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424B1 -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424B1
KR101238424B1 KR1020110086046A KR20110086046A KR101238424B1 KR 101238424 B1 KR101238424 B1 KR 101238424B1 KR 1020110086046 A KR1020110086046 A KR 1020110086046A KR 20110086046 A KR20110086046 A KR 20110086046A KR 101238424 B1 KR101238424 B1 KR 101238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chaff
mixture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11008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6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organic solids or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6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organic solids or fibres
    • A61F2007/0207Plants, dried plants, seeds or fr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다공성인 왕겨숯을 이용하여 발효되는 과정에서 냄새를 발생시키는 미립자를 흡착함으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에서 찜질을 할 수 있으며, 지속되는 발열상태에서 전신을 찜질함으로 피부의 노폐물을 땀으로 배출하고, 몸에 해로운 독소를 제거하여 피부미용과 국민건강에 일조할 수 있는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destitute of smell sauna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e method using chaff charcoal}
본 발명은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다공성인 왕겨숯을 이용하여 냄새를 발생시키는 미립자를 흡착함으로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에서 찜질을 할 수 있으며, 적절한 온도를 유지한 발열상태에서 전신을 찜질하여 피부의 노폐물을 땀으로 배출하고, 몸에 해로운 독소를 제거하여 피부미용과 국민건강에 일조할 수 있는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찜질조성물들은 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17547과 같이 녹차 분말 및 쑥 분말, 숯 분말, 발열제를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녹차 분말 및 쑥 분말, 발열제를 넣어 발효를 시키는 동안에 숯의 분말이 유해가스 및 곰팡이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고 기재하였으나 발효되는 동안 및 찜질을 하는 일정시간 지난 뒤에는 숯의 효과가 사라져 청국장과 같은 냄새가 발생하게 되고 사용자들에게 불쾌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과 발열제를 사용하여 발효할 시에는 찜질할 수 있는 적당한 온도에 도달되는 발효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선행문헌 대한민국 10-2011-81928은 쌀겨와 커피 및 광물을 사용하여 발효하고 있으나, 이 또한 발효 중에 냄새가 발생되고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커피가 필요하고, 발효를 시키는 과정에서 커피의 향이 사라지고 발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커피의 향이 섞여 더욱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고, 상기 냄새를 제거하고 커피의 향기가 지속되도록 재차 커피를 투입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나아가서는 미세한 입자인 커피가 공기를 차단하여 발효가 잘되지 않고 열이 떨어져 찜질을 행할 수 없어 폐기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917547 B1 2009.09.16. KR 10-2011-0081928 2011.07.15(공개).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발효 찜질조성물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왕겨숯을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공기의 순환이 잘되어 미생물이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에게 쾌적한 공간 속에서 찜질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왕겨를 숯으로 만든 왕겨숯 70 중량%에 옻나무를 작은 입자로 분쇄한 목분 15 중량% 및 미강에서 기름을 추출해낸 탈지강 5 중량%, 건조된 왕겨 10 중량%를 배합하여 찜질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배합된 찜질조성물을 20kg 단위로 자루에 담는 단계;
통에 물과 미생물을 투입한 후 믹싱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자루에 담은 찜질조성물과 혼합물을 중량비 8:2로 찜질욕조에 반복적으로 투입하여 찜질욕조의 2/3 높이까지 투입하는 단계;
상기 찜질욕조에 찜질조성물과 혼합물이 투입된 단계 이후 상온에서 48시간 자연 발효하는 단계;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발효되는 과정에서 냄새를 발생시키는 미립자를 다공성인 왕겨숯이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찜질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인체에서 땀이 배출될 수 있는 적절한 온도인 65℃를 유지한 상태에서 찜질을 제공하여 피부에서 땀으로 노폐물을 배출하고, 몸에 해로운 독소를 동시에 제거함으로 피부미용과 마사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미생물이 왕성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공기와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여 왕겨와 목분, 미강의 섬유질을 섭취하고 발효가 되는 과정에서 열을 발생하며, 상기 열을 이용하여 인체의 노폐물을 땀으로 배출시키고 인체에 해로운 독소를 제거하여 마사지 및 찜질 효과를 제공한다.
1) 찜질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왕겨를 숯으로 만든 왕겨숯 70 중량%에 옻나무를 작은 입자로 분쇄한 목분 15 중량% 및 미강에서 기름을 추출해낸 탈지강 5 중량%, 건조된 왕겨 10 중량%를 배합하여 찜질조성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배합되는 숯은 나무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숯을 사용하지 않고 왕겨를 숯으로 만들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고, 미세한 입자의 구조인 다공이 형성된 왕겨숯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목재로 만들어진 숯을 사용할 경우 그 입자의 끝이 뾰족하거나 날이 서 있어 찜질할 시 피부에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왕겨숯은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럽게 형성되고, 원래 형태인 타원형상으로 유지되어 피부의 접촉 시 거부감이 없으며,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왕겨숯은 탄화(炭火)될 때 세포벽이 타들어가면서 무수히 많은 구멍이 생기는데 이 구멍들은 자신의 빈 공간을 채우려고 강한 흡착력을 발휘해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냄새를 왕겨숯의 구멍에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하여 냄새 없는 찜질매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해로운 목분의 독소 등을 흡착하여 독소를 중화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그 표면적은 왕겨숯 1g당 200평 이상의 면적이 되고, 왕겨 자체의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숯보다 흡착성과 통기성 및 보비력이 뛰어나다.
상기 미강(米糠)은 현미를 도정하여 정백미를 만들 때 생기는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의 분쇄혼합물로, 표준 화학조성을 보면 수분 13.5%, 단백질 13.2%, 지방 18.3%, 당질 38.3%, 섬유 7.8%, 회분(灰分) 8.9%이고 비타민 B1은 100g 중 2.5mg이나 들어 있으며 비타민 E도 많이 들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미강에서 지방을 뺀 탈지강으로 사용하며, 본 발명에 배합할 수 있도록 설탕의 입자의 2개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 탈지강은 미강에서 지방을 추출하고, 다른 성분은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 보존이 가능하고, 보관 온도와 장소를 구애받지 않으며, 의약품, 기초제 등에 사용된다.
상기 목분(木粉)은 옻나무를 쌀알 크기보다는 작고 좁쌀의 크기보다 큰 입자로 분쇄하여 2~3일 자연건조 시킨다.
상기 왕겨는 벼에서 얻어지는 나락을 도정하여 얻어지며, 쌀을 감싸고 있는 겉겨로 나오는 회분은 대략 90%이상이 이산화규소이며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 등이 비교적 많이 들어있다.
2) 배합된 찜질조성물을 20kg 단위로 자루에 담는 단계
배합된 찜질조성물을 찜질욕조에 넣을 시 미생물 및 수분의 양을 일정한 비율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도록 활동공간을 확보하여 원활한 번식과 골고루 발효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시간 찜질조성물을 투입하지 않고도 충분한 공간과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미생물이 오랜 시간 번식하여 발효가 일어나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재차 교반기 또는 삽으로 교반할 필요 없는 것이다.
3) 통에 물과 미생물을 투입한 후 믹싱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찜질조성물에 수분과 미생물을 투입하기 위해 통에 5ℓ 물과 미생물 50㎖를 넣고 믹싱장치 또는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섞어 혼합물을 완성한다.
상기 미생물은 주로 청국장의 주재료인 바실러스균으로 사용한다.
상기 바실러스균은 40~45℃에서 잘 자라며, 발암물질을 감소시키고 유해물질을 흡착해서 몸 밖을 배설시켜 몸에서 유해세균을 제거해 동맥경화 예방과 항암작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그 외 고혈합 및 골다공증, 성인병, 치매, 당뇨, 변비 등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4) 자루에 담은 찜질조성물과 혼합물을 찜질욕조에 반복적으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찜질조성물 80 중량%에 물 5ℓ와 미생물 50㎖를 혼합한 혼합물 20 중량%를 찜질욕조에 투입하고, 상기 찜질욕조의 2/3 높이까지 찜질조성물과 혼합물을 중량비 8:2로 반복적으로 투입한다.
상기 찜질욕조에 자루 담긴 찜질조성물을 투입할 시 찜질욕조의 한쪽으로 쌓이지 않도록 골고루 넓게 편다.
상기 혼합물은 물뿌리개 등으로 사용하여 찜질욕조에 투입된 찜질조성물에 고루고루 뿌려준다.
보통 찜질조성물이 담긴 자루 16~17포대를 투입하고 혼합물 16~17통을 투입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찜질욕조는 높이 800㎜, 길이 2200㎜, 폭 1400㎜으로 목재 등으로 제작하여 사람이 누워도 미생물의 활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찜질하는 동안에도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함으로 온도가 떨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찜질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투입하면 찜질조성물이 뭉치는 현상이 없고 고루고루 미생물이 분포할 수 있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원활하게 공기가 공급되며, 적절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5) 상온에서 48시간 자연발효 단계
상기 찜질욕조에 찜질조성물과 혼합물이 투입된 단계이후 상온에서 48시간 자연발효하면 인체에서 땀이 배출될 수 있는 적절한 온도인 65℃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찜질욕조에 투입된 찜질조성물과 혼합물은 다공성 왕겨숯에 의해 추가적인 교반작업 없이 공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고, 숙성되는 과정에서 40~45℃에 발효가 되고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여 찜질하기 좋은 65℃로 상승하게 되고, 찜질할 시 피부에서 땀으로 노폐물을 배출하고, 몸에 해로운 독소를 제거함으로 피부미용과 마사지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다공성인 왕겨숯을 이용하여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흡착하여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냄새 없는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찜질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왕겨를 숯으로 만든 왕겨숯 70 중량%에 옻나무를 작은 입자로 분쇄한 목분 15 중량% 및 미강에서 기름을 추출해낸 탈지강 5 중량%, 건조된 왕겨 10 중량%를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찜질조성물 80 중량%에 물 5ℓ와 미생물 50㎖를 혼합한 혼합물 20 중량%를 찜질욕조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3. 왕겨를 숯으로 만든 왕겨숯 70 중량%에 옻나무를 작은 입자로 분쇄한 목분 15 중량% 및 미강에서 기름을 추출해낸 탈지강 5 중량%, 건조된 왕겨 10 중량%를 배합하여 찜질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배합된 찜질조성물을 20kg 단위로 자루에 담는 단계;
    통에 물 5ℓ와 미생물 50㎖을 투입한 후 믹싱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자루에 담은 찜질조성물과 혼합물을 중량비 8:2로 찜질욕조에 반복적으로 투입하여 찜질욕조의 2/3 높이까지 투입하는 단계;
    상기 찜질욕조에 찜질조성물과 혼합물이 투입된 단계 이후 상온에서 48시간 자연 발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10086046A 2011-08-26 2011-08-26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8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46A KR101238424B1 (ko) 2011-08-26 2011-08-26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46A KR101238424B1 (ko) 2011-08-26 2011-08-26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424B1 true KR101238424B1 (ko) 2013-03-06

Family

ID=4818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46A KR101238424B1 (ko) 2011-08-26 2011-08-26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4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856A (ko) * 1994-11-21 1996-06-17 구본용 고온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찜질방법
KR970042968A (ko) * 1997-04-28 1997-07-26 최영 왕겨 숯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3000634A (ja) 2001-06-25 2003-01-07 Oda Shinsou Kk 温熱座布団
KR20040098360A (ko) * 2003-05-14 2004-11-20 한명호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고온 찜질방법 및 찜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856A (ko) * 1994-11-21 1996-06-17 구본용 고온발효 미생물을 이용한 찜질방법
KR970042968A (ko) * 1997-04-28 1997-07-26 최영 왕겨 숯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3000634A (ja) 2001-06-25 2003-01-07 Oda Shinsou Kk 温熱座布団
KR20040098360A (ko) * 2003-05-14 2004-11-20 한명호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고온 찜질방법 및 찜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89474A (ja) 草質材発酵風呂
KR10181794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 방법
KR20080023941A (ko) 쑥 분말을 포함한 찜질매질 및 그 제조방법
CN106561729A (zh) 一种天然的冰箱除味杀菌剂
KR20100082689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3320264A (zh) 复合型甜酒的加工方法
CN102864046A (zh) 纳豆竹炭美白保湿香皂及其制造方法
KR100807239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식음료 용기용 플라스틱수지 조성물
KR101238424B1 (ko) 왕겨숯을 이용한 냄새 없는 찜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7395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매생이 발효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숙취 해소 복합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10093B1 (ko) 안면 미안용 마스크
CN103654044B (zh) 一种喜果红豆杉健康枕的生产工艺
KR101760638B1 (ko) 순수 도토리 증류주 제조방법
CN113528272A (zh) 多功能天麻酒及制备其方法
KR101446201B1 (ko) 흑삼 분말 또는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흑삼 막걸리 제조방법
JP4216268B2 (ja) 黒酵母菌の培養方法
KR100977650B1 (ko) 건식 효소욕 매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830125B1 (ko) 황토비누 제조방법과 그 황토비누
JP2007159811A (ja) 脱臭剤及び脱臭具
CN106035620A (zh) 一种花生芽罐头
KR100496531B1 (ko) 약간장인 사리장의 제조방법
KR101216629B1 (ko) 쑥 마늘의 제조방법
KR20140089831A (ko) 육계부산물이 함유된 건식 티백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470804Y1 (ko) 친환경베개 및 이를 구비한 헤드레스트
KR20110115464A (ko) 장식용 서적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