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709B1 -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 Google Patents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709B1
KR101241709B1 KR1020110021398A KR20110021398A KR101241709B1 KR 101241709 B1 KR101241709 B1 KR 101241709B1 KR 1020110021398 A KR1020110021398 A KR 1020110021398A KR 20110021398 A KR20110021398 A KR 20110021398A KR 101241709 B1 KR101241709 B1 KR 101241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headlamp
plunger
dam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245A (ko
Inventor
김우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709B1/ko
Priority to DE102011055505.6A priority patent/DE102011055505B4/de
Publication of KR2012010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헤드램프에서 빔패턴 변환을 위해 상기 헤드램프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100)가 구비되되, 상기 솔레노이드(100) 내부에 삽입되어 전원 단락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바텀(110)과; 상기 솔레노이드(100) 내부에 구비되어 바텀(1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바텀(110)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게 되는 플런저(120)와; 상기 바텀(110) 상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댐퍼(130)로 구성되어, 솔레노이드 내부의 내열 문제를 해결하여 압착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헤드램프의 빔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음 발생을 저감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Solenoid for head lamp}
본 발명은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솔레노이드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압착현상을 방지하여 솔레노이드를 통한 헤드램프의 빔 전환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헤드램프는 전구, 반사경 및 렌즈 등으로 이루어져 야간 운전 시에는 전구에서 발광하는 빛을 반사경에서 모은 후 렌즈에서 배광하면서 전방으로 조사함으로써, 노면과 그 주변을 조명함과 아울러 운전자는 육안으로 전방을 주시하여 노면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한편, 차량용 헤드램프는 원거리를 조명하는 하이빔(High Beam) 램프와 근거리를 조명하는 로우빔(Low Beam) 램프가 일체화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이빔과 로우빔의 빔패턴 변환은 헤드램프와 연결된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는 전자석 원리를 이용하여 전원의 단락에 따라 플런저 샤프트의 직선운동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헤드램프와 연동된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종래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에서 바텀과 플런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헤드램프(10) 빔패턴 변환을 위해 솔레노이드(20)가 구비되되, 상기 솔레노이드(20) 내부에 삽입되어 직선 운동하는 바텀(21)과, 상기 솔레노이드(20) 내부에 구비되어 바텀(21)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바텀(21)과 접촉하게 되는 플런저(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는 바텀(21) 외주면에 원형 타입의 댐퍼(23)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바텀(21)과 플런저(22)가 면(面)접촉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솔레노이드(20)의 작동이 용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 작동 시 플런저와 바텀이 압착되는 진공현상이 생겨 헤드램프의 빔패턴 전환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솔레노이드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압착현상을 방지하여 솔레노이드를 통한 헤드램프의 빔 전환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에서 빔패턴 변환을 위해 상기 헤드램프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삽입되어 전원 단락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바텀과;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구비되어 바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바텀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게 되는 플런저와; 상기 바텀 상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댐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내부의 내열 문제를 해결하여 압착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헤드램프의 빔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음 발생을 저감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헤드램프와 연동된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의 (a)는 종래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에서 바텀과 플런저의 결합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b)는 종래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에서 바텀과 플런저의 결합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헤드램프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100)가 구비되되,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바텀(110)과 플런저(120)가 삽입되어 전원 단락에 따라 상기 바텀(110)과 플런저(120)가 접촉하게 되며, 상기 바텀(110) 상부에 댐퍼(130)가 구비되어 상기 바텀(110)과 플런저(120)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압착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램프에서 하이빔 또는 로우빔을 포함하는 빔패턴 변환을 위해 상기 헤드램프(10, 도 1 참조)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100)가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110)은 파이프 형상의 솔레노이드(100) 내부에 삽입되어 전원 단락에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100)의 전원 인가는 차량 탑승자가 헤드램프 버튼을 눌러 헤드램프를 작동시킴으로 인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플런저(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솔레노이드(100)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 단락 여부에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되는 바텀(110)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게 된다.
댐퍼(130)는 바텀(110) 상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텀(110)과 플런저(120) 접촉 시 발생하게 되는 압착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바텀(110)은 다단으로 적층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댐퍼(130)는 상기 바텀(110) 상부 중앙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댐퍼(130)의 높이는 1 ~ 1.1mm 정도로 형성되게 하여 바텀(110) 상부에 돌출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바텀(110)과 플런저(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댐퍼(130)는 실리콘 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바텀(110)과 플런저(120) 접촉 시 발생되는 금속 소음을 저감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헤드램프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100)가 구비되되, 상기 솔레노이드(100) 내부에 바텀(110)과 플런저(120)가 삽입되어 전원 단락에 따라 상기 바텀(110)과 플런저(120)가 접촉하게 되며, 상기 바텀(110) 상부에 댐퍼(130)가 구비되어 상기 바텀(110)과 플런저(120)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압착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다단으로 적층된 원기둥 형상의 바텀(110) 상부에는 실리콘 재질의 댐퍼(130)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바텀(110)과 플런저(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압착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댐퍼(130)에 의해 상기 바텀(110)과 플런저(120) 접촉 시 발생되는 금속 소음을 저감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는 차량의 헤드램프에서 빔패턴 변환을 위해 상기 헤드램프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삽입되어 전원 단락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바텀과;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구비되어 바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바텀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게 되는 플런저와; 상기 바텀 상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댐퍼로 구성되어 솔레노이드 내부의 내열 문제를 해결하여 압착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헤드램프의 빔 전환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음 발생을 저감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솔레노이드 110 : 바텀
120 : 플런저 130 : 댐퍼

Claims (4)

  1. 차량의 헤드램프에서 빔패턴 변환을 위해 상기 헤드램프와 연동되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되되,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삽입되어 전원 단락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바텀과;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구비되어 바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바텀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게 되는 플런저와;
    상기 바텀 상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댐퍼로 구성되되;
    상기 바텀은 다단으로 적층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중앙에 구비된 상기 댐퍼는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높이는 1 ~ 1.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상부에 돌출 형성된 댐퍼는 실리콘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KR1020110021398A 2011-03-10 2011-03-10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KR101241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398A KR101241709B1 (ko) 2011-03-10 2011-03-10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DE102011055505.6A DE102011055505B4 (de) 2011-03-10 2011-11-18 Magnetspulen-Schalter für einen Scheinwer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398A KR101241709B1 (ko) 2011-03-10 2011-03-10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245A KR20120103245A (ko) 2012-09-19
KR101241709B1 true KR101241709B1 (ko) 2013-03-11

Family

ID=4670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398A KR101241709B1 (ko) 2011-03-10 2011-03-10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1709B1 (ko)
DE (1) DE102011055505B4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638B1 (ko) 2001-12-29 2004-03-1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솔레노이드 밸브의 소음 감쇄 구조
KR20060006405A (ko) * 2004-07-16 2006-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솔레노이드
KR100886915B1 (ko) 2007-03-09 2009-03-09 임헌식 솔레노이드 밸브
KR20100084058A (ko) * 2009-01-15 2010-07-23 파코스(주) 솔레노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956B1 (ko) 2009-08-26 2012-08-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DE102009041265A1 (de) 2009-09-11 2011-03-24 Huang, Hsian-Yi Steuervorrichtung für Fern- und Abblendlicht eines Scheinwerf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638B1 (ko) 2001-12-29 2004-03-11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솔레노이드 밸브의 소음 감쇄 구조
KR20060006405A (ko) * 2004-07-16 2006-0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솔레노이드
KR100886915B1 (ko) 2007-03-09 2009-03-09 임헌식 솔레노이드 밸브
KR20100084058A (ko) * 2009-01-15 2010-07-23 파코스(주) 솔레노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55505A1 (de) 2012-09-13
DE102011055505B4 (de) 2020-07-09
KR20120103245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550B1 (ko) 스위치
HK1092281A1 (en) High power alingan based multi-chip light emitting diode
JP2015537356A5 (ko)
EP2631534A3 (en) Automotive headlamp having a movable light source for creating different beams
KR20190028204A (ko) 레이저를 이용한 순차 점등 방향지시등 및 순차 점등방법
CN205299404U (zh) Led照明装置
KR101241709B1 (ko)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TW201518648A (zh) 發光二極體燈泡
CN201145184Y (zh) 一种车用投影灯
CN201145219Y (zh) 车灯远近光切换装置
EP2154425A3 (en) Vehicle headlamp
EP1958299B1 (en) Touch-safe socket
CN203348992U (zh) 一种灯具
JP2005228748A (ja) 投光器ランプのためのベースおよび投光器ランプ
JP2013197058A5 (ja) 発光装置、照明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JP2013080572A (ja) 照光式押ボタンスイッチおよび表示装置
CN101923972B (zh) 开关
CN106764817A (zh) 一种led车灯的透镜结构和汽车灯
JP2012074262A (ja)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の制御装置
CN202813215U (zh) Led路灯透镜
CN104251390A (zh) 一种灯具
CN201836781U (zh) 车灯
CN210373258U (zh) 一种新型的led光源结构
JP6769928B2 (ja) 照光式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CN202546614U (zh) 一种灯泡灯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