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260B1 -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260B1
KR100713260B1 KR1020050023223A KR20050023223A KR100713260B1 KR 100713260 B1 KR100713260 B1 KR 100713260B1 KR 1020050023223 A KR1020050023223 A KR 1020050023223A KR 20050023223 A KR20050023223 A KR 20050023223A KR 100713260 B1 KR100713260 B1 KR 100713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tank
chamber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682A (ko
Inventor
김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시산업
Priority to KR1020050023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26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하면, 서로 분리된 물고기실과 배수구가 마련된 배수실을 구비하는 제1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2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배수구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조의 배수실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3 수조와, 상기 제2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을 연결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2 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상기 제3 수조와 연결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통해 상기 제3 수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수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조장치는 수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제어회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장치, 급수펌프, 배수펌프, 배수실, 가습여과장치, 제어회로장치, 통신모듈

Description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AQUARIUM WITH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조장치의 정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수조장치의 각 수조의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한 가습장치의 케이스를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한 수조장치의 제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조장치 20 : 제1 수조
21 : 물고기실 23 : 급수관
28 : 제1 분리벽 29 : 제2 분리벽
30 : 배수실 40 : 가습여과장치
50 : 제2 수조 80 : 제3 수조
85 : 배수관 86 : 배수펌프
221 : 배수구 231 : 급수펌프
본 발명은 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조장치는 물 속에 사는 여러 가지 생물들이 살 수 있도록 투명한 벽으로 사방을 막아 물을 담게 만든 구조물인 수조와 그에 따르는 부대장치로 구성되는 장치이다. 수조장치는 뛰어난 장식효과 뿐만 아니라, 보는 사람의 정서를 순화시켜주고 실내습도를 조절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수조 내에서 수중 생물이 원활히 생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조 내의 환경이 생물들의 생활환경에 맞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주어야 한다. 특히, 수조의 물 속의 독소를 줄이고 부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제거하는 물갈이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물갈이 작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수돗물일 경우 염소를 제거해야 하며 적절한 온도의 물로 갈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만일, 큰 수조장치에 대한 물갈이 작업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자동으로 물갈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조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0258호)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수조장치는 물갈이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별도의 저장실이 수조 내의 일측에 구비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장실이 구비된 쪽에서는 수조 내를 제대로 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의 물갈이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급배수 장치를 구비하는 수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자동적으로 물갈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급배수 장치를 구비하는 수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제어가 가능한 수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물고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장치에 있어서,
서로 분리된 물고기실과 배수구가 마련된 배수실을 구비하는 제1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2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배수구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조의 배수실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3 수조와,
상기 제2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을 연결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2 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상기 제3 수조와 연결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통해 상기 제3 수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수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물고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장치에 있어서,
서로 분리된 물고기실과 배수구가 마련된 배수실을 구비하는 제1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상기 제1 수조에 대해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제2 수조와,
상기 제2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을 연결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2 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수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제2 수조에 구비되는 수위측정센서와, 상기 제2 수조로 물이 공급되는 통로 상에 설치된 밸브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장치가 상기 수위측정센서의 신호에 따라 열고 닫힘으로써 상기 제2 수조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에 설치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펌프가 상기 제1 수조의 수위측정센서의 신호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1 수조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다시 상기 물고기실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마련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가습여과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수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제어회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제2 수조의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에 관한 데이터 신호를 제어회로장치에 보내는 수위측정센서와, 상기 제2 수조로 물이 공급되는 통로 상에 설치된 밸브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장치는 상기 제2 수조의 수위가 사전 설정된 하한수위 이하이거나 사전 설정된 상한수위 이상일 때, 상기 수위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수조의 수위에 관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장치를 제어하여 이를 열어주거나 닫아줌으로써 상기 제2 수조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에 설치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장치는 상기 물고기실의 수위가 사전 설정된 하한수위 이하이거나 사전 설정된 상한수위 이상일 때, 상기 제1 수조의 수위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물고기실의 수위에 관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를 제어하여 이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상기 물고기실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물고기실에 설치되는 제1 온도센서 및 제1 히터와, 상기 제2 수조에 설치되는 제2 온도센서 및 제2 히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장치는 상기 각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온도신호에 따라 상기 각 히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제어회로장치와 연결되는 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은 유무선 통신을 가능케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제어회로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회로장치에 화상데 이터를 전송하는 웹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장치는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에 저장된 물을 순화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정전시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회로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정전보상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수조장치(10)는 제1 수조(20)와, 제1 수조(20)의 위에 위치하는 덮개(60)와, 제1 수조(20)의 아래에 위치하는 받침대(70)와, 수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웹 카메라(Web Camera)(도4의 300)를 구비한다. 받침대(70) 내부에는 제2 수조(50)와 제3 수조(80)가 구비된다.
제1 수조(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직사각형의 바닥(22)과, 바닥(22)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네 개의 측벽(24)과, 측벽(24)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벽(26)을 구비한다. 제1 수조(20)의 내부는 일측 구석에 위치하는 제1 분리벽(28)에 의해 물고기실(21)과 배수실(30)로 분리된다. 제1 분리벽(28)의 외부가 물고기실(21)이고 제1 분리벽(28)의 내부가 배수실(30)이다. 물고기실(21)은 물고기 등의 수중 생물이 활동하도록 마련된 공간으로서 제1 수조(20) 내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물고기실(21) 내부에는 제1 히터(170)가 구비된다. 제1 히터(170)는 물고기실(21) 내의 수온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한다. 제1 분리벽(28)은 원기둥 형상으로서, 제1 수조(20)의 바닥(22)으로부터 위로 상부벽(26) 가까이까지 연장되며 상단이 개방된다. 제1 분리벽(28)의 하부에는 유입구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작은 통로구멍(281)이 마련된다. 배수실(30)에는 제2 분리벽(29)이 마련된다. 제2 분리벽(29)은 원기둥 형상으로서, 제1 수조(20)의 바닥(22)으로부터 위로 제1 분리벽(28)보다 낮게 연장되며 상단이 개방된다. 배수실(30)은 제2 분리벽(29)에 의해 제1 실(32)과 제2 실(34)로 분리된다. 제2 분리벽(29)의 외부가 제1 실(32)이고 제2 분리벽(29)의 내부가 제2 실(34)이다. 제1 실(32)은 제1 분리벽(28)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통로구멍(281)에 의해 물고기실(21)과 통한다. 따라서 제1 실(32)의 수위는 물고기실(21)의 수위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물고기실(21)의 수위가 올라가면 제1 실(32)의 수위가 함께 올라가고, 그 수위가 제2 분리벽(29)의 상단을 넘게 되면 제1 실(32)의 물이 제2 분리벽(29)을 넘어 제2 실(34)로 유입된다. 제2 실(34)이 위치하는 바닥(22)에는 배수구(221)가 마련된다. 배수구(221)를 통해 제2 실(34)의 물이 배출된다. 배수구(221)에는 제3 수조(80)로 연장되는 제1 연결호스(222)가 결합된다.
제1 수조(20)에는 제1 수위측정센서(35)와, 제1 온도센서(160)와, 급수관(37)과, 먹이공급장치(38)와, 가습여과장치(40)가 설치된다. 제1 수위측정센서(35)와 제1 온도센서(160)는 제1 수조(20)의 상부벽(26)을 지나 제1 수조(20) 내부로 삽입된다. 제1 수위측정센서(35)는 물고기실(21)의 수위를 측정하여 이를 알리는 신호를 후술하는 입력센서모듈(Input sensor module(도4의 39))로 보낸다. 제1 온도센서(160)는 물고기실(21)의 수온을 측정하여 이 신호를 입력센서모듈(도4의 39)로 보낸다. 급수관(37)은 제1 수조(20)의 상부벽(26)에 설치된다. 급수관(37)을 통해 제1 수조(20)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급수관(37)에는 제2 수조(50)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결호스(23)가 결합된다. 제2 연결호스(23) 중간에는 급수펌프(231)가 마련된다. 급수펌프(231)는 제2 연결호스(23)를 통해 제2 수조(50)에 저장된 물을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로 보낸다. 먹이공급장치(38)는 제1 수조(20)의 상부벽(26)에 설치되며,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 내부로 연장된 안내관(381)을 구비한다. 먹이공급장치(38)는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에 먹이가 공급되도록 동작한다. 그 동작은 후술하는 출력제어유닛(OCU : Output Control Unit)(도4의 400)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동작신호에 의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가 후술하는 제어조작판(100)의 먹이공급 스위치(104)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가습여과장치(4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43)와, 용기(43) 내에 마련된 필터(401)와, 물공급부(44)를 구비한다. 용기(43)는 바닥(41)과, 바닥으로부터 연장된 측벽(42)을 구비한다. 바닥(41)에는 물고기실(21)로 연결되는 배출구(49)가 마련된다. 측벽(42)의 상부에는 팬(402)이 설치된다. 팬(402)은 용기(43) 외부의 공기를 용기(43) 내부로 유입시킨다. 필터(401)는 용기(43)의 바닥(41) 위에 넓게 놓여진다. 필터(401)는 예를 들면, 활성탄 입자가 침투된 활성탄 여과 필터일 수 있다. 물공급부(44)는 순환펌프(441)와 연결관(442)을 구비한다. 순환펌프(441)는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 내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이다. 연결관(442)은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과 용기(43)의 내부를 연결한다. 펌프(441)에 의해 물고기실(21)의 물이 용기(43)로 공급된다. 연결관(442)을 통해 유입된 용기(43) 내의 물은 필터(401)를 거쳐 여과되어 배출구(49)를 통해 물고기실(21)로 배출된다. 용기(43) 내에 저장된 물의 일부는 증발하여 가습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용기(43) 내에 저장된 물은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물에 흡수된 미세먼지는 필터(401)에 흡착된다.
제2 수조(50)는 물갈이 시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로 공급하는 수돗물을 저장해두는 역할을 한다. 제2 수조(50)의 크기는 제1 수조(20)의 1/10 ~ 1/3인 것이 바람직하고, 1/6 ~ 1/4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수조(50)에는 제2 수위측정센서(51)와, 제2 히터(53)와, 제2 온도센서(54)가 설치되고, 제2 연결호스(23)와, 수돗물 급수관(58)이 연결된다. 제2 수위측정센서(51)는 제2 수조(50)의 상단으로부터 바닥 가까이까지 연장된다. 제2 히터(53)는 제2 수조(50) 내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 수조(50)에 저장된 물을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로 공급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킨다. 제2 온도센서(54)는 제2 수조(50) 내의 수온을 측정한다. 제2 연결호스(23)는 제1 수조(20)에 설치된 급수관(37)에 연결된다. 수돗물 급수관(58)에는 밸브장치(59)가 마련된다. 밸브장치(59)는 유로를 따라 차례대로 배치된 제1 전자밸브(591)와 제2 전자밸브(592)를 구비한다. 제1 전자밸브(591)와 제2 전자밸브(592)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수조(80)에는 제1 수조(20)의 배수구(221)로부터 연장된 제1 연결호스(222)와, 배수관(85)이 연결된다. 배수관(85) 중간에는 배수펌프(86)가 마련된다. 제1 연결호스(222)를 통해 제1 수조(20)로부터 배수된 물은 제3 수조(80)에 저장되고, 제3 수조(80)에 저장된 물은 배수관(8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1 수조로(20)로부터 배수된 물이 제3 수조(80)에 일단 저장되므로 배수관(85)으로서 보다 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수조(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60)에는 전면에 위치하는 제어조작판(100)과, 전광판(120)과, 습도센서(180)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덮개(60) 내부에 마련되는 음이온 배출장치(도4의 140) 및 제어회로장치(도4의 1000 참조)가 구비된다. 제어조작판(100)에는 전원 스위치(101)와, 환수 스위치(102)와, 가습 스위치(103)와, 먹이공급 스위치(104)와, 음이온 스위치(105)와, 표시창(106)과, 급수동작 및 급수이상 램프(107, 108)와, 환수동작 및 환수이상 램프(109, 110)와, 가습여과동작 및 음이온배출 램프(111, 112)가 마련된다. 표시창(106)에는 시간 및 현재 설정 상태가 표시된다. 전광판(120)에는 수조장치(10)의 동작상태가 표시되거나 광고용 문구 또는 도안 등이 표시된다. 전광판(120)은 제2 입출력제어모듈(Input/Output Control Module)(도4의 121)과 연결된다. 전광판(120)은 수조장치의 상황(온도, 습도, 자동 급배수 상황)과 각종 에러(온도, 배수, 급수, 입수 시에 발생하는 에러)뿐만 아니라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각종 광고 문안을 표현한다. 전광판(1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제어회로장치(1000)의 통신모듈(400)이 리모콘에 의해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회로장치가 제2 입출력제어모듈을 통해 제어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표현문구 및 표현방법 등이 조절될 수도 있다. 습도센서(180)는 수조장치(10) 주위의 습도를 측정한다. 음이온 배출장치(도4의 140)의 음이온 배출구(141)가 덮개(60)의 전면에 위치한다. 제어회로장치(도4의 1000 참조)는 상기 모든 전기 전자 구성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제어회로장치(1000)의 마이크로제어유닛(430)은 자체적으로 타이머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제1 수조(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조 받침(70)은 제1 수조(20)와 비슷한 육면체 형태로서, 제1 수조(20)가 보기 좋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밑에서 받쳐주며, 내부에 제2 수조(50)와 제3 수조(80) 및 관련 구성품이 수납된다.
도4는 도1의 수조장치의 제어회로장치의 구성과 다른 전기전자 구성부품과의 연결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제어회로장치(1000)는 제1 입출력 제어 모듈(310)과, 제2 입출력 제어 모듈(121)과, 입력 센서 모듈(39)과, 출력 제어 유닛(400)과, 인터페이스 보드(410)와, A/D 컨버터(420)와,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430)과, 통신 모듈(440)과, 타이머(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제1 입출력 제어 모듈(310)은 웹카메라(300)에 연결된다. 제2 입출력 제어 모듈(121)은 전광판(120)에 연결되어, 문구표현 및 방식을 제어한다. 입력 센서 모듈(39)에 수조장치의 각종 센서장치, 예를 들어, 제1 온도센서(160), 제2 온도센서(54), 제1 수위측정센서(35), 제2 수위측정센서(51)와, 습도센서(180)가 연결된다. 출력 제어 유닛(400)에는 수조장치의 각종 가동장치, 예를 들어, 제1 솔레노이드 밸브(591), 제2 솔레노이드 밸브(592), 제1 히터(170), 제2 히터(53), 급수펌프(231), 배수펌프(86), 순환펌프(441), 팬(402), 음이온 배출장치(140), 먹이공급장치(38)가 연결된다. 제1 입출력 제어 모듈(310), 제2 입출력 제어 모듈(121), 입력 센서 모듈(39) 및 출력 제어 유닛(400)은 각각 인터페이스 보드(410)와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보드(410)는 A/D 컨버터(420)를 통해 마이크로 제어 유닛(430)과 연결된다. 마이크로 제어 유닛(430)에는 조작판(100)과 통신모듈(440)에 연결된다. 통신모듈(440)은 유무선 통신을 가능케 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고 이러한 인터페이스 수단은 통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통신모듈(440)에는 모뎀(450)이 연결될 수 있다. 통신모듈(440)에는 컴퓨터(또는 노트북)(460)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모듈(440)과 컴퓨터(460)는 USB통신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웹 카메라(300)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수조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컴퓨터(460)에 의해 제어회로장치(1000)에 명령을 내림으로써 수조장치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뎀(450)을 통해 수조장치의 제어회로장치(1000)는 인터넷과 접속되며, 결국 수조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원격지의 컴퓨터(4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정전보상회로(480)는 정전 시에 수조내의 순환펌프 및 보조램프(도시되지 않음)를 작동하기 위한 비상전원을 공급하며, 제어회로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회로로서, 물고기의 폐사 및 대피용 보조램프 등의 기본동작을 유지한다.
이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조장치에 의한 자동급배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 급배수 단계는 크게 두 가지 과정으로 나뉘어 진다. 첫 번째는 외부로부터 제2 수조(50)로 수돗물을 급수하는 수돗물 급수과정이다. 두 번째는 제2 수조(50)에 저장된 수돗물을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로 공급하고 동시에 물고기실(21)로부터 배출된 물을 제3 수조(80)에 저장하고 제3 수조(8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환수과정이다.
첫 번째, 제2 수조(50)로 수돗물을 급수하는 수돗물 급수과정을 살펴본다. 이 과정은 제1 솔레노이드 밸브(591), 제2 솔레노이드 밸브(592), 제2 수위측정센서(51)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출력 제어 유닛(400)은 제1 솔레노이드 밸브 (591)가 평상시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수돗물이 제2 솔레노이드 밸브(592)까지 갈 수 있도록 한다. 제2 수위측정센서(51)에 의해 제2 수조(50) 내의 수돗물의 높이가 측정되며, 측정된 높이는 센서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어 그 신호가 입력 센서 모듈(39)을 통해 마이크로제어유닛(430)으로 들어간다. 만일 수돗물의 높이가 일정수준 이하이면 마이크로제어유닛(430)은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신호(open)를 발생시켜 이를 출력제어유닛(400)으로 보내고, 출력제어유닛(400)은 제2 솔레노이드 밸브(592)를 열게된다. 따라서 수돗물은 수돗물 급수관(58)을 통해 제1 솔레노이드 밸브(591)를 지나 제2 솔레노이드 밸브(592)를 거쳐 제2 수조(50)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급수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조작판(100)의 급수동작 램프(107)가 켜지고 전광판(120)에는 '급수동작'이라 표시된다.
수돗물이 제2 수조(50) 내로 유입되면, 제2 수조(50) 내의 수위가 올라가게 된다. 제2 수조(50) 내의 수위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제2 수위측정센서(51)에 의해 그 높이가 측정되고 측정된 높이는 센서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고 이 신호가 입력센서모듈(39)을 통해 마이크로제어유닛(430)으로 들어간다. 마이크로제어유닛(430)은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신호(close)를 발생시켜 이를 출력제어유닛(400)으로 보내고 출력제어유닛(400)은 제2 솔레노이드 밸브(592)를 닫는다. 그러면 수돗물 공급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고 제2 수조(50) 내의 수위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만일, 제2 솔레노이드 밸브(592)의 작동 이상 등으로 설정된 물높이 이상에서도 수돗물 공급이 계속 이루어져 수위가 더 올라갈 경우, 마이크로제어유닛(430)은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신호(close)를 발생시켜 이를 출력제어유닛(400)으로 보내고 출력제어유닛(400)은 제1 솔레노이드 밸브(591)가 닫히게 한다. 이때, 제어조작판(100)의 급수이상 램프(108)가 켜지고 동시에 전광판(120)에는 '급수이상'이라 표시된다. 따라서 제2 수조(50) 내의 수돗물이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제2 수조(50)로 공급된 수돗물은 약 1주일간 그대로 저장된다. 저장된 기간동안 수돗물의 염소는 자연적으로 제거되고, 제2 히터(53)에 의해 물고기실(21) 내의 물과 대체로 같은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염소가 제거되고 물고기실(21)의 물과 같은 온도로 조절된 제2 수조(50)의 수돗물은 물고기실(21)로 공급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게 된다.
두 번째, 적절히 처리된 제2 수조(50) 내의 수돗물이 물고기실(21)로 공급되고 물고기실(21)의 오래된 물이 제1 수조(20) 밖으로 배출되어 제3 수조(80)에 저장되고 제3 수조(8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환수과정이 이루어진다. 환수과정은 타이머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에 개시되거나 직접 사람이 제어조작판(100)의 환수조작 스위치(102)를 작동시켜 개시할 수도 있으며, 컴퓨터(460, 470)로 원격에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환수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제어조작판(100)의 환수동작 램프(109)가 켜지고, 환수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제어조작판(100)의 환수이상 램프(110)가 켜지게 된다.
타이머에 의해 발생한 환수동작신호 또는 환수조작 스위치(102)의 작동에 의해 환수 개시신호가 들어오면, 마이크로제어유닛(430)은 환수개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출력제어유닛(400)으로 보내고 출력 제어 유닛(400)은 급수펌프(231)를 작동시킨다. 펌프(231)의 가동에 의해 제2 수조(50)의 물이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로 공급된다. 물고기실(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면 물고기실(21)의 수위가 올라간다.
물고기실(21)과 배수실(30)의 제1 실(32)은 제1 분리벽(28) 하부에 마련된 구멍(281)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물고기실(21)의 수위와 제1 실(32)의 수위는 같게 된다. 만일, 물고기실(21)로의 물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면 물고기실(21)과 제1 실(32)의 물의 높이가 계속 올라가다 제1 실(32)의 제2 분리벽(29)보다 높아지게 되면, 물은 제2 분리벽(29)을 넘어 제2 실(34)로 넘어가게 된다. 제2 실(34)로 넘어간 물은 제2 실(34) 바닥에 마련된 배수구(221)를 통해 배수되며, 배수된 물은 제1 연결호스(222)를 거쳐 제3 수조(80)에 저장된다. 제3 수조(80)에 저장된 물은 배수펌프(86)의 작동에 의해 배수관(85)을 거쳐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때 출력 제어 유닛(400)은 환수동작램프(109)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전광판(120)에는 '환수동작'이라 표시된다. 제1 수조(20)로부터 배출된 물이 제3 수소(80)에 저장된 후 배수되므로 배수관(85)을 제1 연결호스(222)보다 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환수과정이 이루어지면 제2 수조(50)의 물이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로 넘어간다. 제2 수조(50)의 수위가 낮아져 저장된 물이 거의 물고기실(21)로 넘어가면 제2 수조(50)의 수위측정센서(51)의 작동으로 다시 제2 수조(50)에 물이 채워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어 정기적인 물갈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을 갈아주는 기간은 3일 내지 15일이 바람직하며 1주일이 더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환수과정 중 배수구가 막히거나 배수 가 너무 늦어지는 등의 예기치 않은 문제 발생에 의해 물고기실(21) 내의 물이 너무 높아지게 되어 상한수위에 도달하면, 제1 수위측정센서(35)에 의해 그 상한수위가 측정되어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고 그 신호가 입력센서모듈(39)을 통해 마이크로제어유닛(430)으로 보내진다. 마이크로 제어유닛(430)에서는 제어신호(급수펌프 OFF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출력제어유닛(400)으로 보내고 출력제어유닛(400)은 급수펌프(231)를 정지시킴으로써 물 공급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환수이상을 표시하는 환수이상램프(110)가 작동됨과 동시에 전광판(120)에는 '환수이상'이라 표시된다. 만약, 다시 배수가 충분히 이루어져 물고기실(21) 내의 물이 일정수위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물고기실(21)의 제1 수위측정센서(35)에 의해 그 수위가 측정되고 측정된 수위는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어 그 신호가 입력센서모듈(39)을 통해 마이크로제어유닛(430)으로 보내진다. 마이크로 제어유닛(430)에서는 제어신호(급수펌프 ON 신호)를 발생시켜 이를 출력제어유닛(400)으로 보내고 출력제어유닛(400)은 급수펌프(231)를 작동시켜 물고기실(21)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일, 물고기실(21)의 수위가 대기 증발 등의 원인으로 낮아져 하한수위에 도달하면, 출력제어유닛(400)은 급수펌프(231)를 작동시킨다. 급수펌프(231)의 동작에 의해 제2 수조(50)의 물이 제1 수조(20)의 물고기실(21)로 공급되고 낮아진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물을 수시로 공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1 수조(20) 내의 수온은 제1 온도센서(160)와 제1 히터(170)에 의해 적절하게 유지된다. 제1 온도센서(160)에 의해 제1 수조(20) 내의 수온이 감지되고 감지된 온도신호는 입력 센서 모듈(39)을 통해 컴퓨터로 전송된다.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출력 제어 유닛(400)을 통하여 제1 히터(170)를 제어한다.
제1 수조(20) 내의 물은 순환펌프(441)에 의해 항시 순환하도록 출력 제어 유닛(400)을 통하여 제어된다. 자동먹이공급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출력 제어 유닛(400)을 통해 제어된다. 습도는 습도센서(180)와 출력 제어 유닛(400)에 의해 제어되는 가습여과장치(40)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모든 작동은 인터넷에 연결된 원격지의 컴퓨터(47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조의 형태가 직육면체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원통형 또는 다각형 형태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수조장치는 염소가 제거된 적절한 온도의 수돗물을 자동으로 물고기가 생활하는 수조로 공급하는 자동 급배수 장치를 구비하여 보다 쉽게 물갈이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조장치는 물갈이시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물의 높이가 자동으로 적절히 조절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물갈이 작업을 하는 수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물갈이에 필요한 보조 수조들이 본 수조와 분리되어 위치하므로 미관상 뛰어나다. 그리고 배수된 물을 중간에 저장하는 보조 수조가 구비되므로 보다 가는 배수 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조장치가 원격지의 컴퓨터와 연결되므로 물갈이, 온도, 습도 및 전광판의 상태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습여과장치에 의해 가습효과가 증대됨과 동시에 공기 중의 미세먼지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물고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조장치에 있어서,
    서로 분리된 물고기실과 배수구가 마련된 배수실을 구비하는 제1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며 상기 제1 수조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제2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배수구 아래에 상기 제1 수조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 수조의 배수실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임시로 저장되는 제3 수조와,
    상기 제2 수조와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을 연결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2 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수조장치.
  2. 제1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조와 연결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통해 상기 제3 수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는 수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에 구비되는 수위측정센서와, 상기 제2 수조로 물이 공급되는 통로 상에 설치된 밸브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장치가 상기 수위측정센서의 신호에 따라 열고 닫힘으로써 상기 제2 수조의 수위가 조절되는 수조장치.
  4. 제3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에 설치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펌프가 상기 제1 수조의 수위측정센서의 신호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1 수조의 수위가 조절되는 수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다시 상기 물고기실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마련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가습여과장치를 더 포함하는 수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외부 컴퓨터와 연결되는 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제어회로장치를 더 포함하는 수조장치.
  7. 제6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의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에 관한 데이터 신호를 제어회로장치에 보내는 수위측정센서와, 상기 제2 수조로 물이 공급되는 통로 상에 설치된 밸브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장치는 상기 제2 수조의 수위가 사전 설정된 하한수위 이하이거나 사전 설정된 상한수위 이상일 때, 상기 수위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수조의 수위에 관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장치를 제어하여 이를 열어주거나 닫아줌으로써 상기 제2 수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조장치.
  8. 제7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에 설치되는 수위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장치는 상기 물고기실의 수위가 사전 설정된 하한수위 이하이거나 사전 설정된 상한수위 이상일 때, 상기 제1 수조의 수위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물고기실의 수위에 관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펌프를 제어하여 이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상기 물고기실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조장치.
  9. 제6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고기실에 설치되는 제1 온도센서 및 제1 히터와, 상기 제2 수조에 설치되는 제2 온도센서 및 제2 히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장치는 상기 각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된 온도신호에 따라 상기 각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수조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장치와 연결되는 전광판을 더 포함하는 수조장치.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은 유무선 통신을 가능케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회로장치에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웹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수조장치.
  13.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의 물고기실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정전시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회로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정전보상회로를 더 포함하는 수조장치.
KR1020050023223A 2005-03-21 2005-03-21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KR10071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223A KR100713260B1 (ko) 2005-03-21 2005-03-21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223A KR100713260B1 (ko) 2005-03-21 2005-03-21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682A KR20060101682A (ko) 2006-09-26
KR100713260B1 true KR100713260B1 (ko) 2007-05-02

Family

ID=3763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223A KR100713260B1 (ko) 2005-03-21 2005-03-21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2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38B1 (ko) * 2010-06-01 2012-09-14 한국원자력연구원 소규모 순환형 조파수로 장치
KR20200063370A (ko) 2018-11-23 2020-06-05 박영현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
KR20210121607A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주호산업 유압모터 방식 수중펌프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732B1 (ko) * 2007-10-30 2009-07-07 이현철 어패류의 보관 및 양식할 수 있는 수조탱크
KR101067404B1 (ko) * 2009-04-08 2011-09-27 임정아 수중 전단면 오염물질 배출 및 수위 제어 장치
KR200449688Y1 (ko) * 2009-12-23 2010-08-04 김두연 급배수장치가 구비된 관상용 수조
CN104381191A (zh) * 2014-12-09 2015-03-04 苏州鑫阳瑞机械有限公司 鱼缸自动换水系统及其换水方法
CN105248351A (zh) * 2015-11-13 2016-01-20 仁怀市实验小学 一种新型自动换水鱼缸
KR101839757B1 (ko) * 2016-02-25 2018-06-25 백승현 수족관 자동 환수장치
KR102012283B1 (ko) * 2016-12-19 2019-08-21 (주)댐코씨에스아이 체험 학습용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93097B1 (ko) * 2018-10-11 2019-09-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제1 및 제2 유체의 경계면을 모사하기 위한 수리모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887A (ja) * 1994-08-11 1996-02-27 O D I:Kk 海水魚の飼育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11168U (ko) * 1996-08-19 1998-05-25 김완규 수족관 수처리 장치
KR19980060467U (ko) * 1997-03-12 1998-11-05 김완규 수처리 장치가 설치된 수족관
KR20030052117A (ko) * 2001-12-20 2003-06-26 김상윤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887A (ja) * 1994-08-11 1996-02-27 O D I:Kk 海水魚の飼育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11168U (ko) * 1996-08-19 1998-05-25 김완규 수족관 수처리 장치
KR19980060467U (ko) * 1997-03-12 1998-11-05 김완규 수처리 장치가 설치된 수족관
KR20030052117A (ko) * 2001-12-20 2003-06-26 김상윤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051887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38B1 (ko) * 2010-06-01 2012-09-14 한국원자력연구원 소규모 순환형 조파수로 장치
KR20200063370A (ko) 2018-11-23 2020-06-05 박영현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수조 자동환수 장치
KR20210121607A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주호산업 유압모터 방식 수중펌프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2449715B1 (ko) 2020-03-30 2022-09-30 주식회사 주호산업 유압모터 방식 수중펌프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682A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260B1 (ko)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CN207284619U (zh) 水培植物种植柜
DK2788110T3 (en) AQUACULTURE SYSTEM AND PROCEDURE TO OPERATE A PUMP IN SUCH A SYSTEM
EP3306206B1 (en) Air conditioner
US7886696B2 (en) Home aquarium
JP2009068763A (ja) 加湿器
US20130168234A1 (en) System capable of oxyhydrogen ion air cleaning and humidifying
CN106051950B (zh) 一种植物空气净化器
US20110232775A1 (en) Flow through humidifier recirculating pump
US20070012796A1 (en) Humidifying device for a humidor
JP3348114B2 (ja) 観賞魚飼育装置
JP5289215B2 (ja) 空気除菌装置
KR100420258B1 (ko) 자동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수조장치
US6082394A (en) Closed type water storage container with water level controller and air filtering device
CN215983138U (zh) 一种加湿用储水单元和空气加湿装置
CN214199009U (zh) 加湿器
JP2008057847A (ja) 加湿器
KR101565020B1 (ko) 자연여과식 정수기
JP7312938B2 (ja) 電解水散布装置
KR20230072980A (ko) 가습기 모듈을 구비하는 에어컨디셔너
RU213024U1 (ru) Аквавендинговый аппарат с внутренним нижним акварезервуаром
RU2786754C1 (ru) Способ термостатирования аквавендингового аппарата, включающего корпус и расположенный в корпусе акварезервуар, и термостат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20070090853A (ko) 벽걸이형 초음파 가습기
CA2438996C (en) Side entry humidifier
RU2775933C1 (ru) Аквавендинговый аппар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