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136B1 -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136B1
KR101242136B1 KR1020110002693A KR20110002693A KR101242136B1 KR 101242136 B1 KR101242136 B1 KR 101242136B1 KR 1020110002693 A KR1020110002693 A KR 1020110002693A KR 20110002693 A KR20110002693 A KR 20110002693A KR 101242136 B1 KR101242136 B1 KR 10124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electronic component
lead
ai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1380A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크로바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바하이텍(주) filed Critical 크로바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1000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13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8Soldering by means of dipping in molten s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46Solder baths
    • B23K3/0669Solder baths with dipping means
    • B23K3/0684Solder baths with dipping means with means for oscillating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68Applying molten s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04Method or apparatus with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94Debris remover, catcher,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는, 납액이 수용되도록 수조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착되는 전자부품의 하부 핀을 상기 납액에 함침되도록 구동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에어분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하부 핀이 납액으로부터 인양되면, 상기 에어분사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하부 핀의 하단부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Electronic parts solder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의 핀을 납액에 함침하는 과정에서 핀과 납액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 커튼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납액의 표면을 닦아줌으로써, 전자부품의 핀에 납액에 함침될 때 납볼이 비상하거나 먼지, 이물질 및 굳어진 납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땜은 납을 재료로 사용하는 금속 용접법 중의 하나로 납접(獵接)이라고도 하며, 접합(接合)하려고 하는 금속보다 녹는점이 낮은 금속 땜납을 사용하여 녹임으로써 모재(母材)의 금속 조각을 접합하는 조작을 말한다.
이러한, 납땜은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각종 트랜지스터(TR),아이씨칩(IC CHIP),다이오드, 저항 및 코일 등의 전자부품을 접합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부품의 생산 규모가 커지고 있고 전자부품의 생산 량은 대량화 되어 가는 실정이기 때문에, 전자부품의 납땜 공정에 있어서도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전자부품 자동 납땜 장치에 관해서는, 크게 일정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전자부품을 납땜하는 납조기 및, 상기 납조기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공물을 납조기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용융된 납액이 가득 찬 납조기가 하강하여 가공물의 납땜 부위 전체를 담갔다가 상승하여 빼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부품 자동 납땜 장치는 용융된 납액에 전자부품의 핀을 함침시킨 후에 빼내는 과정에서 납볼이 비상하거나, 먼지, 이물질 및 납 찌꺼기 등이 납액의 표면에 존재하여 납땜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부품의 핀을 납액에 함침한 후에 상승하는 과정에서 핀과 납액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시켜 에어 커튼을 형성시키고, 납땜 직전에 납액의 표면을 닦아줌으로써, 납액에 함침된 전자부품의 핀이 상승할 때 납볼이 비상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먼지, 이물질 및 굳어진 납 찌꺼기가 납액을 제거할 수 있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는, 납액이 수용되도록 수조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착되는 전자부품의 하부 핀을 상기 납액에 함침되도록 구동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에어분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하부 핀이 납액으로부터 인양되면, 상기 에어분사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하부 핀의 하단부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하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이 하강할 때 후방으로 에어를 분사하며, 상기 이송수단이 상승할 때 분사를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 수직으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전방에서 승강 및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하단에 양단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설치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축 방향 일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를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전자부품의 하부 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에어를 수평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의 전면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 핀이 납액에 잠길 때 하단이 하향 회전 위치되어 후방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며, 상기 하부 핀이 납액으로부터 상승할 때 하단이 상향 회전 위치되면서 에어 분사가 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양단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설치대 및, 상기 노즐설치대의 하부에서 측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후방으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해 측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에어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설치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구동모터와, 상기 에어노즐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를 전달하기 위한 에어공급관 및, 상기 에어공급관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이송수단이 상승할 때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납액의 표면 닦는 불순물제거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순물제어수단은, 상기 납액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한 전방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납액의 표면과 접하는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순물제거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납액의 표면을 닦아주기 위해 상기 수조부의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퀴지날과, 상기 본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퀴지날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 및, 상기 본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실린더와 상기 스퀴지날을 승강시키는 제3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핀을 납액에 함침한 후 상승할 때 에어를 분사함과 아울러 납땜과정 이전에 납액의 표면을 닦아주는 과정이 선행되므로, 전자부품의 핀이 함침된 후에 상승할 때 납볼이 비상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먼지, 이물질 및 굳어진 납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어 납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 내지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는, 납액(S)이 수용되도록 수조부(110)를 갖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착되는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을 상기 납액(S)에 함침되도록 구동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며,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300) 및,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에어분사수단(3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하부 핀(11)이 납액(S)으로부터 인양되면, 상기 에어분사수단(300)을 사용하여 상기 하부 핀(11)의 하단부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일정 높이의 작업 스테이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수조부(110)가 전방측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별도의 지지다리(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전원 온(ON)/오프(OFF)를 조작하는 조작부(500)와, 전자부품(10)을 장착하기 이전에 전자부품(10)의 핀(11)을 세척해주기 위해 물 또는 세척제가 수용되는 세척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수단은, 장착된 전자부품(10)을 하강시킨 후에,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동시키면서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을 납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송수단(200)은 하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된 후에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수단(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0)의 후방에 수직으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210)와, 상기 가이드부(21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220)와, 상기 승강부(220)의 전방에서 승강 및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작업대(230) 및, 상기 작업대(230)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하단에 양단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10)이 장착되는 설치대(2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230)의 양단에는, 설치대(24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2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대(240)의 양단에는 후술 될 에어분사수단(30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2연결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연결부(231)는, 일측 면에 제1구동모터(260)가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231)에 결합되는 제1구동모터(260)의 구동축은 설치대(240)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설치대(240)가 제1구동모터(260)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구동모터(260)의 구동축과 회전스크류(250)는 밸트(26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구동모터(260)의 구동축이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제2연결부(241)는, 일측 면에 후술 될 제2구동모터(280)가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연결부(241)에 결합되는 제2구동모터(280)의 구동축은 후술 될 노즐설치대(310)의 일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노즐설치대(310)가 회전될 수 있는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200)은 본체(100)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회전스크류(250)와, 상기 본체(100)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스크류(250)의 축 방향 일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260)와, 상기 승강부(220)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230)를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실린더(270) 및, 상기 작업대(2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대(2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10)는 본체(100)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220)는 상기 한 쌍의 승강부(220)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위치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승강부(220)는, 수평하게 판 형상으로 설치되며, 전방에 작업대(230)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승강부(220)의 수직 승강에 의해 작업대(230)와 설치대(240)가 함께 승강되며, 상기 승강부(220)와 별도로 상기 작업대(230)와 설치대(240)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설치대(240)는, 길이를 가지는 양단이 전술한 한 쌍의 제1연결부(231)에 각각 연결되며,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1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설치대(240)는 제1구동모터(260)의 구동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에어분사수단(300)은, 납액(S)에 잠기는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 부위 또는 납액(S)의 상부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한 쌍의 제2연결부(241)에 양단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설치대(310) 및, 상기 노즐설치대(310)의 하부에서 측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후방으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해 측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홀(321)이 형성되는 에어노즐(32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노즐(320)은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 전방에서 후방으로 에어를 수평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노즐설치대(310)는 양단이 한 쌍의 제2연결부(241)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311)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설치대(31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축(311)과 수평하게 간격을 가지며, 하부 면에 에어노즐(320)이 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갖는 에어노즐 설치빔(312)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311)과 설치빔(312)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빔(3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에어분사수단(300)은, 이송수단(200)의 전면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이 납액(S)에 잠길 때 상기 노즐설치대(310)의 하단이 하향 회전 위치되어 에어노즐(320)을 통해 후방으로 에어를 분사한다. 그리고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이 납액(S)으로부터 상승될 때 에어 분사가 중지되면서 노즐설치대(310)의 하단이 상향 회전 위치되는 작동순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수단(300)은 작업대(230)의 일측에 구비되어 노즐설치대(3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구동모터(330)와, 상기 에어노즐(320)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를 전달하기 위한 에어공급관(340) 및, 상기 에어공급관(340)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체(100)에는 이송수단(200)이 상승할 때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납액(S)의 표면 닦는 불순물제거수단(400)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순물제어수단(400)은, 수조부(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수조부(110)에 수용된 납액(S)과 접하는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복귀되는 동작을 통해 납액(S)의 상부 표면을 후방으로 닦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불순물제거수단(400)은 본체(100)의 후방에서 납액(S)의 표면을 닦아주기 위해 수조부(110)의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퀴지날(410)과, 상기 본체(100)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퀴지날(410)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420) 및, 상기 본체(10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실린더(420)와 상기 스퀴지날(410)을 승강시키는 제3실린더(4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4a 내지 4f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의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와 같이 상기 노즐설치대(310)의 하단이 후방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설치대(240)가 후방으로 회전 위치되며, 상기 노즐설치대(310)의 개방에 의해 설치대(240)의 전면은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전자부품(1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납땜이 완료된 전자부품(10)을 분리시켜 신규한 전자부품(10)을 재장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4b와 같이 불순물제거수단의 스퀴지날(410)이 전방으로 이동한 후에 하강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스퀴지날(410)이 납액(S)의 상부 표면을 후방으로 긁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퀴지날(410)의 후면에는 납액(S)의 상부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 이물질 및 납 찌꺼가가 모이게 되므로, 납액(S)의 상부 표면의 불필요한 물질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4c와 같이 설치대(240)에 전자부품(10)을 장착한 상태에서 설치대(240)가 상승 위치되며, 전방으로 회전되어 수직으로 위치된 후에, 설치대(240)가 일정높이로 더 상승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구동모터(260)가 회전스크류(250)를 회전시켜 승강부(220)를 하강시키면, 상기 승강부(220)와 작업대(230) 및 설치대(240)가 함께 하강하게 되며,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이 납액(S)에 잠기면서 함침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4d와 같이 설치대(240)가 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함과 동시에, 에어노즐(420)을 통해 후방으로 에어가 분사되면서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 또는 납액(S)의 상부 표면으로 에어커튼을 형성시킨다. 이때, 납액(S)의 상부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 이물질 및 납 찌꺼기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e와 같이 제1구동모터(260)에 의해 설치대(240)가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을 상방으로 들어올림과 동시에 설치대(240)가 일정 높이로 상승하게 되는데, 전방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설치대(240)가 후퇴하면서 일정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에어노즐로의 에어 공급은 중단되고, 설치대(240)와 함께 노즐설치대(310)의 하단이 상방으로 들어올려 지게 되며, 에어커튼에 의해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에 납볼이 비상하지 않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4f와 같이 작업대(230) 상승함과 동시에 설치대(240)가 수직으로 회전 위치되고, 불순물제거수단(400)의 스퀴지날(410)이 상승 위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을 납액(S)에 함침한 후 상승할 때 에어를 분사함과 아울러 납땜과정 이전에 납액(S)의 표면을 닦아주는 과정이 선행되므로, 전자부품(10)의 하부 핀(11)이 함침된 후에 상승할 때 납볼이 비상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먼지, 이물질 및 굳어진 납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어 납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전자부품 11: 핀
100: 본체 110: 수조부
210: 가이드부 220: 승강부
230: 작업대 231: 제1연결부
240: 설치대 241: 제2연결부
250: 회전스크류 260: 제1구동모터
261: 밸트 270; 제1실린더
280: 제2구동모터 310: 노즐설치대
311: 회전축 312: 설치빔
313: 연결빔 320: 에어노즐
321: 분사홀 330: 제3구동모터
340: 에어공급관 410: 스퀴지날
420: 제2실린더 430: 제3실린더
500: 조작부 S: 납액

Claims (11)

  1. 납액이 수용되도록 수조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착되는 전자부품의 하부 핀을 상기 납액에 함침되도록 구동되는 이송수단;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에어분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하부 핀이 납액으로부터 인양되면, 상기 에어분사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하부 핀의 하단부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하강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이 하강할 때 후방으로 에어를 분사하며, 상기 이송수단이 상승할 때 분사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 수직으로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전방에서 승강 및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의 하단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하단에 양단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장착되는 설치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회전스크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축 방향 일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를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모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전자부품의 하부 핀 전방에서 후방으로 에어를 수평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의 전면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 핀이 납액에 잠길 때 하단이 하향 회전 위치되어 후방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며,
    상기 하부 핀이 납액으로부터 상승할 때 하단이 상향 회전 위치되면서 에어 분사가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양단이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설치대; 및
    상기 노즐설치대의 하부에서 측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후방으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해 측 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에어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설치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3구동모터;
    상기 에어노즐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에어를 전달하기 위한 에어공급관; 및
    상기 에어공급관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이송수단이 상승할 때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납액의 표면 닦는 불순물제거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제거수단은, 상기 납액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한 전방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납액의 표면과 접하는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제거수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상기 납액의 표면을 닦아주기 위해 상기 수조부의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퀴지날; 및
    상기 본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퀴지날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 및
    상기 본체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실린더와 상기 스퀴지날을 승강시키는 제3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KR1020110002693A 2011-01-11 2011-01-11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KR10124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693A KR101242136B1 (ko) 2011-01-11 2011-01-11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693A KR101242136B1 (ko) 2011-01-11 2011-01-11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380A KR20120081380A (ko) 2012-07-19
KR101242136B1 true KR101242136B1 (ko) 2013-03-11

Family

ID=4671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693A KR101242136B1 (ko) 2011-01-11 2011-01-11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9028B (zh) * 2016-08-31 2017-10-10 浙江尚越新能源开发有限公司 柔性电池卷二极管焊接生产线
CN115502509A (zh) * 2022-09-16 2022-12-23 山西昱贤磁电有限公司 锡焊机旋转支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389A (ko) * 2004-09-09 2006-03-14 김기성 자동 납땜기 및 그 납땜 공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389A (ko) * 2004-09-09 2006-03-14 김기성 자동 납땜기 및 그 납땜 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380A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684B2 (en) Method of depositing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US8746139B2 (en) Combination stencil printer and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US8733244B2 (en) Methods for depositing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with a combination stencil printer and dispenser
US8739699B2 (en) Combination stencil printer and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CN104551303A (zh) 在线焊锡机
KR101242136B1 (ko) 전자부품용 자동 납땜 장치
CN106808042B (zh) 自动焊接加工装置和焊接加工方法
CN209517675U (zh) 一种pcb板自动浸锡机
KR100604676B1 (ko) 반도체 디바이스용 볼 리웍장치
CN107790838A (zh) 一种自动浸锡焊接机
KR200477522Y1 (ko) 납잔여물 제거장치가 구비된 디핑기
CN211516633U (zh) 弹臂高度调整机
KR100846846B1 (ko) 인쇄회로기판용 자동 납땜장치
KR100657217B1 (ko) 인쇄회로기판의 부분 납땜 방법
CN211240349U (zh) 一种马达自动贴片机
CN219358362U (zh) 一种自动助焊设备
CN216028617U (zh) 浸锡设备
CN213996557U (zh) 一种注胶机的注胶装置
CN220739519U (zh) 一种半自动钻床
CN216182839U (zh) 一种3d打印机自动化后处理清洗装置
JP2002335075A (ja) 噴流式はんだ付け装置およびはんだ付け方法
KR200152197Y1 (ko) 칩처리 노즐을 구비한 부품가공기
KR20210135788A (ko) Pcb 기판 리드와이어 솔더링 및 커팅 장치
CN111885842A (zh) 一种plc电路板翻转风干装置和方法
CN117900703A (zh) 一种fpca生产用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