게 하여 기초를 마련한 후에는 건축하고자 하는 스틸하우스의 룸 구조체 하부 귀퉁이에 해당하는 지면의 위치에 주춧돌을 설치 고정하는 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골조를 경량 철강재로 대체하여 건축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에 있어서, 스틸하우스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완성한 후,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크레인을 통해 들어 올려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의 상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의 상단과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 내측과의 결합을 통해 고정시켜 완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구성에서 지붕 구조체의 지붕 골조는 최상단에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종마루 형강; 종마루 형강의 양단과 중심 각각에 전후의 하향 경사 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내림마루 형강; 종마루 형강의 양단과 중심 각각에 하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동자주 형강; 동자주 형강의 하단면과 내림마루 형강을 연결하여 내림마루 형강의 하향 경사가 유지되도록 하는 트러스 형강; 내림마루 형강 각각의 일부분으로부터 내림마루 형강과 일정 각도의 하향 경사 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추녀 형강; 추녀 형강이 전후로 연결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종보 형강; 종마루 형강으로부터 일정부분 하부의 내림마루 형강 상부면에 조립 설치되는 중도리 형강; 중도리 형강으로부터 일정부분 하부의 내림마루 형강 상부면에 조립 설치되는 도리 형강; 및 도리 형강의 양끝단 선상으로부터 추녀 형강의 상부면에 전후로 연결 조립되는 대들보 형강의 구성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는 룸 구조체의 하부측 외벽에 다수 형성되어 돌출되는 고정철물과 고정철물에 관계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을 통해 고정철물에 결합되는 자연석 및 자연석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자연석을 부착되어 룸 구조체의 하부측 외벽에 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져 자연석을 룸 구조체의 하부측 외벽에 부착 고정시키는 자연석 부착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의 조립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룸 구조체에서 스틸 벽체의 외부면에 자연석을 설치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형강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형강 구조물 상부에 스틸 또는 FRP의 기와를 설치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 완성된 룸 구조체 상부에 조립 완성된 지붕 구조체를 올리는 것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 완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건축시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조립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완성된 스틸하우스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조립 완성된 스틸하우스를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도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분리만으로 분해하여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100)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완성한 후,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를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들어 올려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의 상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의 상단과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 내측과의 결합을 통해 고정시켜 스틸하우스(100)를 조립 완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조립식 스틸하우스(100)를 건축함에 있어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를 각각 지면에서 조립한 상태에서 룸 구조체(110)의 상부로 조립 완성된 지붕 구조체(120)를 크레인을 통해 들어 올려 위치시킨 후, 룸 구조체(110)의 상부에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를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안정하고 용이하게 스틸하우스(100)를 조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조립식 스틸하우스(100)를 건축함에 있어 지붕 구조체(120)를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의 상부에서 일체로 작업을 하지 않고 지면에서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붕 골조(122)를 조립한 상태에서 지붕 골조(122)의 상부면 상에 스틸 또는 합성수지재의 FRP 재질로 제조된 기와를 조립함으로써 작업자가 지붕 위에 올라가지 않고도 조립작업을 할 수 있어 그만큼 지붕 구조체(120)를 조립하는데 있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10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식 스틸하우스(100)를 건축하기에 앞서 스틸하우스(100)를 건축하고자 하는 지면을 평탄하게 하여 기초를 마련한다. 통상은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스틸하우스(100)를 건축하고자 하는 지면을 평탄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100)를 지면에 바로 건축하지 않고 지면으로부터 지상으로 일정높이 떨어지게 건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면의 평탄 작업만 한 상태에서 건축하고자 하는 스틸하우스(100)의 룸 구조체(110) 하부 귀퉁이에 해당하는 지면의 위치에 주춧돌(140)을 설치 고정한다. 이처럼 주춧돌(140)을 룸 구조체(110) 하부 귀퉁이에 해당하는 지면의 위치에 설치 고정함으로써 스틸하우스(100)를 지상의 일정높이에 건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면을 평탄하게 하여 콘크리트 타설이나 주춧돌(140)을 통해 기초를 마련한 후에는 콘크리트 타설면이나 주춧돌(140) 상부에 일정크기로 절단된 경량 철강재를 통해 건축하고자 하는 크기로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골조(112a)와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골조(112b) 및 천정을 형성하는 천정골조(112c)를 조립하여 룸의 골격을 형성하는 룸 골조(112)를 완성한다(도 1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은 룸 골조(112)의 구성은 건축하고자 하는 스틸하우스(100)의 평형이나 그 구조대로 절단된 크기의 경량 철강재를 조립하여 룸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이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를 별도로 조립 형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룸의 골격을 형성하는 룸 골조(112)는 룸에 한정되어 조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룸의 골격을 형성하는 룸 골조(112)를 조립 완성한 후에는 룸 골조(112)의 측벽골조(112b)에 외벽을 형성하는 스틸패널(114)을 조립하여 외벽을 구성하고, 스틸패널(114)의 조립을 통해 외벽을 구성한 후에는 룸 골조(112)의 내외부에 내외용 마감재(116, 118)를 부착 설치하여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를 완성한다(도면부호 116과 118은 바닥과 천정 마감재를 표시한 것이고, 측벽의 내외용 마감재는 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룸 구조체(110)와는 별도로 지상에서 건축하고자 하는 스틸하우스(100)의 평형이나 그 형태에 관계하는 일정크기로 절단된 경량 철강재를 통해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붕 골조(122)를 조립 형성하고, 조립 형성된 지붕골조(122)의 상부면에 일정 형태의 크기로 제조된 스틸 또는 합성수지재의 기와(124)를 지붕의 최상단인 용마루 형강(122a)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에 결합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조립하여 지붕 구조체(120)를 완성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은 지붕 구조체(120)의 구성에서 기와(124)를 지붕 구조체(120)의 상부면에 조립시 지붕 골격의 최상단인 용마루 형강(122a)의 일부를 제외하는 이유는 지붕 구조체(120)를 크레인(기중기 :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들어올리는 경우 지붕 골격의 최상단인 용마루 형강(122a)에 로프나 바를 걸기 위함이다. 따라서, 로프나 바를 거는 위치인 지붕 골격의 최상단인 용마루 형강(122a)의 일부에는 기와(124)를 조립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지붕 구조체(120)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 (110)와는 별도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즉,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는 별도로 조립 완성되어 조립 완성된 룸 구조체(110)의 상부로 조립 완성된 지붕 구조체(120)를 들어 올려 조립을 하게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작업에 의해 조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지붕 구조체(120)는 룸을 형성하는 구조체(110)의 근처에서 다른 작업자들에 의해 룸 구조체(110)와 함께 동시에 조립되어질 수도 있고, 룸 구조체(110)를 조립 완성한 후에 룸 구조체(110)를 조립한 작업자들에 의해 조립될 수도 있다. 물론,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의 조립 완성 후에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를 조립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를 각각 조립 완성한 후에는 룸 구조체(110)의 상부로 크레인을 통해 조립 완성된 지붕 구조체(120)를 들어 올려 위치시킨 후 용접이나 기타의 결합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룸 구조체(110)의 상부에 지붕 구조체(120)를 결합 고정시킨 후, 기와(124)가 설치되지 않는 용마루 형강(122a)의 일부분에 기와(124)를 조립하여 스틸하우스(100)를 완성한다(도 5 및 도 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100)의 지붕 구조체(120)는 전통 가옥인 기와집의 지붕구조와 같은 골격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구조체(120)의 지붕 골조(122)는 최상단에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종마루 형강(122a), 종마루 형강(122a)의 양단과 중심 각각에 전후의 하향 경사 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내림마루 형강(122b), 종마루 형강(122a)의 양단과 중심 각각에 하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동자주 형강(122c), 동자주 형강(122c)의 하단면과 내림마루 형강(122b)을 연결하여 내림마루 형강(122b)의 하향 경사가 유지되도록 하는 트러스 형강(122d), 내림마루 형강(122b) 각각의 일부분으로부터 내림마루 형강(122b)과 일정 각도의 하향 경사 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추녀 형강(122e), 추녀 형강(122e)이 전후로 연결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종보 형강(122f), 종마루 형강(122a)으로부터 일정부분 하부의 내림마루 형강(122b) 상부면에 조립 설치되는 중도리 형강(122g), 중도리 형강(122g)으로부터 일정부분 하부의 내림마루 형강(122b) 상부면에 조립 설치되는 도리 형강(122h) 및 도리 형강(122h)의 양끝단 선상으로부터 추녀 형강(122e)의 상부면에 전후로 연결 조립되는 대들보 형강(122i)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마루 형강(122a), 내림마루 형강(122b), 동자주 형강(122c), 트러스 형강(122d), 추녀 형강(122e), 종보 형강(122f), 중도리 형강(122g), 도리 형강(122h) 및 대들보 형강(122i)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붕 골조(122)의 구성에서 도리 형강(122h)과 대들보 형강(122i)의 양끝단은 상향으로 완만한 곡선처리가 되어 있어 전통적인 곡선미의 기와 지붕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마루 형강(122a), 내림마루 형강(122b), 동자주 형강(122c), 트러스 형강(122d), 추녀 형강(122e), 종보 형강(122f), 중도리 형강(122g), 도리 형강(122h) 및 대들보 형강(122i)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붕 골조(122)는 룸 구조체(110)의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면에서 룸 구조체(110)와는 별도의 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들에게 있어 보다 안전한 환 경에서 보다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외벽의 하부에 자연석이나 자연석 질감의 표현하는 돌 형태의 부재를 부착시켜 스틸하우스(100)의 차가운 느낌을 개선하기 위한 자연석 부착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자연석 부착 고정수단은 차가운 느낌의 스틸패널(114) 외측 하부에 다수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스틸하우스(100)가 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자연석 부착 고정수단의 구성은 룸 구조체(110)의 스틸패널(114) 하부측 외면에 다수 형성되어 돌출되는 고정철물(130), 고정철물(130)에 관계하는 고정홈(132a)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132a)을 통해 고정철물(130)에 결합되는 자연석(132) 및 자연석(132)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자연석(132)을 부착되어 스틸패널(114)의 외면에 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접착제(134)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고정철물(130)과 접착제(134)를 사용하면 자연석(132)을 스틸패널(114)의 외면에 보다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100)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를 별도로 조립 완성한 후, 조립 완성된 룸 구조체(110)의 상부로 크레인 등을 통해 지붕 구조체(120)를 들어 올려 위치시킨 후 결합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조립작업에 따른 위험성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가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스틸하우스(1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를 별도로 조립 완성한 후, 조립 완성된 룸 구조체(110)의 상부로 크레인 등을 통해 지붕 구조체(120)를 들어 올려 위치시킨 후 결합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조립 완성된 스틸하우스(100)를 다른 장소로 옮기고 하는 경우 조립식 스틸하우스(100)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110)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120)만을 분리하여 다른 장소로 옮긴 상태에서 다시 조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안전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질 수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 록 함으로써 완성된 스틸하우스를 이동시키는 경우 룸 구조체와 지붕 구조체만을 분리한 후 용이하기 장소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형성하여 크레인 등을 통해 조립 형성된 지붕 구조체를 들어 올려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와집 형태의 스틸하우스를 건축하는 경우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조립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골조를 경량 철강재로 대체하여 건축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틸하우스를 건축하고자 하는 지면을 평탄하게 하는 단계;
    상기 지면의 평탄면 상에 일정크기로 절단된 경량 철강재를 통해 건축하고자 하는 크기로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골조와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골조 및 천정을 형성하는 천정골조를 조립하여 룸의 골격을 형성하는 일정크기의 룸 골조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룸 골조의 측벽골조에 스틸패널을 조립하는 한편 룸 골조의 내외부에 내외용 마감재를 부착 설치하여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룸 구조체와는 별도로 일정크기로 절단된 경량 철강재를 통해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붕 골조를 조립 형성하는 단계;
    상기 조립 형성된 지붕 골조의 상면에 일정 형태의 크기로 제조된 스틸 또는 합성수지재의 기와를 지붕의 최상단인 용마루 형강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에 결합부재를 통해 조립하여 지붕 구조체를 완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완성된 지붕 구조체를 크레인을 통해 들어 올려 상기 완성된 룸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 고정시킨 후 기와가 설치되지 않는 용마루 형강의 일부분에 기와를 조립하여 스틸하우스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하우스를 건축하고자 하는 지면을 평탄하게 하여 기초를 마련한 후에는 건축하고자 하는 스틸하우스의 룸 구조체 하부 귀퉁이에 해당하는 지면의 위치에 주춧돌을 설치 고정하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3.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의 골조를 경량 철강재로 대체하여 건축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스틸하우스는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와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지면에서 각각 조립 완성한 후, 상기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를 크레인을 통해 들어 올려 상기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의 상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룸을 형성하는 룸 구조체의 상단과 상기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 내측과의 결합을 통해 고정시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구조체의 지붕 골조는 최상단에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종마루 형강;
    상기 종마루 형강의 양단과 중심 각각에 전후의 하향 경사 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내림마루 형강;
    상기 종마루 형강의 양단과 중심 각각에 하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동자주 형강;
    상기 동자주 형강의 하단면과 내림마루 형강을 연결하여 상기 내림마루 형강의 하향 경사가 유지되도록 하는 트러스 형강;
    상기 내림마루 형강 각각의 일부분으로부터 상기 내림마루 형강과 일정 각도의 하향 경사 방향으로 조립 설치되는 추녀 형강;
    상기 추녀 형강이 전후로 연결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종보 형강;
    상기 종마루 형강으로부터 일정부분 하부의 내림마루 형강 상부면에 조립 설치되는 중도리 형강;
    상기 중도리 형강으로부터 일정부분 하부의 내림마루 형강 상부면에 조립 설치되는 도리 형강; 및
    상기 도리 형강의 양끝단 선상으로부터 상기 추녀 형강의 상부면에 전후로 연결 조립되는 대들보 형강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룸 구조체의 하부측 외벽에 다수 형성되어 돌출되는 고정철물과 상기 고정철물에 관계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이 고정홈을 통해 상기 고정철물에 결합되는 자연석 및 상기 자연석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자연석을 상기 부착되어 상기 룸 구조체의 하부측 외벽에 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져 자연석을 상기 룸 구조체의 하부측 외벽에 부착 고정시키는 자연석 부착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스틸하우스.
KR1020040056368A 2004-07-20 2004-07-20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 KR20060007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368A KR20060007545A (ko) 2004-07-20 2004-07-20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368A KR20060007545A (ko) 2004-07-20 2004-07-20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545A true KR20060007545A (ko) 2006-01-26

Family

ID=3711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368A KR20060007545A (ko) 2004-07-20 2004-07-20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75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788B1 (ko) * 2011-09-08 2012-01-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식 한옥
KR20170004726A (ko) 2015-07-03 2017-01-11 장병윤 사우나가 가능한 이동식 모듈 하우스
KR20170004748A (ko) 2015-07-03 2017-01-11 장병윤 이동식 모듈 하우스의 난방 겸용 사우나 열원 공급 설비
KR20170004752A (ko) 2015-07-03 2017-01-11 장병윤 사우나가 가능한 이동식 모듈 하우스의 사우나 열원 공급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788B1 (ko) * 2011-09-08 2012-01-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식 한옥
KR20170004726A (ko) 2015-07-03 2017-01-11 장병윤 사우나가 가능한 이동식 모듈 하우스
KR20170004748A (ko) 2015-07-03 2017-01-11 장병윤 이동식 모듈 하우스의 난방 겸용 사우나 열원 공급 설비
KR20170004752A (ko) 2015-07-03 2017-01-11 장병윤 사우나가 가능한 이동식 모듈 하우스의 사우나 열원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642B1 (ko) 정자
US8631628B1 (en) Tilt-up concrete spandrel assemblies and methods
CN110485553A (zh) 一种预制装配式基础的装配式建筑及其装配方法
EP1908891A2 (en) Composite precast slab for flooring
CN202831672U (zh) 外框式复合框架结构的可拆装活动楼房
KR101048470B1 (ko) 정자 구조를 지닌 전망대
KR101213504B1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공법 및 조립식 한옥 구조
KR20060007545A (ko) 조립식 스틸하우스의 조립방법 및 조립식 스틸하우스
CA2974161A1 (en) Fold-out prefabricated structure
JP201400950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の床スラブ構造。
KR20120011580A (ko) 한옥의 지붕구조
CN202017292U (zh) 一种仿古建筑檐头木制构件与混凝土构件连接结构
CN108286314A (zh) 一种装配式双向预制楼梯及其安装方法
KR101411514B1 (ko) 전통한식 sbr 구조보 서까래, 상기 서까래 제조방법 및 상기 서까래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76434B1 (ko) 다중처마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한옥의 복층지지구조
US3979865A (en) Building construction formed of stackable building cells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AU2003269072B2 (en) In-situ construction of concrete building
KR10191209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U2006235691A1 (en) Ring beam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timber frame
CN109653423A (zh) 一种预制楼盖与外挂墙板、竖向承重构件的连接节点
EP1801301A1 (en) Method of adding extra floors on a building
CN215631895U (zh) 套建建筑首层梁构造及套建建筑
JP2736616B2 (ja) 建物ユニット
CN209538376U (zh) 装配式连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