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197B1 - 펜슬형 인두기 - Google Patents

펜슬형 인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197B1
KR101243197B1 KR1020100070480A KR20100070480A KR101243197B1 KR 101243197 B1 KR101243197 B1 KR 101243197B1 KR 1020100070480 A KR1020100070480 A KR 1020100070480A KR 20100070480 A KR20100070480 A KR 20100070480A KR 101243197 B1 KR101243197 B1 KR 101243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soldering
solder
housing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971A (ko
Inventor
유형선
최주상
황문규
민성희
Original Assignee
(주)유림콘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림콘트롤 filed Critical (주)유림콘트롤
Priority to KR102010007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197B1/ko
Priority to PCT/KR2011/005196 priority patent/WO2012011699A2/ko
Publication of KR2012000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7Holders for soldering ir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3Soldering irons; Bits electrically heated
    • B23K3/0338Constructional features of electric soldering ir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슬형 인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인두기는, 실납(3)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실납(3)을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배출하는 인두부(50);와, 상기 인두부에 유입되는 실납(3)의 양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와 이송롤러가 인두팁에 실납을 기설정된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므로 납땜작업시 예컨대, 오른손으로는 인두기를 잡고 왼손으로는 납땜부위를 핀셋으로 고정이 용이하여 정밀한 납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펜슬형 인두기{.}
본 발명은 펜슬형 인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와 이송롤러가 인두팁에 실납을 기설정된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므로 납땜작업시 예컨대, 오른손으로는 인두기를 잡고 왼손으로는 납땜부위를 핀셋으로 고정이 용이하여 정밀한 납땜이 가능한 펜슬형 인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두기는 전선(케이블)과 회로를 연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인두팁을 약 300~400도로 달군 후, 실납을 순간적으로 녹여 전선과 회로를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두기를 이용하여 납땜을 하려면, 연결하려는 2개의 회로에 전선을 고정시킨 후, 인두기에 전원을 인가하고 오른손으로는 인두기를 잡아 땜질하려는 부분에 접근시킨 다음 왼손으로는 실납을 인두팁에 접촉시켜 녹이면서 납땜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납땜방법은 기판에 전선을 고정시키기 어려워, 예컨대, 기판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정밀한 납땜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와 이송롤러가 인두팁에 실납을 기설정된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므로 납땜작업시 예컨대, 오른손으로는 인두기를 잡고 왼손으로는 납땜부위를 핀셋으로 고정이 용이하여 정밀한 납땜이 가능한 펜슬형 인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인두기는, 실납(3)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실납(3)을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배출하는 인두부(50);와, 상기 인두부에 유입되는 실납(3)의 양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1)에 연속적으로 링크결합된 다수개의 프레임(2)이 구비되는 스탠드(10);와,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며, 실납(3)이 감기는 물레(20);와,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30);와, 상기 물레(20)에 감긴 실납(3)이 전진되어 상기 인두부(50)에 유입되도록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1)에 부하로서 설치되는 이송롤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두부(50)는,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501)과, 이 하우징(501)의 하부에 형성되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펜슬형의 인두팁(502)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해 진행되는 실납(3)이 내부로 유입되되, 상기 유입된 실납(3)이 상기 하우징(501)을 거쳐 인두팁(502)으로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인두팁(502) 하부의 외주면과 연통되는 가이드홀(503);과, 상기 가이드홀(503)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실납(3)을 용융시키는 고주파 코일부(504);와, 상기 고주파 코일부(504)에 의해 용융된 실납(3)을 하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두부(50)는,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511)과, 이 하우징(511)의 하부에 형성되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펜슬형의 인두팁(512)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해 진행되는 실납(3)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5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513);와, 상기 중공부(513)에 유입된 실납(3)이 연속적으로 전달되되, 하단은 상기 인두팁(512) 하단의 중심과 인접하게 관통되도록 상기 인두팁(512)에 형성되는 가이드홀(514);과, 상기 가이드홀(514)에 유입된 실납(3)을 용융시키는 고주파 코일부(515);와, 상기 인두팁의(512)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고주파 코일부(515)에서 발산되는 자속의 밀도를 높이는 컨센트레이터(5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두부(50)는,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521)과, 이 하우징(521)의 하부에 형성되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펜슬형의 인두팁(5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두팁(522)의 횡단면은 개방부(60)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해 진행되는 실납(3)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5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523);와, 상기 중공부(523)에 삽입된 실납(3)을 용융시키는 고주파 코일부(524);와, 상기 고주파 코일부(524)에서 용융된 실납(3)이 하측으로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되, 하단에는 상기 개방부(60)와 연통되도록 상기 인두팁(522)에 형성되는 가이드홀(525);과, 상기 인두팁의(522)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고주파 코일(524)부에서 발산되는 자속의 밀도를 높이는 컨센트레이터(5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523)와 컨센트레이터(526) 사이에 구비되는 석영관(Quartz tube)(5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구동모터(30)가 회전되는 속도에 따라 고주파 코일부에 인가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와 이송롤러가 인두팁에 실납을 기설정된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므로 납땜작업시 예컨대, 오른손으로는 인두기를 잡고 왼손으로는 납땜부위를 핀셋으로 고정이 용이하여 정밀한 납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인두기의 개념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인두팁의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인두팁의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인두팁의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인두기의 모터로 실납을 진행시키는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인두기의 개념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인두팁의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인두팁의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인두팁의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인두기의 모터로 실납을 진행시키는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인두기는, 스탠드(10), 물레(20), 구동모터(30), 이송롤러(40), 인두부(50) 및 제어부가 포함된다.
상기 스탠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맞닿는 베이스(1)에 다수개의 프레임(2)이 링크결합되어 마치 사람의 팔 관절과 같이 작동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2)의 각 연결부위에는 프레임(2)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를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부재는 볼트결합으로 링크부위를 고정하는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스탠드(10)에는 후술할 구동모터(30), 제어부, 고주파 코일부(504, 515, 524)와 같이, 전원이 제공되어야 하는 부재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레(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에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납(3)이 감겨 보관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물레(20)에 감겨있는 실납(3)은 후술할 구동모터(30)와 이송롤러(40)에 의해 인두부(50)의 내부로 진입된다.
상기 구동모터(30)는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에 설치되며, 회전축에는 부하로서 이송롤러(4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동모터(30)의 회전에 의해 이송롤러(40)는 상술한 물레(20)에 감긴 실납(3)을 후술할 인두부(5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두부(50)는 상술한 구동모터(30)와 이송롤러(40)에 의해 내부로 이동되는 실납을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 즉, 납땜 가능한 상태로 배출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에는 후술할 3가지 인두부(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인두기의 인두부(50)는 하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펜슬형으로 제작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인두부(50)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인두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501)과, 이 하우징(501)의 하부에 마련된 인두팁(50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인두부(50)에는 가이드홀(503)이 상하로 관통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이드홀(503)은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해 진행되는 실납(3)이 인두부(50)의 내부 즉, 하우징(501)을 거쳐 인두팁(502)까지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되, 하단은 인두팁(502) 하부의 외주면과 연통되며, 상기 가이드홀(503)의 외부에는 가이드홈(50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두부(50)에는 가이드홀(503)에 의해 인두부(50)의 외주면으로 가이드된 실납(3)을 용융시키는 고주파 코일부(504)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고주파 코일부(504)는 가이드홀(503)에 의해 외주면으로 배출된 실납(3)을 용융시키며, 용융된 상태의 실납(3)은 가이드홈(505)을 따라 인두팁(502)의 하단으로 가이드되어 납땜작업시 사용자는 마치 펜(슬)을 쥐고 필기하는 자세로 땜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인두부(50)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인두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511)과, 이 하우징(511)의 하부에 마련된 인두팁(5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511)의 내부에는 중공부(513)가 형성되며, 중공부(513)의 내부에는 상술한 구동모터(30)에 의해 진행되는 실납(3)이 유입되는데, 이렇게 유입된 실납(3)은 중공부(513)와 연통된 가이드홀(514)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실납(3)이 가이드홀(514)에 유입될 때, 고주파 코일부(515)에 의해 가열된 인두팁(512)의 접촉면(512-1)과 접촉되면서 용융되며, 이렇게 용융된 실납(3)은 하부로 가이드홀(514)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접촉면(512-1)은 실납(3)의 용융시 가이드홀로(514) 용융된 실납(3)이 잘 모아질 수 있도록 깔때기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514)은 인두팁(512) 하단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은 상태, 즉, 인두팁(512) 하단의 중심과 인접하게 관통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납(3)을 용융시키는 고주파 코일부(515)는 인두팁(512)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고주파 코일부(515)의 외부에는 고주파 코일부(515)에서 발산되는 자속의 밀도를 높이는 컨센트레이터(Concentrator)(51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컨센트레이터(516)를 이용하여 자속의 밀도를 높이는 기술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홀(515)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납땜작업시, 작업자는 인두팁(512)을 수직하게 놓은 상태에서 땜질을 하지 아니하고, 인두팁(512)을 비스듬하게 놓은 상태로 작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가이드홀(514)의 하단과 인두팁(512)의 하단이 서로 일치할 경우, 용융된 실납(3)은 작업자 시선의 사각지대에 위치하게 되므로 용융된 실납(3)으로 땜질을 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홀(514)은 인두팁(512)의 하단에 인접하게 관통되어 예컨대, 납땜작업시 가이드홀(514)의 하단을 상측으로 향하게 하여 작업자가 가이드홀(514)을 통해 배출되는 용융된 실납(3)을 직접보면서 땜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511)과 고주파 가열부(515)의 외부에는 전기쇼트 등을 방지하도록 절연부재(51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따른 인두부(50)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인두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521)과, 이 하우징(521)의 하부에 마련된 인두팁(522)으로 구성되며, 상기 인두팁(522)의 횡단면은 개방부(60)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하우징(521)은 내부에 구동모터(30)에 의해 진행되는 실납(3)이 삽입되는 공간인 중공부(523)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중공부(523)는 가이드홀(525)과 연통되며, 중공부(523)를 거친 실납(3)은 가이드홀(525)로 계속해서 진행된다.
또한, 상기 인두부(50)의 외부에는 고주파 가열부(524)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고주파 가열부(524)는 중공부(523)로 삽입된 실납(3)을 용융시키며, 상기 고주파 가열부(524)에 의해 용융된 실납(3)은 가이드홀(525)로 유입된다.
상기 가이드홀(525)은 고주파 가열부(524)에서 용융된 실납(3)을 인두팁(522)의 하단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가이드홀(525)의 하단은 인두팁(522)의 하부에 마련된 개방부(60)와 연통된다.
상기와 같은 개방부(6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방부(60)는 인두팁(522)의 하부에 마련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원에서 일부 개방된 형상, 즉,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개방되는 각도는 인두팁(522) 원형인 횡단면의 중심에서 약 80~100도가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홀(525)에서 배출되는 용융된 상태의 실납(3)이 개방부(60)의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면서 인두팁(522)의 하단으로 흘러내려 작업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납(3)을 용융시키는 고주파 코일부(524)는 중공부(523)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고주파 코일부(524)의 외부에는 고주파 코일부(524)에서 발산되는 자속의 밀도를 높이는 컨센트레이터(52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컨센트레이터(526)와 중공부(523) 사이에는 석영관(Quartz tube)(527)이 설치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석영관(527)은 투자율이 높은 재질로서, 상술한 컨센트레이터(526)와 더불어 인두팁(522)의 온도를 더욱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인두부(50)의 외부에는 상기 하우징(521)과 고주파 코일부(524)의 외부에는 전기쇼트 등을 방지하도록 절연부재(52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인두부(50)에 유입되는 실납(3)의 양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구동모터(3)의 속도에 따라 상기 고주파 코일부(504, 515, 524)에 인가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인두팁(502, 512, 522)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구동모터(30)의 속도가 증가되면, 고주파 가열부(504, 515, 524)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증대시켜 하우징(501, 511, 521)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납(3)이 원활하게 용융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는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함으로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인두팁(50)의 외주면에 버튼이 위치되는 것이 좋으나, 스탠드(10)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인두팁(502, 512, 522)이 과열되어 고주파 가열부(504, 515, 52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는데, 상기 인두팁(502, 512, 522)에 온도센서(미도시)를 내장하여 그 신호를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고주파 가열부(504, 515, 524)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실납(3)을 용융시키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고주파를 이용하여 실납(3)을 용융시키는 것은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베이스 2-프레임
3-실납
10-스탠드 20-물레
30-구동모터 40-이송롤러
50-인두팁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베이스(1)에 연속적으로 링크결합된 다수개의 프레임(2)이 구비되는 스탠드(10);와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며, 실납(3)이 감기는 물레(20);와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30);와
    상기 물레(20)에 감긴 실납(3)이 전진되어 인두부(50)에 유입되도록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1)에 부하로서 설치되는 이송롤러(40);와
    상기 실납(3)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실납(3)을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배출하는 인두부(50);와
    상기 인두부에 유입되는 실납(3)의 양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두부(50)는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501)과, 이 하우징(501)의 하부에 형성되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펜슬형의 인두팁(502)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해 진행되는 실납(3)이 내부로 유입되되, 상기 유입된 실납(3)이 상기 하우징(501)을 거쳐 인두팁(502)으로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며, 하단은 상기 인두팁(502) 하부의 외주면과 연통되는 가이드홀(503);과
    상기 가이드홀(503)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실납(3)을 용융시키는 고주파 코일부(504);와
    상기 고주파 코일부(504)에 의해 용융된 실납(3)을 하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인두기.
  4. 삭제
  5. 베이스(1)에 연속적으로 링크결합된 다수개의 프레임(2)이 구비되는 스탠드(10);와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며, 실납(3)이 감기는 물레(20);와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되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30);와
    상기 물레(20)에 감긴 실납(3)이 전진되어 인두부(50)에 유입되도록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1)에 부하로서 설치되는 이송롤러(40);와
    상기 실납(3)이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실납(3)을 가열하여 용융된 상태로 배출하는 인두부(50);와
    상기 인두부에 유입되는 실납(3)의 양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두부(50)는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521)과, 이 하우징(521)의 하부에 형성되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펜슬형의 인두팁(5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두팁(522)의 횡단면은 개방부(60)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해 진행되는 실납(3)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5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523);와
    상기 중공부(523)에 삽입된 실납(3)을 용융시키는 고주파 코일부(524);와
    상기 고주파 코일부(524)에서 용융된 실납(3)이 하측으로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되, 하단에는 상기 개방부(60)와 연통되도록 상기 인두팁(522)에 형성되는 가이드홀(525);과
    상기 인두팁의(522)의 외부를 감싸며, 상기 고주파 코일(524)부에서 발산되는 자속의 밀도를 높이는 컨센트레이터(5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인두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523)와 컨센트레이터(526) 사이에 구비되는 석영관(Quartz tube)(5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인두기.
  7. 삭제
KR1020100070480A 2010-07-21 2010-07-21 펜슬형 인두기 KR101243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480A KR101243197B1 (ko) 2010-07-21 2010-07-21 펜슬형 인두기
PCT/KR2011/005196 WO2012011699A2 (ko) 2010-07-21 2011-07-14 펜슬형 인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480A KR101243197B1 (ko) 2010-07-21 2010-07-21 펜슬형 인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71A KR20120008971A (ko) 2012-02-01
KR101243197B1 true KR101243197B1 (ko) 2013-03-13

Family

ID=4549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480A KR101243197B1 (ko) 2010-07-21 2010-07-21 펜슬형 인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3197B1 (ko)
WO (1) WO20120116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5460A (zh) * 2014-12-18 2015-05-20 苏州傲鹏机械有限公司 焊料焊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440A (ja) * 1991-09-03 1993-03-09 Babcock Hitachi Kk 溶接用ワイヤ送給制御装置ならびに溶接ロボツト
JP2000102862A (ja) * 1998-09-29 2000-04-11 Nec Yamagata Ltd 吐出機能付き半田ご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238A (ja) * 1999-08-05 2001-02-20 Satoshi Kakegawa 消耗電極式アーク溶接装置
JP2001071135A (ja) * 1999-09-03 2001-03-21 Somakkusu Kk 補修用溶接装置
KR20010063193A (ko) * 1999-12-22 2001-07-09 윤종용 편리한 전기납땜 인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440A (ja) * 1991-09-03 1993-03-09 Babcock Hitachi Kk 溶接用ワイヤ送給制御装置ならびに溶接ロボツト
JP2000102862A (ja) * 1998-09-29 2000-04-11 Nec Yamagata Ltd 吐出機能付き半田ご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1699A3 (ko) 2012-04-05
KR20120008971A (ko) 2012-02-01
WO2012011699A2 (ko)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3710B (zh) 用于熔融并供应金属材料的感应加热头
CN100531993C (zh) 旋转电弧窄间隙焊炬
CN107405712B (zh) 焊料处理装置
CN108788395A (zh) 一种通过侧壁对称双送丝的一体式tig焊喷嘴及焊枪
KR101243197B1 (ko) 펜슬형 인두기
CN106312226A (zh) 一种自动焊锡机器人
CN110935978B (zh) 一种提高集成电路板焊接效率的智能辅助装置
KR101298477B1 (ko) 이산화탄소 용접기용 싱글케이블
KR100788564B1 (ko) 이차 전지용 리드 용접 장치
CN110129793A (zh) 一种丝材激光熔覆装置
CN206936553U (zh) Led焊接装置
JP2005523822A5 (ko)
JPH11245029A (ja) ハンダ付け装置及びハンダ付け方法
JP5427720B2 (ja) 導線結合方法および誘導加熱装置
CN107824939A (zh) 一种光电探测器平行缝焊装置及方法
CN107570832A (zh) 一种自动焊烙铁装置
KR200192410Y1 (ko) 브레이징 용접용 탄소전극팁을 포함한 가압장치
CN110860759A (zh) 一种快速焊锡的电烙铁机器人
JP2010227947A (ja) アーク溶接装置、溶接ロボット及びアーク溶接方法
CN117715404B (zh) 一种封装芯片针脚锡桥处理设备
KR102249634B1 (ko) 땜납의 토출과 전선의 제공이 조절 가능한 납땜 시스템
JP4988780B2 (ja) エレクトロスラグ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CN210824852U (zh) 一种焊锡丝挤压机的绕线装置
CN107649767A (zh) 绝缘焊钳
CN210281009U (zh) 焊接机的锡料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