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255B1 - 소형 캐리어가 구비된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소형 캐리어가 구비된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255B1
KR101238255B1 KR1020077004978A KR20077004978A KR101238255B1 KR 101238255 B1 KR101238255 B1 KR 101238255B1 KR 1020077004978 A KR1020077004978 A KR 1020077004978A KR 20077004978 A KR20077004978 A KR 20077004978A KR 101238255 B1 KR101238255 B1 KR 101238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per
disc
carrier
friction means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172A (ko
Inventor
디 코르디에 빠스칼 마리
노베르 바누쉬
필리프 바르
앙드레 가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3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16D55/226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1)는 캘리퍼(2), 캐리어(3) 및 마찰 수단(8, 9)을 포함하고 있다. 캘리퍼는 캐리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있다.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조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마찰 수단이 캐리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반면 제 2 마찰 수단이 캘리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캐리어가 둘 이상의 가이드 핀(17, 18)을 가지고 있고, 이 두 핀을 통해 캘리퍼가 캐리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있고, 캘리퍼는 각각 하나의 핀을 수용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보어(19, 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크 브레이크, 캘리퍼, 캐리어, 마찰 수단, 피스톤, 노즈

Description

소형 캐리어가 구비된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 PROVIDED WITH A CARRIER OF REDUCED SIZ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동차 영역뿐 아니라 다른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휠의 허브 상에 놓이고 이 허브는 차량의 휠 축선을 수용하고 디스크 브레이크를 지지한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휠이 회전 운동을 디스크 브레이크에 전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휠과 연결된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제 1 조(jaw) 및 제 2 조를 형성하는 캘리퍼를 포함하고 있고, 제 1 조 및 제 2 조는 제동 디스크 평면의 각 양측에서 서로를 향하고 있고 디스크의 외측에서 서로 결합하고 있다. 캘리퍼의 제 1 조 및 제 2 조에는 제 1 브레이크 패드 및 제 2 브레이크 패드가 각각 제공된다. 브레이크 패드는 그 대칭 평면이 동일면 상에 있는 방식으로, 제동 디스크의 양측으로 서로를 향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캘리퍼는 제 1 브레이크 패드 및 제 2 브레이크 패드가 각각 제 1 조 및 제 2 조를 통하여 제동 디스크의 제 1 면 및 이에 반대편에 있는 제 2 면에 대해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휠의 허브에 고정된 캐리어를 포함하고 있다. 캐리어는 캘리퍼를 지지하고 있고 제동 디스크의 회전 운동 방향에 대한 길이방향으로 각각의 브레이크 패드의 측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하고 있다.
제동 중에, 제 1 브레이크 패드와 제 2 브레이크 패드는 각각 제 1 조 및 제 2 조를 통해 제동 디스크의 평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한데 모여진다. 제동 디스크 평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한데 모으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패드는 우선 캘리퍼의 하나 이상의 조에 배치된 피스톤을 통해 제동 디스크를 향하여 밀려진다. 피스톤은 예를 들면, 제 1 브레이크 패드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브레이크 패드가 제동 디스크의 평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제동 디스크를 향하여 끌어당겨 지도록 한다. 이 피스톤은 피스톤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동 회로의 작용하에서 작동한다. 제동 회로는 예를 들면, 차량의 마스터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제 2 브레이크 패드는 디스크를 향한 대응하는 나머지 다른 조의 이동의 대응작용에 의해, 제동 디스크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안내된다.
캐리어는 캘리퍼가 디스크의 양측에서 벌어져 있도록(straddle) 유지시킨다. 이 양측에서 벌어져 있는 것은 캘리퍼가 디스크를 가로지르는 동시에 디스크 평면의 양측으로, 디스크 외주의 외측에 배치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또한 캐리어는 디스크에 대한 캘리퍼의 전진/후진 동작 동안에 이 캘리퍼를 안내시킨다. 캘리퍼의 전진 동작은 차량 제동중에 야기되어, 패드가 디스크를 향하여 한데 모아지는 것을 초래한다. 캘리퍼의 후진 동작은 차량 제동 해제중에 야기되어 패드가 디스크에 대해 분리되는 것을 초래한다.
양측에서 벌어져 있는 방향으로 캘리퍼를 유지하여 캘리퍼를 안내하기 위해, 캐리어가 캘리퍼에 의해 동반되는 가이드 핀을 수용하도록 하는 보어를 가지고 있어, 핀과 보어는 디스크에 대한 캘리퍼의 전진/후진 동작을 일으키도록 상호작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핀은 디스크에 대한 두 패드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캘리퍼가 캐리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캐리어는 핀이 디스크를 가로지르는 동시에 또한 보어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보어와 함께 디스크 위에서 뻗어있다. 캐리어는 두 패드를 적소에 유지시키고 제동 토크의 대부분을 회복한다.
특허 문서 FR 2 747 751호는 캐리어 및 캘리퍼가 제공된 브레이크 디스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 문서는 두 개의 가이드 핀이 캐리어에 의해 동반되어있고 보어는 캘리퍼 내에 형성되어있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 가이드 핀은 디스크의 중심 축선과 평행한 축선에 각각 배열되어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핀이 디스크의 외주 위를 넘어 통과하는 축선을 가지고서 디스크의 양쪽으로 뻗어있고, 다른 하나의 핀이 디스크의 외주 내부를 통과하는 축선을 가지고서 디스크의 한쪽으로만 뻗어있는 상태로 이들 핀은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핀의 축선의 특정 배열이 이 두 축선 사이의 거리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하여, 그에 의해 최소한의 마찰 토크를 초래한다. 따라서, 핀의 재밍(jamming)은 최소화되고, 슬라이딩은 최적 조건하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타입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상당한 무게를 갖는다는 단점이 있다. 결과로서 제동 성능이 좀더 감소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동 성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디스크 브레이크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패드 중 하나가 캐리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다른 패드는 캘리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디스크 평면의 한쪽으로만 뻗어있는 하프-캐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캐리어는 바람직하게 디스크 브레이크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디스크 브레이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동 중에 피스톤은 제 1 패드가 디스크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야기하고, 이 제 1 패드는 캐리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반면, 제 2 패드는 캘리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캘리퍼의 반작용에 의해 디스크의 다른 면에 대하여 작용할 수 있다.
캐리어에 대한 캘리퍼의 이동은 핀과 각각의 보어의 상호작용에 의해 야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핀은 캐리어에 동반되고 보어는 캘리퍼에 의해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캘리퍼는 절결된 하나 이상의 창을 가질 수 있어, 그에 의해 캘리퍼로부터의 열 소산을 잘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또한 캘리퍼의 아치 폭을 증가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동등한 무게에 대한 캘리퍼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이는 또한 캘리퍼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는 나사 체결, 하나 이상의 블럭에 의한 부착을 포함하는 고정 수단, 또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의해 캘리퍼 및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휠에 대해서 디스크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 피스톤을 가지는 유압 실린더가 제공되어있고, 디스크의 양측에서 벌어져 있기 위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 캘리퍼,
- 차량에 고정되어있는 캐리어,
- 디스크의 양측으로 배열되어있는 두 개의 마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피스톤은 노즈와 함께 유압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캘리퍼는 캐리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디스크는 노즈와 피스톤 사이에 배열되어 회전하도록 되어있고, 두 개의 마찰 수단은 피스톤 및 노즈에 의해 디스크의 마주하는 면에 대하여 각각 작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 제 1 마찰 수단이 캐리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제 2 마찰 수단이 캘리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않고 예시적으로서만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로 형성된 평면과 수직인 평면을 나타내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에 연결된 마찰 수단의 개략도;
도 5a, 5b, 6 및 7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캘리퍼, 또는 캐리어에 연결된 마찰 수단의 개략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1)를 도시하고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1)는 캘리퍼(2) 및 캐리어(3)를 포함하고 있다. 캘리퍼(2)에는 피스톤(5)을 구비한 유압 실린더(4)가 제공되어있고 이 피스톤은 유압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있다. 또한 캘리퍼(2)는 노즈(7)를 가지고 있다. 캐리어(3)는 차량에 고정되고 캘리퍼는 캐리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있다. 디스크(6)는 회전하도록 되는 동시에 캘리퍼(2)의 노즈(7)와 이 캘리퍼(2)의 피스톤(5) 사이에 개재되어있다. 캘리퍼는 디스크(6)의 양측에서 벌어져 있으려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에서 벌어져 있기(straddling)는 캘리퍼(2)가 디스크 위에서 연결되어있는 동시에 디스크 평면의 양측으로, 디스크 외주의 외측에 배치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디스크(6)는 디스크 평면의 양측에서 외측(E) 및 내측(I)의 경계를 한정하고 있고, 이 외측은 차량의 허브(미도시)로부터 멀리 있고 내측은 이 허브와 근접해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또한 디스크(6) 평면의 양측으로 배열된 두 개의 마찰 수단(8 및 9)을 포함하고 있다. 이 마찰 수단(8 및 9)은 각각 피스톤(5) 및 캘리퍼(2)의 노즈(7)를 통해 디스크의 마주하는 면(10 및 11)에 대하여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마찰 수단(8)은 캐리어(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있고 제 2 마찰 수단(9)은 캘리퍼(2)의 노즈(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있다(도 2 및 3). 캐리어(3)는 중간 부분(12), 제 1 암(13) 및 제 2 암(14)을 가지고 있는 요크를 형성하고 있고, 제 1 암(13)과 제 2 암(14)은 중간 부분(12)에 의해 연결되어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서(도 2 및 3), 캐리어는 하프-캐리어를 형성하고 있다. 캐리어는 디스크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뻗어있다. 디스크 평면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
캐리어(3)의 두 개의 암(14 및 13) 및 중간 부분(12)은 제 1 마찰 수단(8)이 배열되어있는 스페이스(16)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도 3). 마찰 수단(8, 9)은 브레이크 패드(8.1, 9.1) 및 패드 지지대(8.2, 9.2)로 형성되어있다. 패드 지지대는 상응하는 패드를 캘리퍼의 노즈 또는 캐리어에 연결하고 있다.
각각의 브레이크 패드(8.1 및 9.1)는 내면(21, 22) 및 외면(23, 24)을 각각 가지고 있고, 외면 각각은 디스크와 마주하여 있고 내면 각각은 디스크를 향하여 배치되어있다.
캘리퍼(2)는 대체로 U자 형상의 형태를 가지는 동시에 디스크(6)의 양측에서 벌어져 있다(도 2). 캘리퍼는 U자 중 제 1 브랜치(branch)(15) 및 U자 중 제 2 브랜치(7)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브랜치는 캘리퍼의 노즈(7)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마찰 수단(9)은 캘리퍼(2)의 노즈(7)에 동반된다. 다른 브랜치(15)는 유압 실린더(4)를 포함하고 있고 이 유압실린더 내에는 피스톤(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있다. 피스톤(5)은 제 1 마찰 수단(8)을 디스크(6)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캘리퍼(2)는 일체형(one-piece)의 구성요소이다. 변형예에 있어서, 캘리퍼는 제 1 부분이 피스톤을 동반하고 제 2 부분이 마찰 수단 중 하나를 동반하는 두 개의 부분(미도시)으로 형성되어있다. 제 1 부분은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제 2 부분에 연결되어있다.
캐리어(3)는 디스크(6)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수직으로 뻗어있는 두 개의 핀(17 및 18)을 포함하고 있다(도 1). 이 핀(17 및 18)은 캐리어의 제 1 암(13) 및 제 2 암(14)에 각각 동반된다. 제 1 핀 및 제 2 핀은 내부에 나사산을 낸 상응하는 공동 내에 삽입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핀은 재료를 틀로 찍어내거나 말아 감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핀(17, 18)은 각각 축선(44 및 45)을 따라 뻗어있고, 이 축선의 각각은 디스크의 회전 축선(46)과 평행하고 디스크의 평면과 수직을 이룬다(도 1, 2). 제 1 핀 및 제 2 핀은 상응하는 보어(19 및 20)를 통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제 1 보어 및 제 2 보어는 캘리퍼(2) 내에 형성되어있고 각각 하나의 핀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는 각각이 내측(I) 및 외측(E)을 향하여 마주하는 두 단부에서 드러나도록 관통 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보어(19)는 내측(I)을 향하여 제 1 1 단부(19.1) 및 외측(E)을 향하여 제 2 1 단부(19.2)에서 드러나게 된다. 제 2 보어(20)는 내측(I)을 향하여 제 1 2 단부(20.1) 및 외측(E)을 향하여 제 2 2 단부(20.2)에서 드러나게 된다.
두 단부를 관통하는 이러한 관통 보어는 캘리퍼의 기계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이상 보어의 기계가공 깊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 2 단부(19.2, 20.2)는 상응하는 보어의 내부에 나사체결되는 플러그(미도시)를 사용하여 막아지게 된다.
반면, 이러한 관통 보어는 캘리퍼가 두 단부 중 하나를 통해 내측(I)에 근접하게 핀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한편, 다른 한편으로, 내측으로부터 떨어진 다른 단부를 통해 제 2 마찰 수단(9)을 나사체결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미도시). 이 제 2 마찰 수단(9)의 패드 지지대(9.2)는 내측(I)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보어의 단부 중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패드 지지대(9.2)를 이러한 보어의 단부에 고정하는 것은 보어를 막아야 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관통 보어는 차량 밖에서 디스크 브레이크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핀이, 예를 들면 렌치(Allen key)인 나사 풀기 도구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자유 단부 중 하나에 제공되어있다.
캘리퍼는 제동 및 제동 해제 중에 핀에 관한 유효 길이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유효 길이는 캘리퍼가 차량 제동 중에 핀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길이를 의미한다. 유효 길이는 핀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캘리퍼의 보어는 패드의 허용 마모 길이와 디스크의 허용 마모 길이가 합하여 증가한 유효 길이보다 더 긴 삽입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일례에서, 브레이크 패드의 두께가 2센티미터라 측정되고 그 결과 핀은 그에 상응하는 보어 내에 3 내지 5센티미터만큼 삽입될 수 있다. 패드와 디스크의 마모 길이는 디스크의 회전축선(46) 또는 핀의 축선(44)과 평행한 축선을 따라 측정된다.
각각의 브레이크 패드는 패드 각각에 형성된 작은 부착 스터드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지지대에 연결될 수 있고, 이 스터드는 지지대에 형성된 상응하는 공동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 2 패드(9.1)는 도면 부호 '28'로 도시된 것과 같은 스터드의 삽입으로 제 2 패드 지지대(9.2)에 연결될 수 있고, 이 스터드는 제 2 패드(9.1)에 형성되어있고 제 2 패드 지지대(9.2)에 형성된 상응하는 공동(29) 내에 삽입된다. 제 2 패드(9.1)는 각각의 스터드(28)가 상응하는 공동(29) 내에 들어감으로써 제 2 패드 지지대(9.2)와 결합할 수 있다. 스터드와 공동은 도 4에 파선으로 도시되어있다.
하나 이상의 마찰 수단은 돌출부 및 슬롯을 통해 캘리퍼의 노즈 및/또는 캐리어에 연결될 수 있고, 돌출부(30, 31)는 캐리어 또는 캘리퍼의 노즈에 형성된 슬롯(32, 33) 내에 맞물릴 수 있고, 이 슬롯 및 돌출부의 조합은 캐리어 또는 캘리퍼 노즈에 마찰 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슬롯 및 돌출부는 상응하는 패드가 캘리퍼에 대해 거의 이동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슬롯 및 돌출부는 또한 패드 지지대와 캘리퍼 노즈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의 간극이 거의 없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도 4에 도시된 예는 캘리퍼(2)의 노즈(7)에 연결된 제 2 마찰 수단(9)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마찰 수단(9)은 브레이크 패드(9.1) 및 패드 지지대(9.2)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마찰 수단(9)은 패드 지지대(9.2)를 통해 캘리퍼의 노즈에 연 결되어있다. 패드 지지대(9.2)는 제 1 돌출부(30) 및 제 2 돌출부(31)를 가지고 있다. 대응하게, 캘리퍼 노즈(7)는 상기 돌출부(30 및 31)를 수용하는 제 1 슬롯(32) 및 제 2 슬롯(33)을 가지고 있다. 슬롯 및 돌출부는 패드와 결합한 패드 지지대가 노즈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있다.
제 2 마찰 수단(9)을 동반하는 캘리퍼 노즈(7)는 오리피스(34)를 형성하도록 그 중앙이 절결될 수 있고, 이 오리피스는 그 양측에서 제 1 연장부(35) 및 제 2 연장부(36)의 경계를 한정하고 있다(도 3 및 4). 캘리퍼(2)의 이러한 형상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캘리퍼 노즈 또는 캐리어 상에 마찰 수단을 유지하기 위해, 도면 부호 '41'로 도시된 것과 같은 스프링이 캘리퍼 또는 캐리어에 대해 접하는 베어링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상응하는 패드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의 예에서, 캘리퍼 노즈(7)의 제 2 마찰 수단을 유지시키는 이러한 스프링(41)은 금속 스트립(41)으로 형성되어있고, 이 금속 스트립은 제 1 연장부, 제 2 연장부 및 상응하는 패드 지지대를 내리누르면서 제 1 연장부로부터 제 2 연장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스프링(41)은 디스크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평행하게 뻗어있다. 이 스프링(41)은 제 2 마찰 수단을 노즈에 대해 부동(浮動) 상태 유지하면서 제 2 마찰 수단이 캘리퍼 노즈 상에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스프링(41)은 그 자체를 고정 수단으로 제 2 마찰 수단에 부착시키면서 제 1 연장부를 제 2 연장부에 연결한다. 상세하게는, 이 스프링(41)은 수용 하우징(42)을 형성하기 위해 그 중앙부가 국부적으로 변형된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어있다 (도 2). 이 수용 하우징(42)은 상응하게 패드 지지대(9.2)에 형성된 보스(43)를 수용한다. 스프링(41)은 보스(43) 상에 놓임으로써, 한편 제 1 연장부(35)를 받치고 있고 다른 한편 제 2 연장부(36)를 받치고 있다. 스프링(41)으로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는 수용 하우징(42)과 스프링이 받치고 있는 상응하는 연장부 상에서의 각각의 위치 사이에서 휘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 변형예에서, 하나 이상의 마찰 수단 지지대에는 적어도 제 1 리세스(38)가 제공되어있고 캘리퍼 노즈 및/또는 캐리어에는 제 2 리세스(39)가 제공되어있다. 하나 이상의 분리가능 블럭(37)이 제 1 리세스 및 제 2 리세스 내에 부분적으로 수납된다. 도 5a 및 5b의 예에서, 제 2 마찰 수단(9)의 패드 지지대(9.2)에 형성된 제 1 리세스(38) 내에 부분적으로 수납되고 캘리퍼 노즈에 형성된 제 2 리세스(39) 내에 부분적으로 수납되는 블럭(37)에 의해 제 2 마찰 수단이 캘리퍼 노즈에 연결될 수 있다. 블럭(37)은 먼저 두 리세스(38 또는 39) 중 하나에 삽입되고, 그 다음에 블럭(37)을 캘리퍼 노즈와 제 2 마찰 수단 사이에 걸쳐지도록 제 2 마찰 수단 또는 캘리퍼 중 어느 하나가 이 블럭(37)에 부가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서, 리세스(38 및 39)는 관통되지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라서, 제 2 마찰 수단은 하나 이상의 볼트(47) 및 하나 이상의 너트(48)를 통해 캘리퍼 노즈 및/또는 캐리어에 연결될 수 있다(도 6).
각각의 마찰 수단은 제 1 러그(lug)(25), 제 2 러그(26) 및 중심 몸체(27)를 가지고 있다. 도 4의 예에서, 제 2 마찰 수단(9)은 제 1 러그(25) 및 제 2 러그(6) 및 중심 몸체(27)를 가지고 있다. 도 7의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라서, 상응하는 마찰 수단의 러그(25 및 26)는 후크(50)를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후크(50)는 도 7에 파선으로 나타나있다. 마찰 수단의 몸체(27)와 함께, 이 후크(50)는 캐리어(3) 또는 캘리퍼(2)의 노즈(7)가 부동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 하우징(51)의 내부 경계를 한정한다. 이를 위해, 캐리어 또는 캘리퍼 노즈는 삽입 하우징에 상보적인 형태의 돌기(52)를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51) 및 돌기(52)는 마찰 수단이 부동 상태로 캐리어 또는 캘리퍼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그에 따라 부동하는 마찰 수단은 "밀고 당기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약간의 제동 토크를 흡수하여 캐리어의 강성에 기여한다. 도 7의 예에서, 제 1 마찰 수단은 스페이스(16) 내에 배치되어있다. 중간 부분(12)은 삽입 하우징에 상보적인 형태인 하나 이상의 돌기(52)가 형성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로부터 열 소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캘리퍼는 하나 이상의 창(49)을 가질 수 있다(도 1). 이 창은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디스크와 패드의 마찰로 인한 차량 제동 중 발생하는 열의 방출을 활성화할 수 있다.
디스크는 중심부와 외주를 가지고 있고, 이 중심부는 디스크의 회전축선(46)이 디스크 평면과 수직으로 놓이는 디스크의 위치이다. 디스크의 외주는 디스크의 경계를 한정하고 있다. 캘리퍼로 형성된 재료는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놓인 캘리퍼의 중심부 근처보다,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제 1 위치 근처 및 제 2 위치 근처에서 더 많은 양으로 분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캘리퍼로 형성된 재료는 캘리퍼의 중심부에 상응하는 위치보다 제 1 보어가 형성된 제 1 위치 및 제 2 보어가 형성된 제 2 위치에서 더 많은 양의 재료로 분포될 수 있다. 캘리퍼를 형성하는 재료의 이러한 분포는 20%까지의 제동 흡수를 얻을 수 있게 해준다.

Claims (14)

  1. - 디스크 브레이크 캘리퍼(2)로서, 상기 캘리퍼는 피스톤(5)을 가지는 유압 실린더(4)와 노즈(7)가 제공되어 있고, 피스톤은 유압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캘리퍼는 디스크(6)의 양측에서 벌어져 있기 위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브레이크 캘리퍼(2),
    - 차량에 고정되어 있는 캐리어(3)로서, 캘리퍼는 캐리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디스크는 노즈와 피스톤 사이에 배열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캐리어(3),
    - 디스크의 양측으로 배열되어 있고, 피스톤 및 노즈에 의해 디스크의 마주하는 면(10, 11)에 대하여 각각 작용할 수 있는 두 개의 마찰 수단(8, 9)을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1)에 있어서,
    캐리어(3)는 디스크(6)의 평면 중 한쪽으로만 뻗어 있고, 핀(17; 18)은 디스크(6)의 평면과 수직방향으로 디스크 위를 가로지르고,
    제 1 마찰 수단이 캐리어에 의해 형성된 요크의 두 암(13, 14)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스 내에 배열되어 있고,
    캘리퍼는 대체로 U자 형상의 형태를 가지는 동시에 디스크의 양측에서 벌어져 있고, U자 중의 제 1 브랜치(15) 및 U자 중의 제 2 브랜치(7)가 디스크 평면과 평행하게 뻗어 있고, 제 2 브랜치(7)는 캘리퍼의 노즈(7)를 형성하고,
    제 2 마찰 수단은 캘리퍼로 형성된 U자 중의 두 브랜치 중 하나에 동반되어 있고, 캘리퍼의 U자 중의 다른 브랜치는 유압식 실린더 및 피스톤을 포함하고 있고, 이 피스톤은 디스크를 향하여 제 1 마찰 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고,
    캐리어는 둘 이상의 가이드 핀(17, 18)을 가지고 있고, 이 두 핀을 통하여 캘리퍼는 캐리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캘리퍼는 각각 하나의 핀을 수용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보어(19, 20)를 가지고 있고,
    캘리퍼를 구성하는 재료는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놓인 캘리퍼의 중심부 근처보다, 디스크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고 있는 제 1 위치 근처 및 제 2 위치 근처에서 더 많은 양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 마찰 수단(8, 9)의 각각은 브레이크 패드(8.1, 9.1) 및 패드 지지대(8.2, 9.2)를 가지고 있고,
    - 캘리퍼는 제동 및 제동 해제 중에 핀에 관한 유효 길이만큼 슬라이딩할 수 있고, 보어는 패드의 허용 마모 길이와 디스크의 허용 마모 길이가 합하여 증가한 유효 길이보다 더 긴 삽입 길이를 또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 캐리어 상에 캘리퍼를 장착시키기 위한 핀을 수용할 수 있는 둘 이상의 관통 보어가 캘리퍼에 제공되어있고, 관통 보어는 두 개의 마주하는 단부(19.1, 20.1, 19.2, 20.2)에서 드러나고, 한 단부는 핀을 수용하도록 하고, 이 단부에 다른 단부가 마주하고 있고, 및
    하나 이상의 마찰 수단은 핀을 수용시키는 단부에 마주하는 단부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캐리어 또는 캘리퍼의 노즈에 형성된 슬롯(32, 33)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30, 31)를 가지는 패드 지지대가 하나 이상의 마찰 수단에 제공되어있고, 대응하는 슬롯 및 돌출부는 캐리어 또는 캘리퍼 노즈에 마찰 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8. 제 7 항에 있어서, 가이드 스프링(41)은 돌출부 주위에 배치되어있는 동시에 캘리퍼 또는 캐리어와 상응하는 마찰 수단 사이에 개재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 하나 이상의 마찰 수단 지지대에는 적어도 제 1 리세스(38)가 제공되어있고 캘리퍼 노즈 및/또는 캐리어에는 제 2 리세스(39)가 제공되어있고,
    - 제 1 리세스 및 제 2 리세스 내에 하나 이상의 분리가능 블럭(37)이 부분적으로 수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10.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마찰 수단이 하나 이상의 볼트(47) 및 너트(48)를 통해 캘리퍼 노즈 및/또는 캐리어에 연결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11.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마찰 수단을 동반하는 캘리퍼 노즈는 오리피스(34)를 형성하도록 중앙이 절결되고, 이 오리피스는 그 양측에서 제 1 연장부(35) 및 제 2 연장부(36)의 경계를 한정하고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연장부를 통해 캘리퍼 노즈에 제 2 마찰 수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스프링(41)은 고정 수단에 의해 제 2 마찰 수단에 부착되는 동시에 제 1 연장부(35)를 제 2 연장부(36)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13. 삭제
  14.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마찰 수단 지지대(8, 9)는 두 개의 러그(25, 26) 및 몸체(27)를 가지고 있고, 러그의 각각은 후크(50)를 형성하도록 연장되어있고, 후크는 캐리어 또는 캘리퍼 노즈에 형성된 상보적인 형태의 돌기(52)를 수용하도록 하는 삽입 하우징(51)의 경계를 몸체와 함께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077004978A 2004-08-19 2005-08-12 소형 캐리어가 구비된 디스크 브레이크 KR101238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8974A FR2874412B1 (fr) 2004-08-19 2004-08-19 Frein a disque muni d'une chappe de taille reduite
FR0408974 2004-08-19
PCT/FR2005/002079 WO2006021682A1 (fr) 2004-08-19 2005-08-12 Frein a disque muni d' une chape de taille redu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172A KR20070038172A (ko) 2007-04-09
KR101238255B1 true KR101238255B1 (ko) 2013-02-27

Family

ID=3494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978A KR101238255B1 (ko) 2004-08-19 2005-08-12 소형 캐리어가 구비된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708111B2 (ko)
EP (1) EP1781958B1 (ko)
JP (1) JP4881864B2 (ko)
KR (1) KR101238255B1 (ko)
CN (1) CN101006285A (ko)
AU (1) AU2005276380A1 (ko)
BR (1) BRPI0515024A (ko)
ES (1) ES2703440T3 (ko)
FR (1) FR2874412B1 (ko)
MX (1) MX2007001985A (ko)
PL (1) PL1781958T3 (ko)
RU (1) RU2394175C2 (ko)
WO (1) WO2006021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018A1 (ja) * 2011-06-07 2012-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及びキャリパスライド機構
JP5847561B2 (ja) * 2011-11-29 2016-01-2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DE102012102584A1 (de) * 2012-03-26 2013-09-2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mit Rückstelleinrichtung und Bremsbelag
US9551387B2 (en) * 2015-02-06 2017-01-24 Kelsey-Hayes Company Disc brake assembly with guide pin locating feature
US10233984B2 (en) * 2017-04-24 2019-03-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le function brake caliper guide pin
ES2949700T3 (es) * 2018-03-12 2023-10-02 Knorr Bremse Systeme Arreglo de dispositivo de barra de tracción de una pinza de freno y pinza de freno
EP3835081B1 (de) * 2019-12-10 2023-02-08 ZF CV Systems Europe BV Nutzfahrzeugachse mit einer scheibenbrem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8932A2 (en) * 1982-07-08 1984-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airable multi-level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
US5060766A (en) * 1988-02-23 1991-10-2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isc brake assembly
US6161658A (en) * 1997-02-11 2000-12-19 Formula Di Frati Daniela & C. S.A.S. Disc brake
JP2001193769A (ja) * 1999-12-14 2001-07-1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自動車用部分パッド型ディスクブレーキ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8774A (en) * 1966-09-01 1968-06-18 Bendix Corp Adjustable bearing means for a disc brake
USRE32470E (en) * 1974-11-05 1987-08-11 Lucas Girling Limited Disc brakes for vehicles
JPS5756232A (en) * 1980-09-18 1982-04-03 Ig Tech Res Inc Manufacture of prefractory and heat insulating panel
DE3435643A1 (de) 1984-09-28 1986-04-10 Hoechst Ag, 6230 Frankfurt Schichtstoff
JPH0215057Y2 (ko) * 1984-11-08 1990-04-24
FR2704036B1 (fr) * 1993-04-15 1995-06-09 Alliedsignal Europ Services Frein a disque utilisant un patin tire a appui permanent.
FR2714945B1 (fr) * 1994-01-07 1996-03-01 Alliedsignal Europ Services Frein à disque à recul amélioré.
US5622241A (en) 1995-09-12 1997-04-22 Null; Robert L. Trailer brake system with multiple point caliper unit mounting
JPH09250572A (ja) * 1996-03-15 1997-09-22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FR2747751B1 (fr) 1996-04-22 1998-05-22 Bosch Syst Freinage Frein a disque a couples parasites reduits
JPH11303905A (ja) 1998-02-18 1999-11-02 Hitachi Ltd 電磁ブレーキ装置
US6340076B1 (en) * 1998-09-24 2002-01-22 Nissin Kogyo Co., Ltd. Vehicular disk brake
JP2000213571A (ja) * 1999-01-22 2000-08-02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8932A2 (en) * 1982-07-08 1984-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airable multi-level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
US5060766A (en) * 1988-02-23 1991-10-2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isc brake assembly
US6161658A (en) * 1997-02-11 2000-12-19 Formula Di Frati Daniela & C. S.A.S. Disc brake
JP2001193769A (ja) * 1999-12-14 2001-07-1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自動車用部分パッド型ディスクブレー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21682A1 (fr) 2006-03-02
MX2007001985A (es) 2007-04-23
AU2005276380A1 (en) 2006-03-02
BRPI0515024A (pt) 2008-07-01
EP1781958B1 (fr) 2018-10-03
US20080128223A1 (en) 2008-06-05
FR2874412A1 (fr) 2006-02-24
CN101006285A (zh) 2007-07-25
KR20070038172A (ko) 2007-04-09
ES2703440T3 (es) 2019-03-08
RU2007109868A (ru) 2008-09-27
FR2874412B1 (fr) 2007-12-21
EP1781958A1 (fr) 2007-05-09
RU2394175C2 (ru) 2010-07-10
JP2008510118A (ja) 2008-04-03
JP4881864B2 (ja) 2012-02-22
PL1781958T3 (pl) 2019-04-30
US8708111B2 (en)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255B1 (ko) 소형 캐리어가 구비된 디스크 브레이크
JPS5891934A (ja) デイスクブレ−キ用摩擦パツド組立体
US4865163A (en) Disk brake assembly
US4060154A (en) Disc brakes caliper and support structure
US4191278A (en) Slidable support structure for a disc brake caliper
KR10131715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CN212055594U (zh) 浮动卡钳制动组件
US4944371A (en) Disc brake with a caliper body and pads retained in the caliper body by hooks
JP449496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GB1563405A (en) Disc brake caliper assembly
KR10034954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7100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845898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21110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502515B1 (ko) 디스크 브레이크와 패드심
KR100466133B1 (ko) 디스크브레이크의 브레이크패드 복귀구조
KR200347965Y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850538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H0220500Y2 (ko)
JPS5829308Y2 (ja) 二輪車用デイスクブレ−キにおける固定摩擦パツドの取付装置
KR10077104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3984123B2 (ja) ピンスライド型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10076084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60063087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39407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