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814B1 - 더블클러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 Google Patents

더블클러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814B1
KR101240814B1 KR1020110025021A KR20110025021A KR101240814B1 KR 101240814 B1 KR101240814 B1 KR 101240814B1 KR 1020110025021 A KR1020110025021 A KR 1020110025021A KR 20110025021 A KR20110025021 A KR 20110025021A KR 101240814 B1 KR101240814 B1 KR 101240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guide tube
clutch
diaphragm spring
inne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363A (ko
Inventor
김상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10025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81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16D23/143Arrangements or details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lease bearing and the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385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double clutches, i.e. comprising two friction disc mounted on one drive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16D2023/141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characterised by using a fork; Details of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튜브형태의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가 클러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튜브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내측에 끼워지는 내측 슬리브와, 상기 내측 슬리브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가압하는 내측 베어링부로 구성되는 내측베어링과; 상기 가이드튜브의 외측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튜브의 플랜지에 지지되는 외측 슬리브와, 상기 외측 슬리브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가압하기 위한 외측 베어링부로 구성되는 외측베어링과; 및 상기 가이드튜브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내측베어링의 내측 슬리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내측베어링의 내측 슬리브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가 가이드튜브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걸린 상태로 결합되는 액추에이션 베어링이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사전 가압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포크와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결합시 액추에이션 베어링의 내측 베어링의 내측 슬리브가 가이드튜브에서 클러치 하우징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조립시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더블클러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ACTUATION BEARING STRUCTURE OF DOUBLE CLUTCH}
본 발명은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추에이션 베어링의 가이드 튜브와 내측베어링에 이탈방지부를 구비하여, 액추에이션 베어링의 내측/외측베어링이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사전 가압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내측/외측베어링이 결합된 액추에이션 포크에 결합할 때, 내/외측베어링의 슬리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조립 공정에서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조립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중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변속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변속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동 변속 장치와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되는 자동변속장치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두 개의 동력 전달 클러치가 구비된 더블 클러치 변속장치가 개발되어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상기 더블 클러치 변속장치는 두 개의 동력 전달 클러치로 구성되는데, 이 중 하나의 클러치(이하 '제1클러치'라 한다)는 1,3,5,7단의 동력 전달을 담당하고, 또 다른 클러치(이하 '제2클러치'라 한다)는 2,4,6,R 단의 동력 전달을 담당하게 된다.
즉, 제1클러치가 동력을 전달할 때에는 제2클러치가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고, 제2클러치가 동력을 전달할 때에는 제1클러치가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차량의 주행속도 변화에 따라서 제1 및 제2클러치 중 어느 하나의 클러치가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더블 클러치는 가속페달을 밟았을 때, 클러치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용되는 액추에이션 베어링 시스템에 구비되는 액추에이션 베어링이 변속기 입력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액추에이션 베어링 시스템은 가이드튜브, 액추에이션 베어링, 액추에이션 포크로 크게 구성되며, 더블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직접 가압하거나 해제하는 액추에이션 베어링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액추에이션 베어링은, 클러치 하우징에 볼트로 고정되는 가이드튜브와, 가이드튜브의 내주에 끼워져 결합되는 내측베어링과, 가이드튜브의 외주에 끼워져 결합되는 외측베어링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내측베어링과 외측베어링은 각각 가이드튜브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며, 액추에이션 베어링의 작용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측베어링과 외측베어링에는 액추에이션 베어링이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작용시키기 위한 액추에이션 포크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액추에이션 포크의 작용부가 듀얼로 구성되어, 클러치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내측베어링과 외측베어링을 각각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클러치와 제2클러치를 차량의 기어박스의 인풋샤프트에 조립할 때, 제1클러치와 제2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내측/외측베어링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때, 내측/외측베어링은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사전 가압력을 지지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액추에이션 베어링의 내측/외측베어링이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사전 가압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션 베어링이 결합된 액추에이션 포크와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결합시 상기 내측 베어링의 슬리브와 베어링부가 서로 이탈되어, 내측베어링의 슬리브가 가이드튜브의 내측에서 후방으로 이탈됨으로써, 클러치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션 포크 조립이 불가하게 되고, 후방으로 이탈되는 내측 베어링 슬리브는 인풋 샤프트의 오일실을 파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클러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튜브에 조립되는 내측/외측베어링이 지지되도록 하여,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내측/외측베어링이 결합된 액추에이션 포크에 결합할 때, 내측베어링의 슬리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조립시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브형태의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가 클러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튜브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내측에 끼워지는 내측 슬리브와, 상기 내측 슬리브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가압하는 내측 베어링부로 구성되는 내측베어링과; 상기 가이드튜브의 외측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튜브의 플랜지에 지지되는 외측 슬리브와, 상기 외측 슬리브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가압하기 위한 외측 베어링부로 구성되는 외측베어링과; 및 상기 가이드튜브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내측베어링의 내측 슬리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내측베어링의 내측 슬리브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축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가이드 튜브의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끼움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측베어링의 내측 슬리브 단부에는 액추에이션 포크가 작용할 때, 다이어프램 스프링 쪽으로 상기 내측베어링을 가압할 때,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클러치 하우징 쪽을 향하는 상기 내측베어링의 단부에 상기 액추에이션 포크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개되는 공간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베어링의 내측 슬리브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가 가이드튜브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걸린 상태로 결합되는 액추에이션 베어링이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사전 가압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포크와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결합시 액추에이션 베어링의 내측 베어링의 내측 슬리브가 가이드튜브에서 클러치 하우징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조립시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션 베어링이 장착된 더블 클러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조립 구조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션 베어링이 장착된 더블 클러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조립 구조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10) 구조는, 가이드튜브(20)와, 내측베어링(30)과, 외측베어링(40)으로 크게 구성되되, 내측베어링(30)의 슬리브(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50)가 구비되어, 액추에이션 베어링(10)이 결합된 액추에이션 포크와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구조이다.
가이드튜브(20)는 클러치 하우징(60)의 일면 즉, 엔진 쪽을 향하는 면에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71)로 고정되는 것으로, 튜브형태의 몸체부(21)와, 몸체부(21)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튜브(20)는 액추에이션 포크의 작용시 내측베어링(30)과 외측베어링(40)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몸체부(21)에는 액추에이션 베어링(10)을 다이어프램 스프링으로 작용시키기 위한 액추에이션 포크가 내측베어링(20)에 결합될 때, 액추에이션 포크의 수용을 위한 한 쌍의 관통홀(21a)이 형성된다.
플랜지(22)에는 클러치 하우징에 가이드튜브(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71)가 끼워져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22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튜브(20)의 내측에 내측베어링(30)이 끼워져 결합되되, 내측베어링(30)이 액추에이션 포크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80)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측베어링(30)은 상기 가이드튜브(20)의 내측에 끼워지는 내측 슬리브(31)와, 상기 내측 슬리브(31)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80)을 가압하는 내측 베어링부(32)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내측 슬리브(31)에는 액추에이션 포크가 작용할 때, 내측베어링(3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접촉되면서 가이드하기 위한 가압부(31a)와 가이드부(31b)가 형성된다.
가이드부(31b)는 클러치 하우징 쪽을 향하는 내측 슬리브(31)의 단부에 절개되는 공간부 형태로 형성되며, 이 공간부에 액추에이션 포크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압부(31a)는 공간부 형태로 된 가이드부(31b)의 끝단부에서 내측베어링(30)의 외측면보다 낮은 홈 형태로 형성되어, 액추에이션 포크의 작용시 액추에이션 포크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내측베어링(30)을 다이어프램 스프링(80)으로 스트로크 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내측베어링(30)의 내측 베링부(32)는 상기 가이드튜브(20)의 몸체부(21) 내측에 내측베어링(30)이 끼워질 때, 가이드튜브(2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80)에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외측베어링(40)은 가이드튜브(20)의 외측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외측 슬리브(41)와, 상기 외측 슬리브(41)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액추에이션 포크의 작용시 다이어프램 스프링(80)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외측 베어링부(42)로 크게 구성된다.
외측베어링(40)는 외측 슬리브(41)가 가이드튜브(20)의 외측에 끼워져서 외측 슬리브(41)의 타측단부가 가이드튜브(20)의 플랜지(22)에 지지되고, 상기 외측 슬리브(41)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외측 베어링부(42)가 다이어프램 스프링(80)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튜브(20)와 내측베어링(30)에는 액추에이션 포크에 액추에이션 베어링(10)이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션 베어링(10)이 다이어프램 스프링(80)에 사전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션 포크와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결합할 때, 상기 내측베어링(30)의 내측 슬리브(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50)가 구비된다.
즉, 이탈 방지부(50)는 액추에이션 포크에 결합된 액추에이션 베어링이 다이어프램 스프링(80)에 사전 가압된 구조에서 차량의 조립 라인에서 액추에이션 포크와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결합하고자 할 때, 다이어프램 스프링(80)을 사전 가압하는 액추에이션 베어링(10)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 튜브(20)의 내측으로 액추에이션 베어링의 구성부품인 내측 베어링(30)의 내측 슬리브(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베어링(30)의 내측 슬리브(31)를 가이드튜브(20)가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부(50)는 가이드튜브(20)의 몸체부(21)의 단부에 내측베어링(30)의 내측 슬리브(31)가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베어링(30)의 내측 슬리브(31)의 외주에 돌출 형성되되 축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5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50)는 이탈방지돌기(51)가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튜브(30)의 몸체부(31)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5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이탈방지부(50)가 이탈방지돌기(51)만으로 구성되어, 가이드튜브(30)의 몸체부(31)가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 가이드튜브(30)의 몸체부(31)에 형성되어 액추에이터 포크의 작용부분이 되는 가이드부(31b)도 짧아져서 액추에이션 베어링(10)을 다이어프램 스프링(80)으로 작용하기 위한 액추에이션 포크의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끼움홈(52)의 길이는 이탈방지돌기(51)에서 축방향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션 베어링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이드튜브(20)의 플랜지(22)를 클러치 하우징의 일면에 밀착시킨 후에, 플랜지(22)를 별도의 고정부재(71)인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튜브(20)의 내측에 내측베어링(30)을 끼워서 조립하되, 가이드튜브(20)에 형성되는 끼움홈(52)에 내측베어링(30)의 형성된 이탈방지돌기(51)가 끼워지도록 내측베어링(30)을 회전시켜 끼움홈(52)과 이탈방지돌기(51)를 일직선이 되도록 한 후에 조립하게 된다.
이후에, 외측베어링(40)을 상기 가이드튜브(20)의 외측에 끼워서 조립하게 되는데, 외측베어링(40)은 가이드튜브(20)에 결합되면, 그 일측단부가 상기 가이드튜브(20)의 플랜지(22)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측베어링(30)의 내측 슬리브(31)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51)가 가이드튜브(20)에 형성된 끼움홈(52)에 끼워져 걸린 상태로 결합되는 액추에이션 베어링(10)이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80)을 가압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 포크와 클러치 액추에이터의 결합시 액추에이터 포크에 결합된 액추에이션 베어링(10)의 내측 베어링(30)의 내측 슬리브(31)가 클러치 하우징(60)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조립시 클러치 액추에이터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조건이 제공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액추에이션 베어링 20 : 가이드튜브
30 : 내측베어링 40 : 외측베어링
50 : 이탈방지부 51 : 이탈방지돌기
52 : 끼움홈 60 : 클러치 하우징

Claims (5)

  1. 튜브형태의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플랜지가 클러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가이드튜브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내측에 끼워지는 내측 슬리브와, 상기 내측 슬리브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가압하는 내측 베어링부로 구성되는 내측베어링과;
    상기 가이드튜브의 외측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튜브의 플랜지에 지지되는 외측 슬리브와, 상기 외측 슬리브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가압하기 위한 외측 베어링부로 구성되는 외측베어링과; 및
    상기 가이드튜브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내측베어링의 내측 슬리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내측베어링의 내측 슬리브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축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가이드 튜브의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끼움홈;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베어링의 내측 슬리브의 단부에는 액추에이션 포크가 작용할 때, 다이어프램 스프링쪽으로 상기 내측베어링을 가압할 때, 액추에이션 포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클러치 하우징 쪽을 향하는 상기 내측베어링의 단부에 상기 액추에이션 포크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절개되는 공간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KR1020110025021A 2011-03-21 2011-03-21 더블클러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KR10124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21A KR101240814B1 (ko) 2011-03-21 2011-03-21 더블클러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21A KR101240814B1 (ko) 2011-03-21 2011-03-21 더블클러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63A KR20120107363A (ko) 2012-10-02
KR101240814B1 true KR101240814B1 (ko) 2013-03-07

Family

ID=47279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21A KR101240814B1 (ko) 2011-03-21 2011-03-21 더블클러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468B1 (ko) * 2016-09-30 2018-04-1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결합구조
KR101856363B1 (ko) * 2016-09-30 2018-05-09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베어링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453B1 (ko) * 2017-08-31 202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비전력이 저감되는 차량용 에어컨 컴프레서의 클러치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258A (ja) * 1998-06-17 2000-01-07 Nippon Seiko Kk 軸受ユニット
KR20010098692A (ko) * 2000-04-21 2001-11-08 레메이르 마르 클러치 해제 베어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258A (ja) * 1998-06-17 2000-01-07 Nippon Seiko Kk 軸受ユニット
KR20010098692A (ko) * 2000-04-21 2001-11-08 레메이르 마르 클러치 해제 베어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468B1 (ko) * 2016-09-30 2018-04-1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결합구조
KR101856363B1 (ko) * 2016-09-30 2018-05-09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베어링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63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62063A1 (ja) 動力伝達装置
KR101240814B1 (ko) 더블클러치 액추에이션 베어링 구조
EP1911987B1 (en) Clutch operating assisting device
CN101910666B (zh) 机动脚踏车用离合器装置
KR101849468B1 (ko) 더블클러치의 액추에이션 베어링 결합구조
KR101866888B1 (ko) 차량의 수동식 반자동 변속기
KR101856363B1 (ko) 클러치 베어링 구조
WO2016015618A1 (zh) 双离合变速器的换挡执行机构
KR101180574B1 (ko) 더블클러치의 엑츄에이션 베어링
KR101363891B1 (ko) 건식 더블클러치 조립체
KR101693336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용 엔드커버
KR101684498B1 (ko) 차량용 파킹 시스템
JP5787026B2 (ja) クラッチ装置
KR101883162B1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푸쉬로드 회전방지 장치
KR100599303B1 (ko) 자동차용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
WO2014199214A2 (en) Clutch device
CN108019441B (zh) 液压式离合器释放装置
EP2292943B1 (en) Clutch apparatus
KR101684774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클러치
KR200285108Y1 (ko) 클러치의 릴리이즈 포크 지지 구조
KR200146464Y1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구조
KR20180036011A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푸쉬로드 회전방지 장치
KR19980043402U (ko) 클러치의 릴리즈 베어링 지지구조
JP2003013997A (ja) クラッチ装置
KR19980021088U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댐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