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796B1 - 식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식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796B1
KR101082796B1 KR1020090026275A KR20090026275A KR101082796B1 KR 101082796 B1 KR101082796 B1 KR 101082796B1 KR 1020090026275 A KR1020090026275 A KR 1020090026275A KR 20090026275 A KR20090026275 A KR 20090026275A KR 101082796 B1 KR101082796 B1 KR 101082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inking water
water supply
hea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922A (ko
Inventor
서경아
임진택
양영욱
Original Assignee
서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아 filed Critical 서경아
Priority to KR102009002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79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8Closing means, e.g. bungholes, barrel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기와 같은 식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식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관 및 식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관이 마련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일측에서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식수를 저수하며, 외부와의 단열을 위하여 내부가 진공상태인 용기벽을 구비한 용기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고, 상기 용기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고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용기부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관리효과가 증진되고, 헤드부에 마련된 히터와 같은 설치물을 쉽게 수리할 수 있도록 오픈될 수 있으므로 식수공급장치의 수명단축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냉수기, 온수기, 냉온수기, 식수공급장치, 물탱크

Description

식수공급장치{water supply equipment}
본 발명은 냉온수기와 같은 식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와 같은 식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열효율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는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05-0055495호 (발명의 명칭 : 온수배출시스템 및 온수배출시스템을 위한 온수탱크)와 같이 단열벽을 갖는 단열탱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탱크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단열벽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열전달을 차단하는 효과가 높지 못하였다. 열전달이 차단되는 효과가 높은 방법으로 단열벽의 내부를 대기압 보다 낮은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진공이 형성된 단열벽에는 물 유입관, 유출관, 에어 유출관, 온도 감지센서, 히터 또는 냉각장치 등 다양한 설비를 설치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진공이 형성된 단열벽을 갖는 단열탱크는 내부에 이물질이 누적되었을 때 청소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단열탱크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하고, 단열탱크 의 내부에 설치된 설치물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온수기와 같은 식수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청소가 용이하고 설치물 수리가 용이한 식수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수공급장치는 식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관 및 식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관이 마련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일측에서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식수를 저수하는 용기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고, 상기 용기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고,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의 타측에 용기부를 움직일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용기부는 외부와의 단열을 위하여 내부가 진공상태인 2중벽으로 된 용기벽을 구비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부에는 상기 용기부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는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도어를 잠그는 도어잠금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용기부는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는 상 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를 받아 수평으로 이동되어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용기부는 수평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를 받아 이동되어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용기부와 상기 헤드부가 정렬되어 결합되면서 용기부가 헤드부 측으로 과도하게 밀리는 것을 억제시키고 용기부의 중심축과 헤드부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용기부와 헤드부의 결합부위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수공급장치는 헤드부와 용기부가 탈착가능하고, 용기부의 이동을 가이드부가 가이드하므로 용기부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관리효과가 증진되고, 헤드부에 마련된 히터와 같은 설치물을 쉽게 수리할 수 있도록 용기부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식수공급장치의 수명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장치의 헤드부 및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장치는 헤드부(110), 용기부(120), 가이드부(130) 및 지지프레임부(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헤드부(110)는 용기부(120)의 일측과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헤드부(110)에는 식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관(111) 및 식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관(112)이 마련되어 있다. 유입관(111) 및 유출관(112)는 헤드부(110)를 관통하여 용기부(120)의 내측 저수공간에 식수의 출구 또는 입구가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유입관(111)은 식수가 용기부(120)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하여 마련된 관(pipe)이고, 유출관(112)은 용기부(112)의 저수공간에 저수되어 있던 식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사람이 음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관이다.
헤드부(110)에는 용기부(120)와 헤드부(110)사이에 저수된 식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114)이 마련되어 있다. 드레인(114)를 통해 저수된 식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용기부(120)의 내측 및 헤드부(110)를 청소할 수 있다. 즉, 드레인(114)은 청소 등의 목적으로 저수된 물을 외부로 빼내고자 할 때 저수된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배수관이다.
헤드부(110)에는 용기부(120)와 헤드부(110)가 결합된 후 용기부(120)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켜줄 수 있는 공기배출관(117)가 마련되어 있다. 용기 부(120)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관(117)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부(1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지 못하여 용기부(120)내부로 식수의 유입이 방해되는 현상이 없게되며 용기부(120) 내부에 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온수기의 경우에는 저수된 식수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열수단으로 히터(113)가 헤드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히터(113)는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을 하여 용기부(110)에 저수된 식수의 온도를 높여준다.
냉수기의 경우에는 저수된 식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냉각수단으로 냉매관(116)이 헤드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냉매관(116)은 외부의 냉각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가 저수된 식수의 열을 흡수하여 다시 외부의 냉각기로 돌아갈 수 있게 설치된다. 도 2의 사시단면도에서 냉매관(116)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온도계(thermometer)(115)는 용기부(110)에 의해 저수된 식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계(115)가 저수된 식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수기의 히터(113)가 저수된 식수를 필요 이상으로 가열시키지 않도록 한다.
용기부(120)는 용기부(120)의 일측이 헤드부(110)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유입관(111)을 통하여 용기부(120)의 내측공간으로 유입되는 식수를 저수한다.
용기부(120)와 헤드부(110)와의 탈착가능한 결합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20)를 헤드부(110)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밀착될 수 있고, 용기부(120)를 헤드부(110)로부터 잡아당김으로써 밀착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용기부(120)와 헤드부(110)는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수평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수평에 대하여 5도 내지 90도의 범위 이내의 특정 각도로 배치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용기부(120)와 헤드부(110)가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식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고무패킹과 같은 실링수단(121)이 용기부(120)와 헤드부(110)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부(120)와 헤드부(110)가 결합되는 결합부위(150)에는 테이퍼(taper)지거나 단차진 형태 또는 원추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부(120)와 헤드부(110)가 결합되는 결합부위(150)이 테이퍼짐으로써 용기부의 중심축과 헤드부의 중심축이 일치된다. 그리고 과도하게 밀리거나 한 쪽으로 쏠리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테이퍼진 또는 단차진 결합부위(150)는 용기부와 헤드부가 잘 정렬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합부위(150)는 용기부(120)와 헤드부(110)가 수평으로 위치하는 수평구조인 경우에는 더욱 중요해진다. 즉, 용기부(120)의 하측에 헤드부(110)이 위치한 수직구조인 경우에는 실링수단(121)인 오링(O-ring)에 고르게 힘이 분배되므로 효과적으로 실링될 수 있지만, 수평구조인 경우에는 하측의 오링(O-ring)이 상 측의 오링(O-ring)보다 하중을 더 받게 된다. 따라서 오링(O-ring)이 받는 힘에 불균형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오링(O-ring)의 수명단축 및 실링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하지만 용기부(120)와 헤드부(110)가 결합되는 결합부위(150)가 테이퍼지거나 단차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용기부(120)와 헤드부(110)가 결합될 때 올바르게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오링(O-ring)에 힘이 불균형으로 가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식수의 누수를 억제하기 위한 실링수단(121)인 오링(O-ring)이 고르게 힘을 받을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용기부(120)는 외부와의 단열을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20)의 용기벽은 2중벽 구조로 이루어지고 2중벽 사이에는 진공상태인 것이 단열효과가 높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물론, 2중벽 사이에 진공상태가 아닌 단열재가 있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용기부(120)의 타측에는 손잡이(125)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용기부(120)를 밀어서 헤드부(110)에 끼워 장착하거나 헤드부(110)에 끼워져서 결합된 용기부(120)를 잡아 당기어서 손쉽게 분리 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25)가 용기부(120)의 타측에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125)가 용기부(120)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사용자가 용기부(120)를 취급하기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30)는 헤드부(110)와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부(130)는 용기부(120)가 이동될 때 헤드부(110)에 용기부(120)의 일측이 정확히 잘 끼워지는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용기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헤드부(110)와 결합된 용기부(120)를 분리할 때에도 용기부(120)의 분리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부(130)는 용기부(120)가 헤드부(110)과 결합될 때 헤드부(110)에 마련된 히터(113), 냉매관(116), 온도계(115), 유입관(111) 및 유출관(112) 등이 용기부(120)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용기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부(130)의 예로서 양 끝단이 지지프레임부(140)와 결합되고 측면이 용기부(120)에 접하여 용기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봉을 가이드부(130)의 예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지지프레임부(140)는 가이드부(130)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부(120)를 지지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부(140)는 헤드부(110)와 용기부(12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부(140)에는 용기부(120)이 인입하여 가이드부(130)의 가이드를 받아 헤드부(1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용기부(120)가 인입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은 후술할 도어(142)에 의해 개폐된다.
지지프레임부(140)에는 용기부(120)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는 도어(14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42)는 지지프레임부(140)에 마련되어 힌지결합되어 있어 열고 닫기가 가능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도어(142)가 열리면 용기부(120)을 외부로 인출해 낼 수 있게 된다. 도어(142)가 닫혀있으면 용기부(12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없다.
도어(142)에는 아무 때나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잠금수단(144)이 마련되어 있다. 도어잠금수단(144)이 락(lock)상태에 있으면 도어(142)는 잠겨서 열리지 않는다. 도어잠금수단(144)이 락해제 상태에 있으면 도어(142)는 열어젖힘으로써 열리게 된다.
그리고 도어(142)에는 도어(142)가 닫혔을 때 용기부(120)를 헤드부(110)측으로 탄성력으로 밀어줌으로써 용기부(120)가 흔들리지 않도록 돕기위한 탄성부재(14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의 예로써 실리콘소재의 패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어(142)에 형성된 홈(145)에는 용기부(120)의 타측에 마련된 손잡이(125)가 위치할 수 있다. 이 홈(145)에 손잡이가 위치함으로써 용기부(120)는 홈(145)의 방향에 맞추어 끼워질 수 있다. 이 홈(145)에 손잡이(125)가 위치함으로써 용기부(1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125)의 일측에 홈(127)이 마련된 경우에는 이 홈(127)이 맨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용기부(120)의 세척 후 남아 있는 잔류 물기가 이 홈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장치는 헤드부와 용기부가 탈착가능하고, 용기부의 이동을 가이드부가 가이드하므로 용기부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관리효과가 증진된다. 그리고, 헤드부에 마련된 히터와 같은 설치물을 쉽게 수리할 수 있도록 용기부가 쉽게 분리되어 헤드부가 오픈될 수 있으므로 식수공급장치의 수명단축이 억제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수공급장치의 헤드부 및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헤드부 120 : 용기부
125 : 손잡이 130 : 가이드부
140 : 지지프레임부

Claims (8)

  1. 식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관 및 식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관이 마련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일측에서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식수를 저수하는 용기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고, 상기 용기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고, 상기 용기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는
    외부와의 단열을 위하여 내부가 진공상태인 2중벽으로 된 용기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타측에 용기부를 움직일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공급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에는 상기 용기부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에는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도어를 잠그는 도어잠금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공급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용기부는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를 받아 수평으로 이동되어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용기부는 수평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를 받아 이동되어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공급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와 상기 헤드부가 정렬되어 결합되면서 용기부가 헤드부 측으로 과도하게 밀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용기부와 헤드부의 결합부위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공급장치.
KR1020090026275A 2009-03-27 2009-03-27 식수공급장치 KR101082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275A KR101082796B1 (ko) 2009-03-27 2009-03-27 식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275A KR101082796B1 (ko) 2009-03-27 2009-03-27 식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922A KR20100107922A (ko) 2010-10-06
KR101082796B1 true KR101082796B1 (ko) 2011-11-11

Family

ID=4312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275A KR101082796B1 (ko) 2009-03-27 2009-03-27 식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65B1 (ko) 2012-06-19 2013-02-27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식수 공급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397A (ja) 2002-02-25 2003-09-02 Sanden Corp 飲料供給装置
JP2003312790A (ja) 2002-04-23 2003-11-06 Unimat Offisco Corp 飲料供給装置における給水タンク
KR100523309B1 (ko) 1997-12-26 2005-10-24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살균 수단을 구비한 식수 디스펜서
KR200435186Y1 (ko) * 2006-08-25 2007-01-10 곽민준 음용수 공급장치의 차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309B1 (ko) 1997-12-26 2005-10-24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살균 수단을 구비한 식수 디스펜서
JP2003246397A (ja) 2002-02-25 2003-09-02 Sanden Corp 飲料供給装置
JP2003312790A (ja) 2002-04-23 2003-11-06 Unimat Offisco Corp 飲料供給装置における給水タンク
KR200435186Y1 (ko) * 2006-08-25 2007-01-10 곽민준 음용수 공급장치의 차공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65B1 (ko) 2012-06-19 2013-02-27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식수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922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310B1 (ko) 음료수용 서버 및 이 음료수용 서버를 사용한 음료수의 공급 방법
US20120244017A1 (en) Self-Powered Pump for Heated Liquid and Heat Driven Liquid Close-Loop Automatic Circulating System Employing Same
KR101082796B1 (ko) 식수공급장치
US96568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flow of a fluid reservoir
KR100874559B1 (ko) 진공 흡입식 한약추출기
JP4858548B2 (ja) 加熱調理器
KR101177499B1 (ko) 냉온수기
KR101006860B1 (ko) 냉온 정수기
WO2011120294A1 (zh) 冰箱
KR101029773B1 (ko) 물 공급장치
KR20200078898A (ko) 먹는 물 공급기용 직냉장치
EP3712510A1 (en) Water circulation device construction method and scale removal device
CN109707182A (zh) 住宅卫生间余热回收系统
KR101346963B1 (ko) 와인 냉각장치
JP2006084127A (ja) 冷蔵庫
JP2016148576A (ja) 漏水検知装置および給湯機
JP4097854B2 (ja) 電気湯沸し器、分割加熱器および給湯器
KR101025878B1 (ko) 음용수 공급 장치
KR101210912B1 (ko) 물분배기
KR20120086780A (ko) 열변형 문제를 개선한 오버히팅 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기의 온수통
CN220696801U (zh) 用于检测的电热恒温水浴锅
CN212299498U (zh) 一种用于太阳能热水器的防冻结构
KR101252240B1 (ko) 냉온수기
CN208454673U (zh) 嵌入式净饮机
CN212489576U (zh) 一种蒸汽回收型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