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327B1 -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327B1
KR100520327B1 KR1020050009589A KR20050009589A KR100520327B1 KR 100520327 B1 KR100520327 B1 KR 100520327B1 KR 1020050009589 A KR1020050009589 A KR 1020050009589A KR 20050009589 A KR20050009589 A KR 20050009589A KR 100520327 B1 KR100520327 B1 KR 10052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water supply
main body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주
Original Assignee
박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주 filed Critical 박종주
Priority to KR102005000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8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containers,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 전방에 마련되는 취수부를 갖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기 취수부 상부영역에 마련되는 관상용 투명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공기배출공에 의해 상기 수조와 연통된 공기분배실과, 상기 공기분배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이용자들이 음수를 식음하는 과정을 즐길 수 있고, 설치 공간의 미관이 향상되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Group for 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상용 수조를 갖는 단체급수용 음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는 학교나 공장 등과 같이 많은 인원이 생활하는 곳의 식당 등에 설치되는 급수설비로서, 다수의 인원에게 동시에 음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일반적인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110)의 전방 영역에 취수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취수부(120)에는 본체케이싱(110) 내에 마련되는 저수탱크(130) 또는 외부의 음수공급원과 관로로 연결된 다수의 취수꼭지(121)가 설치되어 있고, 취수꼭지(121)의 하부에는 버려지는 음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취수대(12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싱(110) 내에는 음수공급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기가 수용되는 기기수용공간(미도시)과,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물품보관공간(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는 단순히 음수 공급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음수의 식음 과정에서 별다른 감응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수공급장치의 크기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식당 등의 설치공간 활용과 미관을 저해하는 설비로 취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들이 음수를 식음하는 과정을 즐길 수 있고, 설치 공간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 전방에 마련되는 취수부를 갖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기 취수부 상부영역에 마련되는 관상용 투명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공기배출공에 의해 상기 수조와 연통된 공기분배실과, 상기 공기분배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상기 공기분배실 하부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공기공급공에 의해 상기 공기분배실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공급관부와; 상기 수조의 인접영역에 설치되는 공기발생기와; 상기 공기발생기의 토출구로부터 상기 공기공급관부를 향해 연결된 공기공급관로와; 상기 공기공급관로 상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삭제
이때,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공기공급공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는 전자밸브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케이싱의 일 영역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개방 및 차단을 소정의 시간 주기로 단속하는 밸브제어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음수공급장치에 설치된 수조 및 공기공급수단의 간략한 설치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1)는 외관과 기기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10)과, 본체케이싱(10) 전방에 마련되는 취수부(20)와, 본체케이싱(10)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관상용 투명 수조(30)와, 수조(3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40)을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0)은 컵 수용공간 및 기기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싱부(11)와, 취수부(20)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중간케이싱부(13)와, 수조(30)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싱부(15)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케이싱부(11)의 도시 않은 기기수용공간 내에는 음수를 냉각 및/또는 가열하는 열교환기 등의 기기들이 수용되며, 중간케이싱부(13)에는 외부의 음수공급원과 관로에 의해 연결되는 취수꼭지(21) 및 버려지는 음수를 수령하여 외부의 배출관로로 배출하기 위한 취수대(23) 등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싱부(15)에는 관상용 투명 수조(30)를 설치되기 위한 수조설치부(미도시)와, 수조(30)를 관찰 할 수 있는 수조개구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수조(30)는 투명재질의 아크릴판 또는 강화 유리판 등을 이용하여 통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부케이싱부(15)의 수조설치부(미도시)에 설치되어 있다. 이 수조(30) 내에는 각종 관상용 어류 및/또는 해초류 등이 물과 함께 수용된다. 이때, 수조(30)의 저부 일측에는 수조(30) 내에 수용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조(30)의 하부에는 수조(30)의 내부를 비추는 조명장치(31)를 마련하여 주간 및 야간에 수조(30) 내부를 비춰 미관을 향상시키는 조명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조(30)의 하부에는 공기공급수단(40)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수조(30) 내부로 분배 공급하는 공기분배실(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분배실(33)은 다수의 공기배출공(33a)에 의해 수조(30)와 연통되어 있다. 이때, 공기배출공(33a)은 후술할 공기공급관부(41)의 공기공급공(41a)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데, 공기배출공(33a)을 통해 공기분배실(33)로 공급된 공기가 공기분배실(33) 내에서 균일하게 분배되어 공기배출공(33a)을 통해 원활하게 수조(30) 내부로 공급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공기공급수단(40)은 공기분배실(33)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부(41)와, 공기를 발생하여 공기공급관부(41)로 전달하는 공기발생기(43)와, 공기발생기(43)와 공기공급관부(41)를 연결하는 공기공급관로와, 공기공급관로 상에 설치되는 체크밸브(47)를 갖는다.
공기공급관부(41)는 공기분배실(33) 하부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공기분배실(33)과 연통되는 다수의 공기공급공(4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공기공급관부(41)는 별도의 관상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공기분배실(33)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공급관부(41)는 단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공기발생기(43)는 일반적인 수족관이나 관상용 어항 등에 사용되는 공기발생기(43)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공기발생기(43)의 용량과 규격은 수조(30)의 규격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공기공급관로는 공기발생기(43)의 토출구로부터 분배 연장되어 공기공급관부(41)의 일측을 연결된다. 이 공기공급관로는 공기공급관부(41)의 수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한편, 체크밸브(47)는 소정의 주기로 개방 및 차단될 수 있고, 이 개방 및 차단을 조작할 수 있는 전자밸브로 마련되며, 본체케이싱(10)의 일 영역에는 체크밸브(47)를 제어할 수 있는 밸브제어기(49)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제어기(49)는 체크밸브(47)를 소정의 시간 주기 등으로 단속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1)는 다수의 이용자들이 취수부(20)에 마련되는 취수꼭지(21)를 통해 음수를 공급받아 식음 할 때, 관상용 투명 수조(30)를 바라보면서 식음 할 수 있으므로 식음과정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식당 등에 별도의 수조 등의 미관 향상요소를 추가할 필요 없이 음수공급장치(1)를 설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의 효과적인 활용과 미관 향상이 도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들이 음수를 식음하는 과정을 즐길 수 있고, 설치 공간의 미관이 향상되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음수공급장치에 설치된 수조 및 공기공급수단의 간략한 설치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케이싱 20 : 취수부
30 : 수조 33 : 공기분배실
40 : 공기공급수단 41 : 공기공급관부
43 : 공기발생기 45 : 공기공급관로
47 : 체크밸브 49 : 밸브제어기

Claims (5)

  1. 삭제
  2.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 전방에 마련되는 취수부를 갖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기 취수부 상부영역에 마련되는 관상용 투명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공기배출공에 의해 상기 수조와 연통된 공기분배실과,
    상기 공기분배실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상기 공기분배실 하부에 마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공기공급공에 의해 상기 공기분배실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공급관부와;
    상기 수조의 인접영역에 설치되는 공기발생기와;
    상기 공기발생기의 토출구로부터 상기 공기공급관부를 향해 연결된 공기공급관로와;
    상기 공기공급관로 상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은 상기 공기공급공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전자밸브로 마련되며, 상기 본체케이싱의 일 영역에는 상기 체크밸브의 온/오프(On/Off)를 소정의 시간 주기로 단속하는 밸브제어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KR1020050009589A 2005-02-02 2005-02-02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KR10052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89A KR100520327B1 (ko) 2005-02-02 2005-02-02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589A KR100520327B1 (ko) 2005-02-02 2005-02-02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0327B1 true KR100520327B1 (ko) 2005-10-13

Family

ID=3730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589A KR100520327B1 (ko) 2005-02-02 2005-02-02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3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65B1 (ko) 2012-06-19 2013-02-27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식수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165B1 (ko) 2012-06-19 2013-02-27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식수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540B1 (ko) 휴대용 물병
US20080190374A1 (en) Water dispenser for pets
KR101270648B1 (ko) 미세조류 고밀도 대량배양 장치
US20080072835A1 (en) Combined pot and aquarium
KR100520327B1 (ko) 단체 급수용 음수공급장치
JPH02186928A (ja) 観賞魚用水槽
KR101743813B1 (ko)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바 테이블
US20100090020A1 (en) Modular Water Fountain
KR20210012015A (ko) 수족관용 통합 컨트롤 여과장치
KR101726035B1 (ko) 조명 폭포 화병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US20060026898A1 (en) Illuminated plant holder
JP2007166911A (ja) 観賞魚展示販売用多段型水槽台
KR10082862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US20220221119A1 (en) Candle simulators
US20180028027A1 (en) Backlit Paper Towel Dispenser
KR200452079Y1 (ko) 음이온발생 및 가습기효능을 갖춘 수족관을 구비한 기능성 탁자
KR101263833B1 (ko) 다용도 수족관
KR20100099400A (ko) 섬프타입 수족관
KR200386972Y1 (ko) 장식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KR20150137817A (ko) 심미성을 향상시킨 가습기
CN204813403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饮水机
KR20160002476U (ko) 폭포 화병을 구비한 조명 파티션
CN212414367U (zh) 一种生态智能鱼缸
KR101519605B1 (ko) 장식용 조명등
KR20100078708A (ko) 항아리형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