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3299A -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3299A
KR20190093299A KR1020180012754A KR20180012754A KR20190093299A KR 20190093299 A KR20190093299 A KR 20190093299A KR 1020180012754 A KR1020180012754 A KR 1020180012754A KR 20180012754 A KR20180012754 A KR 20180012754A KR 20190093299 A KR20190093299 A KR 2019009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vent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lithium ion
ion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969B1 (ko
Inventor
전병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969B1/ko
Priority to US16/965,258 priority patent/US11855303B2/en
Priority to CN201980017037.6A priority patent/CN111819714B/zh
Priority to PCT/KR2019/000047 priority patent/WO2019151662A1/ko
Priority to EP19746824.2A priority patent/EP3748728A4/en
Publication of KR2019009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969B1/ko
Priority to US18/490,635 priority patent/US202400478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24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01M2/022
    • H01M2/024
    • H01M2/028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전벤트의 형성과 동시에 또는 이후에 과도 금속이 안전벤트의 주변인 굴곡부로 가이드되도록 설계하여, 캔 바닥의 평탄성을 개선하고 안전벤트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원통형 캔; 상기 원통형 캔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원통형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캔은 원형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굴곡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 형성된 안전벤트를 포함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Cylindric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휴대형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의 전원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형태에 있어서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의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중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태의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가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캔과, 캔의 내측에 주액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해액과, 캔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고, 전극 조립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 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전벤트의 형성과 동시에 또는 이후에 과도 금속이 안전벤트의 주변인 굴곡부로 가이드되도록 설계하여, 캔 바닥의 평탄성을 개선하고 안전벤트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원통형 캔; 상기 원통형 캔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원통형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캔은 원형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굴곡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 형성된 안전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 및 상기 안전벤트는 원형의 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캡 조립체를 향하여 휘어진 한쌍의 곡면부와, 상기 한쌍의 곡면부를 연결하는 평평한 평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전벤트는 상기 평평부로부터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경사진 한쌍의 경사부와, 상기 한쌍의 경사부를 연결하는 평탄한 평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의 깊이는 0.1 mm 내지 0.15 mm일 수 있고, 상기 안전벤트의 두께는 0.05 mm 내지 0.2 mm일 수 있다.
상기 굴곡부의 깊이는 0.1 mm 내지 0.13 mm일 수 있고, 상기 안전벤트의 두께는 0.075 mm 내지 0.105 mm일 수 있다.
상기 안전벤트의 체적은 0.49 mm3 내지 0.31 mm3일 수 있고, 상기 굴곡부의 체적은 0.3 mm3 내지 0.75 mm3일 수 있다.
상기 굴곡부에는 100℃ 내지 300℃에서 용융되는 수지판이 접착되어 상기 안전벤트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안전벤트와 상기 수지판 사이에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벤트에는 100℃ 내지 300℃에서 용융되는 수지층이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전벤트의 형성과 동시에 또는 이후에 과도 금속이 안전벤트의 주변인 굴곡부로 가이드되도록 설계하여, 캔 바닥의 평탄성을 개선한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캔 바닥에 안전벤트 외에도 바닥으로부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절곡된 굴곡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안전벤트 형성 시 밀려나는 잉여 금속이 굴곡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캔 바닥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캔 바닥의 평탄도가 향상되면, 이후 공정인 캔의 비딩 공정 및 크림핑 공정에서도 치수 오차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이차 전지의 치수 산포로 인한 불량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캔 바닥의 평탄성 개선으로 인해, 캔 바닥에 용접되는 탭의 용접 강도 산포도 줄일 수 있게된다. 물론, 이는 전지 제조 공정 중 용접 및 기구 구성 시 치수 안정으로 인해, 다양한 불량 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굴곡부의 표면에 수지판을 부착하여 안전벤트를 덮거나, 또는 안전벤트의 표면에 직접 수지층을 코팅함으로써, 안전벤트 형성시 도금층 외측으로 노출된 안전벤트의 표면이 산화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차 전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수지판이나 수지층은 용융됨으로써, 안전벤트의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중 원통형 캔의 바닥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 2b는 2a의 2b-2b선을 취한 단면도, 및 도 2c는 도 2b의 2c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중 원통형 캔의 바닥부를 뒤집어서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중 원통형 캔의 바닥부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틈 이온 이차 전지 중에서 원통형 캔의 바닥부에 형성된 안전벤트의 두께 대비 파단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중에서 원통형 캔의 바닥부에 형성된 굴곡부의 깊이 및 안전벤트의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 및 도 6c는 안전벤트의 두께 대비 볼륨 및 굴곡부의 깊이 대비 볼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하부"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0)는 원통형 캔(110)과, 전극 조립체(120)와, 캡 조립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20)에 결합된 센터핀(13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원통형 캔(110)은 원형의 바닥부(111)와, 바닥부(111)의 둘레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측부(112)을 포함한다.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 중 원통형 캔(1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의 조립 공정 중 전극 조립체(120) 및 센터핀(130)이 전해액과 함께 원통형 캔(110)에 삽입될 수 있다. 원통형 캔(110)은 스틸, 니켈이 도금된 스틸,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이의 등가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원통형 캔(110)에는 캡 조립체(14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캡 조립체(140)를 중심으로 그 하부에 내부로 함몰된 비딩부(beading part)(113)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내부로 절곡된 크림핑부(crimping part)(1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원통형 캔(110)의 바닥부(111)에는 바닥부(111)로부터 전극 조립체(120)를 향하여 굴곡된 굴곡부(1110)와, 굴곡부(1110)에 형성된 바닥부(111)의 두께보다 얇은 안전벤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1110)는 안전벤트(1120)의 형성 시 또는 형성 후 과도 금속이 안전벤트(1120)의 주변인 굴곡부(1110)로 가이드되도록 하여, 바닥부(111)의 평탄도가 개선되도록 하고, 안전벤트(1120)가 크랙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안전벤트(1120)는 원통형 캔(110)의 내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 시 파단되어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굴곡부(1110) 및 안전벤트(112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전극 조립체(120)는 원통형 캔(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전극 조립체(120)는 음극 활물질(예를 들면, 흑연, 탄소 등등)이 코팅된 음극판(121), 양극 활물질(예를 들면, 전이금속산화물(LiCoO2, LiNiO2, LiMn2O4 등등))이 코팅된 양극판(122) 및, 음극판(121)과 양극판(122)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세퍼레이터(123)로 이루어진다. 음극판(121), 양극판(122) 및 세퍼레이터(123)는 대략 원기둥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음극판(121)은 구리(Cu) 포일, 양극판(122)은 알루미늄(Al) 포일, 세퍼레이터(123)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위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음극판(121)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연장된 음극탭(124)이, 양극판(122)에는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된 양극탭(125)이 용접될 수 있으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더불어, 음극탭(124)은 니켈(Ni) 재질, 양극탭(125)은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위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극 조립체(120)의 음극탭(124)은 원통형 캔(110)의 바닥부(111)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캔(110)은 음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양극탭(125)이 원통형 캔(110)의 바닥부(111)에 용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통형 캔(110)은 양극으로 동작할 수 있다.
더불어, 원통형 캔(110)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1홀(126a) 및 그 외측에 제2홀(126b)이 형성된 제1절연판(126)이 전극 조립체(120)와 바닥부(111)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절연판(126)은 전극 조립체(120)가 원통형 캔(110) 중 바닥부(11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1절연판(126)은 전극 조립체(120) 중 양극판(122)이 바닥부(111)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홀(126a)은 이차 전지의 이상에 의해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가스가 센터핀(130)을 통해 상부로 신속히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제2홀(126b)은 음극탭(124)이 관통하여 바닥부(111)에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원통형 캔(110)에 결합되며, 중앙에 제1홀(127a) 및 그 외측에 다수의 제2홀(127b)이 형성된 제2절연판(127)이 전극 조립체(120)와 캡 조립체(14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절연판(127)은 전극 조립체(120)가 캡 조립체(14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절연판(127)은 전극 조립체(120) 중 음극판(121)이 캡 조립체(14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홀(127a)은 이차 전지의 이상에 의해 다량의 가스가 발생하였을 경우, 가스가 캡 조립체(140)로 신속히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제2홀(127b)은 양극탭(125)이 관통하여 캡 조립체(140)에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나머지 제2홀(127b)은 전해액 주입 공정에서, 전해액이 상기 전극 조립체(120)로 신속히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제1,2절연판(126,127)의 제1홀(126a,127a)의 직경은 센터핀(1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센터핀(130)이 원통형 캔(110)의 바닥부(111) 또는 캡 조립체(14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센터핀(130)은 속이 비어 있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서, 전극 조립체(120)의 대략 중앙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센터핀(130)은 스틸,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폴리부틸렌 테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thalate)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센터핀(130)은 전지의 충방전 중 전극 조립체(120)의 변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이차 전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캡 조립체(140)는 다수의 관통홀(141a)이 형성된 캡 업(cap-up)(141), 캡 업(141)의 하부에 설치된 안전 플레이트(142), 안전 플레이트(142)의 하부에 설치된 절연판(143), 안전 플레이트(142)와 절연판(143)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2관통홀(144a,144b)이 형성된 캡 다운(cap-down)(144), 캡 다운(144)의 하면에 고정되어 양극탭(12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서브 플레이트(145) 및 캡 업(141), 안전 플레이트(142), 절연판(143), 캡 다운(144)과 원통형 캔(110)의 측부(111)을 절연시키는 절연 가스켓(14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절연 가스켓(146)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캔(110)의 측부(111)에 형성된 비딩부(113)와 크림핑부(114)의 사이에 압착된 형태를 한다. 또한, 상기 캡 업(141) 및 상기 캡 다운(144)에 형성된 관통홀(141a,144a,144b)은 원통형 캔(110)의 내부에서 이상 내압 발생시 내부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러한 내압에 의해 우선 안전 플레이트(142)가 상부 방향으로 반전되면서 서브 플레이트(145)와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이후 안전 플레이트(142)가 찢어지면서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방출된다.
더불어, 원통형 캔(110)의 내측에는 전해액(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주액되어 있으며, 이는 충방전시 전지 내부의 음극판(121) 및 양극판(122)에서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리튬 이온이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해액은 리튬염과 고순도 유기 용매류의 혼합물인 비수질계 유기 전해액일 수 있다. 더불어, 전해액은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폴리머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전해액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0) 중 원통형 캔(110)의 바닥부(111)를 도시한 저면도, 도 2b는 2a의 2b-2b선을 취한 단면도, 및 도 2c는 도 2b의 2c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캔(110)은 대략 원형의 평평한 바닥부(111)와, 바닥부(111)로부터 전극 조립체(120)를 향하여 굴곡된 굴곡부(1110)와, 굴곡부(1110)에 형성된 안전벤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굴곡부(1110) 및 굴곡부(1110)의 내측에 형성된 안전벤트(1120)는 대략 원형의 링 형태일 수 있다.
바닥부(111)는 대략 평평한 제1면(111a)과, 제1면(111a)의 반대면인 대략 평평한 제2면(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면(111a)과 제2면(111b) 사이의 거리는 바닥부(111)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굴곡부(1110)는 바닥부(111)로부터 전극 조립체(120)를 향하여 휘어진 한쌍의 곡면부(1111)와, 한쌍의 곡면부(1111)를 연결하는 하나의 평평한 평평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곡면부(1111) 역시 대체로 휘어진 제1면(1111a)과, 제1면(1111a)의 반대면으로서 대체로 휘어진 제2면(111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면(1111a)과 제2면(1111b) 사이의 거리는 곡면부(1111)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평평부(1112) 역시 대략 평평한 제1면(1112a)과, 제1면(1112a)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한 제2면(1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면(1112a)과 제2면(1112b) 사이의 거리는 평평부(1112)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11) 및 굴곡부(1110)(곡면부(1111) 및 평평부(1112)를 포함)의 두께는 상호간 동일할 수 있다. 다만, 굴곡부(1110)중 평평부(1112)의 제2면(1112b)은 바닥부(111)의 제1면(111a)과 제2면(111b) 사이에 위치되거나 또는 바닥부(111)의 제1면(111a)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더불어, 굴곡부(1110)중 평평부(1112)의 제2면(1112b)은 바닥부(111)의 제2면(111b)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안전벤트(1120)는 굴곡부(1110)중 평평부(1112)로부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경사진 한쌍의 경사부(1121)와, 한쌍의 경사부(1121)를 연결하는 평탄한 평탄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전벤트(1120)의 경사부(1121)는 평평부(1112)의 제2면(1112b)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또한 안전벤트(1120)의 평탄부(1122)는 평평부(1112)의 제1면(1112a)과 제2면(1112b)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안전벤트(1120)의 두께는 평탄부(1122)와 평평부(1112)의 제1면(1112a)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1110) 및 안전벤트(1120)에 따르면, 금형을 통한 굴곡부(1110) 및 안전벤트(1120)의 형성 시, 안전벤트(1120)로부터 사라진 금속의 체적을 굴곡부(1110)가 흡수함으로써, 바닥부(111)의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금형에 의해 안전벤트(1120)의 경사부(1121) 및 평탄부(1122)가 형성될 때, 과도 금속이 인접 영역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러한 밀려나는 과도 금속을 굴곡부(1110)가 흡수하게 됨으로써, 바닥부(111)의 평탄성이 유지된다. 여기서, 안전벤트(1120)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으면, 굴곡부(1110)의 깊이 역시 상대적으로 깊게 되도록 하고, 또한 안전벤트(1120)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굴곡부(1110)의 깊이 역시 상대적으로 작게 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0) 중 원통형 캔(110)의 바닥부(111)를 뒤집어서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110)의 평평부(1112)(즉, 평평부(1112)의 제2면(1112b))에는, 예를 들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100℃ 내지 300℃에서 용융되는 수지판(1130)이 더 접착되어 안전벤트(1120)를 덮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수지판(113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수지판(1130)은 대략 원형의 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수지판(1130)은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안전벤트(1120)와 수지판(1130) 사이에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차 전지(100)의 동작 온도(예를 들면, 0℃ 내지 70℃)에서는 수지판(1130)이 안전벤트(1120)를 보호하지만(예를 들면, 안전벤트(1120)의 녹 발생 억제), 이차 전지(100)의 동작 온도가 대략 100℃를 초과하게 되면, 수지판(1130)이 용융되어 안전벤트(1120)의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0) 중 원통형 캔(110)의 바닥부(111)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벤트(1120) 즉, 경사부(1121) 및 평탄부(1122)에는, 예를 들어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략 100℃ 내지 300℃에서 용융되는 수지층(1140)이 코팅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수지층(114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형을 이용하여 안전벤트(1120)를 형성하게 되면, 그 표면에 형성되어 있던 니켈 도금층이 제거됨으로써, 스틸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안전벤트(1120)의 표면에 녹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벤트(1120)의 표면에 대략 1 ㎛ 내지 100 ㎛의 두께를 갖는 수지층(1140)을 형성하게 되면, 이러한 녹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100)의 동작 온도에서는 수지층(1140)이 안전벤트(1120)를 보호하지만, 이차 전지(100)의 동작 온도가 대략 100℃를 초과하게 되면, 수지층(1140)이 용융되어 안전벤트(1120)의 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틈 이온 이차 전지(100) 중에서 원통형 캔(110)의 바닥부(111)에 형성된 안전벤트(1120)의 두께 대비 파단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X축은 안전벤트(1120)의 두께를 의미하고, Y축은 안전벤트(1120)의 파단압력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벤트(1120)의 두께가 대략 60 ㎛일 경우, 파단압력은 대략 30 Kgf/cm2 이며, 안전벤트(1120)의 두께가 대략 80 ㎛ 경우, 파단압력은 대략 35 Kgf/cm2 , 두께가 대략 100 ㎛ 경우 50 Kgf/cm2, 두께가 대략 120 ㎛ 경우 70 Kgf/cm2, 두께가 대략 140 ㎛ 경우 100 Kgf/cm2 로서 두께가 증가할수록 파단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45 ㎛ 이하에서 안전벤트(112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서 제조 공정중 안전벤트(1120)가 크렉되고, 70 ㎛ 이하에서 크랙될 수 있으며, 75 ㎛ 이상에서는 안전벤트(1120)의 두께가 두꺼워서 크렉의 위험이 없어진다.
따라서, 안전벤트(1120)의 두께는 대체로 75 ㎛ 내지 105 ㎛가 바람직하나, 이차 전지(100)의 파단 압력이 대략 30 Kgf/cm2 내지 150 Kgf/cm2 정도에서 관리되어야 하므로, 안전벤트(1120)의 두께는 대체로 50 ㎛ 내지 200 ㎛로 관리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100) 중에서 원통형 캔(110)의 바닥부(111)에 형성된 굴곡부(1110)의 깊이 및 안전벤트(1120)의 두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 및 도 6c는 안전 벤트(1120)의 두께 대비 볼륨 및 굴곡부(1110)의 깊이 대비 볼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6b의 X축은 안전벤트(1120)의 두께이고, Y축은 안전벤트(1120)의 공간 체적이다. 또한, 도 6c의 X축은 굴곡부(1110)의 깊이이고, Y축은 굴곡부(1110)의 공간 체적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110)의 깊이는 바닥부(111)의 제2면(1111b)으로부터 굴곡부(1110)중 평평부(1112)의 제1면(1112a)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고, 안전벤트(1120)의 두께는 안전벤트(1120)의 평탄부(1122)로부터 굴곡부(1110)중 평평부(1112)의 제1면(1112a)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벤트(1120)의 두께가 대략 0.05 mm로부터 0.20 mm까지 변할 경우(증가할 경우), 안전벤트(1120)의 공간 체적은 대략 0.49 mm3로부터 0.31 mm3으로 변한다(감소한다). 여기서, 실험 결과 안전벤트(1120)의 두께는 대략 0.05 mm 내지 0.20 mm, 더욱 바람직하기로 대략 0.075 mm 내지 0.105 mm일 수 있다. 안전벤트(1120)의 두께가 대략 0.05 mm보다 작으면 제조 공정 중 크랙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안전벤트(1120)의 두께가 대략 0.20 mm보다 두꺼우면 파단압이 너무 커질 수 있다.
한편,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110)의 깊이가 대략 0.05 mm로부터 0.14 mm까지 변할 경우(증가할 경우), 굴곡부(1110)의 공간 체적은 대략 0.08 mm3로부터 0.59 mm3으로 변한다(증가한다). 여기서, 실험 결과 굴곡부(1110)의 깊이는 대략 0.10 mm 내지 0.15 mm, 더욱 바람직하기로 대략 0.10 mm 내지 0.13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부(1110)의 깊이가 대략 0.10 mm보다 작으면 제조 공정 중 안전벤트(1120)로부터 사라지는 금속의 흡수율이 작아 평탄도가 저하되고, 굴곡부(1110)의 깊이가 대략 0.15 mm보다 깊으면 캔(110)의 내부 체적이 너무 작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1110; 굴곡부 1111; 곡면부
1111a; 제1면 1111b; 제2면
1112; 평평부 1112a; 제1면
1112b; 제2면 1120; 안전벤트
1121; 경사부 1122; 평탄부
1130; 수지판 1140; 수지층
110; 캔 111: 바닥부
111a; 제1면 111b; 제2면

Claims (9)

  1. 원통형 캔;
    상기 원통형 캔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원통형 캔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캔은 원형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굴곡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에 형성된 안전벤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 및 상기 안전벤트는 원형의 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캡 조립체를 향하여 휘어진 한쌍의 곡면부와, 상기 한쌍의 곡면부를 연결하는 평평한 평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벤트는 상기 평평부로부터 상기 전극 조립체를 향하여 경사진 한쌍의 경사부와, 상기 한쌍의 경사부를 연결하는 평탄한 평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깊이는 0.1 mm 내지 0.15 mm이고,
    상기 안전벤트의 두께는 0.05 mm 내지 0.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깊이는 0.1 mm 내지 0.13 mm이고,
    상기 안전벤트의 두께는 0.075 mm 내지 0.1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벤트의 체적은 0.49 mm3 내지 0.31 mm3이고,
    상기 굴곡부의 체적은 0.3 mm3 내지 0.75 m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에는 100℃ 내지 300℃에서 용융되는 수지판이 접착되어 상기 안전벤트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벤트와 상기 수지판 사이에 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벤트에는 100℃ 내지 300℃에서 용융되는 수지층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20180012754A 2018-02-01 2018-02-01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257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54A KR102570969B1 (ko) 2018-02-01 2018-02-01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16/965,258 US11855303B2 (en) 2018-02-01 2019-01-02 Cylindric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201980017037.6A CN111819714B (zh) 2018-02-01 2019-01-02 圆柱形锂离子二次电池
PCT/KR2019/000047 WO2019151662A1 (ko) 2018-02-01 2019-01-02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EP19746824.2A EP3748728A4 (en) 2018-02-01 2019-01-02 CYLINDRICAL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US18/490,635 US20240047817A1 (en) 2018-02-01 2023-10-19 Cylindric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54A KR102570969B1 (ko) 2018-02-01 2018-02-01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299A true KR20190093299A (ko) 2019-08-09
KR102570969B1 KR102570969B1 (ko) 2023-08-25

Family

ID=6747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54A KR102570969B1 (ko) 2018-02-01 2018-02-01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855303B2 (ko)
EP (1) EP3748728A4 (ko)
KR (1) KR102570969B1 (ko)
CN (1) CN111819714B (ko)
WO (1) WO201915166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2945A (zh) * 2020-09-27 2020-12-25 张跃理 一种自动定位式锂电池焊接组装装置
WO2022061300A1 (en) 2020-09-21 2022-03-24 Tesla, Inc. Energy storage cell
KR20230090605A (ko) * 2021-12-15 2023-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EP4095992A4 (en) * 2020-02-10 2024-10-09 Shenzhen Hynetech Company Ltd BUTTON BATTERY, BATTERY SEALING STRUCTURE AND PRE-ASSEMBLY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969B1 (ko) * 2018-02-01 2023-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210041991A (ko) *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케이스, 그 이차전지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CN112366420B (zh) * 2020-11-09 2022-09-06 深圳市合壹新能技术有限公司 电池壳体结构及纽扣电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4607B1 (en) * 1988-07-22 1995-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component,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al housing
KR20130054310A (ko) * 2013-05-08 2013-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40020482A (ko) * 2012-08-08 2014-0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50641A (en) 1975-11-03 1980-07-31 Mallory & Co Inc P R Pressure release device
US4175166A (en) 1978-05-02 1979-11-20 Power Conversion, Inc. Sealed container construction capable of safely venting internal pressure
US4576303A (en) * 1985-02-21 1986-03-18 Bs&B Safety Systems, Inc. Rupturable pressure relieving fluid containers
US4610370A (en) * 1985-12-30 1986-09-09 Amoco Corporation Pressure release vent
US4698282A (en) 1986-06-02 1987-10-06 Power Conversion Inc. Safety vent device for electrochemical cells
US4842965A (en) * 1986-09-27 1989-06-27 Hitachi Maxell, Ltd. Non aqueous electrochemical battery with explosion proof arrangement and a method of the production thereof
US5042675A (en) * 1990-05-04 1991-08-27 Ballard Battery Systems Corporation Container pressure release vent
JPH10162798A (ja) 1996-11-27 1998-06-19 Mitsubishi Cable Ind Ltd 密閉型電池の安全構造
US6265101B1 (en) 1998-08-21 2001-07-2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constructions having increased internal volume for active components
JP2001102023A (ja) 1999-09-29 2001-04-13 Alps Electric Co Ltd 安全弁付密閉部品とその製造方法
TWI224881B (en) * 2000-01-14 2004-12-01 Sony Corp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secondary battery
JP3863351B2 (ja) 2000-02-18 2006-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形電池および角形電池の安全機構の製造方法
US7195839B2 (en) * 2003-02-11 2007-03-27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cell with improved pressure relief vent
JP4121130B2 (ja) 2004-02-18 2008-07-2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密閉型電池
KR100670493B1 (ko) 2005-03-24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US20070148533A1 (en) * 2005-12-23 2007-06-28 Anglin David L Batteries
KR100824850B1 (ko) * 2005-12-29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벤트 형성방법
CN102449808B (zh) 2009-04-15 2015-04-15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电化学电池单元的通风部
KR101530458B1 (ko) 2010-10-13 2015-06-29 가부시키가이샤 소오데 나가노 전지 케이스용 덮개 및 전지 케이스용 덮개의 제조 방법
JP5598988B2 (ja) 2011-01-21 2014-10-0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捲回式電池
US8668998B2 (en) 2011-01-31 2014-03-1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20120124687A (ko) 2011-05-04 2012-11-14 주식회사로케트전기 원통형 알칼리 전지
JP5966922B2 (ja) * 2012-02-14 2016-08-1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5832028B2 (ja) * 2012-08-27 2015-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プレス鋳造装置およびプレス鋳造方法
KR101416520B1 (ko) 2013-02-18 2014-07-09 (주)영하이테크 벤트 구조를 갖는 2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5015098A (ja) 2013-07-03 2015-01-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電池ケースおよび電池ケースの安全弁の形成方法
JP5928434B2 (ja) 2013-10-31 2016-06-01 Smk株式会社 薄肉部の冷間鍛造方法と防爆弁
JP6088566B2 (ja) 2015-02-24 2017-03-01 東芝照明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封口板、封口板の製造方法、及び、密閉型電池
JP6661485B2 (ja) 2015-09-16 2020-03-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2417637B1 (ko) 2015-10-02 2022-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0109842B2 (en) 2015-10-16 2018-10-23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cell
KR102635156B1 (ko) 2016-04-22 2024-02-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7579173A (zh) 2017-08-09 2018-01-12 苏州绿标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锂离子电池的顶盖
KR102570969B1 (ko) * 2018-02-01 2023-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54607B1 (en) * 1988-07-22 1995-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component,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al housing
KR20140020482A (ko) * 2012-08-08 2014-0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130054310A (ko) * 2013-05-08 2013-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5992A4 (en) * 2020-02-10 2024-10-09 Shenzhen Hynetech Company Ltd BUTTON BATTERY, BATTERY SEALING STRUCTURE AND PRE-ASSEMBLY UNIT
WO2022061300A1 (en) 2020-09-21 2022-03-24 Tesla, Inc. Energy storage cell
CN112122945A (zh) * 2020-09-27 2020-12-25 张跃理 一种自动定位式锂电池焊接组装装置
KR20230090605A (ko) * 2021-12-15 2023-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74978A1 (en) 2021-03-11
CN111819714B (zh) 2023-04-18
US20240047817A1 (en) 2024-02-08
KR102570969B1 (ko) 2023-08-25
CN111819714A (zh) 2020-10-23
WO2019151662A1 (ko) 2019-08-08
EP3748728A1 (en) 2020-12-09
EP3748728A4 (en) 2022-04-27
US11855303B2 (en)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3299A (ko)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2586877B1 (ko) 이차 전지
US20200235369A1 (en) Secondary battery
KR101907215B1 (ko)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20220255204A1 (en) Secondary battery
US20140045009A1 (en) Secondary battery
US20240097291A1 (en) Cylindrica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2410911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US20220200108A1 (en) Secondary battery
US20220190418A1 (en) Secondary battery
KR20190123583A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11664523B2 (en) Secondary battery
KR20190098495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220068760A (ko) 이차 전지
KR102530332B1 (ko) 이차 전지
KR102666014B1 (ko) 이차 전지용 원통형 캔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이차 전지
US20230361392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102619683B1 (ko) 이차 전지
KR102661207B1 (ko) 이차 전지
US20230223643A1 (en) Secondary battery
EP4210139A2 (en) Secondary battery
KR20240149832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