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677A -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677A
KR20180064677A KR1020160164822A KR20160164822A KR20180064677A KR 20180064677 A KR20180064677 A KR 20180064677A KR 1020160164822 A KR1020160164822 A KR 1020160164822A KR 20160164822 A KR20160164822 A KR 20160164822A KR 20180064677 A KR20180064677 A KR 20180064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fter
roof
support
center
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2098B1 (ko
Inventor
조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조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조경
Priority to KR1020160164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0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2/00Non-structural supports for roofing materials, e.g. battens,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04B7/02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the trusses or frames supporting load-bearing purlins, e.g. braced purl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정자의 지붕구조에 있어서, 다수의 기둥의 상단부에서 인접한 기둥끼리 연결시키는 처마도리; 처마 끝단으로부터 각 기둥의 상단부를 거쳐 지붕의 중심까지 연장되는 추녀; 지붕의 중심에서 추녀의 상단을 지지하는 용마루; 처마 끝단에서 인접한 추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평고대; 지붕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추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서까래받침; 및 상기 평고대와 상기 서까래받침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며 지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는 하나 이상의 서까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자의 지붕 구조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Heavy Roof Tile of Pavilion Comprising Rafters with Enhanced Buildability}
본 발명은 정자의 지붕 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통 한식 기와 등의 중량 기와에 적용되는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한다.
정자는 자연경관을 감상하면서 휴식을 취하거나 사색의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변 경관이 좋은 곳, 예를 들어 산의 정상 부근 등 높은 곳이나 강가 등 멀리까지 경치가 내다보이는 곳에 지어지는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물이다.
정자는 주거 공간이라기보다는 풍류와 수양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활용되었기 때문에 주변 산세 등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미관을 형성하도록 설계되고 건축되었다.
이에 따라 정자는 한국의 산세와 어울리는 곡선미를 제공하는 기와지붕을 갖는 구조로 건축되는데, 정자의 지붕에 기와를 얹기 위해서는, 먼저 시공하려는 정자의 형태에 따라 주춧돌을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상으로 배열한다. 이는 각각 추후 사모지붕, 육모지붕, 팔모지붕의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주춧돌 위에 목재 기둥을 세운 후에, 인접한 기둥들의 상부를 처마도리로 연결하고, 필요한 경우 지붕을 가로지르는 대들보를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한다(마루 시공과정은 생략).
이어서 처마끝단과 지붕중심부를 잇는 추녀를 각 기둥마다 하나씩 설치하고, 인접한 추녀 사이에 평고대를 건너지른 다음, 평고대에 맞춰 서까래를 걸어 나간다. 한국 전통 건축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지붕, 즉 용마루 없이 하나의 꼭짓점에서 추녀가 형성하는 지붕골들이 만나는 지붕의 형태를 모임지붕이라고 한다.
서까래 위에 개판을 깔고, 처마 끝단에 연함을 설치한 다음, 상기 개판 위에 기와를 차곡차곡 얹으면 정자의 지붕이 완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건축된 정자 지붕의 자세한 구조와 그 시공방법은 등록특허 제10-1113991호(2012.03.05. 공고) '정자지붕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이처럼 정자의 모임지붕을 시공할 때에는 서까래의 상단부를 쐐기모양으로 미리 깎아둬야만 추녀와 평고대 설치 후에 서까래 설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서까래 상단부 가공작업은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하는 것으로서 전반적인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자는 목조 건축물이므로 사전에 가공한 서까래의 가공 상태가 항상 일정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서까래 가공은 일정하게 되더라도 추녀 사이의 간격이 오차범위를 벗어나게 시공될 수도 있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서까래들이 추녀 사이에 딱 들어맞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서까래를 추가로 가공해야할 것이므로, 더더욱 작업 진행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113991호(2012.03.05. 공고) '정자지붕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까래 단부의 사전가공이나 추가가공이 필요하지 않아 시공성이 개선되는 중량 기와용 정자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려는 기와의 중량에 따라 기와를 지지하는 서까래의 설치밀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성이 개선된 중량 기와용 정자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는, 다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정자의 지붕구조에 있어서, 다수의 기둥의 상단부에서 인접한 기둥끼리 연결시키는 처마도리; 처마 끝단으로부터 각 기둥의 상단부를 거쳐 지붕의 중심까지 연장되는 추녀; 지붕의 중심에서 추녀의 상단을 지지하는 용마루; 처마 끝단에서 인접한 추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평고대; 지붕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추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서까래받침; 및 상기 평고대와 상기 서까래받침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며 지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는 하나 이상의 서까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녀는 상기 용마루와 상기 서까래받침 사이에 위치된 상부 추녀와 상기 서까래받침과 상기 처마 끌단 사이에 위치된 하부 추녀로 이루어지고, 상부 추녀의 측방향 두께가 하부 추녀의 측방향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서까래받침은 상기 서까래의 상단부와 대향하는 정면받침과 상기 서까래 상단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받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까래받침의 저면받침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서까래의 두께의 15-25%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의 시공방법은, 다수의 주춧돌을 미리 정해진 형태로 배치하는 단계;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는 단계; 인접한 기둥들의 상부를 처마도리로 연결하는 단계; 처마끝단과 지붕중심부를 잇는 추녀를 각 기둥마다 하나씩 설치하는 단계; 인접한 추녀의 하단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평고대를 설치하는 단계; 지붕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추녀 사이를 연결하는 서까래받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평고대와 상기 서까래받침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도록 서까래를 걸되 서까래가 지붕의 중심을 향하도록 걸어 나가는 단계; 서까래 위에 개판을 까는 단계; 처마 끝단에 연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개판 위에 기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서까래 단부를 사전에 가공하거나 또는 사전가공 이후에도 시공 현장에서 추가가공을 해야하는 일이 발생할 염려가 없으므로, 시공성이 개선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정자 지붕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서까래의 설치밀도, 즉 추녀와 추녀 사이에 설치되는 서까래의 개수를 비교적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동일한 기본설계를 이용하여 비교적 경량의 기와를 얹는 지붕과 보다 중량의 기와를 사용하는 지붕의 시공에 모두 대응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통상의 모임지붕과 달리 반자의 설치가 용이한 정자의 지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정자 내측에서 바라보는 지붕의 미관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정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자의 지붕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파단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자 지붕구조의 골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자 지붕구조의 골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자의 지붕구조에서 서까래와 서까래받침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자의 지붕구조에서 용마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자 지붕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정자는 주춧돌(10), 주로 목재로 이루어지는 기둥(20), 마루(30), 난간 구조물(40), 그리고 지붕 구조물(50)로 이루어진다.
정자의 지붕 및 마루는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주춧돌(10)은 그 형상에 따라 개수가 정해진다. 기둥(20)의 개수 또한 주춧돌(10)의 개수와 동일하게 정해진다.
정자의 마루(30)와 난간 구조물(40)은 본 발명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부분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붕구조물(50)은 크게 지붕구조물의 뼈대를 이루는 목조 골조(100)와, 상기 골조(100) 위에 얹혀져서 정자의 외관을 돋보이게 하는 동시에 정자를 비와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기와 지붕(2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 중에서 특히 목조 골조(100)에 관한 것이다.
지붕구조물(50)의 목조 골조(100)는 인접한 기둥들끼리 기둥의 상단부를 연결시키는 처마도리 또는 중보(110), 처마 끝단으로부터 각 기둥의 상단부를 거쳐 지붕의 중심까지 연장되는 추녀 또는 장보(120), 지붕의 중심에서 추녀(120)의 상단을 지지하는 용마루(130), 처마 끝단에서 인접한 추녀(1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평고대(140), 지붕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추녀(1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서까래받침(150), 그리고 상기 평고대(140)와 상기 서까래받침(150)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서까래(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기둥(20)의 상부에서 처마도리(110)의 하측에 소중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기도 한다.
통상 전통 건축에서 용마루는 맞배지붕이나 우진각지붕에서 지붕의 제일 높은 곳에 수평으로 형성된 마루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나, 본 명세서에서 용마루(130)는 지붕의 중심에 위치하여 추녀의 상단을 지지하는 부재를 지칭하는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처마도리 또는 중보(110)는 인접한 기둥들, 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바로 옆에 위치하는 기둥들간에 상단부를 연결시켜서 기둥들을 상호 구속시키게 된다. 처마도리(110)를 설치한 후에 경우에 따라서는, 마주보는 기둥들을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바로 옆에 아닌 하나 또는 둘 옆의 기둥과 상호 연결하는 구조부재인 대들보(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설치하기도 한다.
추녀 또는 장보(120)는 지붕의 중심, 즉 용마루(130)에서부터 처마 끝단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구조부재로서, 기와까지 얹어서 지붕이 완성된 후에 수키와에 의한 추녀마루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추녀(120)는 용마루(130)에서 각 기둥의 상단부를 거쳐 처마 끝단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므로, 각 기둥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추녀(120)의 상단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붕의 중심에 위치된 용마루(130)에 의해 지지된다. 용마루(130)는 그 둘레를 따라 추녀의 개수만큼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되 저면은 지지되는 홈(133)을 구비함으로써, 추녀의 상단부가 상기 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도 6 참조).
처마 끝단의 위치, 즉 추녀(120)의 하단부에서는 인접한 추녀(1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평고대(140)가 설치된다. 정자, 한옥 등의 전통 건축물의 지붕 구조를 보면, 정면에서 볼 때 중앙부에서 양끝으로 갈수록 처마가 들어 올려지는 형태인데, 이를 앙곡이라 한다. 앙곡은 지붕의 처마 양쪽 끝부분이 내려앉아 보이는 착시 현상을 교정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는데, 이러한 앙곡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부재가 평고대(140)이며, 따라서 평고대(140)는 곡선 부재로 형성된다.
앙곡 형성에 의한 미감 향상을 보다 극대화하기 위하여, 평고대(140)의 양단에는 삼각형 모양의 부재인 갈모산방이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서까래(160)가 형성하는 곡선은 평고대(140)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보다 더 굴곡이 큰 곡선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서, 지붕의 중심, 즉 용마루(1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인접한 추녀 사이를 연결하는 서까래받침(150)이 설치된다. 서까래받침(150)은 그 이름 그대로 서까래(160)의 상단을 받쳐서 지지하는 부재이다.
서까래받침(150)의 위치는 서까래(160)의 설치 밀도, 즉 인접한 추녀(120)들 사이에 몇 개의 서까래(160)를 설치하고자 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정자 지붕에 사용하려는 기와가 전통 한식 기와인 경우 그 중량이 상당하므로, 목조 골조 또한 그에 걸맞게 튼튼하게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붕 골조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서까래를 넉넉히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서까래받침(150)을 조금 더 아래쪽 위치에서 추녀(120)를 연결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까래가 직경 100㎜이고, 인접한 추녀(120) 사이에 8개의 서까래(160)를 설치하고자 한다면, 서까래받침(150)은 최소한 800㎜ 길이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고, 이 정도 길이로 설치가능한 위치에서 추녀(120) 사이에 결합될 것이다.
이는 정자의 설계단계에서 미리 결정될 수 있는 부분으로, 시공단계에서 급작스레 변경될 가능성은 거의 없으므로, 앞서 언급한 종래의 정자 지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비해 정자의 시공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형상의 정자를 2개소 이상의 장소에 시공하되 사용하려는 기와는 서로 다른 경우에, 다른 모든 설계는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기와 하중에 따라 달리 소요되는 서까래 개수를 결정하고, 서까래 개수에 맞게 서까래받침(150)의 길이 및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설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시공 도중에 기와의 종류를 변경해야 하는 설계변경사항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비교적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서까래받침(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까래(160)의 상단부와 대향하는 정면받침(151)과 상기 서까래 상단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받침(1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서까래받침(150)은 'ㄴ'자 형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까래받침(150)의 이러한 구조는 서까래(160)가 서까래받침(150)과 평고대(140) 사이에 완전히 고정설치되기 이전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임시 설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붕작업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서까래 설치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서까래받침(150)을 정면받침(151)과 저면받침(153)으로 구분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까래받침(150)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서까래받침(150)이 분리가능한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서까래받침(150)은 하나의 일체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한편, 서까래받침(150)의 저면받침(153)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서까래(160)의 두께의 15-2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받침(153)의 높이가 서까래(160) 두께의 15% 보다 작은 경우 서까래(160)를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지 못하거나 서까래받침(150)이 파손되어 저면받침(153)이 정면받침(151)과 분리되어 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저면받침(153)의 높이가 서까래(160) 두께의 25% 보다 클 경우에는, 서까래받침(150)이 지나치게 두꺼워져서 재료가 더 많이 소요되고, 또한 정자 내측에서 볼 때의 미감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서까래(160)는 상기 평고대(140)와 상기 서까래받침(150)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붕에 사용하고자 하는 기와의 종류에 따라, 즉 기와의 하중에 따라 그 설치개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서까래(160)는 지붕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향됨으로써 서까래(160)가 전체적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배치되게 되고, 따라서 기와가 얹혀지는 개판(180)에 대하여 기와의 하중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지지해줄 수 있게 된다.
추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에 변화가 있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추녀(120)를 상기 용마루(130)와 상기 서까래받침(150) 사이에 위치된 상부 추녀(121)와 상기 서까래받침(150)과 상기 처마 끌단 사이에 위치된 하부 추녀(123)로 구분해볼 때, 상부 추녀(121)의 측방향 두께가 하부 추녀(123)의 측방향 두께보다 작게 되도록 추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추녀(120)와 서까래받침(150)간에 보다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서까래(160) 설치가 완료되면, 서까래(160) 위에 개판(180)을 깔고, 처마 끝단에 연함(190)을 설치한 후에 개판(180) 위에 기와(200)를 얹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자의 지붕 구조는 서까래(160) 설치가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하는 장점 외에도, 지붕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에도 정자의 내측에서 바라보는 천장의 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반자를 설치하는 일이 있었으나, 종래의 정자의 지붕 구조에서는 반자의 설치가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정자의 지붕 구조에서는, 서까래받침(150)의 하단에 비교적 용이하게 반자를 설치,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정자의 지붕 내부의 미관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자 지붕의 시공방법은, 다수의 주춧돌을 미리 정해진 형태로 배치하는 단계(S110),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는 단계(S120), 인접한 기둥들의 상부를 처마도리로 연결하는 단계(S130), 처마끝단과 지붕중심부를 잇는 추녀를 각 기둥마다 하나씩 설치하는 단계(S140), 인접한 추녀의 하단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평고대를 설치하는 단계(S150), 지붕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추녀 사이를 연결하는 서까래받침을 설치하는 단계(S160), 상기 평고대와 상기 서까래받침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도록 서까래를 걸되 서까래가 지붕의 중심을 향하도록 걸어 나가는 단계(S170), 서까래 위에 개판을 까는 단계(S180), 처마 끝단에 연함을 설치하는 단계(S190), 및 상기 개판 위에 기와를 설치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10 : 주춧돌 20 : 기둥
30 : 마루 40 : 난간 구조물
50 : 지붕구조물 100 : 목조 골조
110 : 처마도리(중보) 120 : 추녀(장보)
130 : 용마루 140 : 평고대
150 : 서까래받침 160 : 서까래
180 : 개판 190 : 연함
200 : 기와 지붕

Claims (5)

  1. 다수의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정자의 지붕 구조에 있어서,
    다수의 기둥의 상단부에서 인접한 기둥끼리 연결시키는 처마도리;
    처마 끝단으로부터 각 기둥의 상단부를 거쳐 지붕의 중심까지 연장되는 추녀;
    지붕의 중심에서 추녀의 상단을 지지하는 용마루;
    처마 끝단에서 인접한 추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평고대;
    지붕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추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서까래받침; 및
    상기 평고대와 상기 서까래받침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며 지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는 하나 이상의 서까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녀는 상기 용마루와 상기 서까래받침 사이에 위치된 상부 추녀와 상기 서까래받침과 상기 처마 끌단 사이에 위치된 하부 추녀로 이루어지고,
    상부 추녀의 측방향 두께가 하부 추녀의 측방향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까래받침은 상기 서까래의 상단부와 대향하는 정면받침과 상기 서까래 상단부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받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까래받침의 저면받침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서까래의 두께의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5. 다수의 주춧돌을 미리 정해진 형태로 배치하는 단계;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는 단계;
    인접한 기둥들의 상부를 처마도리로 연결하는 단계;
    처마끝단과 지붕중심부를 잇는 추녀를 각 기둥마다 하나씩 설치하는 단계;
    인접한 추녀의 하단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평고대를 설치하는 단계;
    지붕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인접한 추녀 사이를 연결하는 서까래받침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평고대와 상기 서까래받침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도록 서까래를 걸되 서까래가 지붕의 중심을 향하도록 걸어 나가는 단계;
    서까래 위에 개판을 까는 단계;
    처마 끝단에 연함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개판 위에 기와를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의 시공방법.
KR1020160164822A 2016-12-06 2016-12-06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12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22A KR101912098B1 (ko) 2016-12-06 2016-12-06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822A KR101912098B1 (ko) 2016-12-06 2016-12-06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677A true KR20180064677A (ko) 2018-06-15
KR101912098B1 KR101912098B1 (ko) 2018-10-26

Family

ID=6262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822A KR101912098B1 (ko) 2016-12-06 2016-12-06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674A (zh) * 2019-01-22 2019-05-17 云南创合木屋有限公司 一种野外用独立式活动松果木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4Y2 (ja) * 1980-03-31 1985-01-19 ぺんてる株式会社 コレットチャツク装置
KR100807107B1 (ko) * 2007-04-06 2008-02-26 전용호 직선재를 이용한 전통 한옥 구조
KR100902642B1 (ko) * 2009-01-30 2009-06-15 대흥우드산업(주) 정자
KR101113991B1 (ko) 2011-09-05 2012-03-05 박차훈 정자지붕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45229B1 (ko) * 2012-10-08 2013-03-19 대흥우드산업(주) 조립식 한옥 정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1924B2 (ja) * 2012-05-29 2016-10-05 日本信号株式会社 駐車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4Y2 (ja) * 1980-03-31 1985-01-19 ぺんてる株式会社 コレットチャツク装置
KR100807107B1 (ko) * 2007-04-06 2008-02-26 전용호 직선재를 이용한 전통 한옥 구조
KR100902642B1 (ko) * 2009-01-30 2009-06-15 대흥우드산업(주) 정자
KR101113991B1 (ko) 2011-09-05 2012-03-05 박차훈 정자지붕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45229B1 (ko) * 2012-10-08 2013-03-19 대흥우드산업(주) 조립식 한옥 정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674A (zh) * 2019-01-22 2019-05-17 云南创合木屋有限公司 一种野外用独立式活动松果木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098B1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229B1 (ko) 조립식 한옥 정자
KR100915976B1 (ko) 정자 조립체
EP2322742B1 (en) System of seismic-resistant prefabricated elements for the building trade, and relative laying method
KR10189635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경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3012A (ko) 석재를 이용한 정자의 조립구조
JP2022079556A (ja) 建物
KR10191209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서까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정자의 중량 기와용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14477B1 (ko)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KR20190030885A (ko) 한옥과 목조 주택을 조합한 견본주택(모델하우스) 시공 방법
KR101830624B1 (ko) 정자 지붕 및 그 제작방법
KR101608955B1 (ko) 정자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정자
KR20220001446U (ko) 배수가 향상된 지붕 강판 구조
KR102378407B1 (ko) 루프 매트
CN113445741B (zh) 一种半楼层塔吊顶升施工方法
US5899029A (en) Support structure for floor plates
KR20120121038A (ko) 자연원목을 이용한 원두막의 벤치구조
CN214994589U (zh) 多功能廊架
JPH03295960A (ja) 庇状部用防水パン
JP4146576B2 (ja) 建物
JP2022115597A (ja) 建物
JP5547411B2 (ja) 屋根構造体
Arce Qasr Kharana Revisited
Andreescu et al. The hidden gem
KR101830621B1 (ko) 뒤초리 고정 수단을 가진 정자 및 그 제작방법
US20130097949A1 (en) Design method for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