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956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956B1
KR101174956B1 KR1020090079177A KR20090079177A KR101174956B1 KR 101174956 B1 KR101174956 B1 KR 101174956B1 KR 1020090079177 A KR1020090079177 A KR 1020090079177A KR 20090079177 A KR20090079177 A KR 20090079177A KR 101174956 B1 KR101174956 B1 KR 10117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ap plate
injection ring
secondary battery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398A (ko
Inventor
이치영
타츠야 하시모토
전상은
유석윤
김동욱
문종석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956B1/ko
Priority to US12/805,165 priority patent/US8592080B2/en
Publication of KR2011002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해액 주입부와 이를 밀폐시키는 주액마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이차전지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확보하고 잔류 전해액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캔과, 상기 캔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주입링을 포함하는 전해액 주입부 및 상기 전해액 주입부를 밀폐하는 주액마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개시한다.
주액구, 주액마개, 주입부, 이차전지, 밀폐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전해액 주입부와 이를 밀폐시키는 주액마개의 구조를 개선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각형을 들 수 있으며, 띠 상의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이를 와류 상으로 감아 전극군을 형성하거나,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복수개로 적층하여 전극군을 형성한 후 이를 케이스에 내장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외부단자가 형성된 캡 조립체를 설치하여 전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에는 케이스 내부로 전해액이 주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해액 주입구에는 주액마개가 결합되어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해액 주입부와 이를 밀폐시키는 주액마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잔류 전해액을 쉽게 세척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캔; 상기 캔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주입링을 포함하는 전해액 주입부; 및 상기 전해액 주입부를 밀폐하는 주액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주입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링은 상기 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링의 상단은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링의 상단은 상기 캡 플레이트 상면의 높이와 같거나 낮고, 상기 주입링의 외주연에 외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는 상기 외주 홈이 형성된 부분의 캡 플레이트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 홈은 상기 주입링의 외주면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낮은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면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링은 상기 캡 플레이트 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주입링의 상단은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링의 상단은 상기 캡 플레이트 상면의 높이와 같거나 낮고, 상기 주입링의 외주연에는 외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는 상기 외주 홈이 형성된 부분의 캡 플레이트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 홈은 상기 주입링의 외주면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낮은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링은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보다 큰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액마개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액마개의 높이는 상기 주입링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액마개는 압력에 의해 상기 주입 링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주입링은 상기 주액마개와 결합된 후, 용접되어 밀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전해액 주입부와 이를 밀봉하는 주액마개 사이의 간극을 줄임으로써 밀폐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전해액 주입부가 캡 플레이트 위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해액 주입부의 잔류 전해액을 쉽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10),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캔(120), 상기 캔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130), 상기 캡 플레이트(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부(140), 상기 전해액 주입부를 밀폐하는 주액마개(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 집전체의 표면에 양극 활물질층이 코팅된 양극판(111)과, 음극 집전체의 표면에 음극 활물질층이 코팅된 음극판(112)과,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113)가 젤리-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일측에는 양극탭(11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극탭(115)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111)의 양극 집전체는 양극 활물질층으로부터 전자를 모아서 외부회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소정의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양극 집전체중에서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양극 무지부(111a)가 형성되며 상기 양극 무지부(111a)의 일측에는 양극탭(114)이 용접된다. 상기 양극탭(114)은 상기 캡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양극단자(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음극판(112)의 음극 집전체는 음극 활물질층으로부터 전자를 모아서 외부회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활물질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소정의 두께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음극 집전체중에서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 음극 무지부(112a)가 형성되며 상기 음극 무지부(112a)의 일측에는 음극탭(115)이 용접된다. 상기 음극탭(115)은 상기 캡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음극단자(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의 단락을 방지하며 리튬 이온을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막 고분자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캔(120)은 상기 전극 조립체(110)가 수용되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 또는 그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캔(120)의 상단 개구부는 전극 조립 체(110)를 삽입한 후에 밀폐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캔(120)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 질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캡 플레이트(130)는 상면(131), 상기 상면과 마주보는 하면(132), 양극탭(114)과 연결되는 양극단자(133) 및 음극탭(115)과 연결되는 음극단자(134)를 포함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130)는 캔(120)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캔(120)을 밀봉하게 된다.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는 상기 캡 플레이트(13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캡 플레이트(130)를 관통하는 주입구(141)와 상기 캡 플레이트 위로 돌출된 주입링(142)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구(141)는 상기 캡 플레이트(130)를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주입구(141)의 내주면은 상기 캡 플레이트(130)의 상면(131) 및 하면(132)과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구(141)의 내주면과 상기 캡 플레이트(130)의 상면(131) 및 하면(132)이 이루는 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주입링(142)은 상기 주입구(141)의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주입링(142) 하단의 직경은 상기 주입구(141) 상단의 직경과 같다. 또한, 상기 주입링(142)은 상기 캡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에 형성된다. 상기 주입링(142)은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보다 큰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링(142)은 상기 캡 플레이트(130)를 기계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을 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링(142)은 상기 캡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에 상기 주입링(142)을 레이저 용접을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는 전해액이 주입되고 난 후, 상기 주액마개(150)로 밀폐된다. 상기 주액마개(150)는 상단과 하단을 포함하고,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보다 큰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주액마개(150)의 높이는 상기 주입링(14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액마개(150)는 전해액이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의 주입링(142)에 압력을 가하여 끼워지고, 이 때 상기 주입링(142)은 상기 주액마개(150)와 대응되는 각도로 벌어지며 깔때기 형상을 이룬다. 상기 주액마개(150)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에 확실히 밀폐된다.
상기 주액마개(150)의 재질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상기 주입링(142)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주액마개(150)는 압력을 가하여 상기 주입링(142)에 끼워지고, 상기 주입링(142)은 상기 주액마개(150)와 대응되는 각도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주액마개(150)와 상기 주입링(142)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아 밀폐가 확실히 이루어진다.
또한, 캡 플레이트 내에 단차가 형성된 전해액 주입부는 주액마개와 주입구 사이의 잔류 전해액을 세척하기가 힘들지만,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는 상기 캡 플레이트(130) 위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의 잔류 전해액을 쉽게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의 구조를 다음 도 2a 내지 도 5b를 통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1의 전해액 주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전해액 주입부(140)는 캡 플레이트(130)를 기계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해액 주입부(130)는 주입구(141)와 주입링(142)을 포함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130)는 상면(131)과 하면(132)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링(142)은 내주면(142a)과 외주면(142b)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링(142)의 상단은 상기 캡 플레이트(130)의 상면(131)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주입링(142)은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과 같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링(142)의 직경은 상기 주입구(141)의 직경과 같다.
주액마개(150)는 상단(151)과 하단(152)을 포함하고 상단(151)의 직경이 상기 주입링(142)의 직경보다 크고, 하단(152)의 직경이 상기 주입링(142)의 직경보다 작은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로 전해액이 주입된 후, 상기 주액마개(150)는 상기 전해액 주입부(140)에 압력을 가하여 끼워지고, 이 때 상기 주입링(142)은 상기 주액마개(150)와 대응되는 각도로 벌어진다. 상기 주액마개(150)가 상기 주입링(142)에 끼워지고 난 후, 상기 주입링(142)은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보다 큰 깔때기 형상으로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링(142)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주입링(142)의 내주면(142a)과 외주면(142b) 사이의 두께는 상기 캡 플레이트(130)의 상면(131)과 하면(132) 사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액마개(150)와 상기 주입링(142)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주액마개(150)의 높이는 상기 주입링(14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전해액 주입부에 전해액이 주입되고, 상기 주액마개(150)의 상단(151)과 상기 주입링(142)이 결합되는 부분을 따라서 레이저 용접이 이루어지며, 상기 주액마개(150)의 상단(151)과 상기 주입링(142)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용접영역(160)이 형성된다.
상기 용접영역(160)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상기 주액마개(150)와 상기 주입링(142)이 용융 및 냉각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해액 주입부(150)는 상기 주액마개(150)와 결합되고 레이저 용접에 의해 확실히 밀폐된다.
또한, 상기 전해액 주입부(150)는 주입링(142)이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잔류 전해액의 세척이 용이해진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전해액 주입부(240)는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전해액 주입부(140)와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전해액 주입부(240)는 캡 플레이트(230)를 기계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23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해액 주입부(240)는 주입구(241)와 주입링(242)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링(242)의 상단은 상기 캡 플레이트(230) 상면(231)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형성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230)는 상기 주입돌기(242)의 외주연(242b)에 상기 주입링(242)을 둘러싸는 원 형태로 외주 홈(270)을 형성하며 가공된다.
상기 외주 홈(270)은 상기 주입링(242)의 외주면(242b), 상기 캡 플레이트(230)의 상면(231)보다 낮은 제1면(271) 및 상기 제1면(271)과 상기 캡 플레이트(230)의 상면(231)을 연결하는 제2면(27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링(242)에 주액마개(250)가 끼워지면서, 상기 주입링(242)은 상기 주액마개(250)와 대응되는 각도로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링(242)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주입링(242)의 내주면(242a)과 외주면(242b) 사이의 두께는 상기 제1면(271)과 상기 캡 플레이 트(230)의 하면(232) 사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전해액 주입부(340)는 주액구(341)와 주입링(342)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링(342)은 캡 플레이트(330) 위에 결합된다.
상기 주입링(342)의 상단은 상기 캡 플레이트(330)의 상면(331)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입링(342)은 상기 캡 플레이트(330)에 형성된 주액구(341)의 상단에 레이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링(342)의 재질은 연성이 있고 상기 캡 플레이트(330)와 용접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상기 캡 플레이트(3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링(342)은 연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주입링(342)을 주액마개(350)로 밀폐할 시 변형이 가능해 이차전지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링(342)을 상기 캡 플레이트(330) 위에 돌출되게 용접함으로써, 상기 전해액 주입부(340)의 잔류 전해액을 쉽게 세척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전해액 주입부(440)는 주액구(441)와 주입링(442)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링(442)은 캡 플레이트(430)를 가공하고 그 위에 결 합된다.
상기 주입링(442)의 상단은 상기 캡 플레이트 상면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링(442)은 레이저 용접으로 상기 캡 플레이트(43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링(442)의 재질은 연성이 있고 상기 캡 플레이트(430)와 용접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상기 캡 플레이트(4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링(442)을 상기 캡 플레이트(430)에 용접하면, 상기 주입링(442)의 외주면(442b), 상기 캡 플레이트(430)의 상면(431)보다 낮은 제1면(471) 및 상기 제1면(471)과 상기 캡 플레이트(430)의 상면(431)을 연결하는 제2면(472)으로 이루어진 외주 홈(470)이 상기 캡 플레이트(430) 위에 형성된다.
상기 외주 홈(470)은 상기 주입링(442)의 외주면(442b), 상기 캡 플레이트(430)의 상면(431)보다 낮은 제1면(471) 및 상기 제1면(471)과 상기 캡 플레이트(430)의 상면(431)을 연결하는 제2면(47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링(442)에 주액마개(450)가 끼워지면서, 상기 주입링(442)은 상기 주액마개(450)와 대응되는 각도로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입링(442)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주입링(442)의 내주면(442a)과 외주면(442b) 사이의 두께는 상기 제1면(471)과 상기 캡 플레이트(430)의 하면(432) 사이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1의 전해액 주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차전지 110 : 전극조립체
120 : 캔
130,230,330,430 : 캡 플레이트 140,240,340,440 : 전해액 주입부
141,241,341,441 : 주입구 142,242,342,442 : 주입링
150,250,350,450 : 주액마개 160,260,360,460 : 용접영역
270,470 : 외주 홈

Claims (17)

  1.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캔;
    상기 캔의 상부에 조립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주입링을 포함하는 전해액 주입부; 및
    상기 전해액 주입부를 밀폐하는 주액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링의 상단은 상기 캡 플레이트 상면의 높이와 같거나 낮고, 상기 주입링의 외주연에는 외주 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는 상기 외주 홈이 형성된 부분의 캡 플레이트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주액마개는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보다 큰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압력에 의해 상기 주입링과 결합되며,
    상기 주입링은 상기 주액마개가 결합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외주 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벌어지며, 상기 주입링은 상기 주액마개와 대응되는 형상인 상단의 직경이 하단의 직경보다 큰 깔때기 형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두께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링은 상기 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 홈은 상기 주입링의 외주면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낮은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링은 상기 캡 플레이트 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링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 홈은 상기 주입링의 외주면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보다 낮은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액마개의 높이는 상기 주입링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삭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링은 상기 주액마개와 결합된 후, 용접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90079177A 2009-08-26 2009-08-26 이차전지 KR101174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177A KR101174956B1 (ko) 2009-08-26 2009-08-26 이차전지
US12/805,165 US8592080B2 (en) 2009-08-26 2010-07-15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177A KR101174956B1 (ko) 2009-08-26 2009-08-26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398A KR20110021398A (ko) 2011-03-04
KR101174956B1 true KR101174956B1 (ko) 2012-08-17

Family

ID=4362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177A KR101174956B1 (ko) 2009-08-26 2009-08-26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92080B2 (ko)
KR (1) KR101174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709B1 (ko) 2011-03-10 2013-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용 솔레노이드
US9263725B2 (en) * 2013-09-30 2016-02-16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c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101999758B1 (ko) * 2015-06-02 2019-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KR102031276B1 (ko) * 2016-08-26 2019-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전해액 보충 방법
JP7373935B2 (ja) * 2018-07-30 2023-11-06 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ケースの蓋及び電池
CN113437452B (zh) * 2021-07-21 2022-08-30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电池电解液注射组件及电解液注射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9915A (ja) 1997-11-14 1999-06-02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
KR100635744B1 (ko) 2005-05-16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397Y1 (ko) 1981-10-30 1987-02-13 세방전지주식회사 연 축전지
JPH0621177Y2 (ja) 1989-01-20 1994-06-01 湯浅電池株式会社 蓄電池用電解液供給装置
KR100542196B1 (ko) * 2003-08-21 2006-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리튬 이차전지
KR100649205B1 (ko) 2004-10-28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의 캡 조립체
KR20070000923A (ko)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풀리기어 및 이를 구비한 스로틀밸브의 구동장치
KR100898685B1 (ko) * 2006-03-27 2009-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9915A (ja) 1997-11-14 1999-06-02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
KR100635744B1 (ko) 2005-05-16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2080B2 (en) 2013-11-26
KR20110021398A (ko) 2011-03-04
US20110052978A1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55204A1 (en) Secondary battery
KR101361193B1 (ko) 이차전지
KR101174956B1 (ko) 이차전지
US9350010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10029061A (ko) 이차 전지
US20220200108A1 (en) Secondary battery
US20140045009A1 (en) Secondary battery
KR20190093299A (ko)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190126554A (ko) 이차 전지
US7687199B2 (en) Secondary battery
KR20150050154A (ko) 코팅층이 형성된 원통형 이차전지
KR101711991B1 (ko) 기둥단자를 갖는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11011809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577169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US20230231242A1 (en) Secondary battery
KR102561215B1 (ko) 이차 전지
US20230361392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102628920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KR102619896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KR102578159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102666014B1 (ko) 이차 전지용 원통형 캔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이차 전지
KR20230129318A (ko) 이차 전지
KR20240070922A (ko) 원통형 이차 전지
KR20230119388A (ko) 원통형 이차 전지
KR20220019477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