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227B1 - 원심펌프용 케이싱 - Google Patents

원심펌프용 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227B1
KR101885227B1 KR1020170150526A KR20170150526A KR101885227B1 KR 101885227 B1 KR101885227 B1 KR 101885227B1 KR 1020170150526 A KR1020170150526 A KR 1020170150526A KR 20170150526 A KR20170150526 A KR 20170150526A KR 101885227 B1 KR101885227 B1 KR 10188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diffuser vane
disposed
casing
front shr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파워펌프
Priority to KR102017015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48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펌프용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 슈라우드(111)와 후방 슈라우드(112) 사이에 다수개의 베인(113)이 배치된 임펠러(110)가 볼류트실(121)을 포함하는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120)의 상단 개구부에 케이싱 커버(130)가 장착되며, 전방 슈라우드(111)의 하단 둘레부(114)가 본체(12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22)의 상단 단턱부(123)에 배치되고, 후방 슈라우드(112)의 원형루프(115)의 외주면이 케이싱 커버(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원형림(13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본체(120)의 측부에 볼류트실(121)과 연결되는 토출구(124)가 형성되며, 회전축(140)이 케이싱 커버(130)의 센터 구멍(132)을 통해 임펠러(110)에 연결되는 원심펌프용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커버(13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제 1 디퓨져 베인(135 ; diffuser vane)이 형성되고, 제 1 디퓨져 베인(135)이 원형림(131)에서 외주면(133)으로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임펠러(110)의 전방 슈라우드(111)와 이와 마주보는 본체(120)의 하부 라이너(124)에 다수개의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형성되고,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흡입구(122)의 상단 단턱부(123)에서 볼류트실(121) 쪽으로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심펌프용 케이싱{CASING OF CENTRIFUGAL PUMP}
본 발명은 원심펌프용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임펠러의 후방 슈라우드와 마주보는 케이싱 커버에 제 1 디퓨져 베인이 형성되고, 임펠러의 전방 슈라우드와 마주보는 케이싱 본체의 하부 라이너에 제 2 디퓨져 베인이 형성되는 원심펌프용 케이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원심펌프는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흡입구(12)와 토출구(14)와 볼류트실(16)이 형성된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케이싱(10)에 결합되는 케이싱 커버(20)와, 케이싱 커버(20)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어링(32)을 포함하는 베어링 하우징(30)과, 베어링 하우징(30)의 베어링(32)에 지지되어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을 하는 회전축(40)과, 케이싱(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회전축(40)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러(5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임펠러(50)는 전방 슈라우드(51)와 후방 슈라우드(53) 사이에 다수개의 베인(55)이 배치되며, 전방 슈라우드(51)와, 후방 슈라우드(53)와, 베인(55)이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 슈라우드(51)의 중앙에 흡입구(52)가 형성되고, 후방 슈라우드(53)의 상부면에 원형 루프(54)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10)은 케이싱 커버(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원형 림(21)의 내주면에 임펠러(50)의 원형루프(54)의 외주면이 밀착되고, 케이싱 커버(20)와 후방 슈라우드(53) 사이에 상부 간극(g1)이 형성되며, 임펠러(50)의 전방 슈라우드(51)의 중앙에 형성된 흡입구(52)의 둘레부(52a)가 유입구(11)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12)에 배치되고, 임펠러(50)의 전방 슈라우드(51)와 이와 마주보는 하부 라이너(13) 사이에 하부 간극(g2)이 형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케이싱(10)은 원형 림(21)의 내주면에 원형루프(54)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케이싱 커버(20)와 후방 슈라우드(53) 사이의 상부 간극(g1)이 크게 형성되고, 임펠러(50)의 전방 슈라우드(51)의 흡입구(52)의 둘레부(52a)가 유입구(11)의 단턱부(12)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방 슈라우드(51)와 하부 라이너(13) 사이의 하부 간극(g2)이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임펠러(50)가 회전할 때, 임펠러(50)에 근접하게 배치된 유체는 임펠러(50)와 함께 회전하려는 성질을 갖고, 고정된 케이싱 커버(20) 및 하부 라이너(13)에 근접하게 배치된 유체는 움직이지 않으려는 성질을 갖고 있어, 상부 간극(g1)과 하부 간극(g2)이 클 경우, 상부 간극(g1)과 하부 간극(g2)에서 컷 워터(cut water) 현상이 발생하고, 컷 워터에 의해 터뷸런스(turbulence)가 발생하여, 임펠러의 회전이 저항을 받을 뿐만 아니라 펌핑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754240호(2017년 6월 29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케이싱과 임펠러와의 간격조절이 가능한 원심펌프 대한민국 특허 제10-0125642호(1997년 10월 8일, 등록) 발명의 명칭 : 판금제 원심펌프 케이싱 대한민국 특허 제10-0802853호(2008년 2월 1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원심펌프를 위한 케이싱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 커버의 하부면에 제 1 디퓨져 베인이 형성되고, 임펠러의 전방 슈라우드와 마주보는 케이싱 본체의 하부 라이너에 제 2 디퓨져 베인이 형성됨으로써, 임펠러의 후방 슈라우드와 케이싱 커버 사이의 상부 간극에 제 1 디퓨져 베인이 배치되고, 임펠러의 전방 슈라우드와 하부 라이너 사이의 하부 간극에 제 2 디퓨져 베인이 배치됨으로써, 제 1 및 제 2 디퓨져 베인에 의해 상부 간극과 하부 간극에서 컷 워터(cut water)에 의한 터뷸런스(turbulence)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터뷸런스에 의한 임펠러의 회전 저항 및 펌핑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펠러가 회전할 때 상부 간극 및 하부 간극에 채워진 유체를 볼류트실로 유도할 수 있는 원심펌프용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디퓨져 베인은 케이싱 커버와 임펠러의 후방 슈라우드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간극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져 베인은 임펠러의 전방 슈라우드와 본체의 하부 라이너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간극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심펌프용 케이싱은 전방 슈라우드와 후방 슈라우드 사이에 다수개의 베인이 배치된 임펠러가 볼류트실을 포함하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케이싱 커버가 장착되며, 전방 슈라우드의 하단 둘레부가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의 상단 단턱부에 배치되고, 후방 슈라우드의 원형루프의 외주면이 케이싱 커버의 하부면에 형성된 원형림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본체의 측부에 볼류트실과 연결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회전축이 케이싱 커버의 센터 구멍을 통해 임펠러에 연결되는 원심펌프용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커버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제 1 디퓨져 베인(diffuser vane)이 형성되고, 제 1 디퓨져 베인이 원형림에서 외주면으로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임펠러의 전방 슈라우드와 이와 마주보는 본체의 하부 라이너에 다수개의 제 2 디퓨져 베인이 형성되고, 제 2 디퓨져 베인이 흡입구의 상단 단턱부에서 볼류트실 쪽으로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디퓨져 베인은 케이싱 커버와 임펠러의 후방 슈라우드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간극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져 베인은 임펠러의 전방 슈라우드와 본체의 하부 라이너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간극에 배치되며, 제 1 디퓨져 베인과 제 2 디퓨져 베인은 곡선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임펠러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제 1 디퓨져 베인은 유체를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고, 제 2 디퓨져 베인은 유체를 안쪽으로 모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원심펌프용 케이싱 구조는 임펠러의 후방 슈라우드와 케이싱 커버 사이의 상부 간극에 제 1 디퓨져 베인되고, 임펠러의 전방 슈라우드와 하부 라이너 사이의 하부 간극에 제 2 디퓨져 베인이 배치됨으로써, 상부 간극과 하부 간극에서 컷 워터(cut water)에 의한 터뷸런스(turbulence)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터뷸런스에 의한 임펠러의 회전 저항 및 펌핑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펠러가 회전할 때 상부 간극 및 하부 간극에 채워진 유체를 볼류트실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원심펌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원심펌프용 케이싱을 도시한 확대 단면 상세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펌프용 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펌프용 케이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펌프용 케이싱을 도시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케이싱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심펌프용 케이싱은 전방 슈라우드(111)와 후방 슈라우드(112) 사이에 다수개의 베인(113)이 배치된 임펠러(110)가 볼류트실(121)을 포함하는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120)의 상단 개구부에 케이싱 커버(130)가 장착되며, 전방 슈라우드(111)의 하단 둘레부(114)가 본체(12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22)의 상단 단턱부(123)에 배치되고, 후방 슈라우드(112)의 원형루프(115)의 외주면이 케이싱 커버(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원형림(13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본체(120)의 측부에 볼류트실(121)과 연결되는 토출구(124)가 형성되며, 회전축(140)이 케이싱 커버(130)의 센터 구멍(132)을 통해 임펠러(110)에 연결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여기서, 상기 케이싱 커버(13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제 1 디퓨져 베인(135 ; diffuser vane)이 형성되고, 제 1 디퓨져 베인(135 ; 도 7 참조)이 원형림(131)에서 외주면(133)으로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임펠러(110)의 전방 슈라우드(111)와 이와 마주보는 본체(120)의 하부 라이너(124)에 다수개의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형성되고,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흡입구(122)의 상단 단턱부(123)에서 볼류트실(121) 쪽으로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디퓨져 베인(135)은 케이싱 커버(130)와 임펠러(110)의 후방 슈라우드(112)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간극(g3)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져 베인(125)은 임펠러(110)의 전방 슈라우드(111)와 본체(120)의 하부 라이너(124)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간극(g4)에 배치되며, 제 1 디퓨져 베인(135)과 제 2 디퓨져 베인(125)은 곡선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임펠러(1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제 1 디퓨져 베인(135)은 유체를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고, 제 2 디퓨져 베인(125)은 유체를 안쪽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임펠러(110)가 회전을 하면, 유체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임펠러(110)는 흡입구 방향으로 추력을 받는다. 이러한 추력은 펌프의 전체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펠러(1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제 1 디퓨져 베인(135)은 유체를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부 간극(g3)의 압력을 낮추고, 제 2 디퓨져 베인(125)은 유체를 안쪽으로 모으는 역할을 함으로써, 하부 간극(g4)의 압력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제 1 디퓨져 베인(135)과 제 2 디퓨져 베인(125)의 작용에 의해 임펠러(110)가 받는 추력이 상쇄됨으로써, 펌프의 전체적인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원심펌프용 케이싱은 케이싱 커버(130)와 임펠러(110)의 후방 슈라우드(112) 사이에 형성된 상부 간극(g3)에 제 1 디퓨져 베인(135)이 배치됨으로써, 제 1 디퓨져 베인(135)과 후방 슈라우드(112) 사이의 간극이 매우 작아, 임펠러(110)가 회전할 때, 제 1 디퓨져 베인(135)에 의해 상부 간극(g3)에 배치된 유체에 컷 워터(cut water)에 의한 터뷸런스(turbulence) 발생이 방지되어, 터뷸런스에 의한 임펠러(110)의 회전 저항 및 펌핑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디퓨져 베인(135 ; 도 8 참조)이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임펠러(110)가 회전할 때, 제 1 디퓨져 베인(135)이 상부 간극(g3)에 채워진 유체를 볼류트실(121)로 유도하게 된다.
또한, 하부 라이너(124)에 다수개의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형성되어, 임펠러(110)의 전방 슈라우드(111)와 하부 라이너(124)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간극(g4)에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배치됨으로써, 제 2 디퓨져 베인(125)과 전방 슈라우드(111) 사이의 간극이 매우 작아, 임펠러(110)가 회전할 때, 제 2 디퓨져 베인(125)에 의해 하부 간극(g4)에 배치된 유체에 컷 워터(cut water)에 의한 터뷸런스(turbulence) 발생이 방지되어, 터뷸런스에 의한 임펠러(110)의 회전 저항 및 펌핑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임펠러(110)가 회전할 때,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하부 간극(g4)에 채워진 유체를 볼류트실(121)로 유도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미설명한 도면부호 140은 회전축이고, 도면부호 150은 베어링 하우징이며, 도면부호 155는 베어링 하우징의 플랜지 링이고, 플랜지 링(155)이 본체(120)의 상단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27)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플랜지 링(155)과 플랜지부(127) 사이에 케이싱 커버(130)의 둘레부가 배치된다.
110 : 임펠러 111 : 전방 슈라우드
112 : 후방 슈라우드 120 : 본체
125 : 제 2 디퓨저 베인 130 : 케이싱 커버
135 : 제 1 디퓨져 베인 140 : 회전축

Claims (2)

  1. 전방 슈라우드(111)와 후방 슈라우드(112) 사이에 다수개의 베인(113)이 배치된 임펠러(110)가 볼류트실(121)을 포함하는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120)의 상단 개구부에 케이싱 커버(130)가 장착되며, 전방 슈라우드(111)의 하단 둘레부(114)가 본체(12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22)의 상단 단턱부(123)에 배치되고, 후방 슈라우드(112)의 원형루프(115)의 외주면이 케이싱 커버(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원형림(13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본체(120)의 측부에 볼류트실(121)과 연결되는 토출구(124)가 형성되며, 회전축(140)이 케이싱 커버(130)의 센터 구멍(132)을 통해 임펠러(110)에 연결되는 원심펌프용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커버(13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제 1 디퓨져 베인(135 ; diffuser vane)이 형성되고, 제 1 디퓨져 베인(135)이 원형림(131)에서 외주면(133)으로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임펠러(110)의 전방 슈라우드(111)와 이와 마주보는 본체(120)의 하부 라이너(124)에 다수개의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형성되고, 제 2 디퓨져 베인(125)이 흡입구(122)의 상단 단턱부(123)에서 볼류트실(121) 쪽으로 방사상으로 인벌류트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펌프용 케이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퓨져 베인(135)은 케이싱 커버(130)와 임펠러(110)의 후방 슈라우드(112)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 간극(g3)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져 베인(125)은 임펠러(110)의 전방 슈라우드(111)와 본체(120)의 하부 라이너(124)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간극(g4)에 배치되며, 제 1 디퓨져 베인(135)과 제 2 디퓨져 베인(125)은 곡선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임펠러(110)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제 1 디퓨져 베인(135)은 유체를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고, 제 2 디퓨져 베인(125)은 유체를 안쪽으로 모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펌프용 케이싱.
KR1020170150526A 2017-11-13 2017-11-13 원심펌프용 케이싱 KR10188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26A KR101885227B1 (ko) 2017-11-13 2017-11-13 원심펌프용 케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526A KR101885227B1 (ko) 2017-11-13 2017-11-13 원심펌프용 케이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227B1 true KR101885227B1 (ko) 2018-08-03

Family

ID=6325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526A KR101885227B1 (ko) 2017-11-13 2017-11-13 원심펌프용 케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450B1 (ko) * 2021-04-22 2021-10-18 주식회사 두크 원심펌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5000A (ja) * 2008-07-22 2010-02-04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遠心流体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5000A (ja) * 2008-07-22 2010-02-04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遠心流体機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450B1 (ko) * 2021-04-22 2021-10-18 주식회사 두크 원심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7449B1 (en) A centrifugal pump and an impeller thereof
US9239056B2 (en) Pump impeller and submersible pump having such pump impeller
CN106907348B (zh) 叶轮及使用该叶轮的泵
WO2008094801A4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axial thrust and radial oscillations and rotary machines using same
GB2542233A (en) Rotary parts for a slurry pump
KR101607502B1 (ko) 원심펌프
KR101885227B1 (ko) 원심펌프용 케이싱
JP2011208558A (ja) 遠心式流体機械
JP2014152637A (ja) 遠心圧縮機
JP5568383B2 (ja) ウォータポンプ
KR101596902B1 (ko) 흡입성능을 개선한 펌프의 흡입커버 및 이를 구비한 펌프
JP2001073993A (ja) 遠心式流体機械
KR102432443B1 (ko) 베어링 윤활제의 누설방지구조를 갖는 펌프
KR101881086B1 (ko) 입형다단펌프용 스테이지
JP2019070333A (ja) 水中ポンプ
JP2011007091A (ja) ポンプ
KR102451295B1 (ko) 펌핑압력 증가형 수중펌프
KR100917250B1 (ko) 축추력 자동조절을 위한 벨로우즈장치를 구비한 터보기계
JP2020148111A (ja) 遠心ポンプ
CN217682310U (zh) 一种用于小流量高扬程的悬臂式离心泵
JP5766461B2 (ja) ポンプ装置
JP2019190338A (ja) 自吸式ポンプ
KR102313450B1 (ko) 원심펌프
KR200216272Y1 (ko) 원심형 다단 고압급수펌프
JP2019100271A (ja) 汚水用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