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400A - 섬프타입 수족관 - Google Patents

섬프타입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400A
KR20100099400A KR1020090017876A KR20090017876A KR20100099400A KR 20100099400 A KR20100099400 A KR 20100099400A KR 1020090017876 A KR1020090017876 A KR 1020090017876A KR 20090017876 A KR20090017876 A KR 20090017876A KR 20100099400 A KR20100099400 A KR 20100099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space
filtration unit
aqua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우
Original Assignee
이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우 filed Critical 이봉우
Priority to KR1020090017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9400A/ko
Publication of KR2010009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서생물을 사육하는 섬프타입 수족관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 보충수 공급관 및 여과수 공급관등 각종 배관을 수족관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수족관의 사육공간 내를 자유롭게 꾸밀 수 있으며 각종 배관의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섬프타입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구비되며, 내부에 사육공간이 형성되는 수족관 본체와, 상기 수족관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격판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되 일측 저장공간에는 상기 사육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보조수조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여과수단과, 일단은 상기 일측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수단 내에 위치되어 상기 사육공간 내의 오염된 물을 상기 여과수단으로 이동시키는 오버플로우 수단과, 일단은 상기 타측 저장공간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수단 내에 위치되어 상기 타측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물을 상기 여과수단 내로 공급하여 보충하는 보충수 공급수단과, 일단은 상기 일측 저장공간을 통해 상기 사육공간과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수단 내에 위치되어 상기 여과수단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사육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여과수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프, 수족관, 보조수조, 여과수단, 오버플로우 수단, 보충수 공급수단, 여과수 공급수단

Description

섬프타입 수족관{SUMP TYPE AQUARIUM}
본 발명은 섬프타입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수서생물을 사육하는 섬프타입 수족관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 보충수 공급관 및 여과수 공급관등 각종 배관을 수족관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수족관의 사육공간 내를 자유롭게 꾸밀 수 있으며 각종 배관의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섬프타입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수족관(水族館, aquarium)이란 수서생물(水棲生物)을 사육하여, 그 상태를 일반대중이 관람할 수 있도록 만든 시설을 말하는 것으로 대형 수서생물을 사육하는 전문 수족관에서부터 소형 수서생물을 샤육하는 일반 가정 수족관 까지 그 종류가 다양한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섬프수족관의 경우 수족관 내부의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치가 설비된 것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수족관 내부의 물을 오버플로우 관을 이용해 여과장치 측으로 유동시켜 여과한 다음 펌프를 이용해 다시 수족관 내로 여과된 깨끗 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는 수족관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섬프수족관은 오버플로우관 등 각각의 배관시설이 수족관의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수족관 내부를 꾸미거나 유지보수 및 관리하는데 있어서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서생물을 사육하는 섬프타입 수족관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 보충수 공급관 및 여과수 공급관등 각종 배관을 수족관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수족관의 사육공간 내를 자유롭게 꾸밀 수 있으며 각종 배관의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섬프타입 수족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구비되며, 내부에 사육공간이 형성되는 수족관 본체와, 상기 수족관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격판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되 일측 저장공간에는 상기 사육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보조수조와,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여과수단과, 일단은 상기 일측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수단 내에 위치되어 상기 사육공간 내의 오염된 물을 상기 여과수단으로 이동시키는 오버플로우 수단과, 일단은 상기 타측 저장공간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수단 내에 위치되어 상기 타측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물을 상기 여과수단 내로 공급하여 보충하는 보충수 공급수단과, 일단은 상기 일측 저장공간을 통해 상기 사육공간과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수단 내에 위치되어 상기 여과수단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사육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여과수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프타입 수족관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 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여과수단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을 제 1 여과부 및 제 2 여과부 및 제 3 여과부로 구획하는 제 1 패널부재 및 제 2 패널부재와, 상기 제 1 여과부 및 제 2 여과부에 구비되어 오염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오버플로우 수단은, 일단은 상기 일측 관통구의 직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일측 관통구를 통해 상기 사육공간의 물이 유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여과부에 위치되어 유입된 물은 상기 제 1 여과부로 배출되며 관로 상에는 조절여부에 따라 관내를 개폐하는 제 1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제 1 오버플로우관과, 일단은 상기 타측 관통구의 직하부에 위치되되 그 위치가 상기 제 1 오버플로우관의 일단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사육공간의 물이 유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여과부에 위치되어 유입된 물은 상기 제 1 여과부로 배출되며 관로상에는 조절여부에 따라 관내를 개폐하는 제 2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제 2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보충수 공급수단은, 일단은 상기 타측 저장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타측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여과부에 위치되어 유입된 물은 상기 제 1 여과부를 통과한 물과 합류되어 상기 제 3 여과부로 보내지며 관로 상에는 조절여부에 따라 관내를 개폐하는 제 3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보충수 공급관과, 일측은 상기 여과수단 일측 내벽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여과부 내에 위치되되 상기 보충수 공급관의 타단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제 2 여과수단 내의 수위변화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기 보충수 공급관의 타단을 개폐하여 상기 타측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물을 공급 및 차단하는 수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여과수 공급수단은, 일단은 상기 일측 저장공간을 관통해 상기 사육공간과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여과부 내에 위치되는 여과수 공급관과, 상기 여과수 공급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여과부 내의 여과된 물을 상기 여과수 공급관을 통해 상기 사육공간 내로 재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받침대의 일측에는 상기 설치공간 내부를 환기하는 환기팬이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은 수서생물을 사육하는 섬프타입 수족관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 보충수 공급관 및 여과수 공급관등 각종 배관을 수족관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수족관의 사육공간 내를 자유롭게 꾸밀 수 있으며 각종 배관의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다른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투시도가 도시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오버플로우 수단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보충수 공급수단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여과수 공급수단에 대한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1)은 내부에 설치공간(11)이 형성되는 받침대(10)와, 받침대(10) 상에 구비되며, 내부에 사육공간(21)이 형성되는 수족관 본체(20)와, 수족관 본체(20)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격판(31)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는 저장공간(32)이 형성되되 일측 저장공간(32)에는 사육공간(21)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구(33)가 형성되는 보조수조(30)와, 설치공간(11) 내부에 위치되는 여과수단(40)과, 일단은 일측 저장공간(32)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여과수단(40) 내에 위치되어 사육공간(21) 내의 오염된 물을 여과수단(40)으로 이동시키는 오버플로우 수단(50)과, 일단은 타측 저장공간(32)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여과수단(40) 내에 위치되어 타측 저장공간(32) 내에 저장된 물을 여과수단(40) 내로 공급하여 보충하는 보충수 공급수단(60)과, 일단은 일측 저장공 간(32)을 통해 사육공간(21)과 직결되고 타단은 여과수단(40) 내에 위치되어 여과수단(40)에서 여과된 물을 사육공간(21)으로 재공급하는 여과수 공급수단(70)을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대(10)는 상측에는 추후에 설명될 수족관 본체(20)가 거치되고 내부에는 역시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장착되는 설치공간(11)이 형성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받침대(10)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2)가 설치되며, 배면 일측에는 설치공간(11)의 내부를 환기할 수 있도록 환기팬(80)이 설치되는데, 이 환기팬(80)은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받침대(10) 일측에 환기팬(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설치되는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전술한 받침대(10)는 목재, 플라스틱재, 또는 수족관 본체(20)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모양이나 무늬 또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받침대(10) 상에는 수족관 본체(20)가 구비되는데, 이 수족관 본체(20)는 그 내부에 다양한 수서생물이 사육되는 사육공간(21)이 마련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족관 본체(20)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족관과 같이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사육되는 수서생물의 관측이 가능하도록 하며, 전술한 받침대(10)와 어울릴 수 있는 다양한 모양 및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수족관 본체(20)의 상부에는 사육공간(21)을 개폐하는 덮개(22)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수족관 본체(20)의 배면 일측에는 보조수조(30)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보조수조(30)는 사육공간(2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거나, 새로운 깨끗한 물을 동시에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수조(30)는 그 내부에 격판(31)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는 제 1 저장공간(32a) 및 제 2 저장공간(32b)이 형성되되 제 1 저장공간(32a)에는 사육공간(21)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구(33)가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제 1 저장공간(32a)에는 전술한 관통구(33)를 통해 관통구(33) 높이만큼 차오른 사육공간(21) 내의 물이 배출되어 저장되고, 제 2 저장공간(32b)에는 추후에 설명될 여과수단(40)으로 보충될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이 저장된다.
한편, 전술한 받침대(10)의 설치공간(11)에는 여과수단(40)이 설치되는데, 이 여과수단(40)은 추후에 설명될 오버플로우 수단(50)을 통해 유입된 오염된 물을 순차적으로 깨끗하게 여과한 후 다시 사육공간(21) 내로 재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과수단(40)은, 본체(40a)와, 본체(40a)의 내측에 설치되어 본체(40a)의 내측을 제 1 여과부(43) 및 제 2 여과부(44) 및 제 3 여과부(45)로 구획하는 제 1 패널부재(41) 및 제 2 패널부재(42)와, 전술한 제 1 여과부(43) 및 제 2 여과부(44)에 구비되어 오염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필터(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전술한 본체(40a)는 여과수단(40)의 구성부재들이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육공간(21) 내의 오염된 물이나, 제 2 저장공간(32b) 내의 깨끗한 물 그리고 여과되어 저장공간(32)으로 재공급될 물 등이 누수없이 저장될 수 있도록 밀실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체(40a)의 외부는 추후에 설명될 수위조절장치(63)의 자성체(63a)가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내부는 물이 저장되는 내부는 부식되지 않도록 부식되지 않는 금속재질 또는 금속재질이 아닌 물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패널부재(41)는 본체(40a)의 하부면과 양측면에 연결되어 제 1 여과부(43) 및 제 2 여과부(44)가 본체(40a)의 상부면 측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하고, 제 2 패널부재(42)는 반대로 본체(40a)의 상부면과 양측면에 연결되어 제 2 여과부(44) 및 제 3 여과부(45)가 본체(40a)의 하부면 측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여과필터(46)는 제 1 여과부(43)의 상측과 제 2 여과부(44)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 1 여과부(43)에서 제 2 여과부(44)로 그리고 제 2 여과부(44)에서 제 3 여과부(45)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여과필터(46)는 종래기술에 따른 섬프수족관에서 사용되는 여과필터(46)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보조수조(30), 받침대(10) 및 여과수단(40)에는 오버플로우 수단(50)이 설치되는데, 이 오버플로우 수단(50)은 사육공간(21) 내의 오염된 물을 전술한 여과수단(40)으로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은 일측 저장공간(32)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여과수단(40)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오버플로우 수단(50)은, 일단은 일측 관통구(33)의 직하부에 위치되어 일측 관통구(33)를 통해 사육공간(21)의 물이 유입되고 타단은 제 1 여과부(43)에 위치되어 유입된 물은 제 1 여과부(43)로 배출되며 관로 상에는 조절여부에 따라 관내를 개폐하는 제 1 조절밸브(52)가 설치되는 제 1 오버플로우관(51)과, 일단은 타측 관통구(33)의 직하부에 위치되되 그 위치가 제 1 오버플로우관(51)의 일단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사육공간(21)의 물이 유입되고 타단은 제 1 여과부(43)에 위치되어 유입된 물은 제 1 여과부(43)로 배출되며 관로상에는 조절여부에 따라 관내를 개폐하는 제 2 조절밸브(54)가 설치되는 제 2 오버플로우관(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관통구(33)를 통해 제 1 저장공간(32a) 내로 저장된 오염된 물은 제 1 조절밸브(52)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제 1 오버플로우관(51)을 통해서 여과수단(40)의 제 1 여과부(43) 내로 유입된다.
이때, 제 1 오버플로우관(51)의 하단부는 제 1 여과부(43)에 설치되는 여과필터(46)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여과되지 않은 물이 제 2 여과부(4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조절밸프를 밀폐한 상태에서는 제 1 오버플로우관(51)이 아닌 제 2 오버플로우관(53)을 통해 오염된 물이 제 1 여과부(43) 내로 유입되는데, 이때에는 제 2 오버플로우관(53)의 상단 높이가 제 1 오 버플로우관(51)의 그것에 비해 높은 위치에 있어 제 1 저장공간(32a) 내에 오염된 물이 더 많이 저장될 수 있어 사육공간(21)의 수위가 보다 낮게 유지된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제 2 오버플로우관(53)의 하단부는 제 1 여과부(43)에 설치되는 여과필터(46)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여과되지 않은 물이 제 2 여과부(4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오버플로우 수단(50)이 설치되는 보조수조(30), 받침대(10) 및 여과수단(40)에는 보충수 공급수단(60)이 설치되는데, 이 보충수 공급수단(60)은 증발 또는 기타 여러가지 요건에 의해 소실된 사육공간(21) 내의 물을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은 제 2 저장공간(32b)에 직결되고 타단은 여과수단(40) 중 제 2 여과부(44) 내에 위치되어 제 2 저장공간(32b) 내에 저장된 물을 여과수단(40) 내로 공급하여 보충한다.
이러한 보충수 공급수단(60)은, 일단은 제 2 저장공간(32b)에 연결되어 제 2 저장공간(32b) 내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여과부(44)에 위치되어 유입된 물은 제 1 여과부(43)를 통과한 물과 합류되어 상기 제 3 여과부(45)로 보내지며 관로 상에는 조절여부에 따라 관내를 개폐하는 제 3 조절밸브(62)가 설치되는 보충수 공급관(61)과, 일측은 여과수단(40) 본체(40a)의 일측 내벽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제 2 여과부(44) 내에 위치되되 보충수 공급관(61)의 타단에 밀착 배치되어 제 2 여과수단(40) 내의 수위변화에 따라 부력에 의해 보충수 공급관(61)의 타단을 개폐하여 제 2 저장공간(32b) 내에 저장된 물을 공급 및 차단하는 수위조절장치(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수위조절장치(63)는, 여과수단(40)의 본체(40a)에 자력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자성체(63a)와, 제 2 여과부(44) 내에 위치되되 자체 부력을 갖고 있어 수위변화에 따라 보충수 공급관(61)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63b)와, 상기 자성체(63a)와 개폐부재(63b)를 상호 연결하되 개폐부재(63b)가 부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부재(63c)로 이루어진다.
즉, 도 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여과부(44) 내에 충분한 양의 물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63b)가 보충수 공급관(61)의 하단부를 밀폐하고 있어 추가적으로 물을 보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여과부(44) 내에 저장된 물이 모자라게 되면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63b)가 보충수 공급관(61)의 하단부로부터 이격되어 개방하게 되어 제 2 저장공간(32b) 내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보충수 공급관(61)을 통해 제 2 여과부(44) 내로 공급되며, 제 2 여과부(44) 내에 충분한 양이 저장될 경우 다시 개폐부재(63b)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보충수 공급관(61)의 하단을 밀폐해 더 이상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제 3 조절밸브(62)를 밀폐할 경우 제 2 여과부(44)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와 관계없이 물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오버플로우 수단(50) 및 보충수 공급수단(60)이 설치되는 보조수조(30), 받침대(10) 및 여과수단(40)에는 여과수 공급수단(70)이 설치되는데, 이 여과수 공급수단(70)은 전술한 여과수단(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여과된 깨끗한 물을 사육공간(21)을 재공급해 주는 역할을하는 것으로 일단은 일측 저장공간(32) 을 통해 사육공간(21)과 직결되고 타단은 여과수단(40)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여과수 공급수단(70)은, 일단은 일측 저장공간(32)을 관통해 사육공간(21)과 직결되고 타단은 제 3 여과부(45) 내에 위치되는 여과수 공급관(71)과, 여과수 공급관(71)의 타단에 설치되어 제 3 여과부(45) 내의 여과된 물을 여과수 공급관(71)을 통해 사육공간(21) 내로 재공급하는 펌프(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펌프(72)는 외부전원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도록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전선(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작동은 전술한 환기팬(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에서 제어되는 것으로 하며, 전술한 전선은 제 3 여과부(45) 내의 물에 의해 누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펌프(72)는 종래기술에 섬프수족관에서 사용되는 펌프(72)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여과부(43) 및 제 2 여과부(44)를 차례로 통과하며 여과필터(46)에 의해 여과된 깨끗한 물은 펌프(72)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여과수 공급관(71)을 통해 이동하며, 제 1 저장공간(32a)을 관통해 사육공간(21) 내로 직접 재공급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육공간(21) 내에 충전되어 있는 물은 관통구(33)와 동일한 수위에서 관통구(33)를 통해 제 1 저장공간(32a) 내로 유입된다.
제 1 저장공간(32a) 내로 유입된 물은 점차 그 수위가 높아지는데, 제 1 오버플로우관(51)의 높이에서 제 1 오버플로우관(51)을 통해 제 1 여과부(43) 내로 유입되며 이때 제 1 조절밸브(52)는 개방된 상태이다.
제 1 오버플로우관(51)을 통해 유입된 물은 제 1 여과부(43) 내로 충전된 후 그 상부에 배치되는 여과필터(46)를 통과한 다음 제 2 여과부(44)로 유동되고, 제 2 여과부(44)로 유동된 물은 다시한번 여과필터(46)를 통과한 다음 제 3 여과부(45)로 유동된다.
이때 제 2 여과부(44) 측에 물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을 경우 수위조절장치(63)의 개폐부재(63b)가 부력에 의해 보충수 공급관(61)의 하단부를 밀폐하고 있어 제 2 저장공간(32b)의 물이 보충되지 않고, 제 2 여과부(44) 측에 물이 부족할 경우 개폐부재(63b)가 보충수 공급관(6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개방됨으로써 제 2 저장공간(32b)에 저장된 깨끗한 물을 제 2 여과부(44)로 보충하게 된다.
충분한 보충이 이루어져 제 2 저장공간(32b)의 수위가 상승하면 다시 부력에 의해 개폐부재(63b)가 보충수 공급관(61)의 하단부를 밀폐해 물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된다.
제 1 여과부(43) 및 제 2 여과부(4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여과된 물은 제 3 여과부(45)에서 펌프(72)에 의해 여과수 공급관(71)으로 흡입되고, 이를 따라 보조수조(30)를 통과하여 직결되어 있는 사육공간(21) 내로 재공급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투시도.
도 4a 내지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프타입 수족관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프타입 수족관 10 : 받침대
11 : 설치공간 12 : 도어
20 : 수족관 본체 21: 사육공간
22 : 덮개 30 : 보조수조
31 : 격판 32 : 저장공간
32a : 제 1 저장공간 32b : 제 2 저장공간
33 : 관통구 40 : 여과수단
40a : 본체 41 : 제 1 패널부재
42 : 제 2 패널부재 43 : 제 1 여과부
44 : 제 2 여과부 45 : 제 3 여과부
46 : 여과필터 50 : 오버플로우 수단
51 : 제 1 오버플로우관 52 : 제 1 조절밸브
53 : 제 2 오버플로우관 54 : 제 2 조절밸브
60 : 보충수 공급수단 61 : 보충수 공급관
62 : 제 3 조절밸브 63 : 수위조절장치
63a : 자성체 63b : 개폐부재
63c : 연결부재 70 : 여과수 공급수단
71 : 여과수 공급관 72 : 펌프
80 : 환기팬

Claims (6)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구비되며, 내부에 사육공간이 형성되는 수족관 본체;
    상기 수족관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격판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되 일측 저장공간에는 상기 사육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보조수조;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여과수단;
    일단은 상기 일측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수단 내에 위치되어 상기 사육공간 내의 오염된 물을 상기 여과수단으로 이동시키는 오버플로우 수단;
    일단은 상기 타측 저장공간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수단 내에 위치되어 상기 타측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물을 상기 여과수단 내로 공급하여 보충하는 보충수 공급수단; 및
    일단은 상기 일측 저장공간을 통해 상기 사육공간과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수단 내에 위치되어 상기 여과수단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사육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여과수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프타입 수족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을 제 1 여과부 및 제 2 여과부 및 제 3 여과부로 구획하는 제 1 패널부재 및 제 2 패널부재와, 상기 제 1 여과부 및 제 2 여과부에 구비되어 오염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프타입 수족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수단은, 일단은 상기 일측 관통구의 직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일측 관통구를 통해 상기 사육공간의 물이 유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여과부에 위치되어 유입된 물은 상기 제 1 여과부로 배출되며 관로 상에는 조절여부에 따라 관내를 개폐하는 제 1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제 1 오버플로우관과, 일단은 상기 타측 관통구의 직하부에 위치되되 그 위치가 상기 제 1 오버플로우관의 일단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사육공간의 물이 유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여과부에 위치되어 유입된 물은 상기 제 1 여과부로 배출되며 관로상에는 조절여부에 따라 관내를 개폐하는 제 2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제 2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프타입 수족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충수 공급수단은, 일단은 상기 타측 저장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타측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여과부에 위치되어 유입된 물은 상기 제 1 여과부를 통과한 물과 합류되어 상기 제 3 여과부로 보내지며 관로 상에는 조절여부에 따라 관내를 개폐하는 제 3 조절밸브가 설치되는 보충수 공급관과, 일측은 상기 여과수단 일측 내벽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 2 여과부 내에 위치되되 상기 보충수 공급관의 타단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제 2 여과수단 내의 수위변화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기 보충수 공급관의 타단을 개폐하여 상기 타측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물을 공급 및 차단하는 수위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프타입 수족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 공급수단은, 일단은 상기 일측 저장공간을 관통해 상기 사육공간과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여과부 내에 위치되는 여과수 공급관과, 상기 여과수 공급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3 여과부 내의 여과된 물을 상기 여과수 공급관을 통해 상기 사육공간 내로 재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프타입 수족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는 상기 설치공간 내부를 환기하는 환기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프타입 수족관.
KR1020090017876A 2009-03-03 2009-03-03 섬프타입 수족관 KR20100099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76A KR20100099400A (ko) 2009-03-03 2009-03-03 섬프타입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76A KR20100099400A (ko) 2009-03-03 2009-03-03 섬프타입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00A true KR20100099400A (ko) 2010-09-13

Family

ID=43005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76A KR20100099400A (ko) 2009-03-03 2009-03-03 섬프타입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94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623A (ko) * 2017-07-07 2019-01-16 김문달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DE102020100873A1 (de) 2020-01-15 2021-07-15 The Hai Nguyen Aquarienrein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aquarien
KR20210128162A (ko) 2020-04-16 2021-10-26 안상현 수족관용 유출입부재 및 이 유출입부재를 구비한 순환여과식 수족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623A (ko) * 2017-07-07 2019-01-16 김문달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DE102020100873A1 (de) 2020-01-15 2021-07-15 The Hai Nguyen Aquarienrein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aquarien
KR20210128162A (ko) 2020-04-16 2021-10-26 안상현 수족관용 유출입부재 및 이 유출입부재를 구비한 순환여과식 수족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344B2 (ja)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KR100713260B1 (ko)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US5282438A (en) Aquarium
WO2020141796A3 (ko) 가습기
KR20100099400A (ko) 섬프타입 수족관
CN104136856A (zh) 防漏水加湿器
KR20150033253A (ko)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US6915762B2 (en) Wall-mountable aquarium
KR102292094B1 (ko) 수족관과 수납공간이 구비된 양변기
KR102124616B1 (ko)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JP7361249B2 (ja) 空気浄化装置
JP2010164265A (ja) 加湿器
KR100420258B1 (ko)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KR20100089315A (ko) 해수 수족관용 스키머
JPH11215933A (ja) 卓上型水槽
JP2021109079A (ja) 空気浄化装置
JP4773237B2 (ja)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JP3128595U (ja) 水槽用備品、及び観賞魚水槽用ポンプ
US6834617B1 (en) Aquarium background setting
KR20130019096A (ko) 가습기
JP3660323B2 (ja) 海水魚等の魚飼育槽
JP3163520U (ja) 茸栽培室用加湿器
JPH03183426A (ja) 活魚輸送用コンテナ
JP2004016210A (ja) 二層式水交換簡易水槽
JP2023050351A (ja) 空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