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240B1 -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240B1
KR101243240B1 KR1020100069636A KR20100069636A KR101243240B1 KR 101243240 B1 KR101243240 B1 KR 101243240B1 KR 1020100069636 A KR1020100069636 A KR 1020100069636A KR 20100069636 A KR20100069636 A KR 20100069636A KR 101243240 B1 KR101243240 B1 KR 101243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hexane
decanoyloxy
decyloxy
no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233A (ko
Inventor
이다연
허정미
전지민
손지현
이현상
천종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씨티 filed Critical (주)에이씨티
Priority to KR1020100069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2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240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활성을 가지는 신규한 알킬디올의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는 강력한 멜라닌 생성 저해를 통해 우수한 미백 활성을 나타내므로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0046492640-pat00007

(n:0∼14, m:0∼13이고, R은 탄소수 2~1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alkyl) 또는 아실기(acyl)이다)

Description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Novel derivatives of alkyldiol compound and whitening composition for external ski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저해를 통해 우수한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알킬 디올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알킬 디올의 2개의 수산기에 포화 혹은 불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또는 아실기를 도입하는 반응을 통하여 미백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알킬 디올 유도체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체 안전성 및 안정성이 뛰어난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인류는 태양을 신격화하여 숭배해왔고, 햇빛을 이용하여 빈혈, 구루병, 결핵과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하였으며 20 세기에 들어서도 선탠(suntan)을 통해 아름다운 피부를 만든다고 믿어 과도한 일광욕을 즐기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햇빛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피부암이 생기고 피부흑화(melanogenesis)를 일으켜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을 유도하는 피부장애를 일으킨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반대로 피부미용을 위해 햇빛을 멀리하는 현상이 생겨났다. 피부흑화는 멜라닌 흑화세포(melanocyte)에 의해 합성되는 멜라닌이 다른 피부세포인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이동되어 이 세포가 각질형성과정을 통해 피부 밖으로 나와 축적되는 현상이다. 멜라닌은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지만 과도한 침착으로 인해 특히 여성에게 미용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세포내에서 멜라닌을 합성하는 반응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효소와 물질들에 의해 조절되며 그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효소로는 속도결정단계를 조절하는 중합효소의 일종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이다. 멜라닌은 티로신(tyrosine)이 티로시나제에 의해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 도파크롬(dopachrome)의 과정을 거쳐 자연히 탈카르복시화(decarboxylation)된 후 빠른 산화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멜라닌 생합성 과정은 산화반응이므로 과거에는 티로시나제 한 가지 효소만 있으면 멜라닌이 합성된다고 생각하였으나, 분자생물학이 발달하면서 티로시나제와 유사한 유전자가 몇 가지 발견되었고, 이들은 티로시나제 관련 단백질(tyrosinase related protein)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TRP-1 및 TRP-2 등이 알려져 있다. TRP-1과 TRP-2는 멜라닌 합성 과정 중 도파크롬에서 탈카르복시화 및 산화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산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멜라닌이 피부 내에 과도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 심각하게는 피부암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질환의 치료에는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비타민 C와 그 유도체, 글루코오스 아실화 유도체 화합물이나, 닥나무 추출물, 유용성 감초 추출물과 같은 천연추출물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 중 하이드로퀴논은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자극이 있기 때문에 일부 의약품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코직산은 2003년 간암을 유발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또한,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의 경우 산화가 쉽고 천연 추출물 유래의 물질들은 합성 물질에 비해 안전성이 뛰어나지만 그 효과가 미미하고 글루코오스 아실화 유도체는 합성 효율이 매우 낮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가지지 않으며 합성 효율이 높고, 천연 추출물 유래의 물질과 같은 안전성을 가지는 활성 성분에 대한 연구 중에, 색소 침착을 감소시키며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신규한 화합물 유도체를 합성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자극이 없고 제조가 용이하며, 미백효과가 우수한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I)로 표시되는 신규 알킬 디올 유도체 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112010046492640-pat00001
(n:0∼14, m:0∼13이고,
R은 탄소수 2~1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alkyl) 또는 아실기(acyl)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n=0, m=3이거나, R이 할라이드데칸 또는 데카노일할라이드인 경우에 피부 미백활성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 화합물은 1,4-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또는 1,2-비스(2-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매에 하기 화학식 (II)의 알킬 디올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단계;
알킬할라이드 또는 아실할라이드를 상기 알킬 디올화합물의 2.0∼3.0배 당량비로 용매에 용해시킨 후, 촉매의 존재 하에 -60℃~30℃의 온도조건에서 알킬화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 종료 후 분리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112010046492640-pat00002
(n:0∼14, m:0∼13이다)
상기 용매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테트라하이드로푸란(tetrahydrofuran), 1,4-디옥산(1,4-dioxan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및 클로로포름(chloroform)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로는 알킬화 반응의 경우에는 수소화나트륨(Sodium hydride) 또는 탄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을 사용 할 수 있으며, 에스테르화 반응에서는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또는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을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피부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알킬디올 유도체는 제조가 용이하며, 피부 자극성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및 색소침착 저해효과를 가지므로, 피부의 기미, 주근깨, 흑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피부 미백을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신규한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은 하기의 반응식 1 및 반응식 2로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하기 반응식 1과 반응식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방족 화합물에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시기가 결합 되어 있는 구조의 화합물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시킨 후, 알킬 디올의 2.0∼3.0배 당량비로 용매에 용해된 알킬할라이드 또는 아실할라이드를 촉매 하에서 반응시켜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알킬화 반응을 진행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로는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테트라하이드로푸란(tetrahydrofuran), 1,4-디옥산(1,4-dioxan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및 클로로포름(chloroform)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화 반응에서는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를, 에스테르화 반응에서는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기 반응식 1의 알킬화 반응에서 촉매로는 수소화나트륨(Sodium hydrid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기 반응식 2의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촉매로는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을 사용 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0046492640-pat00003
상기 반응식 1에서 n은 0∼14, m은 0∼13의 정수이다. 상기 반응식에서 X는 할로겐 원소이며, 바람직하게는 브롬 또는 염소이다. R은 탄소수 2~12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알킬기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모두 가능 하며, 바람직하게는 R이 할라이드데칸이다. 상기 반응 온도는 -60℃∼25℃가 적당하며 알킬할라이드가 첨가 되는 반응에서는 -6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온도 유지가 어렵고 미반응물이 남는 문제가 있으며, 반면에 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반응이 급격하게 진행하여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등 반응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알킬화 반응의 종료 온도는 25℃ 정도가 적당하다.
[반응식 2]
Figure 112010046492640-pat00004
상기 반응식 2에서 n은 0∼14, m은 0∼13의 정수이다. 상기 반응식에서 X는 할로겐 원소이며, 바람직하게는 브롬 또는 염소이다. R은 탄소수 2~12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아실기로서,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모두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R이 데카노일할라이드이다. 상기 반응은 발열반응이므로 반응 초기온도는 10∼15℃가 적당하며, 아실할라이드의 적가 완료 후의 반응 온도는 25∼30℃가 좋다.
상기 반응식 1 과 반응식 2에 의하여 제조되는 본 발명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 화합물로는 하기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n이 0이고 m이 3인 1,2-헥산디올의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1,2-디에톡시헥산, 1,2-디프로폭시헥산, 1,2-디부톡시헥산, 1,2-비스(펜틸옥시)헥산, 1,2-비스(헥실옥시)헥산, 1,2-비스(헵틸옥시)헥산, 1,2-비스(옥틸옥시)헥산, 1,2-비스-(노닐옥시)헥산, 1,2-비스(데실옥시)헥산, 1,2-비스(운데실옥시)헥산, 1,2-비스(도데실옥시)헥산, 1,2-디이소프로폭시헥산, 1,2-디이소부톡시헥산, 1,2-비스(3-메틸부톡시)헥산, 1,2-비스(2,3-디메틸부톡시)헥산, 1,2-비스(2-에틸부톡시)헥산, 1,2-비스(2-에틸펜틸옥시)헥산, 1,2-비스(2-에틸헥실옥시)헥산, 1,2-비스(2-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2-헥세닐옥시)헥산, 1,2-비스(2-메틸부톡시)헥산, 1,2-비스(2-메틸펜틸옥시)헥산, 1,2-비스(3-메틸-2-부테닐옥시)헥산, 1,2-비스(4-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5-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4-펜테닐옥시)헥산, 1,2-비스(5-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5-헥세닐옥시)헥산, 1,2-비스(6-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알릴옥시)헥산, 1,2-비스(4-메틸-1-펜테닐옥시)헥산, 1,2-비스(7-옥테닐옥시)헥산, 1,2-비스(9-데세닐옥시)헥산, 1,2-비스(3,7-디메틸-2,6-옥타디에닐옥시)헥산, 1,2-비스(10-운데세닐옥시)헥산, 1,2-비스(에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프로파노일옥시)헥산, 1,2-비스(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헥사노일옥시)헥산, 1,2-비스(헵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옥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노나노일옥시)헥산, 1,2-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1,2-비스(운데카노일옥시)헥산, 1,2-비스(도데카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프로파노일옥시)헥산, 1,2-비스(2-부테노일옥시)헥산, 1,2-비스(2-에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부테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4-펜테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2-디메틸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4-헥사디에노일옥시)헥산, 1,2-비스(2,4-헥사디에노일옥시)헥산, 1,2-비스(2,4-펜타디엔오일옥시)헥산, 1,2-비스(3-메틸-2-부테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헵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3,3-디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3-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3-메틸펜타노일옥시)사이클로헥사, 1,2-비스(4-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 1,2-비스(4-옥소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5-옥소헥사노일옥시)헥산, 1,2-비스(6-옥소헵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에틸헥사노일옥시)헥산, 1,2-비스(3,5,5-트리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식 1과 반응식 2에서 R이 할라이드데칸 또는 데카노일할라이드인 경우의 알킬디올의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1,2-비스(데실옥시)프로판, 1,2-비스(데실옥시)부탄, 1,2-비스(데실옥시)펜탄, 1,2-비스(데실옥시)헥산, 1,2-비스(데실옥시)헵탄, 1,2-비스(데실옥시)옥탄, 1,2-비스(데실옥시)데칸, 1,2-비스(데실옥시)도데칸, 1,2-비스(데실옥시)테트라데칸, 1,3-비스(데실옥시)프로판, 1,3-비스(데실옥시)부탄, 1,3-비스(데실옥시)노난, 1,3-비스(데실옥시)운데칸, 1,4-비스(데실옥시)부탄, 1,4-비스(데실옥시)펜탄, 1,4-비스(데실옥시)헵탄, 1,5-비스(데실옥시)펜탄, 1,5-비스(데실옥시)헥산, 1,6-비스(데실옥시)헥산, 1,7-비스(데실옥시)헵탄, 1,8-비스(데실옥시)옥탄, 1,9-비스(데실옥시)노난, 1,10-비스(데실옥시)데칸, 1,11-비스(데실옥시)운데칸, 1,12-비스(데실옥시)도데칸, 1,14-비스(데실옥시)테트라데칸, 1,2-비스(데카노일옥시)프로판, 1,2-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1,2-비스(데카노일옥시)펜탄, 1,2-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1,2-비스(데카노일옥시)헵탄, 1,2-비스(데카노일옥시)옥탄, 1,2-비스(데카노일옥시)데칸, 1,2-비스(데카노일옥시)도데칸, 1,2-비스(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칸, 1,3-비스(데카노일옥시)프로판, 1,3-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1,3-비스(데카노일옥시)노난, 1,3-비스(데카노일옥시)운데칸, 1,4-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1,4-비스(데카노일옥시)펜탄, 1,4-비스(데카노일옥시)헵탄, 1,5-비스(데카노일옥시)펜탄, 1,5-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1,6-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1,7-비스(데카노일옥시)헵탄, 1,8-비스(데카노일옥시)옥탄, 1,9-비스(데카노일옥시)노난, 1,10-비스(데카노일옥시)데칸, 1,11-비스(데카노일옥시)운데칸, 1,12-비스(데카노일옥시)도데칸, 1,14-비스(데카노일옥시)테트라데칸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합성된 상기 화학식의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 화합물을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적용한 결과, 멜라닌 생성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베타알부틴, 니아신아미드와 동등하거나 더 월등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하이드로 퀴논은 50 u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으로 쥐의 멜라노마세포를 모두 사멸시키지만, 상기 화합물들은 50 ug/mL의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하이드로퀴논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 화합물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 담체를 혼합하여 화장용 크림, 유연화장수, 엣센스, 화장팩 및 영양화장수 등의 화장료 등을 제조한다. 상기 화장품 담체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디에틸세바케이트, 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화장료의 상기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은 화장료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01 ~ 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피부의 미백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고, 10중량% 이상이면 과잉의 알킬디올 유도체를 사용하는 만큼 피부미백효과가 상승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장료의 다른 화장 효과를 떨어뜨린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1 :1,2- 디에톡시헥산(1,2-diethoxyhexane)의 제조
2구 둥근바닥플라스크(250ml)에 온도계와 적가깔때기를 설치하고 디메틸설폭사이드 100ml를 첨가 후 질소 분위기에서 0℃로 유지하면서 1,2-헥산디올 5.0g(42.3mmol)과 수소화나트륨 2.23g(93.06mmol)을 첨가 하면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60℃로 유지하면서 디메틸설폭사이드 50ml와 브로모에탄 11.06g(101.52mmol)을 혼합한 용액을 천천히 적가 하였다. 이 반응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 후 상온으로 유지하면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완료 후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90ml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이 디클로로메탄 층을 5% 소금물을 사용하여 3회 세척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1,2-디에톡시헥산 5.18g (70.2%)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2∼0.87(t, 3H), 0.98∼1.13(t, 6H), 1.19∼1.41(m, 6H), 3.08∼3.11(m, 1H), 3.49∼3.62(m, 6H)
실시예2 :1,2- 비스(헥실옥시)헥산 (1,2- bis ( hexyloxy )hexane)의 제조
부로모에탄 대신 부로모헥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헥실옥시)헥산 8.82g(수득율 : 72.8%)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2∼0.87(m,9H), 1.09∼1.49(m, 22H), 3.13∼3.15(m, 1H), 3.52∼3.61(m, 6H)
실시예3 :1,2- 비스(옥틸옥시)헥산 (1,2- bis ( octyloxy )hexane)의 제조
부로모에탄 대신 부로모옥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옥틸옥시)헥산 11.19g(수득율 : 77.2%)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3∼0.87(m, 9H), 1.13∼1.49(m, 30H), 3.12∼3.14(m, 1H), 3.53∼3.60(m, 6H)
실시예4 :1,2- 비스(데실옥시)헥산 (1,2- bis ( decyloxy )hexane)의 제조
부로모에탄 대신 부로모데칸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데실옥시)헥산 13.34g(수득율 : 79.1%)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2∼0.87(m, 9H), 1.17∼1.47(m, 38H), 3.12∼3.15(m, 1H), 3.53∼3.61(m, 6H)
실시예5 :1,2- 비스(프로파노일옥시)헥산 (1,2- bis ( propanoyloxy )hexane)의 제조
1구 둥근바닥플라스크(250ml)에 1,2-헥산디올 5g(42.3mmol)과 디클로로메탄 80ml를 첨가 하고 아이스베스를 사용하여 10℃로 냉각시킨 후 촉매로 트리에틸아민 9.85g(97.3mmol)을 첨가 뒤 디클로로메탄 100ml에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9.0g(97.3mmol)을 혼합 한 혼합물을 천천히 적가 하였다. 적가 완료 후 아이스베스를 제거하고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 반응 후 반응물을 여과하고 5% 소금물을 사용하여 3회 세척 하였다. 이 유기층에 무수 망초를 이용하여 탈수 시키고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정제하여 1,2-비스(프로파노일옥시)헥산 9.10g(수득율 : 93.4%)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8∼0.96(t, 3H), 1.03∼1.13(t, 6H), 1.31∼1.33(m, 4H), 1.41∼1.47(m, 2H), 2.25∼2.50(m, 4H), 3.98∼4.23(m, 3H)
실시예6 :1,2- 비스(부타노일옥시)헥산 (1,2- bis ( butanoyloxy )hexane)의 제조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부티릴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부타노일옥시)헥산 10.13g (수득율 : 92.7%)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7∼0.97(m, 9H), 1.30∼1.33(m, 4H), 1.43∼1.48(m, 2H), 1.54∼1.72(m, 4H), 2.26∼2.52(m, 4H), 3.97∼4.25(m, 3H)
실시예7 :1,2- 비스(헥사노일옥시)헥산 (1,2- bis ( hexanoyloxy )hexane)의 제조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헥사노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헥사노일옥시)헥산 12.18g(수득율 : 91.6%)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7∼0.91(t, 9H), 1.30∼1.33(m, 12H), 1.46∼1.48(m, 2H), 1.56∼1.76(m, 4H), 2.11∼2.47(m, 4H), 3.93∼5.13(m, 3H)
실시예8 :1,2- 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1,2- bis ( decanoyloxy )hexane)의 제조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데카노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16.89g (수득율 : 93.6%)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89(t, 9H), 1.26(s, 28H), 1.58(m, 6H), 2.27∼2.32(m, 4H), 3.99∼4.24(m, 2H), 5.08(m, 1H)
실시예9 :1,2- 비스(2-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bis(2- methylbutanoyl oxy)hexane)의 제조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2-메틸부타노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2-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1.50g(수득율 : 94.9%)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7∼0.91(t, 9H), 1.29∼1.34(m, 10H), 1.53∼1.58(m, 2H), 1.64∼1.68(m, 4H), 2.41∼2.47(m, 2H), 3.98∼4.21(m, 2H), 5.07(m, 1H)
실시예10 :1,2- 비스(2-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 (1,2-bis(2- methylhexanoyl oxy)hexane)의 제조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2-메틸헥사노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2-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13.07g(수득율 : 90.2%)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6∼0.94(t, 9H), 1.26∼139(m, 18H), 1.42∼1.46(m, 2H), 1.53∼1.65(m, 4H), 2.26∼2.35(m, 2H), 3.99∼4.28(m, 2H), 5.05∼5.10(m, 1H)
실시예11 :1,2- 비스(2-에틸헥사노일옥시)헥산 (1,2-bis(2- ethylhexanoyl oxy)hexane)의 제조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2-에틸헥사노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2-에틸헥사노일옥시)헥산 14.14g(수득율 : 90.2%)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99(t, 15H), 1.27∼1.31(m, 12H), 1.39∼1.63(m, 10H), 2.25∼2.36(m, 2H), 3.98∼4.29(m, 2H), 5.06∼5.11(m, 1H)
실시예12 :1,2- 비스(2-메틸-4-펜테노일옥시)헥산 (1,2-bis(2- methyl -4-pentenoyloxy)hexane)의 제조
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대신 2-메틸-4-펜테노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2-메틸-4-펜테노일옥시)헥산 11.58g(수득율 : 88.2%)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99(t, 3H), 1.23∼1.34(m, 10H), 1.40∼1.49(m, 2H), 2.14∼2.55(m, 6H), 4.18∼4.59(m, 3H), 4.93∼5.07(m, 4H), 5.66∼5.72(m, 2H)
실시예13 :1,2- 비스(데실옥시)프 로판(1,2- bis ( decyloxy )propane)의 제조
2구 둥근바닥플라스크(250ml)에 온도계와 적가깔때기를 설치하고 디메틸설폭사이드 100ml을 첨가 후 질소 분위기에서 0℃로 유지하면서 1,2-프로판디올 5.0g(65.71mmol)과 수소화나트륨 3.47g(144.56mmol)을 첨가 하면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60℃로 유지하면서 디메틸설폭사이드 50ml와 데카노일 클로라이드 28.74g(157.70mmol)을 혼합한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이 반응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 후 상온으로 유지하면서 1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완료 후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 90ml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이 디클로로메탄 층을 5% 소금물을 사용하여 3회 세척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1,2-비스(데실옥시)프로판 16.71g(71.3%)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6∼0.90(t, 6H), 1.20∼1.23(d, 3H), 1.26(s, 28H), 1.39∼1.44(t, 4H), 3.27∼3.59(m, 7H)
실시예14 :1,3- 비스(데실옥시)프 로판(1,3- bis ( decyloxy )propane)의 제조
1,2-프로판디올 대신 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3-비스(데실옥시)프로판 15.79g(수득율 : 67.4%)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δ 0.86∼0.90(t, 6H), 1.26(s, 28H), 1.39∼1.44(t, 4H), 1.61∼1.63(t, 2H), 3.25∼3.28(t, 8H)
실시예15 :1,2- 비스(데실옥시)부 탄(1,2- bis ( decyloxy )butane)의 제조
1,2-프로판디올 대신 1,2-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데실옥시)부탄 18.22g(수득율 : 74.8%)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6∼0.89(t, 9H), 1.26(s, 28H), 1.41∼1.46(t, 6H), 3.13∼3.15(m,1H), 3.11∼3.59(m, 6H)
실시예16 :1,3- 비스(데실옥시)부 탄(1,3- bis ( decyloxy )butane)의 제조
1,2-프로판디올 대신 1,3-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3-비스(데실옥시)부탄 18.07g(수득율 : 74.2%)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7∼0.90(t, 6H), 1.20∼1.23(d, 3H), 1.26(s, 28H), 1.38∼1.44(t, 4H), 1.42∼1.48(m, 2H), 2.98∼3.03(m, 1H), 3.31∼3.39(m, 6H)
실시예17 :1,4- 비스(데실옥시)부 탄(1,4- bis ( decyloxy )butane)의 제조
1,2-프로판디올 대신 1,4-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4-비스(데실옥시)부탄 19.44g(수득율 : 79.8%)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89(t, 6H), 1.27(s, 28H), 1.42∼1.45(m, 8H), 3.32∼3.37(t, 8H)
실시예18 :1,2- 비스(데카노일옥시)프 로판(1,2- bis ( decanoyloxy )propane)의 제조
1구 둥근바닥플라스크(250ml)에 1,2-프로판디올 5g(65.71mmol)과 디클로로메탄 80ml를 첨가하고 아이스베스를 사용하여 10℃로 냉각시킨 후 촉매로 트리에틸아민 15.29g (151.13mmol)을 첨가 뒤 디클로로메탄 100ml에 데카노일 클로라이드 28.82g(151.13mmol)을 혼합 한 혼합물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 후 아이스베스를 제거하고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 반응 후 반응물을 여과하고 5% 소금물을 사용하여 3회 세척하였다. 이 유기층에 무수 망초를 이용하여 탈수시키고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1,2-비스(데카노일옥시)프로판 22.87g(수득율 : 90.5%)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89(t, 6H), 1.23∼1.26(m, 24H), 1.58∼1.61(d, 3H), 2.26∼2.44(m, 4H), 2.26∼2.33(m, 4H), 4.01∼4.19(m, 2H), 5.11∼5.17(m, 1H)
실시예19 :1,3- 비스(데카노일옥시)프 로판(1,3- bis ( decanoyloxy )propane)의 제조
1,2-프로판디올 대신 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3-비스(데카노일옥시)프로판 23.68g(수득율 : 93.7%)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89(t, 6H), 1.23∼1.26(m, 24H), 1.56∼1.62(m, 4H), 1.75∼1.89(m, 2H), 2.22∼2.45(m, 4H), 3.98∼4.21(m, 4H)
실시예20 :1,2- 비스(데카노일옥시)부 탄(1,2- bis ( decanoyloxy )butane)의 제조
1,2-프로판디올 대신 1,2-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24.73g(수득율 : 94.4%)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90(t, 9H), 1.26(s, 24H), 1.59∼1.64(m, 6H), 2.27∼2.44(m, 4H), 3.94∼4.25(m, 2H), 5.01∼5.04(m, 1H)
실시예21 :1,3- 비스(데카노일옥시)부 탄(1,3- bis ( decanoyloxy )butane)의 제조
1,2-프로판디올 대신 1,3-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3-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21.98g(수득율 : 83.9%)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89(t, 9H), 1.24∼1.26(d, 24H), 1.58∼1.63(m, 2H), 1.75∼1.91(m, 4H), 2.24∼2.31(m, 4H), 4.07∼4.12(m, 2H), 4.98∼5.04(m, 1H)
실시예22 :1,4- 비스(데카노일옥시)부 탄(1,4- bis ( decanoyloxy )butane)의 제조
1,2-프로판디올 대신 1,4-부탄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4-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22.95g(수득율 : 87.6%)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90(t, 6H), 1.26(s, 24H), 1.59∼1.64(t, 4H), 1.68∼1.71(q, 4H), 2.27∼2.32(t, 4H), 4.07∼4.09(t, 4H)
실시예23 :1,2- 비스(데카노일옥시)데 칸(1,2- bis ( decanoyloxy )decane)의 제조
1,2-프로판디올 대신 1,2-데칸디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1,2-비스(데카노일옥시)데칸 30.23g(수득율 : 95.3%)을 얻었다.
1H-NMR (CDCl3) : δ 0.85∼0.89(t, 9H), 1.26(s, 36H), 1.47(s, 2H), 1.55∼1.60(m, 4H), 2.27∼2.37(m, 4H), 3.92∼4.699m, 2H), 5.04∼5.12(m, 1H)
시험예 1:멜라닌 생성억제 시험
상기 실시예 1 ~ 23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들과 베타알부틴, 니아신아미드, 하이드로퀴논을 쥐의 멜라노마세포(mouse melanoma cell B-16)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효과를 실험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화합물들의 최종농도가 50 ug/mL이 되도록 하여 각각 B-16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부착하여 성장하는 세포를 트립신-EDTA 용액을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생성된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멜라닌은 상기 추출물에 1 N NaOH 용액 1 mL을 가하여 10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인 다음, 상온으로 식혀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수당 흡광도로 나타내었다(104 cells).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물질명 멜라닌 합성저해율(%)
실시예-1 1,2-디에톡시헥산 19.23
실시예-2 1,2-비스(헥실옥시)헥산 25.54
실시예-3 1,2-비스(옥틸옥시)헥산 27.08
실시예-4 1,2-비스(데실옥시)헥산 32.08
실시예-5 1,2-비스(프로파노일옥시)헥산 20.77
실시예-6 1,2-비스(부타노일옥시)헥산 19.39
실시예-7 1,2-비스(헥사노일옥시)헥산 18.35
실시예-8 1,2-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32.31
실시예-9 1,2-비스(2-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40.54
실시예-10 1,2-비스(2-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 45.00
실시예-11 1,2-비스(2-에틸헥사노일옥시)헥산 20.62
실시예-12 1,2-비스(2-메틸-4-펜테노일옥시)헥산 29.77
실시예-13 1,2-비스(데실옥시)프로판 23.54
실시예-14 1,3-비스(데실옥시)프로판 27.08
실시예-15 1,2-비스(데실옥시)부탄 28.23
실시예-16 1,3-비스(데실옥시)부탄 25.15
실시예-17 1,4-비스(데실옥시)부탄 27.92
실시예-18 1,2-비스(데카노일옥시)프로판 28.64
실시예-19 1,3-비스(데카노일옥시)프로판 17.85
실시예-20 1,2-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27.41
실시예-21 1,3-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24.50
실시예-22 1,4-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50.25
실시예-23 1,2-비스(데카노일옥시)데칸 29.60
비교예-1 beta arbutin 1.6
비교예-2 niacinamide 11.99
비교예-3 hydroquinone -(사멸)
상기한 모든 화합물들이 배양된 쥐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베타알부틴, 니아신아미드와 동등하거나 더 월등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하이드로 퀴논은 50 u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으로 쥐의 멜라노마세포를 모두 사멸시켰지만, 상기 화합물들은 50 ug/mL의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하이드로퀴논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제형 실시예 1~3: 유연화장수의 제조
하기의 표 2의 조성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제형 1(중량%) 비교예 4
제형
실시예 1
제형
실시예 2
제형
실시예 3
1,2-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0.10
1,2-비스(2-에틸헥사노일옥시)헥산 0.10
1,4-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0.10
에탄올 10.00 10.00 10.00 10.0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0 0.50 0.50 0.50
메칠파라벤 0.20 0.20 0.20 0.20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부틸렌글라이콜 3.00 3.00 3.00 3.0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형 실시예 4~6: 유액의 제조
하기의 표 3의 조성으로 유액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제형 2(중량%) 비교예 5
제형
실시예 4
제형
실시예 5
제형
실시예 6
1,2-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0.10
1,2-비스(2-에틸헥사노일옥시)헥산 0.10
1,4-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0.10
프로필렌글라이콜 10.00 10.00 10.00 10.00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세테아릴올리베이트/소르비탄올리베이트 3.00 3.00 3.00 3.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0 10.00 10.00 10.00
카보머 0.30 0.30 0.30 0.30
트리에탄올아민 0.30 0.30 0.30 0.30
프로필파라벤 0.05 0.05 0.05 0.05
메칠파라벤 0.15 0.15 0.15 0.15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형 실시예 7~9: 크림의 제조
하기의 표 4의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제형 3(중량%) 비교예 6
제형
실시예 7
제형
실시예 8
제형
실시예 9
1,2-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0.10
1,2-비스(2-에틸헥사노일옥시)헥산 0.10
1,4-비스(데카노일옥시)부탄 0.10
프로필렌글라이콜 10.00 10.00 10.00 10.00
글리세린 8.00 8.00 8.00 8.00
베타인 1.00 1.00 1.00 1.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2.00 2.00 2.00 2.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0 10.00 10.00 10.00
세탄올 1.00 1.00 1.00 1.00
미네랄오일 5.00 5.00 5.00 5.00
카보머 0.50 0.50 0.50 0.50
트리에탄올아민 0.50 0.50 0.50 0.50
프로필파라벤 0.05 0.05 0.05 0.05
부틸파라벤 0.05 0.05 0.05 0.05
메칠파라벤 0.20 0.20 0.20 0.2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2: 색소침착 저해 효과 확인
상기의 제형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4 ~ 6에 의한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하기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건강한 피험자 45명을 대상으로 양팔의 하박에 직경 10 mm의 구멍이 뚫린 알루미늄 호일을 부착하고 팔에서 10 cm 떨어진 거리에서 인공태양광 조사장치를 사용하여 60 mJ/cm2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 전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조사 부위를 잘 세척하였으며, 조사 3일 전부터 조사 8주 후 까지 1일 2회씩 제형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4 ~ 6의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제형 도포 전, 태양광 조사 직전 및 직후, 태양광 조사 후 매 2주 간격으로 색차계(SPECTROPHOPTOMETER CM-3500d, KONICA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색소 침착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실험물질 L value
초기 4주 8주
비교예 4 59.31 ± 0.84 60.91 ± 0.32 62.26 ± 0.45


1
제형 실시예 1 58.44 ± 0.84 61.51 ± 0.17 64.21 ± 0.27
제형 실시예 2 59.19 ± 0.91 63.36 ± 0.32 68.62 ± 0.49
제형 실시예 3 57.85 ± 0.52 62.48 ± 0.15 66.31 ± 0.02
비교예 5 58.35 ± 1.28 59.62 ± 0.08 62.30 ± 0.95


2
제형 실시예 4 59.16 ± 1.32 60.76 ± 0.30 64.33 ± 0.08
제형 실시예 5 57.77 ± 1.70 62.36 ± 0.46 68.77 ± 0.29
제형 실시예 6 57.55 ± 1.65 61.68 ± 0.06 66.54 ± 0.35
비교예 6 59.19 ± 2.12 60.29 ± 0.36 62.88 ± 0.14


3
제형 실시예 7 57.61 ± 2.30 61.96 ± 0.02 66.64 ± 0.45
제형 실시예 8 59.35 ± 1.99 63.90 ± 0.09 70.76 ± 0.30
제형 실시예 9 58.28 ± 1.85 62.31 ± 0.12 68.77 ± 0.28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질들을 함유하는 제형 실시예 1~9의 화장료들은 통상의 비교예 4~6의 화장료에 비해 월등한 피부미백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3: 피부자극성 검사
상기의 제형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4 ~ 6에 의한 피부 자극성검사는 시험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자극의 정도는 육안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제형 1


4
제형 2


5
제형 3


6
제형
실시예1
제형
실시예2
제형
실시예3
제형
실시예4
제형
실시예5
제형
실시예6
제형
실시예7
제형
실시예8
제형
실시예9
1 0 0 0 1 1 0 1 1 1 1 1 2
2 0 1 0 0 1 0 1 1 1 0 1 2
3 0 0 0 0 0 0 0 0 0 0 0 0
4 0 0 0 0 0 0 0 0 0 0 0 0
5 2 1 2 2 2 1 2 3 2 2 2 3
6 1 0 0 1 1 0 1 2 1 0 0 1
7 2 1 1 2 2 1 1 2 2 0 2 2
8 0 0 0 0 0 0 0 0 0 0 0 1
9 1 0 0 1 1 0 1 1 2 1 1 3
10 1 0 1 1 1 1 0 1 1 1 1 2
11 0 0 0 0 1 0 0 1 0 0 0 1
12 2 0 0 2 1 0 1 2 2 1 1 2
13 1 0 0 1 1 0 0 1 1 0 1 1
14 0 0 0 0 0 0 0 0 0 0 0 0
15 1 0 1 1 0 1 0 1 0 0 0 1
평균 0.73 0.20 0.33 0.80 0.80 0.27 0.53 1.06 0.87 0.40 0.67 1.40
자극정도: 0(자극 없음) ~ 5(자극으로 사용중단)

Claims (9)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신규 알킬 디올 유도체 화합물.
    Figure 112012016121266-pat00005

    (n:0, m:3이고,
    R은 탄소수 2~12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alkyl) 또는 아실기(acyl)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디올 유도체 화합물은 1,2-디에톡시헥산, 1,2-디프로폭시헥산, 1,2-디부톡시헥산, 1,2-비스(펜틸옥시)헥산, 1,2-비스(헥실옥시)헥산, 1,2-비스(헵틸옥시)헥산, 1,2-비스(옥틸옥시)헥산, 1,2-비스-(노닐옥시)헥산, 1,2-비스(데실옥시)헥산, 1,2-비스(운데실옥시)헥산, 1,2-비스(도데실옥시)헥산, 1,2-디이소프로폭시헥산, 1,2-디이소부톡시헥산, 1,2-비스(3-메틸부톡시)헥산, 1,2-비스(2,3-디메틸부톡시)헥산, 1,2-비스(2-에틸부톡시)헥산, 1,2-비스(2-에틸펜틸옥시)헥산, 1,2-비스(2-에틸헥실옥시)헥산, 1,2-비스(2-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2-헥세닐옥시)헥산, 1,2-비스(2-메틸부톡시)헥산, 1,2-비스(2-메틸펜틸옥시)헥산, 1,2-비스(3-메틸-2-부테닐옥시)헥산, 1,2-비스(4-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5-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4-펜테닐옥시)헥산, 1,2-비스(5-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5-헥세닐옥시)헥산, 1,2-비스(6-헵테닐옥시)헥산, 1,2-비스(알릴옥시)헥산, 1,2-비스(4-메틸-1-펜테닐옥시)헥산, 1,2-비스(7-옥테닐옥시)헥산, 1,2-비스(9-데세닐옥시)헥산, 1,2-비스(3,7-디메틸-2,6-옥타디에닐옥시)헥산, 1,2-비스(10-운데세닐옥시)헥산, 1,2-비스(에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프로파노일옥시)헥산, 1,2-비스(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헥사노일옥시)헥산, 1,2-비스(헵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옥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노나노일옥시)헥산, 1,2-비스(데카노일옥시)헥산, 1,2-비스(운데카노일옥시)헥산, 1,2-비스(도데카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프로파노일옥시)헥산, 1,2-비스(2-부테노일옥시)헥산, 1,2-비스(2-에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부테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4-펜테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2-디메틸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4-헥사디에노일옥시)헥산, 1,2-비스(2,4-헥사디에노일옥시)헥산, 1,2-비스(2,4-펜타디엔오일옥시)헥산, 1,2-비스(3-메틸-2-부테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헵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 1,2-비스(2-메틸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3,3-디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3-메틸부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4-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 1,2-비스(4-옥소펜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5-옥소헥사노일옥시)헥산, 1,2-비스(6-옥소헵타노일옥시)헥산, 1,2-비스(2-에틸헥사노일옥시)헥산 및 1,2-비스(3,5,5-트리메틸헥사노일옥시)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알킬 디올 유도체 화합물.
  4. 삭제
  5. 삭제
  6. 용매에 하기 화학식 (II)의 알킬 디올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단계;
    알킬할라이드 또는 아실할라이드를 상기 알킬 디올화합물의 2.0∼3.0배 당량비로 용매에 용해시킨 후 가하여, 촉매의 존재 하에 -60℃~30℃의 온도조건에서 알킬화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 및
    반응 종료 후 분리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10046492640-pat00006

    (n:0∼14, m:0∼13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테트라하이드로푸란(tetrahydrofuran), 1,4-디옥산(1,4-dioxan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및 클로로포름(chloroform)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알킬 디올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알킬화 반응의 경우에는 수소화나트륨(Sodium hydride) 또는 탄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carbonate)이고, 에스테르화 반응인 경우는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또는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알킬 디올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알킬 디올 유도체 화합물을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0100069636A 2010-07-19 2010-07-19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124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36A KR101243240B1 (ko) 2010-07-19 2010-07-19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636A KR101243240B1 (ko) 2010-07-19 2010-07-19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233A KR20120018233A (ko) 2012-03-02
KR101243240B1 true KR101243240B1 (ko) 2013-04-04

Family

ID=4612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636A KR101243240B1 (ko) 2010-07-19 2010-07-19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7993B (zh) * 2016-06-07 2023-03-28 J大卫格莱斯顿研究机构 β-羟基丁酸酯和丁二醇的中链脂肪酸酯和组合物及其使用方法
JP7442095B2 (ja) 2017-07-21 2024-03-04 バック・インスティテュート・フォー・リサーチ・オン・エイジング ベータ-ヒドロキシブチレート及びブタンジオールのs-エナンチオマー並びにその使用方法
CN111479797B (zh) * 2017-11-30 2023-03-31 株式会社可乐丽 含有不饱和双键的化合物、使用该化合物的吸氧剂和树脂组合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1274A (ja) * 2007-03-20 2008-10-02 Seiko Epson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セット、カラーフィルター、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09038672A1 (en) * 2007-09-19 2009-03-26 Xy, Inc. Differential evaporation potentiated disinfectant system
JP2010138096A (ja) * 2008-12-10 2010-06-24 Chisso Corp 2−t−ブトキシエチルアセテートまたは1−(t−ブトキシ)−2−プロピルアセテ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1274A (ja) * 2007-03-20 2008-10-02 Seiko Epson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セット、カラーフィルター、画像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09038672A1 (en) * 2007-09-19 2009-03-26 Xy, Inc. Differential evaporation potentiated disinfectant system
JP2010138096A (ja) * 2008-12-10 2010-06-24 Chisso Corp 2−t−ブトキシエチルアセテートまたは1−(t−ブトキシ)−2−プロピルアセテ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233A (ko) 201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9484T3 (es) Serie de compuestos para blanquear (aclarar) la piel
KR100855457B1 (ko) 악틴, 악티게닌 또는 그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3240B1 (ko) 신규 알킬디올 유도체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0479741B1 (ko) 글루코오스 아실화 유도체 또는 수크로오스 아실화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제
AU2016279913A1 (en) Metal ion complexes
KR102068635B1 (ko) 3,4,5-트리메톡시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26747B1 (ko) 신규한 코지산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11279B1 (ko) 사이클로헥산디올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851044B1 (ko)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3,5-디히드록시 벤즈아미드 유도체,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7370B1 (ko) 신규 벤젠 디올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EP2042153B1 (en) Skin cosmetic
KR101574561B1 (ko) 새로운 사이클로헥산디아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2092A (ko)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1002432B1 (ko) 레스베라트롤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494535B1 (ko) 히드록시 피라논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외용제조성물
KR20100061978A (ko)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2463237B1 (ko) 살리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S2275923T3 (es) Bioprecursores para aplicacion percutanea.
KR102564997B1 (ko) 라세믹 dhpv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51401B1 (ko) 비타민 c와 비타민 e의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KR100740575B1 (ko) 2,3-디히드록시벤조산 유도체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74028B1 (ko) Sac 유도체 또는 smc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6173440B2 (ja) 新規美白剤
EP1480609B1 (e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KR100588472B1 (ko) 레티닐 폴리하이드록시벤조산 에스터 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