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646B1 -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 - Google Patents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646B1
KR101238646B1 KR1020090095896A KR20090095896A KR101238646B1 KR 101238646 B1 KR101238646 B1 KR 101238646B1 KR 1020090095896 A KR1020090095896 A KR 1020090095896A KR 20090095896 A KR20090095896 A KR 20090095896A KR 101238646 B1 KR101238646 B1 KR 101238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ating method
coating
composit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751A (ko
Inventor
윤태호
김진준
채희원
현승수
공수성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6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 코팅물을 분사하여 준 분체 혼합물을 압력 변화와 함께 공기 충돌 분쇄하여 얻는, 공기 충돌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종래의 분체 코팅법인 건식법의 단순 공정 시스템과 습식법의 완전 코팅 시스템 2가지 장점을 모두 갖춘 새로운 분체 코팅법인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하여 고체상 화장조성물을 세분화하였다. 이로 인하여 입경의 감소와 표면적 증가를 이룰 수 있는 더 미소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발수성, 피부 밀착성 및 화장 지속성을 가지며, 다른 체질안료를 도와 화장막이 얇고 깨끗하게 도포될 수 있게 하는 보조 윤활제 기능뿐만 아니라 미세한 입자감에 의한 빛에 대한 산란효과로 피부결점 완화, 주름 사이사이 매끄럽게 고정화되어 피부주름을 케어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 화장료, 분체, 코팅

Description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Complex Cosmetic Composition Using Air Collision Crush Coat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mplex Cosmetic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충돌 분쇄에 의해 고체상 화장조성물을 세분화하여 입경의 감소와 표면적 증가를 가져오는 더 미소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분체 혼합물을 파우더 혼합기에 넣어 혼합한 후, 복합 코팅물을 배합하여 이 분체 혼합물에 분사한 다음, 이를 공기 충돌 분쇄기에 넣어 분쇄압력 변화를 주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하여 얻는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더 분쇄 방식에는 볼밀(ball mill), 디스인테크레이터, 스크 린 밀, 마멀분쇄기, 핀밀 등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분쇄는 기계적으로 파우더를 충돌하여 분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균일한 입경을 갖는 분체를 얻기 힘들고 공정 중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분체 고유의 물성이 변하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분체를 화장시료에 적용했을 때 피부의 고른 화장막을 형성할 수 없고 피지나 땀에 의한 화장 지속력이 떨어지게 되며 주름이나 모공이 도드라져 보이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톤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파우더 화장 조성물에는 탈크, 마이카, 실리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합성 유기 고분자, 천연 고분자, 산화철계 색소 등 다양하다. 여기서, 탈크, 마이카, 실리카, 산화아연, 이산화티탄과 같은 안료는 대부분 천연에서 얻어지는 광물이다. 분자 구조적으로 이들 안료들은 분자 내에 산소 분자가 포함되어 있어 공기 중의 수분, 피부의 땀과 피지 등에 쉽게 친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메이컵 시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는 반면에 피지와 땀에 의해 화장막 무너짐은 물론 화장지속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분체 표면에 다양한 발수 코팅을 하는 방법으로 이산화티탄 입자 표면을 실리콘계 수지로 코팅한 분체(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32629호)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추가적으로 건조과정을 통해 분사매를 회수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 공정을 거쳐야하므로 부대시설 및 관리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코팅된 분체를 분체 표면 발수 코팅하는 방법에는 건식코팅법과 습식코팅법이 있다. 건식코팅법은 단순히 분체 표면에 임의의 코팅액을 직 접 미분사하여 코팅하는 방식이고, 습식코팅법은 임의의 코팅액을 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분산매에 희석시켜 코팅할 수 있는 부피중량비를 높인 후, 분체를 희석용제에 충분이 담가 완전 코팅시키는 방식이다. 또한 건식코팅법은 오일 함량이 소량인 경우,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분체의 표면에 완전 코팅되지 않는 단점을 갖고 있어 땀과 오일에 대한 발수, 발유 특성이 좋지 않은 특성을 갖는다. 반면에 습식코팅법은 임의의 코팅액이 소량이어도 분산 용제에 희석해서 희석액의 부피비를 높여 분체를 충분히 담그기 때문에 분체 표면 위에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건조과정을 통해 분산매를 회수하고 코팅된 분체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분체는 우수한 발수 및 발유 특성을 갖는 반면에 여러 가지 추가 공정을 거쳐 화장 조성물을 얻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비싸고 공정 중에 부산물이 생성되어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부대시설 및 관리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기계적으로 파우더를 충돌하여 분쇄하는 방식이 균일한 입경을 갖는 분체를 얻기 힘들며 공정 중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분체 고유의 물성이 변하고, 이러한 분체를 화장시료에 적용시, 피부의 고른 화장막을 형성할 수 없고, 낮은 화장 지속력과 주름이나 모공이 도드라져 보이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부 톤이 떨어지는 문제를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를 이용하여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로서,
복합 코팅물을 분사하여 준 분체 혼합물을 압력 변화와 함께 공기 충돌 분쇄하여 얻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0.1 내지 17 중량%의 이산화티탄, 0.1 내지 17 중량%의 산화아연, 1.0 내지 99.4 중량%의 마이카, 0.1 내지 30 중량%의 실리카를 혼합하여 분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디메티콘(Dimethicone)의 함량을 0.1 내지 10 중량%, 실리콘 검(Silicone Gum)의 함량을 0.1 내지 10 중량%,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Triethoxycaprylsilane)의 함량을 0.1 내지 15 중량%로 하여 20 내지 30℃에서 교반 조건하에서 완전 용해한 복합 코팅물 조성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및
공기 충돌 분쇄기의 압력 변화를 2.0bar 내지 최대 8.0bar로 변화를 주어 복합 화장료 조성물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 30 내지 85 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1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는 종래 분체 코팅법인 건식법의 단순 공정 시스템과 습식법의 완전 코팅 시스템의 2가지 장점을 모두 갖춘 새로운 분체 코팅법으로, 고체상 화장조성물을 세분화하여 입경의 감소와 표면적 증가를 이룰 수 있는 더 미소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우수한 발수성, 피부 밀착성 및 화장 지속성을 가지며, 다른 체질안료를 도와 화장막이 얇고 깨끗하게 도포될 수 있게 하는 보조 윤활제 기능뿐만 아니라 미세한 입자감에 의한 빛에 대한 산란효과로 피부 결점 완화, 주름 사이사이 매끄럽게 고정화되어 피부주름을 케어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로서, 복합 코팅물을 분사하여 준 분체 혼합물을 압력 변화와 함께 공기 충돌 분쇄하여 얻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 혼합물로서 백색 안료인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와 체질안료인 마이카, 실리카를 파우더 혼합기에 넣어 혼합한 후, 디메티콘(Dimethicone), 실리콘 검(Silicone Gum), 트리에톡시카프리실란(Triethoxycaprylsilane)이 용해된 오일을 파우더 혼합기에 장착된 노즐을 통해 분사 코팅 후, 공기충돌 분쇄기에 넣고 압력변화를 주어 공기 충돌 분쇄시킴으로써 공기 분쇄 충돌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처럼 분자 내에 산소를 포함하는 산화물의 경우 자체 응집력이 크기 때문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분쇄 공정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 고른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일정시간 방치하게 되면 다시 응집하기 때문에 제품의 사용감적인 질(quality)에 큰 영향을 준다. 새로운 분쇄 방식인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하여 2 내지 8 bar의 공기 흐름 속에 분체들 간의 자연스런 충돌에 의해 분쇄되고 공정 중에 열(heat)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화장료 본연의 물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공기충돌 분쇄기 내에 입경을 제 어하는 분급기(classificator)를 통해 화장료 입경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균일하게 얻어진 화장 조성물을 제형에 적용하면 피부 위에 고른 화장막 형성 및 주름, 모공 케어 효과뿐만 아니라 우수한 화장 지속성을 갖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평균입도는 3 내지 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은 분체 혼합물에 임의의 코팅액을 1차 분사한 후, 공기 충돌 분쇄를 통해 균일한 입경 및 균일한 코팅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공정제어가 쉽고, 연속 공정으로 높은 수율을 가지며, 평균 3 내지 11㎛의 좁은 입도 분포를 갖는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건식코팅법의 단순 공정 시스템과 습식코팅법의 완전 코팅 시스템 2가지 장점을 모두 갖춘 새로운 분체 코팅법이다.
여기서, 상기 분체 혼합물은 1차 파우더 상으로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이산화티탄의 함량을 0.1 내지 17 중량%, 산화아연의 함량을 0.1 내지 17 중량%, 마이카 함량을 1 내지 99.4 중량%, 실리카 함량을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복합 코팅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디메티콘(Dimethicone) 0.1 내지 10 중량%, 실 리콘 검(Silicone Gum) 0.1 내지 10 중량%,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Triethoxycaprylsilane) 0.1 내지 15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때, 상기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100중량%을 채우기 위해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충진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로는 탈크 파우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화장료 조성물에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색소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쇄 압력을 2.0 내지 8.0 bar로 변화를 주어 분쇄 코팅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은 발수성 및 전연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얇고 화사하게 도포되고, 화장 지속력이 우수하며, 미세한 입자감으로 피부 밀착성과 전연성 그리고, 백색안료인 이산화티탄, 산화아연의 완전 분산으로 피부 결점을 자연스럽게 완화하는 효과 등 우수한 특성을 갖는 복합 화장료 조성물로 여러 가지 제형에 폭넓게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0.1 내지 17 중량%의 이산화티탄, 0.1 내지 17 중량%의 산화아연, 1.0 내지 99.4 중량%의 마이카, 0.1 내지 30 중량%의 실리카를 혼합하여 분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디메티콘(Dimethicone)의 함량을 0.1 내지 10 중량%, 실리콘 검(Silicone Gum)의 함량을 0.1 내지 10 중량%,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Triethoxycaprylsilane)의 함량을 0.1 내지 15 중량%로 하여 20 내지 30℃에서 교반 조건하에서 완전 용해한 복합 코팅물 조성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및
공기 충돌 분쇄기의 압력 변화를 2.0 bar 내지 최대 8.0 bar로 변화를 주어 복합 화장료 조성물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평균입도는 3 내지 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이다.
또한, 상기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 30 내지 85 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1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베이스는 파우더팩트, 투웨이케익, 페이스파우더, 아이섀도우, 블러셔, 액상, 크림, 파운데이션, 케익형 파운데이션, 스틱형 파운데이션, 펜슬, 립스틱, 마스카라, 네일에나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화장료 베이스에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성분을 사용하면 무방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술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1
일반분쇄법은 횟수를 최초 1회부터 5회까지 달리하여 처리하였고, 공기충돌 분쇄법은 압력을 최초 2bar부터 8bar까지 변화를 주어 분쇄 처리하여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분석하였다.
상기 일반 분쇄법은 보통 해머 분쇄라고 하며, 해머와 파우더의 충돌에 의해 분쇄되는 원리로 해머와 파우더간의 충돌에 의한 분쇄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0.1 내지 17 중량%의 이산화티탄, 0.1 내지 17 중량%의 산화아연, 1.0 내지 99.4 중량%의 마이카, 0.1 내지 30 중량%의 실리카를 혼합하여 분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디메티콘(Dimethicone)의 함량을 0.1 내지 10 중량%, 실리콘 검(Silicone Gum)의 함량을 0.1 내지 10 중량%,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Triethoxycaprylsilane)의 함량을 0.1 내지 15 중량%로 하여 20 내지 30℃에서 교반 조건하에서 완전 용해한 복합 코팅물 조성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및
공기 충돌 분쇄기의 압력 변화를 2.0 bar 내지 최대 8.0 bar로 변화를 주어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61832856-pat00001
상기 표 1과 도면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분쇄법은 분쇄 횟수를 최초 1회부터 5회까지 달리하여 처리하였고, 공기충돌 분쇄법은 압력을 최초 2bar부터 8bar까지 변화를 주어 분쇄 처리한 결과, 일반 분쇄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은 처리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평균 입도 약 10.0㎛로 그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공기 충돌 분쇄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분쇄압 2bar로 처리할 때 얻어진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평균입도와 유사하다. 공기충돌 분쇄압을 4bar로 처리시 평균입도가 9.5㎛, 분쇄압 5bar 처리시 평균입도 7.8㎛, 분쇄압 6bar 처리시 평균입도 5.9㎛, 분쇄압 7 bar 처리시 평균입도 5.2㎛, 분쇄압 8bar 처리시 평균입도 4.7㎛로 일반 분쇄법 보다 평균 입도가 현저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분쇄 코팅법에 따른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발수시험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코팅공정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물 85 내지 99.9 중량%와 메틸알코올 0.1 내지 15 중량% 혼합용액으로 발수 시험 결과, (a)건식코팅법으로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은 일정시간 경과 후 물에 현탁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c)습식코팅법 및 (b)공기충돌 분쇄 코팅법으로 제조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발수 특성이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써 파우더 표면 코팅에 있어서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이 습식 코팅법과 거의 유사한 코팅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 제조방법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분체
혼합물
이산화티탄 0.1 17.0 18.0 20.0 22.0 24.0
산화아연 0.1 17.0 18.0 20.0 22.0 24.0
마이카
(총 100중량 %를 위한 충진제)
85.5 17 15.0 11.0 7.0 3.0
실리카 12.0 12.0 12.0 12.0 12.0 12.0
색소 ( YELLOW, RED, BLACK) 2.0 2.0 2.0 2.0 2.0 2.0
복합
코팅물
디메티콘(Dimethicone) 0.1 10.0 10.0 10.0 10.0 10.0
실리콘검 0.1 10.0 10.0 10.0 10.0 10.0
트리에톡시카프릴살란 0.1 15.0 15.0 15.0 15.0 15.0
상기 표 2에 나타낸 조성(단위:중량%)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분체 혼합물을 계량한 후, 고속혼합기에 넣고 3분간 고속 혼합을 실시한다.
2) 코팅 복합물을 계량한 후, 완전 혼합하여 제조방법 1에 투입하고 2분간 1차 분산시킨 후, 바닥과 외벽에 붙은 파우더 군집체를 긁어준 후 다시 2분간 2차 분산 처리한다.
3) 상기 2)를 공기 충돌 분쇄기를 이용하여 1회 분쇄코팅을 실시한다.
여기서, 마이카는 전체 조성물의 100중량%를 맞추기 위해 충진제로 사용하였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충진제의 이용이 가능하다.
시험예 3 물성평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축파우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을 전문 패널 요원 30명이 1개월간 사용하게 한 후, 물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품질을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밀착감 3.7 4.2 4.0 4.2 4.2 4.3
피부 도포감 3.6 4.1 3.8 3.5 3.3 3.3
가루날림 3.7 4.2 4.2 4.2 4.2 4.3
화사한 마무리감 3.5 4.1 2.0 2.5 2.9 3.1
퍼짐성 4.3 3.5 2.7 3.0 3.2 3.3
화장지속성 3.2 4.1 4.1 4.2 4.2 4.2
평가기준 ( 매우 우수 : 5 , 우수 : 4, 보통 : 3, 부족 : 2, 아주 부족 : 1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3, 4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에 이용하여 제조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로 이산화티탄이 0.1 내지 최대 17.0 중량 %, 산화아연 0.1% 내지 최대 17.0 중량 % 의 조성비로 혼합한 경우, 피부 밀착성, 화사한 마무리감, 전연성 그리고 화장지속력 등 우수한 특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1, 2, 3, 4, 경우처럼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의 함량이 18.0 중량 % 이상인 경우, 산화물의 함량이 높아 피부 전연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고, 또한 백색도가 높아 화사한 마무리감 보다는 얼굴에 들떠보이는 현상 및 두꺼운 메이컵으로 화장 조성물로 사용감적 특성이 낮은 품평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내지 4 및 비교예 5 내지 10 제조방법
하기 표 4에 나타낸 조성(단위:중량%)으로 실시예 3 내지 4 및 비교예 5 내지 10의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인 압축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동일 조건 하에서 실험하기 위하여,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함량의 변화에 따라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실리카(Silica), 마이카(Mica)를 첨가하였으며, 탈크(Talc)를 이용하여 전체 중량%를 맞췄다.
1) 평균입도 3 내지 11㎛의 복합 화장료 조성물과 그외 파우더상을 계량한 후, 고속혼합기에 넣고 3분간 고속 혼합을 실시한다.
2) 바인더상을 계량한 후, 완전 혼합하여 제조방법 1에 투입하고 2분간 1차 분산시킨 후, 바닥과 외벽에 붙은 파우더 군집체를 긁어준 후 다시 2분간 2차 분산 처리한다.
3) 상기 2)를 헴머타입의 분쇄기 넣고 2회 분쇄를 실시한다.
(단위:중량%)
구분 성분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파우더상 복합 화장료 조성물 복합 화장료 조성물 30.0 85.0 5.0 10.0 15.0 20.0 25.0 90.0
화장료 베이스 이산화티탄 5.0 1.5 25.0 15.0 10.0 7.5 6.0 -
산화아연 5.0 1.5 25.0 15.0 10.0 7.5 6.0 -
마이카 12.0 4.0 10.0 10.0 10.0 10.0 11.0 -
실리카 6.0 2.0 8.0 8.0 8.0 7.0 7.0 -
탈크 36.0 3.5 20.0 35.0 40.0 41.5 38.5 2.0
바인더상 스쿠알란(Squalane) 4.0 1.5 5.0 5.0 5.0 4.5 4.5 6.0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Triethoxycaprylsilane) 2.0 1.0 2.0 2.0 2.0 2.0 2.0 2.0
시험예 4 물성평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압축파우더, 실시예 3 내지 4 및 비교예 5 내지 10을 전문 패널 요원 30명이 1개월간 사용하게 한 후, 물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품질을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밀착감 3.7 4.2 3.5 3.4 3.7 3.6 3.7 3.3
피부 도포감 3.6 4.1 2.4 3.0 3.4 3.5 3.5 2.6
가루날림 3.7 3.4 3.0 3.2 3.1 3.2 3.5 3.0
화사한 마무리감 3.6 4.1 2.0 2.5 2.9 3.1 3.1 3.0
퍼짐성 3.8 4.3 2.7 3.0 3.2 3.3 3.4 4.1
화장지속성 3.2 4.4 2.4 2.7 2.9 3.2 3.2 3.1
평가기준 ( 매우 우수 : 5 , 우수 : 4, 보통 : 3, 부족 : 2, 아주 부족 : 1 )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 4는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함량을 압축파우더에 30 내지 85 중량%으로 배합한 경우,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고, 화사한 마무리감, 전연성 그리고 화장지속력 등 우수한 특성이 나타났다. 비교예 5, 6, 7, 8, 9의 경우 복합 화장료 조성물이 5 내지 25중량%로 증가함에 따라 사용감적 특성이 점점 개선됨을 알 수 있으나 실시예 3, 4에 비교했을 때 그 배합 함량이 적어 사용감적 특성뿐만 아니라 화장 지속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품평결과를 얻었다. 또한, 비교예 10의 경우, 압축 파우더의 가루 날림 발생 및 낙하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져 피부에 도포시 고른 화장막 형성이 되지 않아 사용감적 특성이 낮은 품평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의 (a)는 일반 분쇄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SEM 관찰 사진이며, (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충돌 분쇄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SEM 관찰 사진이다.
도 2는 공기 충돌 분쇄 장치이다.
도 3은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파우더 분쇄 시스템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분쇄 코팅법에 따른 복합 화장료 조성물의 발수 시험 결과 사진으로, (a) 건식코팅법으로 제조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b)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으로 제조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c) 습식코팅법으로 제조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이다.

Claims (10)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마이카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분체에 디메티콘(Dimethicone), 실리콘 검(Silicone Gum),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Triethoxycaprylsilane)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코팅액을 분사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코팅액을 분사한 분체를 공기충돌분쇄기(Air Jet Mill)에 투입하여 2.0 bar 내지 8.0 bar 압력변화 조건에서 평균 입도 3-11 ㎛로 분쇄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7 중량%의 이산화티탄, 0.1 내지 17 중량%의 산화아연, 1 내지 99.4 중량%의 마이카 및 0.1 내지 30 중량%의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디메티콘(Dimethicone) 0.1 내지 10 중량%, 실리콘 검(Silicone Gum) 0.1 내지 10 중량%, 트리에톡시카프릴실란(Triethoxycaprylsilane) 0.1 내지 15 중량%가 용해된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95896A 2009-10-09 2009-10-09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 KR10123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96A KR101238646B1 (ko) 2009-10-09 2009-10-09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896A KR101238646B1 (ko) 2009-10-09 2009-10-09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51A KR20110038751A (ko) 2011-04-15
KR101238646B1 true KR101238646B1 (ko) 2013-02-28

Family

ID=4404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896A KR101238646B1 (ko) 2009-10-09 2009-10-09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768B1 (ko) * 2012-02-14 2014-05-12 한국콜마주식회사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을 무기바인더로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190A (ko) * 1998-06-09 2000-01-15 서경배 색조화장료용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제조된복합분체를 함유하는 색조화장료
KR100779332B1 (ko) 2001-04-27 2007-11-27 애경산업(주)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190A (ko) * 1998-06-09 2000-01-15 서경배 색조화장료용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의해 제조된복합분체를 함유하는 색조화장료
KR100779332B1 (ko) 2001-04-27 2007-11-27 애경산업(주) 메이크업 화장료용 냉감 분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751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604B1 (ko) 판상 산화세륨과 그 집합체인 꽃잎 형상 산화세륨 분말체, 그 제조 방법, 피복 처리한 판상 산화세륨과 그 집합체인 꽃잎 형상 산화세륨 분말체, 및 화장료
CN101652320B (zh) 造粒二氧化硅粒子、复合粉末和它们的制备方法以及含有它们的化妆品
CN102368993A (zh) 具有易分散性的亲油化表面处理粉体及掺入了该粉体的化妆品
EP2409684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wdery composition and powdery cosmetic
KR10138844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08202A (ko) 인편 형상 유리가 배합된 화장료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JP2015511651A (ja) 被処理板状基材
JP2018512412A (ja) タルク微粒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20220027995A (ko) Nε-장쇄 아실 라이신 결정의 제조 방법 및 그 결정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18225310A1 (ja) 粉体改質剤および複合粉体、ならびにメイクアップ化粧料
CN115252443A (zh) 一种防晒复合物及含有该防晒复合物的干湿两用防晒粉饼
JP5593568B2 (ja) 板状ベーマイト及び板状アルミナ系粉体の製造方法
KR101238646B1 (ko) 공기 충돌 분쇄 코팅법을 이용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복합 화장료
JP2011037812A (ja) 処理顔料及び化粧料
US7067157B2 (en) Flaky α-alumina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702035B1 (ko) 분체 화장료서의 입체 3차원 테라코타 색조 화장료의 조성 및 제조 방법
KR101380373B1 (ko) 휘발성 혼합 용제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8B1 (ko) 보습 지속력이 우수한 에멀전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116545B1 (ko) 옥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356703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2395903B1 (ko) 화장료 조성물
JP5543053B2 (ja) 粉末化粧料
JP3492937B2 (ja) 化粧料
EP3470050A1 (en) Use of calcined kaolin as a mattifying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