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922B1 - 터보 블로어 - Google Patents

터보 블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922B1
KR101238922B1 KR1020130006536A KR20130006536A KR101238922B1 KR 101238922 B1 KR101238922 B1 KR 101238922B1 KR 1020130006536 A KR1020130006536 A KR 1020130006536A KR 20130006536 A KR20130006536 A KR 20130006536A KR 101238922 B1 KR101238922 B1 KR 10123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lade
turbo blower
impell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앰
Priority to KR1020130006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damping or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부블레이드와 외부블레이드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블레이드 구조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내측브레이드의 회전으로 공기를 케이싱 내부로 흡입하고 외측브레이드의 회전으로 케이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토출풍속 및 토출풍압을 증가시킬 수 있는 터보 블로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터보 블로어{TURBO BLOWER}
본 발명은 터보 블로어에 관한 것으로, 내부블레이드와 외부블레이드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블레이드 구조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내측브레이드의 회전으로 공기를 케이싱 내부로 흡입하고 외측브레이드의 회전으로 케이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토출풍속 및 토출풍압을 증가시킬 수 있는 터보 블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보 블로어는 임펠러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기체를 흡입하고 소정 압력의 기체를 일정위치로 공급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환경 오폐수처리 시설 및 정화조의 공기공급, 항공엔진 및 열풍기의 연료공급, 양어장 등의 사육양식에 필요한 산소공급등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터보 블로어의 구조를 살펴보면,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내부에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임펠러가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는 구동모터에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가 회전하여 임펠러를 회전시켜면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측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토출구로 토출된다.
한편, 토출풍속 및 토출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단 터보 블로어가 사용된다. 상기 다단 터보 블로어는 토출구측에 터보 블로어를 더 설치하여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후속되는 터보 블로어에서 흡입한 후 토출함으로써 투출풍속과 토출압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단 터보 블로어는 터보 블로어를 다수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블레이드와 외부블레이드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블레이드 구조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내측브레이드의 회전으로 공기를 케이싱 내부로 흡입하고 외측브레이드의 회전으로 케이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토출풍속 및 토출풍압을 증가시킬 수 있는 터보 블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관통되고 상단은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토출단이 돌출형성되는 전방케이싱과; 상기 전방케이싱과 결합되는 후방케이싱과; 상기 전방케이싱과 후방케이싱이 결합된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회전하면 전방케이싱 흡입구에서 후방케이싱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내부블레이드와, 상기 내부블레이드의 외측에 내부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면 후방케이스의 내부공기를 전방케이싱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외부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상기 임펠라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케이싱은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내부벽체와, 상단이 개구된 외부벽체와, 상기 내부벽체와 외부벽체를 전방에서 연결하는 전방벽체 및 토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부벽체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는 토출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펠러는 내부보스, 외부보스 및 상기 내부보스와 외부보스 사이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연결된 내부블레이드와 외부보스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연결된 외부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보스는 후방케이싱 설치공간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보스는 후방케이싱 설치공간에 내부벽체와 일렬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는 이중 블레이드 구조의 임펠러를 통해 내측브레이드의 회전으로 공기를 케이싱 내부로 흡입하고 외측브레이드의 회전으로 케이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토출풍속 및 토출풍압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백 블로어 현상이 저감시켜 케이싱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에 적용되는 임펠러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에 적용되는 임펠러의 평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의 결합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는 전방케이싱(110), 후방케이싱(120), 임펠러(130) 및 구동모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케이싱(110)은 중앙에는 흡입구(A1)가 형성되도록 관통되고 상단은 토출구(A2)가 형성되도록 토출단(115)이 돌출형성되며, 후술할 후방케이싱(120)과 결합하여 케이싱 본체를 구성한다.
상기 전방케이싱(110)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방케이싱(110)은 원형의 내부벽체(111)를 포함하는 데, 상기 내부벽체(111)는 전방케이싱의 내부면을 마감하며 중앙에는 흡입구(A1)가 형성된다. 또한, 전방케이싱(110)은 원형의 외부벽체(112)를 포함하는 데 상기 외부벽체(112)는 전방케이싱의 외부면을 마감하며 상단이 개구(도2참조)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벽체(111)와 외부벽체(112)는 전방단부가 전방벽체(113)에 의해 연결되어 전방이 마감되며 후방은 개구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벽체(112)의 개구된 상단에는 토출구(A2)를 구비하는 토출단(115)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케이싱(120)은 전방케이싱(110)의 후측에 결합되어 케이싱 본체를 형성하게 되며 그 결합관계는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30)는 상기 전방케이싱(110)과 후방케이싱(120)이 결합된 케이싱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일체로 형성된 내부블레이드(122)와 외부블레이드(124)를 구비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임펠러(1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보스(131), 외부보스(133) 및 상기 내부보스(131)와 외부보스(133) 사이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연결된 다수의 내부블레이드(132)와 외부보스(133)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연결된 다수의 외부블레이드(134)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보스(131)는 후방케이싱 설치공간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보스(133)는 후방케이싱 설치공간에 내부벽체(111)와 일렬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블레이드(132)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외부블레이드(134)는 타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내부블레이드(132)와 외부블레이드(134)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내부블레이드(132)에 의한 공기의 흡입방향과 외부블레이드(134)에 의한 공기의 토출방향은 서로 역방향이 된다.
상기 구동모터(140)는 임펠러(130)와 결합되어 임펠러(130)를 회전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구동모터의 회전축(141)은 상기 임펠러(130)의 내부보스(131)에 결합되고 구동모터(140)는 전방케이싱 외부에 설치된다.
이 때, 구동모터(140)는 바람직하게 지지부재(150)를 통해 지지고정되는 데,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5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동모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링(151)과 상기 지지링(151)을 연결하며 상기 전방케이싱의 연결벽체(113)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지대(152)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수개의 지지대(152)를 연결벽체(113)에 고정한 다음 구동모터(140)를 한쌍의 지지링 사이에 삽입고정하면 구동모터(140)가 견고하게 고정되며, 구동모터(140)와 결합된 임펠러(140)도 케이싱 본체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터보블로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구동모터(140)가 회전하면 구동모터와 결합된 임펠러(130)가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구동모터(140)는 전방케이스의 전방벽체(113)에 연결된 지지부재(150)에 고정되고, 임펠러는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임펠러(130)는 전방케이싱과 후방케이싱이 결합된 케이싱 내부본체내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임펠러(130)가 회전하면 일체로 형성된 내부블레이드(132)와 외부블레이드(134)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블레이드(132)의 회전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전방케이싱 흡입구(A1)에서 후방케이싱(120) 내부 방향으로 흡입되어 후방케이싱(120) 내부에 저장되고, 연이어 외부블레이드(134)의 회전에 의해 후방케이스(120)의 내부공기는 전방케이싱에 형성된 토출단의 토출구(A2)로 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보블로어는 종래의 일반적인 블로어와 같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바로 토출하지 않고, 이중 블레이드를 구조를 지닌 임펠러에 의해 내부블레이드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외부블레이드를 통해 토출하기 때문에 다단 블로어와 같은 풍속 및 풍압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는 내부블레이드(132)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후방케이싱(120)의 외측공간으로 유도되어 외부블레이드(134)에 의한 토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후방케이싱의 내면에 가이드판(12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21)은 바람직하게 두부는 내부블레이드(132)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저항없이 분산될 수 있도록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 가장자리는 토출되는 공기가 후방케이싱 내부공간에서도 공기의 저항없이 토출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내부블레이드(132)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외부블레이드(134) 방향으로 원할하게 유도되어 유체저항이 감소하고 백 블로어 현상이 저감시켜 케이싱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보 블로어는 흡입용 유동안내부재(160)와 토출용 유동안내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용 유동안내부재(160)는 후방에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슬릿(161)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121)에 고정되고, 전방에는 방사형상의 안내간살(162)이 형성되어 내부블레이드(132)에 의해 흡입되어 회전하는 공기가 상기 안내간살(162)에 의해 와류되지 않고 분배되고 직진성을 갖어 상기 슬릿(162) 사이로 공간으로 유도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토출용 유동안내부재(170)는 내부링(171)과 외부링(172) 및 상기 내부링과 외부링을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연결간살(173)로 구성되어, 전방케이싱의 개구된 후방에 설치되며 외부블레이드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연결간살을 통과하면서 분배되고 직진성을 갖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흡입용 유동안내부재의 안내간살(162)과 토출용 유동안내부재의 연결간살(173)에 의해, 흡입되어 회전공기와 토출되는 회전공기가 직진성을 가지게 되어 풍속을 증가시키게 된다.
110: 전방케이싱 120: 후방케이싱
130: 임펠러 132: 내부블레이드
134: 외부블레이드 140: 구동모터
150: 지지부재

Claims (6)

  1. 중앙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관통되고 상단은 토출구가 형성되도록 토출단이 돌출형성되는 전방케이싱과;
    상기 전방케이싱과 결합되는 후방케이싱과;
    상기 전방케이싱과 후방케이싱이 결합된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회전하면 전방케이싱 흡입구에서 후방케이싱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내부블레이드와, 상기 내부블레이드의 외측에 내부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면 후방케이스의 내부공기를 전방케이싱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외부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상기 임펠라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케이싱은
    흡입구가 형성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내부벽체와, 상단이 개구된 외부벽체와, 상기 내부벽체와 외부벽체를 전방에서 연결하는 전방벽체 및 토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부벽체의 개구된 상단에 일체형성되는 토출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내부보스, 외부보스 및 상기 내부보스와 외부보스 사이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연결된 내부블레이드와 외부보스의 외면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 연결된 외부블레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보스는 후방케이싱 설치공간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보스는 후방케이싱 설치공간에 내부벽체와 일렬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블로어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동모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을 연결하며 상기 전방케이싱의 연결벽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케이싱의 내면에는 내부블레이드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후방케이싱의 외측공간으로 유도되어 외부블레이드에 의한 토출이 용이하도록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는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가이드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어.
  6. 제5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흡입용 유동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용 유동가이드부재는 후방은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에 고정되고 전방에는 방사형상의 안내간살이 형성되어, 내부블레이드에 의해 흡입되어 회전하는 공기가 상기 안내간살에 의해 와류되지 않고 분배되고 직진성을 갖어 상기 슬릿 사이로 공간으로 유도되고,
    토출용 유동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출용 유동안내부재는 내부링과외부링 및 상기 내부링과 외부링을 방사상으로 연결하는 연결간살로 구성되어, 전방케이싱의 개구된 후방에 설치되며 외부블레이드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연결간살을 통과하면서 분배되고 직진성을 갖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어.


KR1020130006536A 2013-01-21 2013-01-21 터보 블로어 KR10123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36A KR101238922B1 (ko) 2013-01-21 2013-01-21 터보 블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36A KR101238922B1 (ko) 2013-01-21 2013-01-21 터보 블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922B1 true KR101238922B1 (ko) 2013-03-06

Family

ID=4818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536A KR101238922B1 (ko) 2013-01-21 2013-01-21 터보 블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9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8997A (zh) * 2018-07-03 2018-10-19 满洲里达赉湖热电有限公司 单侧支撑离心式送风机入口稳流装置
KR20190132782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황해전기 사이드 채널형 재생 블로워
EP3604759A1 (en) * 2018-07-30 2020-02-05 Lg Electronics Inc. Engine drive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988A (ja) * 1998-08-07 2000-02-22 Honda Motor Co Ltd 遠心ファン
KR200205115Y1 (ko) * 1997-09-26 2001-01-15 엄기화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냉각팬
KR20070007284A (ko) * 2004-01-23 2007-01-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원심 송풍기
JP2009011615A (ja) * 2007-07-06 2009-01-22 Panasonic Corp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115Y1 (ko) * 1997-09-26 2001-01-15 엄기화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냉각팬
JP2000054988A (ja) * 1998-08-07 2000-02-22 Honda Motor Co Ltd 遠心ファン
KR20070007284A (ko) * 2004-01-23 2007-01-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원심 송풍기
JP2009011615A (ja) * 2007-07-06 2009-01-22 Panasonic Corp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782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황해전기 사이드 채널형 재생 블로워
KR102501637B1 (ko) * 2018-05-21 2023-02-21 주식회사 황해전기 사이드 채널형 재생 블로워
CN108678997A (zh) * 2018-07-03 2018-10-19 满洲里达赉湖热电有限公司 单侧支撑离心式送风机入口稳流装置
EP3604759A1 (en) * 2018-07-30 2020-02-05 Lg Electronics Inc. Engine drive apparatus
US10865741B2 (en) 2018-07-30 2020-12-15 Lg Electronics Inc. Engine driv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5102B2 (en) Impeller and pump using the impeller
JP6686131B2 (ja) 吸入ユニット
US9683579B2 (en) Circulator
JP2013185440A (ja) 遠心ファン
EP2597314A3 (en) Axial-flow fan
KR101238922B1 (ko) 터보 블로어
JP2014114727A5 (ko)
TWI619465B (zh)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716356B1 (ko) 포집과 배출이 일체로 된 고효율 와류팬
JP2014173580A (ja) 送風装置
KR101607502B1 (ko) 원심펌프
KR101596902B1 (ko) 흡입성능을 개선한 펌프의 흡입커버 및 이를 구비한 펌프
JP2016017500A (ja) 遠心送風機
KR20140124719A (ko) 배수 펌프
US10655636B2 (en) Centrifugal air blower
EP3364037A3 (en) Radial blower for suction hoods
JP6476011B2 (ja) ポンプ装置
KR101885227B1 (ko) 원심펌프용 케이싱
JP2013057275A (ja) 遠心ポンプ
JP2014077380A (ja) シロッコファン
JP2020063679A (ja) 遠心送風機
KR100420516B1 (ko) 송풍장치
JP2011007091A (ja) ポンプ
JP2018009499A (ja) ボルテックス形ポンプ用羽根車及びボルテックス形ポンプ
WO2019106991A1 (ja) 排水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