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564B1 -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 - Google Patents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564B1
KR101241564B1 KR1020110077639A KR20110077639A KR101241564B1 KR 101241564 B1 KR101241564 B1 KR 101241564B1 KR 1020110077639 A KR1020110077639 A KR 1020110077639A KR 20110077639 A KR20110077639 A KR 20110077639A KR 101241564 B1 KR101241564 B1 KR 10124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re
core
magnetic
coil
wound a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580A (ko
Inventor
박준호
김은수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564B1/ko
Priority to US13/547,992 priority patent/US20130033351A1/en
Priority to CN201210275341.0A priority patent/CN102916594B/zh
Publication of KR2013001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564B1/ko
Priority to US14/023,212 priority patent/US922453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2003/106Magnetic circuits u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magnet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3/14Constrictions; Gaps, e.g. air-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02M3/158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는 제 1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 자성 코어;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1 코일; 및 상기 제 2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2 코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Couple inductor, Couple transformer and Couple inductor-transformer}
본 발명은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어 형상 및 권선 방법, 적용 코어의 재질을 통해 제작 비용 저감 및 집적화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제품들은 그 기능이 다양해지고, 성능도 좋아지고 있는데, 특히 소형 경량화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소형 경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전자 제품에 장착되는 부품들의 크기나 부피를 감소시켜야 가능하다.
특히, 반도체 집적회로의 발달로 어느 정도의 회로를 소형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전자 제품의 내부에 장착되는 인덕터의 부피를 줄이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다. 이로 인하여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인덕터를 소형 경량화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자 제품의 전원장치에는 상용전원에 고조파 저감 및 입력 역률 개선을 요구함에 따라 입력 역률 개선 회로인 PFC(Power Factor Correction) 컨버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PFC 컨버터의 입력전류(Iin) 리플 저감 및 효율 개선을 위해 두 개의 개별 인덕터를 사용한 인터리브드 PFC 컨버터(또는, 인터리브드 승압 컨버터)가 적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커플 인덕터를 제작하기 위해 코어 중간 자로나 코어 측면 자로에 공극(air gap)이 필요하며, 이러한 공극을 만들기 위해 별도의 컷팅 작업이 반드시 필요함에 따라 가곡을 위한 제작 단가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공극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인덕터, 변압기 및 인덕터-변압기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는 제 1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 자성 코어;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1 코일; 및 상기 제 2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2 코일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변압기는 상기에 기재된 커플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제 1 코일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 1 변압기 코일이고,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제 2 코일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 2 변압기 코일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는 상기에 기재된 커플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제 1 코일은 인덕터 코일이고,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제 2 코일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기 코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코어 형상 및 권선 방법, 적용 코어의 재질을 통해 제작 비용 저감 및 집적화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변압기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내지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변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작된 커플 인덕터의 적용에 따른 실험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를 포함하는 전원 장치(100)는 필터(110), 정류부(120) 및 역률 개선부(130)를 포함한다.
필터(110)는 상용전원(85V~260V)을 입력받는 입력 측에 마련되어, 전도성 노이즈를 저감시킨다.
이를 위해, 필터(110)는 한 쌍의 전원선 각각에 마련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 양단의 한 쌍의 전원 선에 병렬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초크 코일(common mode chock coil)일 수 있으며, 1개의 코어에 2개의 권선이 동상에 권취될 수 있다.
정류부(120)는 상기 필터(110)의 출력 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전원을 전파 정류시킨다. 이때, 상기 정류부(120)는 복수 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D)이다.
역률 개선부(130)는 인덕터(L1,L2)에 축전되는 에너지를 반도체 스위치(S1, S2)의 단속을 통해 충/방전함으로써 입력 전압과 전류를 동상으로 만든다.
상기 역률 개선부(130)는 제 1 인덕터(L1)와, 제 2 인덕터(L2), 상기 제 1 인덕터(L1)의 충/방전을 단속하는 제 1 반도체 스위치(S1), 제 2 인덕터(L2)의 충/방전을 단속하는 제 2 반도체 스위치(S2), 상기 제 1 인덕터(L1)에 연결되는 제 1 다이오드(D1), 상기 제 2 인덕터(L2)에 연결되는 제 2 다이오드(D2) 및 출력 콘덴서(Co)로 구성되어진다. 미설명 부호는 저항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장치는 상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AC 입력 전원에서뿐만 아니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입력 전원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장치(100`)를 나타낸 것이며, 이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상기 도 1b에 도시된 전원 장치(100`)는 상기 도 1a에 도시된 전원 장치(100)에 포함된 역률 개선부(130)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 제 1 인덕터(L1)와 제 2 인덕터(L2)를 포함하는 커플 인덕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는 ㄷ,|,ㄷ 형상을 갖는 코어 또는 |,H,|형상을 갖는 코어로 구성된다. 또한, 별도로 공극을 둘 수도 있겠지만, 공극을 두기 위해 자로를 커팅하기 보다는 공극을 두기 위해 요구된 갭지나 저 투자율 코어(분말 코어)와 같은 다른 재질을 적용하여 커팅 가공을 위한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커플 인덕터의 구조는 커플 변압기의 구조로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인덕터와 변압기를 하나로 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의 구조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200)는 제 1 자성 코어(210), 제 2 자성 코어(220), 제 3 자성 코어(230),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에 감기는 제 1 코일(240),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에 감기는 제 2 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는 'ㄷ'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2 자성 코어(220)도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와 같은 'ㄷ'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는 'ㄷ' 형상을 가지며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는 '|' 형상을 갖는 제 1 코어부(211)와, 상기 제 1 코어부(211)의 일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1 코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코어부(2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코어부(212)와, 상기 제 1 코어부(211)의 타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1 코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코어부(2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 3 코어부(213)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는 '|' 형상을 갖는 제 1 코어부(221)와, 상기 제 1 코어부(221)의 일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1 코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코어부(2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코어부(222)와, 상기 제 1 코어부(221)의 타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1 코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코어부(2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 3 코어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자성 코어(220)는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와 제 2 자성 코어(2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200)는 제 1 코일(240)이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에 감겨있고, 제 2 코일(250)은 제 2 자성 코어(220)에 감겨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코일(2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1 코어부(211)에 감겨있다. 이때, 상기 제 1 코일(2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1 코어부(211)의 중앙 부분에서 복수 회 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코일(2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1 코어부(221)에 감겨 있다. 이때, 상기 제 2 코일(2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1 코어부(221)의 중앙 부분에서 복수 회 감길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코일(2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에 감길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코일(24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1 코어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1 코어부(211)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코일(2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에 감길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코일(25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1 코어부(221)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1 코어부(221)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와 제 3 자성 코어(230) 사이에는 제 1 공극(260)(Ig)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자성 코어(220)와 제 3 자성 코어(230) 사이에는 제 2 공극(270)(I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2 코어부(212)의 상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또한,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3 코어부(213)의 하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하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공극(26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2 코어부(212)의 우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좌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공극(26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3 코어부(213)의 우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좌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공극(26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2 및 3 코어부(212,213)의 우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좌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2 코어부(222)의 상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상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또한, 제 2 자성 코어(@20)의 제 3 코어부(223)의 하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하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공극(27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2 코어부(222)의 좌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우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공극(27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3 코어부(223)의 좌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우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2 공극(26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2 및 3 코어부(222,223)의 좌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230)의 우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인덕터로 구성되는 커플 인덕터(200)를 코어 형상과 권선 방법을 통해 하나로 통합된 커플 인덕터로 구성하였으며, 기존 제작 방식처럼 공극을 적용하기 위해 컷팅 하여 만들 수도 있지만, 컷팅 없이 갭지나 보빈 등으로 단순하게 공극을 둠에 의해 커플 인덕터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 인덕터(200)에 포함된 제 1 코일(240) 및 제 2 코일(250)은 상기 도 2a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도 감길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코일(240)은 상기 도 2a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에 감길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코일(24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1 코어부(211)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의 제 1 코어부(211)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코일(24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에 감길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코일(25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1 코어부(221)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1 코어부(221)에 감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300)는 제 1 자성 코어(310), 제 2 자성 코어(320), 제 3 자성 코어(330),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에 감기는 제 1 코일(340), 상기 제 2 자성 코어(320)에 감기는 제 2 코일(3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는 'ㄷ'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2 자성 코어(320)도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와 같은 'ㄷ'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는 'ㄷ' 형상을 가지며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320)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3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는 '|' 형상을 갖는 제 1 코어부(311)와, 상기 제 1 코어부(311)의 일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1 코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코어부(3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코어부(312)와, 상기 제 1 코어부(311)의 타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1 코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코어부(3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 3 코어부(313)를 포함한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320)는 '|' 형상을 갖는 제 1 코어부(321)와, 상기 제 1 코어부(321)의 일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1 코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코어부(3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 2 코어부(322)와, 상기 제 1 코어부(321)의 타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1 코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코어부(3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제 3 코어부(3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자성 코어(320)는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와 제 2 자성 코어(3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300)는 제 1 코일(340)이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에 감겨있고, 제 2 코일(350)은 제 2 자성 코어(320)에 감겨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코일(3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의 제 2 코어부(312)에 감겨있다. 이때, 상기 제 1 코일(3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의 제 2 코어부(312)의 중앙 부분에서 복수 회 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코일(3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320)의 제 2 코어부(321)에 감겨 있다. 이때, 상기 제 2 코일(3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320)의 제 2 코어부(321)의 중앙 부분에서 복수 회 감길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자성 코어(310)와 제 3 자성 코어(330) 사이에는 제 1 공극(360)(Ig)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자성 코어(320)와 제 3 자성 코어(330) 사이에는 제 2 공극(370)(Ig)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는, 코일(240, 250)이 제 1 자성 코어(210)와 제 2 자성 코어(220)의 제 1 코어부(211, 221)에 감기었지만, 제 2 실시 예에서는 상기 코일(340, 350)이 제 1 자성 코어(310)와 제 2 자성 코어(320)의 제 2 코어부(312, 322)에 감기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400)는 상기 제 1 실시 예에와 동일한 구조의 제 1 자성 코어(410), 제 2 자성 코어(420), 제 3 자성 코어(430), 제 1 공극(460), 제 2 공극(47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400)에서는 코일이 제 1 및 2 자성 코어의 제 1 코어부에 감기었고, 제 2 실시 예에서는 상기 코일이 제 1 및 2 자성 코어의 제 2 코어부에 감기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서는, 제 1 코일(440)이 제 1 자성 코어(410)의 제 3 코어부(413)에 감기며, 제 2 코일(450)은 제 2 자성 코어(420)의 제 3 코어부(423)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2 및 3 실시 예에 개시된 제 1 자성 코어(210, 310, 410), 제 2 자성 코어(220, 320, 420) 및 제 3 자성 코어(230, 330, 430)는 고 투자율의 자성 특성을 갖는 페라이트 코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500)는 상기 제 1, 2 및 3 실시 예에서와 유사한 'ㄷ' 형상을 갖는 제 1 자성 코어(510) 상기 제 1 자성 코어(510)와 동일한 형상을 갖지만, 상기 제 1 자성 코어(510)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 2 자성 코어(520)와,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510, 520) 사이에 배치되는 '|' 형상의 제 3 자성 코어(5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 코어(510)에 감긴 제 1 코일(540)과, 제 2 자성 코어(520)에 감긴 제 2 코일(550)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상에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510)의 제 2 코어부에 상기 제 1 코일이 감기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520)의 제 2 코어부에 제 2 코일(550)이 감긴다고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기 제 1 코일(540) 및 제 2 코일(550)은 상기 제 1 실시 예와 제 3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의 제 1 코어부나 제 3 코어부에 감길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2 및 3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자성 코어(510)와 제 3 자성 코어(530)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지 않고, 제 2 자성 코어(520)와 제 3 자성 코어(530) 사이에도 공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510,52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제 3 자성 코어(530)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510,520)와 다른 재질로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510, 520)는 저 투자율 특성을 갖는 자성 코어, 예를 들어 분말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자성 코어(530)는 고 투자율 특성을 갖는 자성 코어, 예를 들어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이 커플 인덕터에 별도의 공극을 두지 않고, 상기 자성 코어를 서로 다른 자성 재료로 적용함으로써, 플린징 자속(Flinging Flux)에 따른 상기 제 1 코일(540)과 제 2 코일(550)에 발생될 수 있는 와류 손실(eddy current losses)를 저감할 수 있고, 공극 없이 커플 인덕터를 제작함으로써 컷팅 등의 별도의 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600)는 상기 제 4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500)와 동일한 형상의 제 1 자성 코어(610), 제 2 자성 코어(620), 제 3 자성 코어(630), 제 1 코일(640) 및 제 2 코일(650)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 4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510,520)를 저 투자율을 자성 특성을 갖는 코어로 구성하였지만, 상기 제 5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610,620)를 고 투자율을 자성 특성을 갖는 코어로 구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4 실시 예와 반대로, 상기 제 3 자성 코어(630)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610, 620)와 다른 저 투자율 자성 특성을 갖는 코어로 구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700)는 상기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300)와 유사한 구조의 제 1 자성 코어(710), 제 2 자성 코어(720), 제 3 자성 코어(730), 제 1 코일(740) 및 제 2 코일(750)을 포함한다.
그런, 상기 제 2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2 및 3 자성 코어(310,320,330) 자체 구조에 의해 제 1 자성 코어(310)와 제 3 자성 코어(330) 사이에 복수 개의 제 1 공극(360)을 형성하였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320)와 제 3 자성 코어(330) 사이에 복수 개의 제 2 공극(370)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710)와 제 3 자성 코어(730) 사이에 하나의 제 3 공극(760)을 형성하고, 제 2 자성 코어(720)와 제 3 자성 코어(730) 사이에 하나의 제 4 공극(770)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자성 코어(710)의 제 3 코어부(713)의 일단을 컷팅하여, 상기 제 3 자성 코어(730)와 이격되도록 하여, 제 3 공극(76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720)의 제 3 코어부(723)의 일단을 컷팅하여, 상기 제 3 자성 코어(730)와 제 2 자성 코어(720)가 서로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플 인덕터(700)에는 제 1 자성 코어(710)와 제 3 자성 코어(730) 사이에 하나의 공극만이 존재하고, 제 2 자성 코어(720)와 제 3 자성 코어(730) 사이에도 하나의 공극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제 3 공극(760)과, 제 4 공극(770)의 폭은 상기 제 1 공극(360)과 제 2 공극(370)의 폭보다 넓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플 인덕터(700)에서 제 1 자성 코어(710)의 제 2 코어부(712)는 상기 제 3 코어부(713)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720)의 제 2 코어부(722)는 상기 제 3 코어부(723)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코일(740)은 제 1 자성 코어(710)의 제 1 코어부(711)에 감길 수 있고, 제 2 코일(740)은 제 2 자성 코어(720)의 제 1 코어부(721)에 감길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800)는 상기 제 7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700)와 유사한 제 1 자성 코어(810), 제 2 자성 코어(820), 제 3 자성 코어(830), 제 1 코일(840), 제 2 코일(850)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 6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700)에서는 제 4 공극(770)이 제 2 자성 코어(720)의 제 3 코어부(723)와 제 3 자성 코어(730) 사이에 형성되었지만, 제 7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800)는 제 2 자성 코어(820)의 제 2 코어부(822)와 제 3 자성 코어 사이에 상기 제 4 공극(87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 6 실시 예에서의 커플 인덕터(700)는 제 3 공극(760)과 제 4 공극(770)이 상기 커플 인턱터(700)의 하면에 함께 형성되었지만, 제 7 실시 예에서의 커플 인덕터(800)는 상기 제 3 공극(860)과 제 4 공극(870)이 상기 커플 인덕터(8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나누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7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800)는 제 2 자성 코어(820)의 제 3 코어부(823)가 제 2 코어부(822)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900)는 제 1 자성 코어(910)와, 제 2 자성 코어(920), 제 3 자성 코어(930)와, 제 1 코일(940), 제 2 코일(950), 제 5 공극(960) 및 제 6 공극(970)을 포함한다.
제 1 자성 코어(910)와 제 2 자성 코어(920)는 동일한 '|'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910, 920) 사이에는 제 3 자성 코어(930)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자성 코어(930)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910,920)와 다른 'H'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3 자성 코어(930)는 '|' 형상을 갖는 제 4 코어부(931)와, 상기 제 4 코어부(931)의 일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4 코어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 4 코어부(93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좌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 5 코어부(932)와, 상기 제 4 코어부(931)의 일단에서 우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 6 코어부(933)와, 상기 제 4 코어부(931)의 타단(도면상에서는 상기 제 4 코어부의 하단)에서 좌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 7 코어부(934)와, 상기 제 4 코어부(931)의 타단에서 우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 8 코어부(93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910,920)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930)의 제 4 코어부(931)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910,920)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930)의 제 4 코어부(931)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성 코어(910)의 우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930)의 제 5 코어부(932) 및 제 7 코어부(934)의 좌측면이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 코어(920)의 좌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930)의 제 6 코어부(933) 및 제 8 코어부(935)의 우측면이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5 공극(96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910)의 우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930)의 제 5 코어부(932) 및 제 7 코어부(934)의 좌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6 공극(97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920)의 좌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930)의 제 6 코어부(933) 및 제 8 코어부(935)의 우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코일(9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910)에 감기고, 제 2 코일(9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920)에 감긴다.
이때, 상기 제 1 코일(9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9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9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코일(9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9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920)에 감길 수 있다.
한편,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코일(9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9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9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코일(9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92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920)에 감길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커플 인덕터(1000)는 상기 제 8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9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1010), 제 2 자성 코어(1020), 제 3 자성 코어(1030), 제 5 공극(1060) 및 제 6 공극(1070)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 8 실시 예에서는, 제 1 코일(940)이 제 1 자성 코어(910)에 감기었고, 제 2 코일(950)이 제 2 자성 코어(920)에 감기었지만, 제 9 실시 예에서는 제 1 코일(1040) 및 제 2 코일(1050)이 제 3 자성 코어(1030)에 감기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코일(1040)은 제 3 자성 코어(1030)의 제 5 코일부(1032)에 감기고, 제 2 코일(1050)은 제 3 자성 코어(1030)의 제 6 코일부(1033)에 감기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커플 인덕터(1100)는 상기 제 8 및 9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900, 10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1110), 제 2 자성 코어(1120), 제 3 자성 코어(1130), 제 5 공극(1160) 및 제 6 공극(1170)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 8 실시 예에서는, 제 1 코일(940)이 제 1 자성 코어(910)에 감기었고, 제 2 코일(950)이 제 2 자성 코어(920)에 감기었지만, 제 10 실시 예에서는 제 1 코일(1140) 및 제 2 코일(1150)이 제 3 자성 코어(1130)에 감기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코일(1140)은 제 3 자성 코어(1130)의 제 7 코일부(1134)에 감기고, 제 2 코일(1150)은 제 3 자성 코어(1130)의 제 8 코일부(1135)에 감기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 인덕터(1200)는 상기 제 8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9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1210), 제 2 자성 코어(1220), 제 3 자성 코어(1230), 제 1 코일(1240) 및 제 2 코일(12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8 실시 예에서는, 제 5 공극 및 제 6 공극(960,970)을 포함하였지만, 제 11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200)는 별도의 공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 1 자성 코어(1210)와 제 3 자성 코어(1230)는 서로 접촉하고, 제 2 자성 코어(1220)와 제 3 자성 코어(1230)도 서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 코어(1210)와 제 2 자성 코어(1220)는 서로 동일한 자성 재료를 가지며 형성되고, 제 3 자성 코어(1230)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1210,1220)와 다른 자성 재료를 가지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1210, 1220)는 저 투자율 특성을 갖는 자성 코어, 예를 들어 분말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자성 코어(1230)는 고 투자율 특성을 갖는 자성 코어, 예를 들어 페라이트 코어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와 같이 커플 인덕터에 별도의 공극을 두지 않고, 상기 자성 코어를 서로 다른 자성 재료로 적용함으로써, 플린징 자속(Flinging Flux)에 따른 상기 제 1 코일(1240)과 제 2 코일(1250)에 발생될 수 있는 와류 손실(eddy current losses)를 저감할 수 있고, 공극 없이 커플 인덕터를 제작함으로써 컷팅 등의 별도의 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1300)는 상기 제 11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200)와 동일한 형상의 제 1 자성 코어(1310), 제 2 자성 코어(1320), 제 3 자성 코어(1330), 제 1 코일(1340) 및 제 2 코일(1350)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 11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1210,1220)를 저 투자율을 자성 특성을 갖는 코어로 구성하였지만, 상기 제 12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1310,1320)를 고 투자율을 자성 특성을 갖는 코어로 구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1 실시 예와 반대로, 상기 제 3 자성 코어(1330)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1310, 1320)와 다른 저 투자율 자성 특성을 갖는 코어로 구성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1400)는 상기 제 8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900)와 유사한 구조의 제 1 자성 코어(1410), 제 2 자성 코어(1420), 제 3 자성 코어(1430), 제 1 코일(1440) 및 제 2 코일(14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8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2 및 3 자성 코어(910,920,930) 자체 구조에 의해 제 1 자성 코어(910)와 제 3 자성 코어(930) 사이에 복수 개의 제 5 공극(960)을 형성하였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920)와 제 3 자성 코어(930) 사이에 복수 개의 제 6 공극(970)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4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1410)와 제 3 자성 코어(1430) 사이에 하나의 제 5 공극(1460)을 형성하고, 제 2 자성 코어(1420)와 제 3 자성 코어(1430) 사이에 하나의 제 6 공극(1470)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3 자성 코어(1430)의 제 5 코어부(1432)의 일단을 컷팅하여, 상기 제 1 자성 코어(1410)와 이격되도록 하는 제 5 공극(1460)을 형성하고, 상기 제 3 자성 코어(1430)의 제 6 코어부(1433)의 일단을 컷팅하여, 상기 제 2 자성 코어(1420)와 이격되도록 하는 제 6 공극(147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커플 인덕터(1400)에는 제 1 자성 코어(1410)와 제 3 자성 코어(1430) 사이에 하나의 공극만이 존재하고, 제 2 자성 코어(1420)와 제 3 자성 코어(1430) 사이에도 하나의 공극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제 5 공극(1460)과, 제 6 공극(1470)의 폭은 상기 제 8 실시 예에 따른 제 5 공극(960)과 제 5 공극(970)의 폭보다 넓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플 인덕터(1400)에서 제 3 자성 코어(1430)의 제 5 코어부(1432)는 상기 제 7 코어부(1434)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3 자성 코어(1430)의 제 8 코어부(1435)는 상기 제 6 코어부(1433)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코일(1440)은 제 1 자성 코어(1410)에 감길 수 있고, 제 2 코일(1440)은 제 2 자성 코어(1420)에 감길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1500)는 상기 제 13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400)와 유사한 제 1 자성 코어(1510), 제 2 자성 코어(1520), 제 3 자성 코어(1530), 제 1 코일(1540), 제 2 코일(1550)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 13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400)에서는 제 6 공극(1470)이 제 3 자성 코어(1430)의 제 6 코어부(1433)와 제 2 자성 코어(1420) 사이에 형성되었지만, 제 14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500)는 제 3 자성 코어(1530)의 제 8 코어부(1535)와 제 2 자성 코어 사이에 상기 제 6 공극(157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 13 실시 예에서의 커플 인덕터(1400)는 제 5 공극(1460)과 제 6 공극(1470)이 상기 커플 인턱터(1400)의 상면에 함께 형성되었지만, 제 14 실시 예에서의 커플 인덕터(1500)는 상기 제 5 공극(1560)과 제 6 공극(1570)이 상기 커플 인덕터(15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나누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4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500)는 제 3 자성 코어(1530)의 제 6 코어부(1533)가 제 8 코어부(1535)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1600)는 제 8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900)와 유사한 제 1 자성 코어(1610)와, 제 2 자성 코어(1620), 제 3 자성 코어(1630)와, 제 1 코일(1640), 제 2 코일(1650), 제 5 공극(1660) 및 제 6 공극(1670)을 포함한다.
제 1 자성 코어(1610)와 제 2 자성 코어(1620)는 동일한 '|'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1610, 1620) 사이에는 제 3 자성 코어(1630)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1610,1620)와 다른 'H'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 15 실시 예에서는 제 8 실시 예와 다르게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1610,1620)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의 제 4 코어부(1631)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자성 코어(1610)의 상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의 제 5 코어부(1632)의 하측면이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고, 상기 제 1 자성 코어(1610)의 하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의 제 7 코어부(1634)의 상측면이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 코어(1620)의 상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의 제 6 코어부(1633)의 하측면이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1620)의 하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의 제 8 코어부(1635)의 상측면이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5 공극(166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1610)의 상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의 제 5 코어부(1632)의 하측면 사이에 하나 형성되고, 상기 제 1 자성 코어(1610)의 하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의 제 7 코어부(1634)의 상측면 사이에 다른 하나가 형성된다. 또한, 제 6 공극(167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1620)의 상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의 제 6 코어부(1633)의 하측면 사이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1620)의 하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1630)의 제 8 코어부(1635)의 상측면 사이에 다른 하나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코일(16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1610)에 감기고, 제 2 코일(16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1620)에 감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1700)는 상기 제 15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6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1710), 제 2 자성 코어(1720), 제 3 자성 코어(1730), 제 5 공극(1760) 및 제 6 공극(1770)을 포함한다.
다만, 제 1 및 2 코일(1740)은 상기 제 3 자성 코어(1730)에 감기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코일(1740)은 상기 제 3 자성 코어(1730)의 제 5 코어부(1732)에 감기게 되고, 제 2 코일(1750)은 제 3 자성 코어(1730)의 제 6 코어부(1733)에 감기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1800)는 상기 제 15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16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1810), 제 2 자성 코어(1820), 제 3 자성 코어(1830), 제 5 공극(1860) 및 제 6 공극(1870)을 포함한다.
다만, 제 1 코일(1840)은 상기 제 3 자성 코어(1830)의 제 7 코어부(1834)에 감기게 되고, 제 2 코일(1850)은 제 3 자성 코어(1830)의 제 8 코어부(1835)에 감기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원 장치(1900)는 제 1 변압기와, 제 2 변압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변압기는 1차측 코일부(1910)와 2차측 코일부(1920)를 포함하고, 제 2 변압기도 상기 제 1 변압기와 마찬가지로 1차측 코일부(1930)와 2차측 코일부(19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1차측 코일부(1910,1930)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 1 및 2 변압기를 포함하는 커플 변압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플 변압기의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커플 인덕터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플 인덕터에서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감기었지만, 상기 커플 변압기에서는 상기 제 1 코일 대신, 복수의 1차측 코일과 하나의 2차측 코일이 감기게 되고, 상기 제 2 코일 대신 복수의 1차측 코일과 하나의 2차측 코일이 감기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커플 변압기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 중 일 실시 예만 기재할 것이며,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구조 중 상기 커플 변압기의 구조에 누락된 구조도 상기 커플 변압기의 구조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커플 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커플 변압기(2000)는 도 2에 도시된 커플 인덕터(2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2010), 제 2 자성 코어(2020), 제 3 자성 코어(2030), 제 1 공극(2060) 및 제 2 공극(2070)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커플 인덕터(200)에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와 제 2 자성 코어(220)에 인덕터 코일(240,250)이 감기었지만, 커플 변압기(2000)에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2010)와 제 2 자성 코어(2020)에 변압기 코일(2040,2050)이 감기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2010)에는 1차측 코일(2041)과 2차측 코일(2042)을 포함하는 제 1 변압기 코일(2040)이 감기게 되고, 제 2 자성 코어(2020)에는 1차측 코일(2051)과 2차측 코일(2052)을 포함하는 제 2 변압기 코일(2050)이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변압기 코일(20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0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0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코일(20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0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020)에 감길 수 있다.
한편,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변압기 코일(20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0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0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코일(20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02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020)에 감길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커플 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커플 변압기(2100)는 도 20a에 도시된 커플 변압기(20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2110), 제 2 자성 코어(2120), 제 3 자성 코어(2130), 제 1 공극(2160) 및 제 2 공극(2170)을 포함한다.
다만, 제 1 변압기 코일(21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110)의 상측에 위치한 제 2 코어부(2112)에 감기게 되고, 상기 제 2 변압기 코일(2150)은 제 2 자성 코어(2120)의 상측에 위치한 제 2 코어부(2122)에 감기게 된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플 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커플 변압기(2200)는 도 9a에 도시된 커플 인덕터(9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2210), 제 2 자성 코어(2220), 제 3 자성 코어(2230), 제 5 공극(2260) 및 제 6 공극(2270)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커플 인덕터(900)에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910)와 제 2 자성 코어(920)에 인덕터 코일(940,950)이 감기었지만, 커플 변압기(2200)에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2210)와 제 2 자성 코어(2220)에 변압기 코일(2240,2250)이 감기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2210)에는 1차측 코일(2241)과 2차측 코일(2242)을 포함하는 제 1 변압기 코일(2240)이 감기게 되고, 제 2 자성 코어(2220)에는 1차측 코일(2251)과 2차측 코일(2252)을 포함하는 제 2 변압기 코일(2250)이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변압기 코일(22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2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2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코일(22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2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220)에 감길 수 있다.
한편,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변압기 코일(22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2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2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코일(22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22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220)에 감길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커플 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커플 변압기(2300)는 상기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플 변압기(22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2310), 제 2 자성 코어(2320), 제 3 자성 코어(2330), 제 5 공극(2360) 및 제 6 공극(2370)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제 3 실시 예에서는, 제 1 변압기 코일(2240)과 제 2 변압기 코일(2250)이 제 1 자성 코어(2210)와 제 2 자성 코어(2220)에 감기었지만, 제 4 실시 예에서는, 제 1 변압기 코일(2340)과 제 2 변압기 코일(2350)이 제 3 자성 코어(2330)에 모두 감기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변압기 코일(2340)은 상기 제 3 자성 코어(2330)의 상측 및 좌측에 위치한 제 5 코어부(2332)에 감기게 되고, 제 2 변압기 코일(2350)은 상기 제 3 자성 코일(2330)의 상측 및 우측에 위치한 제 6 코어부(2333)에 감기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전원 장치(2400)는 인덕터(2410) 및 변압기(2420)를 포함한다. 상기 변압기(2420)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인덕터(2410)와 변압기(2420)를 모두 포함하는 커플 인덕터-변압기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플 인덕터-변압기의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커플 인덕터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플 인덕터에서는 제 1 코일과 제 2 코일이 감기었지만, 상기 커플 변압기에서는 상기 제 2 코일 대신 복수의 1차측 코일과 하나의 2차측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기 코일이 감기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플 인덕터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커플 변압기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 중 일 실시 예만 기재할 것이며,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구조 중 상기 커플 변압기의 구조에 누락된 구조도 상기 커플 변압기의 구조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변압기(2500)는 도 2a에 도시된 커플 인덕터(2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2510), 제 2 자성 코어(2520), 제 3 자성 코어(2530), 제 1 공극(2560) 및 제 2 공극(2570)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커플 인덕터(200)에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210)와 제 2 자성 코어(220)에 인덕터 코일(240,250)이 감기었지만, 커플 인덕터-변압기(2500)에서는 상기 제 2 자성 코어(2520)에 변압기 코일(2550)이 감기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2510)에는 인덕터 코일(2540)이 감기게 되고, 제 2 자성 코어(2520)에는 1차측 코일(2551)과 2차측 코일(2552)을 포함하는 변압기 코일(2550)이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인덕터 코일(25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5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5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변압기 코일(2550) 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5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520)에 감길 수 있다.
한편,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터 코일(25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5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5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변압기 코일(2550) 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52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520)에 감길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변압기(2600)는 도 25에 도시된 커플 변압기(25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2610), 제 2 자성 코어(2620), 제 3 자성 코어(2630), 제 1 공극(2660) 및 제 2 공극(2670)을 포함한다.
다만, 인덕터 코일(26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610)의 하측에 위치한 제 3 코어부(2613)에 감기게 되고, 변압기 코일(2650)은 제 2 자성 코어(2620)의 하측에 위치한 제 3 코어부(2633)에 감기게 된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a를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변압기(2700)는 도 9a에 도시된 커플 인덕터(9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2710), 제 2 자성 코어(2720), 제 3 자성 코어(2730), 제 5 공극(2760) 및 제 6 공극(2770)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커플 인덕터(900)에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910)와 제 2 자성 코어(920)에 인덕터 코일(940,950)이 감기었지만, 커플 인덕터-변압기(2700)에서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2710)에는 인덕터 코일(2740)이 감기고, 제 2 자성 코어(2720)에 변압기 코일(2750)이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인덕터 코일(27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7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7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변압기 코일(27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7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520)에 감길 수 있다.
한편,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터 코일(2740)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27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2710)에 감길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변압기 코일(2750)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272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2520)에 감길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커플 변압기(2800)는 상기 제 3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27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2810), 제 2 자성 코어(2820), 제 3 자성 코어(2830), 제 5 공극(2860) 및 제 6 공극(2870)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제 3 실시 예에서는, 인덕터 코일(2740)과 변압기 코일(2750)이 제 1 자성 코어(2710)와 제 2 자성 코어(2720)에 감기었지만, 제 4 실시 예에서는, 인덕터 코일(2840)과 변압기 코일(2850)이 제 3 자성 코어(2830)에 모두 감기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덕터 코일(2340)은 상기 제 3 자성 코어(2330)의 상측 및 좌측에 위치한 제 5 코어부(2832)에 감기게 되고, 변압기 코일(2850)은 상기 제 3 자성 코일(2830)의 상측 및 우측에 위치한 제 6 코어부(2833)에 감기게 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커플 변압기(2900)는 상기 제 4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변압기(2800)와 동일한 제 1 자성 코어(2910), 제 2 자성 코어(2920), 제 3 자성 코어(2930), 제 5 공극(2960) 및 제 6 공극(2970)을 포함한다.
다만, 인덕터 코일(2940)은 상기 제 3 자성 코어(2330)의 하측 및 좌측에 위치한 제 7 코어부(2934)에 감기게 되고, 변압기 코일(2950)은 상기 제 3 자성 코일(2930)의 하측 및 우측에 위치한 제 8 코어부(2935)에 감기게 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커플 인덕터-변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커플 인덕터-변압기는, 제 1 자성 코어(3010), 제 2 자성 코어(3020), 제 3 자성 코어(3030), 제 4 자성코어(3040), 제 5 자성 코어(3050), 제 1 자성 코어(3010)에 감기는 제 1 코일(3060), 제 2 자성 코어(3020)에 감기는 제 2 코일(3070), 제 3 자성 코어(3030)에 감기는 제 3 코일(3080) 및 제 4 자성 코어(3040)에 감기는 제 4 코일(309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코일 내지 제 4 코일(3060,3070,3080,3090) 모두는 인덕터 코일 또는 변압기 코일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제 1 코일(3060) 및 제 3 코일(3080)은 인덕터 코일이고, 제 2 코일(3070) 및 제 4 코일(3090)은 변압기 코일일 수 있다.
즉, 상기 도면들에서 설명한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커플 인덕터-변압기는 2방향(중앙 자로를 중심으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만 자성 코어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형성된 자성 코어에 코일이 감기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중앙 자로를 중심으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뿐만 아니라, 전 방향 및 후 방향으로도 상기 자성 코어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4방향으로 코어 형성 및 코일이 감겨있는 4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4 interleaved Boost Converter) 및 4 인터리브드 플라이백 컨버터(4 interleaved Flyback Converter)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4 방향으로 상기 자성 코어가 형성되는 경우, 중앙 자로에 해당되는 상기 제 5 자성 코어(3050)는 자속 변동률이 놓기 때문에 코어 손실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5 자성 코어(3050)는 기존의 2배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한편, 상기 제 5 자성 코어(3050)가 저 투자율 특성을 갖는 경우, 포화 자속 밀도가 크고, 양 사이드의 코어와 같은 자로 단면적을 사용해도 무관한다. 즉, 상기 제 5 자성 코어(3050)가 저 투자율 특성을 갖는 경우에는 자속 변동율이 작고, 일정 자속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코어 손실이 작으며, 분포 공극에 의한 프린징 플럭스(fringing flux)가 분포되어 형성됨으로 eddy current에 의한 동손실(Copper loss)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작된 커플 인덕터의 동작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험은, 일반적인 제어 동작 파형에 따른 동작 제어가 가능한 제어 보드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느 하나의 커플 인덕터를 가지고, 400W 부하 조건에서 상용 입력 전압 90VAC일 때와 220VAC일 때의 입력 전원에서 동작하였으며, 반도체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 파형(Is1,Is2)과, 양단 전압 파형(Vs1,Vs2), 입력전압(Vac) 및 전류 파형은 도 30과 같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플 인덕터는 적용 실시 가능함을 보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제 1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 자성 코어;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에 감기는 제 1 코일; 및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대칭되는 제 2 자성 코어에 감기는 제 2 코일을 포함하는 커플 인덕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는,
    제 1 코어부와,
    상기 제 1 코어부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연장된 제 2 코어부와,
    상기 제 1 코어부의 타단에서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연장된 제 3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자성 코어는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의 제 1 코어부와 평행하는 커플 인덕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 코어는 'ㄷ'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3 자성 코어는 '|' 형상을 가지는 커플 인덕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제 3 자성 코어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의 제 2 및 3 코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3 자성 코어 사이에 형성된 제 1 공극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와 제 3 자성 코어는,
    상기 제 2 자성 코어의 제 1 및 3 코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3 자성 코어 사이에 형성된 제 2 공극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커플 인덕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극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의 제 2 및 3 코어부의 우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의 좌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극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의 제 2 및 3 코어부의 좌측면과, 상기 제 3 자성 코어의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커플 인덕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의 제 1, 2 및 3 코어부 중 어느 하나의 코어부에 감기며,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1차 코일이 감긴 코어부와 대칭되는 상기 제 2 자성 코어의 어느 한 코어부에 감기는 커플 인덕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의 제 1 코어부의 길이 방향 또는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의 제 1 코어부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감기는 커플 인덕터.
  8. 제 1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 자성 코어;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1 코일; 및
    상기 제 2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자성 코어는,
    제 1 코어부와,
    상기 제 1 코어부의 일단에서 좌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 2 코어부와,
    상기 제 1 코어부의 일단에서 우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 3 코어부와,
    상기 제 1 코어부의 타단에서 좌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 4 코어부와,
    상기 제 1 코어부의 타단에서 우측 방향으로 수직 연장된 제 5 코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의 제 1 코어부와 평행한 커플 인덕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는 '|'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3 자성 코어는 'H' 형상을 가지는 커플 인덕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자성 코어에 감기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의 길이 방향 또는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자성 코어에 감기는 커플 인덕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은 상기 제 2 코어부 및 제 4 코어부 중 어느 하나에 감기고,
    상기 제 2 코일은 상기 제 1 코일이 감긴 코어부와 대칭되는 제 3 코어부 및 제 5 코어부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커플 인덕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제 3 자성 코어는,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상기 제 2 및 4 코어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 1 공극에 의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와 제 3 자성 코어는,
    상기 제 2 자성 코어와, 상기 제 3 및 5 코어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 2 공극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커플 인덕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의 제 1 코어부보다 길며,
    상기 제 1 공극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의 우측면과 상기 2 및 4 코어부의 좌측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극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의 좌측면과, 상기 제 3 및 5 코어부의 우측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커플 인덕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의 제 1 코어부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공극은,
    상기 제 1 자성 코어의 상면과 상기 2 코어부의 하면 사이 및 상기 제 1 자성 코어의 하면과 상기 제 4 코어부의 상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극은,
    상기 제 2 자성 코어의 상면과 상기 제 3 코어부의 하면 사이 및 상기 제 2 자성 코어의 하면과 상기 제 5 코어부의 상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커플 인덕터.
  15. 제 1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 자성 코어;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1 코일; 및
    상기 제 2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는 고 투자율의 자성 코어이고,
    상기 제 3 자성 코어는 저 투자율의 자성 코어로 형성되는 커플 인덕터.
  16. 제 1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 자성 코어;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1 코일; 및
    상기 제 2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는 저 투자율의 자성 코어이고,
    상기 제 3 자성 코어는 고 투자율의 자성 코어로 형성되는 커플 인덕터.
  17. 제 1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2 자성 코어;
    상기 제 1 및 2 자성 코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자성 코어;
    상기 제 1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1 코일;
    상기 제 2 자성 코어 및 제 3 자성 코어 중 어느 하나에 감기는 제 2 코일;
    제 4 자성 코어;
    제 5 자성 코어;
    상기 제 4 자성 코어에 감기는 제 3 코일; 및
    상기 제 5 자성 코어에 감기는 제 4 코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자성 코어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자성 코어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를 중심으로 제 2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제 4 자성 코어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를 중심으로 제 3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제 5 자성 코어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를 중심으로 제 4 방향에 형성되는 커플 인덕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4 및 5 자성 코어는 상기 제 3 자성 코어를 중심으로 십자가형상을 갖는 커플 인덕터.
  19. 커플 변압기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플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제 1 코일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 1 변압기 코일이고,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제 2 코일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 2 변압기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변압기.
  20. 커플 인덕터-변압기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플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제 1 코일은 인덕터 코일이고,
    상기 커플 인덕터에 포함된 제 2 코일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하는 변압기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 인덕터-변압기.
KR1020110077639A 2011-08-04 2011-08-04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 KR101241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639A KR101241564B1 (ko) 2011-08-04 2011-08-04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
US13/547,992 US20130033351A1 (en) 2011-08-04 2012-07-12 Power supply apparatus
CN201210275341.0A CN102916594B (zh) 2011-08-04 2012-08-03 供电设备
US14/023,212 US9224530B2 (en) 2011-08-04 2013-09-10 Powe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639A KR101241564B1 (ko) 2011-08-04 2011-08-04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580A KR20130015580A (ko) 2013-02-14
KR101241564B1 true KR101241564B1 (ko) 2013-03-11

Family

ID=4761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639A KR101241564B1 (ko) 2011-08-04 2011-08-04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30033351A1 (ko)
KR (1) KR101241564B1 (ko)
CN (1) CN1029165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039A1 (ko) * 2021-05-11 2022-11-17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전원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9475B2 (en) * 2011-10-29 2020-01-07 Intersil Americas LLC Inductor structure including inductors with negligible magnetic coupling therebetween
WO2014081155A1 (ko) * 2012-11-20 2014-05-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일체형 변압기
WO2014119294A1 (ja) * 2013-01-30 2014-08-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装置用コイル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104051138B (zh) 2013-03-15 2016-05-04 艾默生网络能源系统北美公司 变压器
ES2665903T3 (es) * 2013-03-20 2018-04-30 Schneider Toshiba Inverter Europe Sas Inductancia de modo diferencial y de modo común
WO2014183986A1 (en) * 2013-05-17 2014-11-20 Koninklijke Philips N.V. Distributed air gap inductor
KR102091584B1 (ko) * 2013-08-07 2020-03-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장치
CN104064338B (zh) * 2014-06-17 2016-08-24 华为技术有限公司 耦合电感
US9905353B2 (en) * 2014-09-24 2018-02-27 Hiq Solar, Inc. Construction of double gap inductor
JP6237586B2 (ja) * 2014-11-17 2017-11-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誘導機器
DE102014117551B4 (de) * 2014-11-28 2021-06-10 Sma Solar Technology Ag Mehrfachdrossel und Leistungswandler mit einer Mehrfachdrossel
KR102318230B1 (ko) * 2014-12-11 2021-10-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덕터
DE102015200716A1 (de) 2015-01-19 2016-07-21 Efficient Energy Gmbh Schaltnetzteil
US20160247627A1 (en) * 2015-02-24 2016-08-25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Low-profile coupled inductors with leakage control
US10763028B2 (en) * 2015-04-10 2020-09-01 Delta Electronics, Inc. Magnetic component and magnetic core of the same
TWI557759B (zh) * 2015-04-10 2016-11-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集成式電感及其集成式電感磁芯
EP3113196B1 (en) * 2015-07-01 2020-10-28 ABB Schweiz AG Common mode and differential mode filter for an inverter and inverter comprising such filter
FR3048118B1 (fr) * 2016-02-18 2018-03-23 Valeo Siemens Eautomotive France Sas Composant magnetique, circuit electrique resonant, convertisseur electrique et systeme electrique
CN109155535B (zh) * 2016-03-10 2022-07-26 无线先进车辆电气化有限公司 双平面无线功率传输垫
CN108573795A (zh) * 2017-03-07 2018-09-25 诺科技股份有限公司 避免急遽直流饱和衰减的磁芯及其制备方法
US10418166B2 (en) * 2017-06-16 2019-09-17 ITG Electronics, Inc. None-coupling dual inductor
CN207250270U (zh) * 2017-10-17 2018-04-17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一种多线圈电感
DE102017221267A1 (de) * 2017-11-28 2019-05-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Wicklungsanordnung für zumindest zwei versetzt taktende leistungselektronische Wandler und Wandleranordnung
JP6930433B2 (ja) * 2018-01-10 2021-09-01 Tdk株式会社 インダクタ素子
US11955267B2 (en) 2018-01-17 2024-04-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actor, core member, and power supply circuit
US11462943B2 (en) 2018-01-30 2022-10-04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DC link charging of capacitor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pad
US11437854B2 (en) 2018-02-12 2022-09-06 Wireless Advanced Vehicle Electrification, Llc Variabl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CN108389702B (zh) * 2018-04-26 2021-08-2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变压器、供电装置和微波烹饪电器
CN108365763B (zh) * 2018-04-26 2020-11-0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电子变压器和微波烹饪电器
WO2019205249A1 (zh) * 2018-04-26 2019-10-3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变压器、供电装置和微波烹饪电器
DE102018112100A1 (de) * 2018-05-18 2019-12-05 Tdk Electronics Ag Drossel mit hoher Gleichtaktinduktivität
WO2020001760A1 (de) * 2018-06-27 2020-0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romrichter
CN109686538B (zh) * 2018-12-11 202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变压器以及电源
CN111755215B (zh) * 2019-03-28 2024-01-3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一种磁集成器件
US11881340B2 (en) * 2020-01-22 2024-01-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Inductor structure
CN113161122A (zh) * 2020-01-22 2021-07-2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感结构
JP2021118363A (ja) * 2020-01-27 2021-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点火コイル
US11682515B2 (en) * 2020-04-15 2023-06-20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Inductors with magnetic core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P3907511A3 (en) * 2020-05-08 2022-03-16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Radiation hardened magnetic current sensor
TWI740686B (zh) * 2020-10-22 2021-09-21 宏碁股份有限公司 降低總諧波失真之升壓轉換器
WO2022169236A1 (ko) * 2021-02-03 2022-08-11 엘지이노텍(주) 인덕터 일체형 트랜스포머
EP4246540A1 (en) * 2022-03-18 2023-09-20 Delta Electronics (Thailand) Public Co., Ltd. Choke assembly and electric convers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955A (ja) 1998-03-19 1999-10-08 Tokin Corp 巻線部品
JP2002359122A (ja) * 2001-04-19 2002-12-1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一体にされる誘導子を有する変圧器
JP2004260183A (ja) 2003-02-26 2004-09-16 Robert Bosch Gmbh エネルギー蓄積およびエネルギー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1534A (en) * 1969-09-05 1971-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riable inductance device
US3686561A (en) * 1971-04-23 1972-08-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gulating and filtering transformer having a magnetic core constructed to facilitate adjustment of non-magnetic gaps therein
DK173534B1 (da) * 1990-11-14 2001-02-05 Scanpower Strømforsyningskredsløb med integrerede magnetiske komponenter
US5889373A (en) * 1996-12-30 1999-03-30 General Electric Company Fluorescent lamp ballast with current feedback using a dual-function magnetic device
US6617814B1 (en) * 2001-04-11 2003-09-0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tegrated DC link choke and method for suppressing common-mode voltage in a motor drive
CN1257601C (zh) * 2001-06-08 2006-05-24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差模和共模集成滤波器
US7489219B2 (en) * 2003-07-16 2009-02-10 Marvell World Trade Ltd. Power inductor with reduced DC current saturation
JP4960110B2 (ja) * 2006-04-19 2012-06-2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トランス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US20080074227A1 (en) * 2006-09-21 2008-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uctor topologies with substantial common-mode and differential-mode inductance
WO2010114914A1 (en) * 2009-03-31 2010-10-07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Magnetic device formed with u-shaped core pieces and power converter employing the same
JP5062439B2 (ja) * 2009-04-28 2012-10-31 Tdk株式会社 インターリーブ用pfcチョークコイル
CN101640101B (zh) * 2009-07-21 2011-04-06 清流县鑫磁线圈制品有限公司 一种电感器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955A (ja) 1998-03-19 1999-10-08 Tokin Corp 巻線部品
JP2002359122A (ja) * 2001-04-19 2002-12-1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一体にされる誘導子を有する変圧器
JP2004260183A (ja) 2003-02-26 2004-09-16 Robert Bosch Gmbh エネルギー蓄積およびエネルギー変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039A1 (ko) * 2021-05-11 2022-11-17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5035A1 (en) 2014-03-27
CN102916594B (zh) 2015-09-09
CN102916594A (zh) 2013-02-06
US20130033351A1 (en) 2013-02-07
US9224530B2 (en) 2015-12-29
KR20130015580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564B1 (ko) 커플 인덕터, 커플 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커플 인덕터-변압기
US10269484B2 (en) Magnetic component and power conversion device using the same
US10381934B2 (en) Multiple parallel-connected resonant converter, inductor-integrated magnetic element and transformer-integrated magnetic element
CN109391156B (zh) 电源转换装置
US8031042B2 (en) Power converter magnetic devices
US10083791B2 (en) Integrated magnetics for soft switching converter
EP2600512B1 (en) Resonant conversion circuit
TWI514427B (zh) 電感及包含該電感之開關電路
US9406419B2 (en) Integrated magnetic component
Ouyang et al. Planar-integrated magnetics (PIM) module in hybri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fuel cell application
US20090237195A1 (en) Center-tapped transformer
TWI430299B (zh) 集成多相耦合電感器及產生電感之方法
TWI497908B (zh) 改善濾波器性能的方法及功率變換裝置
US20220158562A1 (en) Integrated inductor and a power conversion module including the integrated inductor
WO2015106593A1 (zh) 磁集成电感器
Yan et al. A novel transformer structure for high power, high frequency converter
JP2004508703A (ja) 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CN204480858U (zh) 一种变压器的铁芯
TWI747508B (zh) 平板繞組變壓器
JP5611170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Ouyang et al. Low profile, low cost, new geometry integrated inductors
TWM446964U (zh) 邊繞式的繞線變壓器
US20170040097A1 (en) Switching converter circuit with an integrated transformer
US20220108823A1 (en) Inductor
KR101951329B1 (ko) IM(Integrated magnetics) 인덕터 및 이를 활용하는 인터리브 PFC(Power Factor Correction) 부스트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