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159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159B1
KR101244159B1 KR1020110015988A KR20110015988A KR101244159B1 KR 101244159 B1 KR101244159 B1 KR 101244159B1 KR 1020110015988 A KR1020110015988 A KR 1020110015988A KR 20110015988 A KR20110015988 A KR 20110015988A KR 101244159 B1 KR101244159 B1 KR 10124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member
stent
circumferential
valley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720A (ko
Inventor
안재모
송효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에스
Priority to KR102011001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1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8Means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stents allowing flexibility of the whol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2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elasticity, flexibility, spring rate or mechanical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기구인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관이나 간의 트랙이 협착된 경우 이들 내강이나 혈관을 확장시킴과 아울러, 각 단별 원주부재의 각 단들의 골과 산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각 단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지지력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유연성을 좋게 하며, 혈관내에 삽입될 때 편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료용 기구인 스텐트에 있어서,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밴딩되어 각각의 산과 골을 가지며 다수개의 단으로 배열되는 원주부재와, 상기 원주부재의 각 단들의 산 또는 골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다른 원주부재의 골 또는 산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와, 상기 원주부재의 각 단들의 골과 산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각 단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단 원주부재의 골 하부 우측과 그 아래 하단 원주부재의 산 상부 좌측을 연결하고, 상기 하단 원주부재의 골 하부 좌측과 상기 하단 원주부재의 아래 단 원주부재의 산 상부 중앙과 연결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원주부재의 각 단별로 연결부재가 반복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원주부재의 단면 두께가 0.06~0.12㎜이고, 상기 원주부재의 너비(W)가 0.10~0.16㎜이며, 상기 연결부재의 너비(W')가 0.03~0.0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 발명은 의료용 기구인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관이나 간의 트랙이 협착된 경우 이들 내강이나 혈관을 확장시킴과 아울러, 각 단별 원주부재의 각 단들의 골과 산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각 단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지지력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유연성을 좋게 하며, 혈관내에 삽입될 때 편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인체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에 의해 인체내에 있는 내강이 좁아져서 그 고유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혈관이 좁아져서 혈액의 순환이 불량한 경우등의 질환이 발생한 경우에 그 내강 또는 혈관의 내부에 시술하여 내강
을 확장시키거나 혈관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료용 기구이다.
기존의 스텐트는 금속 탄성체로서, 식도암으로 식도가 협착현상을 일으키거나, 동맥경화증에 의해 혈관내에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또는 간으로부터 나오는 담즙이 흐를 수 있는 트랙이 협착된 경우에 탄성체를 압축하여 협착된 통로내로 밀어 넣은 후, 이 탄성체의 확장에 따라 혈관이나 내강의 통로를 확장시켜 흐름상태를 원활하게 해주는 방안이 통상적이다.
그 스텐트는 그 시술방식에 따라 심장 혈관이나, 대동맥, 뇌혈관등의 혈관 및 식도, 위장, 대장등의 내강기관내에 풍선카테터(balloon catheter)와 함께 삽입되어 풍선이 팽창됨에 따라 관상형 통로를 확장시키는 풍선확장술과, 그 관상형 조직내에 내시경등에 의해 삽입되어 자체 복원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는 자가팽창방식에 사용되는 것이 서로 구분된다.
이는, 전자의 것이 풍선의 팽창에 따라 같이 외측으로 팽창되어 원래의 관상형 조직의 통로 크기대로 확장시키기 위해 탄성과 연성이 요구되는 방식이며, 후자는 관상형 조직의 협착부위에 삽입된 후에 자체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되어 협착된 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복원 탄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그중 상대적으로 내경이 좁은 인체내 혈관내 협착이 발생될 경우에는 풍선확장술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풍선확장술의 경우 풍선카테터가 스텐트에 삽입된 상태로 혈관내에 삽입되어 카테터의 풍선이 팽창하면서 스텐트가 외측으로 팽창되어 혈관내 통로를 확장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기존에는 스텐트의 삽입후 재 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물을 부착하거나,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는 것도 있다.
즉, 기존의 스텐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풍선카테터를 삽입하여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고정시킨 후에 풍선을 확장하여 협착된 부위를 확장시키는 시술시 복잡하고 굴곡진 통로내의 삽입을 위해 연성이 요구되며, 그 시술이 끝난 후에 혈관(심장혈관, 대동맥, 뇌동맥등) 또는 관상형 조직의 수축되는 힘에 의해 스텐트의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이 요구되었다.
그런데, 기존의 스텐트는 혈관내 협착부위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가장 넓은 중앙부위와 양단측 부위의 너비가 동일하므로, 스텐트가 심한 굴곡부위 또는 수축이 심한 부위에 위치하는 혈관 및 관상형 조직에 시술하는 과정에서, 각 단 부위별로 서로 다른 접촉력을 갖게 되어 유연성 및 탄력성을 갖지 못할 경우, 상대적으로 부하를 많이 받는 중앙부위에서 크랙이 발생하거나 심하게는 끊어지게 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혈관내 협착부위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스텐트의 팽창력에 반발하는 힘(혈관의 수축력)이 스텐트의 중앙측 부위에 작용하게 되는 데, 가로방향(일방향)으로만 힘이 작용하게 되어 각 단 부위별로 지지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일정 부위에 만 집중될 경우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번호 10-0551744호의 최적 축소 단면을 갖는 스텐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등록번호 10-0560203호에 개재된 바와 같이 스텐트(100)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복수회 밴딩되어 파형(波形)의 형태를 갖도록 산(112)과 골(114)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주름을 가지며 그 주름들로 이루어진 각각의 단들이 배열되는 다수개의 원주부재(110)와, 그 원주부재(110)들의 산(112)과 골(114) 부위를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상호 근접된 원주부재(110)의 산(112) 또는 골(114) 부위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고 빗살무늬형태로 배열되는 연결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원주부재(110)는 중앙측의 단 너비(w1)가 양 외측의 너비(w2)보다 더 넓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원주부재(110)는 중앙으로부터 양외측으로 멀어질수록 점점 더 너비가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스텐트는 원주부재에 연결부재가 같은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스텐트가 혈관내에 삽입되기 전에 압축될 때 뒤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기관내에 삽입되어 협착부위를 팽창시키는 본연의 기능을 가지고, 부하가 발생되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혈관의 수축력이 각 단별 부위로 분산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텐트가 혈관내에 삽입되기 전에 압축될 때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연성을 많이 줄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텐트가 혈관내에 삽입될 때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료용 기구인 스텐트에 있어서,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밴딩되어 각각의 산과 골을 가지며 다수개의 단으로 배열되는 원주부재와, 상기 원주부재의 각 단들의 산 또는 골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다른 원주부재의 골 또는 산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와, 상기 원주부재의 각 단들의 골과 산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각 단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단 원주부재의 골 하부 우측과 그 아래 하단 원주부재의 산 상부 좌측을 연결하고, 상기 하단 원주부재의 골 하부 좌측과 상기 하단 원주부재의 아래 단 원주부재의 산 상부 중앙과 연결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원주부재의 각 단별로 연결부재가 반복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원주부재의 단면 두께가 0.06~0.12㎜이고, 상기 원주부재의 너비(W)가 0.10~0.16㎜이며, 상기 연결부재의 너비(W')가 0.03~0.07㎜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혈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축력이 전체 구조로 분산되어 골고루 힘이 전달됨과 아울러, 원주부재와 연결부재가 내강이나 혈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으로 협착된 통로 내부를 탄성 바이어스시켜 팽창시키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원주부재와 원주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각 단별로 반대방향으로 배열됨에 따라 스텐트가 혈관내에 삽입되기 전에 압축될 때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고, 혈관의 수축력을 전체부위로 분산시켜 각 부위별로 균일한 지지력을 가지며, 유연성을 많이 줄수 있고, 스텐트가 혈관내에 삽입될 때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텐트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2는 종래 스텐트가 원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 스텐트가 혈관내에 삽입되기 전에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가 원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가 혈관내에 삽입되기 전에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가 원통형으로 감겨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가 혈관내에 삽입되기 전에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본 발명은 의료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관이나 간의 트랙이 협착된 경우 이들 내강이나 혈관을 확장시킴과 아울러, 각 단별 원주부재의 각 단들의 골과 산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각 단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지지력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유연성을 좋게 하며, 혈관내에 삽입될 때 편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의료용 기구인 스텐트(10)에 있어서,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밴딩되어 각각의 산(21)과 골(22)을 가지며 다수개의 단으로 배열되는 원주부재(20)와,상기 원주부재(20)의 각 단들의 산(21) 또는 골(22)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다른 원주부재(20)의 골(22) 또는 산(21)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30)와, 상기 원주부재(20)의 각 단들의 골(22)과 산(21)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0)가 각 단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단 원주부재(20)의 골(22) 하부 우측과 그 아래 하단 원주부재(20)의 산(21) 상부 좌측을 연결하고, 상기 하단 원주부재(20)의 골(22) 하부 좌측과 상기 하단 원주부재(20)의 아래 단 원주부재(20)의 산(21) 상부 중앙과 연결부재(30)가 연결되고, 상기 원주부재(20)의 각 단별로 연결부재(30)가 반복적으로 연결된 것이다.
상기 원주부재(20)의 단면 두께가 0.06~0.12㎜이고, 상기 원주부재(20)의 너비(W)가 0.10~0.16㎜이며, 상기 연결부재(30)의 너비(W')가 0.04~0.07㎜인 것이다.
이는 그 수치보다 작을 경우 강성과 지지력에 취약할 수 있으며, 그 수치보다 더 클 경우에는 탄성 및 혈관내 삽입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원주부재(20)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며 복수회 밴딩되어 파형(波形)의 형태를 갖도록 산(21)과 골(22)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주름을 가지며 그 주름들로 이루어진 각각의 단들이 배열되는 것이다.
상기 원주부재(20)들의 산(21)과 골(22) 부위를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상호 근접된 원주부재(20)의 산(21) 또는 골(22) 부위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원주부재(30)는 원통형으로 감겨짐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동일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산(21)과 골(22)부위로 이루어지고, 그 산(21)과 골(22)부위가 완만한 굴곡을 가지며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선상으로 일치되도록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연결부재(30)가 사선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지지력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유연성을 좋게 하며, 혈관내에 삽입될 때 편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원주부재(20)는 다수의 밴딩 포인트를 갖는 지그재그형상을 갖추게 되며, 이는 실제로 혈관(50)내 협착된 부위를 외측으로 팽창시키는 힘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일단부가 원주부재(20)의 산(2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단의 원주부재(20)의 골(22) 부위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혈관(50)내 삽입시 원주부재(20)의 감겨짐에 따른 탄성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그 연결부재(30)는 원주부재(20)의 너비(W)에 비해 대략 1/2∼1/4정도이며, 각 단들이 원주부재(20)의 복수단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단 원주부재(20)의 골(22) 하부 우측과 그 아래 하단 원주부재(20)의 산(21) 상부 좌측을 연결하고, 상기 하단 원주부재(20)의 골(22) 하부 좌측과 상기 하단 원주부재(20)의 아래 단 원주부재(20)의 산(21) 상부 중앙과 연결부재(30)가 연결되고, 상기 원주부재(20)의 각 단별로 연결부재(30)가 반복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원주부재(20)와 연결된 연결부재(30)가 단별로 반대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비틀림을 방지하며 응력을 받기위한 것이다.
상기 원주부재(20)와 연결부재(30)는 그 재질에 관계없이 팽창 복원력을 갖는 탄력적 성질을 갖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의료용 기구인 스텐트(10)는 다수회 밴딩되어 산과 골 부위를 갖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원주부재(20)와 연결부재(30)를 원통형으로 감아서 양단부를 결합시켜 일체화시킨 다음에, 도 6에서와 같이 혈관(50)내에 삽입가능하도록 부피가 압축된 후에 도 7에서와 같이 혈관(50)내의 협착된 부위에 스텐트(10)와 풍선카테터(40)를 삽입시킨 후에 풍선을 팽창시켜 협착된 부위를 강제로 넓히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스텐트(10)의 내부에 수용된 풍선카테터(40)가 협착된 부위에 도달하게 되면, 풍선을 팽창시켜 스텐트(10)를 외측으로 팽창시키고, 이에 따라 스텐트(10)의 중앙측 원주부재(20)가 협착부위와 직접 접촉되면서 혈관(50)내의 협착된 통로를 넓혀 원래의 내경을 갖도록 한다.
이후에 풍선카테터(40)를 외부로 인출시켜 스텐트(10)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팽창된 스텐트(10)의 원주부재(20)가 인체 기관 내의 협착부위와 직접 접촉되면서 탄성력으로 그 협착된 통로 부위를 강제로 넓히면서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그 연결부재(30)는 이러한 원주부재(20)의 움직임을 플렉시블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원주부재(20)의 각 단들의 골(22)과 산(21)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0)가 각 단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한 것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지지력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유연성을 좋게 하며, 혈관내에 삽입될 때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연결부재(30)와 원주부재(20)의 각 단들이 사선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므로, 일정부위에만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체적으로 각 단별 부위에 균일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스텐트(10)는 식도, 요도등의 내강과 혈관등의 내부에 혈류등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텐트(10)는 혈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축력이 전체 구조로 분산되어 골고루 힘이 전달됨과 아울러, 원주부재(20)와 연결부재(30)가 내강이나 혈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으로 협착된 통로 내부를 탄성 바이어스시켜 팽창시키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원주부재(20)와 원주부재(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가 각 단별로 반대방향으로 배열됨에 따라 스텐트(10)가 혈관내에 삽입되기 전에 압축될 때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10)는 혈관의 수축력을 전체부위로 분산시켜 각 부위별로 균일한 지지력을 가지며, 유연성을 많이 줄수 있고, 스텐트(10)가 혈관내에 삽입될 때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스텐트 20 : 원주부재
21 : 산 22 : 골
30 : 연결부재 40 : 풍선카테터
50 : 혈관 W : 원주부재의 너비
W' : 연결부재의 너비

Claims (3)

  1. 삭제
  2. 의료용 기구인 스텐트(10)에 있어서,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밴딩되어 각각의 산(21)과 골(22)을 가지며 다수개의 단으로 배열되는 원주부재(20)와,
    상기 원주부재(20)의 각 단들의 산(21) 또는 골(22)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다른 원주부재(20)의 골(22) 또는 산(21) 부위에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30)와,
    상기 원주부재(20)의 각 단들의 골(22)과 산(21) 부위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0)가 각 단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30)는 상단 원주부재(20)의 골(22) 하부 우측과 그 아래 하단 원주부재(20)의 산(21) 상부 좌측을 연결하고,
    상기 하단 원주부재(20)의 골(22) 하부 좌측과 상기 하단 원주부재(20)의 아래 단 원주부재(20)의 산(21) 상부 중앙과 연결부재(30)가 연결되고, 상기 원주부재(20)의 각 단별로 연결부재(30)가 반복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원주부재(20)의 단면 두께가 0.06~0.12㎜이고, 상기 원주부재(20)의 너비(W)가 0.10~0.16㎜이며, 상기 연결부재(30)의 너비(W')가 0.04~0.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삭제
KR1020110015988A 2011-02-23 2011-02-23 스텐트 KR10124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988A KR101244159B1 (ko) 2011-02-23 2011-02-23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988A KR101244159B1 (ko) 2011-02-23 2011-02-23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20A KR20120096720A (ko) 2012-08-31
KR101244159B1 true KR101244159B1 (ko) 2013-03-25

Family

ID=4688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988A KR101244159B1 (ko) 2011-02-23 2011-02-23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802B1 (ko) 2013-08-20 2017-01-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티그 용접용 용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571A (ja) * 2003-10-16 2005-05-12 Cordis Corp 配備時に分離するステント・セグメントを有するステント設計
KR100560203B1 (ko) 2004-03-15 2006-03-13 휴메드 주식회사 스텐트
JP2009513300A (ja) 2005-10-31 2009-04-0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ステント構成
JP2010534088A (ja) 2007-07-20 2010-11-04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長手方向に可撓性である拡張型ステ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571A (ja) * 2003-10-16 2005-05-12 Cordis Corp 配備時に分離するステント・セグメントを有するステント設計
KR100560203B1 (ko) 2004-03-15 2006-03-13 휴메드 주식회사 스텐트
JP2009513300A (ja) 2005-10-31 2009-04-0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ステント構成
JP2010534088A (ja) 2007-07-20 2010-11-04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長手方向に可撓性である拡張型ステ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20A (ko) 201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5985B1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
JP5047166B2 (ja) 湾曲しにくい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6602279B1 (en) Placement of endoprostheses and stents
JP4190729B2 (ja) 水平方向拡張支柱および交差装着式対角コネクタから構成した管状ステント
US6565598B1 (en) Stent with a closed structure
KR20030081411A (ko) 스텐트
JP2009528112A (ja) 支持を最適化する可変形体を有するステント及び該ステントの作成方法
JP2000042119A (ja) 効果的なストラット及びコネクタ―パタ―ンを有する可撓性ステント
JP4630274B2 (ja) 管腔口に配置するステント
JP2008522757A (ja) 可変湾曲ステント
JP2007500579A (ja) 脈管用補綴物
KR100958886B1 (ko) 주혈관과 분지혈관에 설치된 스텐트의 위치이동 및 만성폐색병변 시술용 카테터
JP2004521722A (ja) 血管内ステント留置用医用器具
KR101244159B1 (ko) 스텐트
JP5259395B2 (ja) 改良された先細形状の梁を有する管腔内装置
KR100560203B1 (ko) 스텐트
CN105167881A (zh) 一种具有抗纵向变形的血管支架
KR100779838B1 (ko) 스텐트
CN111789705A (zh) 支架
JP2009508592A (ja) 入口部保護用分割型装置
KR100551744B1 (ko) 최적 축소 단면을 갖는 스텐트
KR100550498B1 (ko) 개량된 원주부재를 갖는 스텐트
KR101740716B1 (ko) 댐핑부를 갖는 스텐트
KR20050083458A (ko) 개량된 연결부재로 구성된 스텐트
KR101138226B1 (ko) 관상동맥용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