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165B1 - 식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식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165B1
KR101238165B1 KR1020120065831A KR20120065831A KR101238165B1 KR 101238165 B1 KR101238165 B1 KR 101238165B1 KR 1020120065831 A KR1020120065831 A KR 1020120065831A KR 20120065831 A KR20120065831 A KR 20120065831A KR 101238165 B1 KR101238165 B1 KR 10123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door
water supply
main bod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Priority to KR102012006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05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combined with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안치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안치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놓여 있고 내부에 음용수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 상기 제2 도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수 공급 장치{apparatus for water supply}
본 발명은 식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식당, 휴게소, 공원, 군부대 등에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식수를 음용 할 수 있는 식수 공급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식수 공급 장치에는 식수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는 필터 따위의 정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가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면 정화 능력이 저하되므로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 해주어야 한다.
이에 따라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신선하고 위생적으로 식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식수 공급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21828호 (2006.09.01.)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11355호 (1996.04.20.)
본 발명은 직수를 신선하고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으며 세척이 용이한 식수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수 공급 장치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에 안치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안치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놓여 있고 내부에 음용수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 상기 제2 도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식수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및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2 도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엑추에이터이며, 상기 엑추에이터의 작동로드는 상기 제2 도어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본체 양측에 위치하며, 엑스 형태로 교차된 한 쌍의 링크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연속 힌지 연결된 링크부 및 연속 연결된 링크 부재 중 최 하부에 위치한 링크 부재에 결합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속 연결된 링크 부재 중 최 상부에 위치한 링크 부재는 상기 제2 도어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도어 배치된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음용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수 공급 장치는, 음용수를 상기 용기로 공급하는 직수부를 더 포함할 수있으며 상기 직수부는 상기 감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는, 냉매관 및 상기 냉매관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음용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히팅관 및 상기 히팅관을 발열 시키는 발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음용수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냉매관과 상기 히팅관은 교번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수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외부에 장착된 배수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수 공급 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는, 덮개를 포함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보관 몸체 및 상기 보관 몸체 내부에 설치된 살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수 공급 장치는 직수가 용기 내부로 바로 공급되어 수용되며 이때 음용수를 온도 조절부로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어 항상 신선한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성과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수 공급 장치는 용기가 안치 공간에서 분리되므로 용기와 안치 공간의 세척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용기와 안치 공간을 언제나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생의 근본적인 물 때 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생적으로 식수 공급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음용수를 받는 컵을 놓을 수 있는 배수 트레이가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출관에서 누수 되거나 컵에서 넘친 음용수가 식수 공급 장치 주변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식수 공급 장치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외측면에 컵과 같은 음용수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가 설치되므로 음용수 용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보관부에 설치된 살균 장치에 의하여 음용수 용품이 살균 소독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생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 장치에 의하여 제2 도어가 승강하게 되면서 제2 도어와 연결된 센서 및 직수부가 용기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게 되어 안치 공간에서 용기를 거치적거림 없이 들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를 안치 공간에서 들어낼 때 센서, 직수부 등과 충돌 없이 들어낼 수 있어, 센서, 직수부, 그리고 용기를 충돌과 같은 외부 요건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수 공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식수 공급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제2 도어를 승강 시키는 승강 장치가 도시 되도록 본체를 일부분 자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수 공급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수 공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식수 공급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제2 도어를 승강 시키는 승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수 공급 장치(1)는 본체(10), 용기(20), 감지부(30), 그리고 온도 조절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수 공급 장치(1)는 직수부(50), 배수 트레이(60), 보관부(70), 그리고 승강 장치(81, 82, 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식수 공급 장치(1)의 기본 골조이다. 본체(10)의 내부는 상부 공간(이하, 안치 공간(11)과 하부 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안치 공간(11)과 하부 공간(12)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다. 안치 공간(11)이 형성된 본체(10)의 상부측 전면과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에는 제2 도어(14)가 놓여 있다. 이때 제2 도어(14)는 본체(10)의 상면에 승강 가능하게 놓여 있다. 그러나 제2 도어(14)는 본체(10)에 단순히 놓이거나 힌지로 연결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에는 힌지로 제1 도어(13)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된 전면을 단속한다. 제1 도어(13)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도어(13)는 상부로 들린 상태에서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어(13)가 들릴 때에는 제2 도어(14)가 상승한 상태에서 들린다. 그러나 제2 도어(14)가 상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1 도어(13)는 들릴 수 있다.
제1 도어(13)의 전면에는 제1 도어(13) 잡고 들을 수 있도록 손잡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어(13)의 하부에는 안치 공간(11)을 외부로 연통시킨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13a)은 제1 도어(13)의 저면을 향하여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도어(13)와 제2 도어(14)의 내부에는 열전달을 방지하는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충진 되어 있다. 단열재는 스티로폼, 우레탄 폼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20)는 음용수가 저장되는 것으로 안치 공간(11)의 바닥면에 놓여 있다. 용기(2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용기(20) 내부로 음용수가 수용될 수 있다. 용기(20)는 음용수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20)는 유리,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용기(20)의 하부에는 배출관(2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배출관(21)은 용기(20)에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된다. 배출관(21)과 용기(20)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기밀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기밀 부재는 배출관(21)을 용기(20)에 결합할 때 압착될 수 있다. 압착된 기밀 부재는 배출관(21)과 용기(2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기밀 부재에 의하여 배출관(21)이 결합된 용기(20) 부분에서 음용수가 누수 되지 않는다.
배출관(21)은 구멍(13a)을 관통하여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본체(10) 외부로 노출된 배출관(21) 부분에는 음용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어 밸브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용기(20)의 바닥면에는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있다. 패드는 용기가 안치 공간(11)의 바닥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패드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패드는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20)가 안치 공간(11)에 단순히 놓여 있는 상태로 배치되므로 제1 도어(13)를 들어 구멍(13a) 부분이 배출관(21)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구멍(13a) 부분이 벗어나면 제1 도어(13)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한다. 제1 도어(13)을 들은 다음에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 시키므로 구멍(13a) 부분이 배출관(21)에서 벗어나게 되어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도어(13)가 배출관(21)에 걸리지 않게 된다.
본체(10)의 전면이 개방되면 본체(10) 내에 위치한 용기(20)를 간편하게 들어낼 수 있다. 용기(20)를 본체(10)에서 들어낼 수 있으므로 용기(20)의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용기(20)가 놓인 안치 공간(11)의 둘레면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배출관(21)이 용기(20)에서 분리되므로 배출관(21)의 세척 또한 용이하다.
감지부(30)는 제2 도어(14)에 위치하며, 음용수의 상태를 확인한다. 감지부(30)는 컨트롤러(31) 및 센서(32)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1)는 회로 장치 및 조작 버튼을 포함한다. 컨트롤러(31)는 제2 도어(14)의 상면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센서(32)는 음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음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음용수의 농도를 측정하는 수질 센서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용기(2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32)는 용기(20) 내부에 위치하며 컨트롤러(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도어(14)에는 센서(32)를 지지하는 서포터(33)가 설치되어 있다. 서포터(33)는 제2 도어(14)의 저면에서 용기(20)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수위 센서는 서포터(33)에 슬라이드(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능한 수위 센서에 의하여 용기(20)에 수용되는 음용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40)는 용기(20)에 수용된 음용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안치공간(11)의 둘레면 내부에 위치한다. 온도 조절부(40)는 냉각부(41) 및 가열부(42)를 포함한다.
냉각부(41)는 음용수의 온도를 낮추는 것으로 냉매관(411) 및 냉매 유닛(412)을 포함한다.
냉매관(411)은 파이프 형성되어 내부에 음용수와 열교환 하는 냉매 유체가 흐른다. 냉매관(411)은 안치 공간(11)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있다.
냉매 유닛(412)은 냉매관(411) 내부로 냉매 유체를 공급하는 것이다. 냉매 유닛(412)은 하부 공간(12)에 위치하여 냉매관(411)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냉매 유닛(412)의 구성은 공지된 냉동 사이클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열부(42)는 음용수의 온도를 높이는 것으로 히팅관(421) 및 발열 유닛(422)을 포함한다.
히팅관(421)은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하는 열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히팅관(421)은 열선이 아닐 수도 있다. 히팅관(421)은 안치 공간(11)의 둘레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히팅관(421)은 냉매관(411)과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발열 유닛(422)은 히팅관(421)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으로 하부 공간(12)에 배치되어 냉매 유닛(412)과 이웃하다. 여기서 가열부(42)의 구성은 공지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산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냉각부(41)와 가열부(42)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만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용수를 차갑게 하거나 따뜻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차가운 음료를 따뜻하게 할 수 있고, 따뜻한 음료를 차갑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조절부(40)는 컨트롤러(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음용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거나 이상일 경우 컨트롤러(31)는 냉각부(41) 또는 가열부(42)에 신호를 인가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온도 조절부(40)가 위치한 안치 공간(11)의 둘레면에는 열전달을 방지하는 단열재(도시하지 않음)가 충진 되어 있다. 단열재는 스티로폼, 우레탄 폼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는 안치 공간(11)의 열이 본체(10)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단열재는 외부 열이 안치 공간(11)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직수부(50)는 용기(20) 내부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직수부(50)는 제2 도어(14)에 지지되어 있다. 직수부(50)의 단부는 용기(20) 내부에 위치한다. 직수부(50)에는 컨트롤러(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51)가 결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51)는 용기(20)로 공급되는 음용수의 흐름을 단속한다. 예컨대, 수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일 경우 컨트롤러(31)는 솔레노이드 밸브(51)가 개방되도록 신호를 인가한다. 그럼 솔레노이드 밸브(51)는 개방되어 음용수가 용기(2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수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일 경우 컨트롤러(31)는 솔레노이드 밸브(51)가 닫히도록 신호를 인가한다. 그럼 솔레노이드 밸브(51)는 닫히어 음용수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수부(50)는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고무, 비닐, 헝겊 따위로 만든 관 호스, 또는 금속관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수부(50)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위 설명에서 직수부(50)가 제2 도어(14)에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직수부(50)는 제2 도어(14)에 지지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직수부(50)의 단부는 용기(20)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
배수 트레이(60)는 본체(10) 외부로 노출된 배출관(21)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다. 배수 트레이(60)는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배수 트레이(60)는 배출관(21)에서 배출된 음용수를 받는 컵(도시하지 않음)에서 넘치는 음용수를 받는다. 또한, 배출관(21)에서 누수 되는 음용수를 받는다.
배수 트레이(60)에는 받은 음용수를 배출하는 배수관(61)이 연결되어 있다. 배수관(61)은 하부 공간(12)에 위치한 수거통(62)과 연결되어 있다. 배수 트레이(60)가 넘치거나 누수되는 음용수를 받아 배수 처리하므로 식수 공급 장치(1)의 주변이 음용수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식수 공급 장치(1)의 주변을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보관부(70)는 컵과 같은 식수 용폼을 보관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있다. 보관부(70)는 보관 몸체(71) 및 살균 장치(73)를 포함한다.
보관 몸체(71)의 본체(10)의 외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보관 몸체(71)에는 홈이 형성되고 본체(10)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홈이 돌기에 걸리면서 보관 몸체(71)가 본체(10)가 장착될 수 있다.
보관 몸체(71)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선반(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위치할 수 있다. 선반에는 컵 따위가 놓일 수 있다. 그리고 보관 몸체(71)의 바닥면에 고인 음용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보관 몸체(71)의 내부는 수거통(62)과 연결될 수도 있다.
보관 몸체(71)의 적어도 일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보관 몸체(71) 부분에는 덮개(72)가 힌지 결합되어 열리고 닫힐 수 있다. 아울러 덮개(72)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 장치(73)는 보관 몸체(71) 내부에 위치하여 컵을 살균 소독할 수 있다. 살균 장치(73)는 자외선 램프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살균 장치(73)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승강 장치(81)는 본체(10)의 좌우 양측 또는 배면에 위치하여 제2 도어(14)를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81)는 스크류(811) 및 승강바(813)를 포함한다.
스크류(811)는 본체(10)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크류(811)의 양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본체(10)에 지지되어 있다. 스크류(811)의 한쪽 끝에는 스크류(811)를 회전 시키는 구동 모터(812)가 결합되어 있다. 구동 모터(812)는 컨트롤러(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 모터(812)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본체(10)에 장착될 수 도 있다. 구동 모터(812)는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한다.
승강바(813)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승강바(813)는 본체(10)에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본체(10)에는 승강바(81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승강바(813)의 일측은 스크류(811)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811)의 타측은 제2 도어(14)에 결합되어 있다. 승강바(813)는 스크류(8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류(8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즉, 구동 모터(812)에 의하여 스크류(811)가 정 회전 하면 승강바(813)는 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크류(811)를 따라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 홈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승강바(813)가 상승하게 되면 본체(10)의 상면에 놓인 제2 도어(14)는 상면에서 떨어져 상승할 수 있다. 제2 도어(14)가 상승하면 제2 도어(14)에 연결되어 용기(20) 내부에 위치한 센서(32) 및 직수부(50)는 용기(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용기(20)를 벗어날 수 있다. 센서(32) 및 직수부(50)가 용기(20)에서 벗어나면 제1 도어(13)를 들어 올려 구멍(13a) 부분이 배출관(21)을 벗어나도록 하고, 구멍(13a) 부분이 배출관(21)에서 벗어나면 제1 도어(13)를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본체(1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한다. 전면이 개방되면 용기(20)를 안치 공간(11)에서 거치적거림 없이 들어낼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811)가 역 회전 하면 승강바(813)는 가이드 홈을 따라 하강 하게 된다. 승강바(813)가 하강하면 본체(10) 상면에서 떨어진 제2 도어(14)는 본체(10) 상면 방향으로 하강하여 본체(1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용기(20)가 안치 공간(11)에 위치한 상태라면 센서(32) 및 직수부(50)는 용기(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20) 내부에 위치한 센서(32)와 직수부(50)가 승강 장치(81)에 의하여 승강 가능한 제2 도어(14)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 도어(14)가 상승하면 용기(20) 내부에서 벗어나게 된다. 센서(32)와 직수부(50)가 용기(20) 내부에서 벗어나면 안치 공간(11)에서 용기(20)를 거치적거림 없이 들어낼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811)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고, 승강바(813)는 랙 기어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82)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엑추에이터는 작동 유체를 압축 공기로 사용될 수 있다. 엑추에이터의 하우징은 본체(10)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하우징과 연결된 작동 로드는 제2 도어(14)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동 로드가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면 제2 도어(14)는 본체(10)의 상면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작동 로드가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면 본체(10)의 상면에서 떨어진 제2 도어(14)는 본체(10) 상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1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83)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부(831) 및 구동부(832)를 포함한다.
링크부(831)는 한 쌍의 링크 부재(831a)가 엑스 형태로 교차되어 있으며 교차된 부분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링크 부재(831a)들이 연속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연속 적으로 연결된 링크 부재 중 최 상부에 위치한 링크 부재(831b)는 제2 도어(14)에 힌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최 하부에 위치한 링크 부재(831c)는 본체(10)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부(832)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링크부(831)는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그 폭(W)과 길이(L)가 변화될 수 있다.
구동부(832)는 링크부(831)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링크 스크류(811) 및 링크 블록(832c))을 포함한다.
링크 스크류(811)는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부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링크 스크류(811)의 일측에는 링크 스크류(811)를 회전 시키는 링크 모터(832b)가 결합되어 있다.
링크 블록(832c))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링크 블록(832c))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있다. 이때 링크 블록(832c)) 중 어느 하나는 왼 나사 방식으로 링크 스크류(811)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오른 나사 방식으로 링크 스크류(8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링크 스크류(81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한 쌍의 링크 블록(832c))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으로 링크 블록(832c))에는 최 하부에 위치한 링크 부재(831c)가 각각 힌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스크류(811)가 정 회전하면 한 쌍의 링크 블록(832c)이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6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블록(832c)에 연결된 링크부(831)의 폭(W)이 좁혀지면서 링크부(831)의 상하 길이(L)가 길어지게 된다. 링크부(831)의 상하 길이(L)가 길어지면 제2 도어(14)는 본체(10)의 상면에서 떨어져 상승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링크 스크류(811)가 역 회전하면 한 쌍의 링크 블록(832c)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6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블록(832c)에 연결된 링크부(831)의 폭(W)이 넓어지면서 링크부(831)의 길이(L)가 짧아지게 된다. 이때 본체(10)의 상면에서 떨어진 제2 도어(14)는 본체(10)의 상면 방향으로 하강하여 본체(1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장치(81, 82, 83)에 의하여 제2 도어(14)는 본체(10)의 상면에서 자연스럽게 승강할 수 있다. 승강하는 제2 도어(14)에 의하여 제2 도어(14)에 연결된 센서(32) 및 직수부(50)는 용기(20)에서 벗어나거나, 용기(20) 내부로 간편하게 유입될 수 있다. 즉, 제2 도어(14)의 승강 방향에 따라 센서(32)와 직수부(5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수 공급 장치(1)는 직수가 용기(20) 내부로 바로 공급되어 수용되며 이때 음용수를 온도 조절부(40)로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어 항상 신선한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성과 편의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용기(20)가 안치 공간(11)에서 분리되므로 용기(20)와 안치 공간(11)을 언제나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생의 근본적인 물 때 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생적으로 식수 공급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배출관(21)에서 배출되는 음용수를 받는 컵을 놓을 수 있는 배수 트레이(60)가 본체(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출관(21)에서 누수 되거나 컵에서 넘친 음용수가 식수 공급 장치(1) 주변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식수 공급 장치(1) 주변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체(10)의 외측면에 컵과 같은 음용수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70)가 설치되므로 음용수 용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보관부(70)에 설치된 살균 장치(73)에 의하여 음용수 용품이 살균 소독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생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식수 공급 장치 10: 본체
11: 안치 공간 12: 하부 공간
13: 제1 도어 13a: 구멍
14: 제2 도어 20: 용기
21: 배출관 30: 감지부
31: 컨트롤러 32: 센서
33: 서포터 40: 온도 조절부
41: 냉각부 411: 냉매관
412: 냉매 유닛 42: 가열부
421: 히팅관 422: 발열 유닛
50: 직수부 51: 솔레노이드 밸브
60: 배수 트레이 61: 배수관
62: 수거통 70: 보관부
71: 보관 몸체 72: 덮개
73: 살균 장치 81, 82, 83: 승강 장치
811: 스크류 812: 구동 모터
813: 승강바 831: 링크부
831a, 831b, 831c: 링크 부재 832: 구동부
832a: 링크 스크류 832b: 링크 모터
832c: 링크 블록

Claims (11)

  1. 제1 도어가 전면에 연결되어 있고 제2 도어가 상면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안치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
    상기 안치 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놓여 있고 내부에 음용수가 수용될 수 있는 용기,
    상기 제2 도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음용수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조절부
    를 포함하는 식수 공급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도어는 올려짐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도어는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식수 공급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및
    상기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제2 도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 바
    를 포함하는
    식수 공급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승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엑추에이터이며, 상기 엑추에이터의 작동로드는 상기 제2 도어에 연결되어 있는 식수 공급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본체 양측에 위치하며,
    엑스 형태로 교차된 한 쌍의 링크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연속 힌지 연결된 링크부 및
    연속 연결된 링크 부재 중 최 하부에 위치한 링크 부재에 결합된 구동부
    를 포함하며
    연속 연결된 링크 부재 중 최 상부에 위치한 링크 부재는 상기 제2 도어에 힌지 연결된
    식수 공급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도어 배치된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음용수를 감지하는 센서
    를 포함하는
    식수 공급 장치.
  7. 제1항에서,
    음용수를 상기 용기로 공급하는 직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직수부는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있는 식수 공급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냉매관 및 상기 냉매관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음용수를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히팅관 및 상기 히팅관을 발열 시키는 발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음용수를 가열하는 가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관과 상기 히팅관은 교번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식수 공급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 외부에 장착된 배수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식수 공급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식수 공급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보관부는
    덮개를 포함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보관 몸체 및
    상기 보관 몸체 내부에 설치된 살균 장치
    를 포함하는
    식수 공급 장치.
KR1020120065831A 2012-06-19 2012-06-19 식수 공급 장치 KR10123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831A KR101238165B1 (ko) 2012-06-19 2012-06-19 식수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831A KR101238165B1 (ko) 2012-06-19 2012-06-19 식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165B1 true KR101238165B1 (ko) 2013-02-27

Family

ID=4790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831A KR101238165B1 (ko) 2012-06-19 2012-06-19 식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1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820A (zh) * 2019-08-19 2019-10-25 萌茶茶(广州)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饮水机
KR20240000268A (ko) * 2022-06-23 2024-01-02 박길재 온수공급 및 토수방향 전환구조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327B1 (ko) 2005-02-02 2005-10-13 박종주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KR20110042717A (ko) * 2009-10-20 2011-04-27 손종근 냉온수기용 보호 케이스
KR20110010278U (ko) * 2011-10-13 2011-10-31 진남기 집단급수 정수설비
KR101082796B1 (ko) 2009-03-27 2011-11-11 서경아 식수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327B1 (ko) 2005-02-02 2005-10-13 박종주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KR101082796B1 (ko) 2009-03-27 2011-11-11 서경아 식수공급장치
KR20110042717A (ko) * 2009-10-20 2011-04-27 손종근 냉온수기용 보호 케이스
KR20110010278U (ko) * 2011-10-13 2011-10-31 진남기 집단급수 정수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820A (zh) * 2019-08-19 2019-10-25 萌茶茶(广州)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饮水机
KR20240000268A (ko) * 2022-06-23 2024-01-02 박길재 온수공급 및 토수방향 전환구조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KR102658010B1 (ko) 2022-06-23 2024-04-15 박길재 온수공급 및 토수방향 전환구조의 서랍형 칫솔 살균 양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277B1 (ko)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가방 어셈블리
KR101544609B1 (ko)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
KR101238165B1 (ko) 식수 공급 장치
TW201420977A (zh) 開飲機
KR101358073B1 (ko) 냉온수기 및 냉온수기의 살균 방법
JP3208567U (ja) 電解水を利用した清拭タオル洗浄専用台車
JP5052230B2 (ja) 昇降式吊戸棚
JP3957733B2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JP2001252336A (ja) カート式食器消毒保管装置
CN219190226U (zh) 一种具有保温、杀菌、消毒功能的送餐机器人
KR101383133B1 (ko) 열탕 살균장치 및 항균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수저 보관함
JP3776915B2 (ja) 殺菌装置および殺菌方法
JP2005110899A (ja) 加熱消毒装置
KR101384481B1 (ko) 속옷살균장치가 설치된 옷장 서랍
CN209575325U (zh) 一种可调节无菌消毒柜
KR100605396B1 (ko) 살균장치 및 살균방법
CN210019684U (zh) 一种骨科手术多功能消毒台
KR101025560B1 (ko) 조리도구용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9185050U (zh) 一种厨房用餐具消毒柜
JP2004290011A (ja) 種籾の温湯消毒装置
KR20160066389A (ko) 냉온음료 공급기
ES2232698T3 (es) Unidad para dispensar productos alimenticios liquidos.
CN214857478U (zh) 一种妇科门诊手术室用消毒装置
CN210331171U (zh) 一种餐饮器皿用的消毒柜
CN216256696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即热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