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623A -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 Google Patents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623A
KR20190005623A KR1020170086556A KR20170086556A KR20190005623A KR 20190005623 A KR20190005623 A KR 20190005623A KR 1020170086556 A KR1020170086556 A KR 1020170086556A KR 20170086556 A KR20170086556 A KR 20170086556A KR 20190005623 A KR20190005623 A KR 20190005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tank
aquarium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616B1 (ko
Inventor
김문달
Original Assignee
김문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달 filed Critical 김문달
Priority to KR102017008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6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거치만으로 수족관을 확장하여 관상어의 활동반경을 넓힐 수 있도록 하고, 수조에 용수의 공급/배출 및 정수하여 재순환시키는 구조로 인해 수족관의 청소 및 유지 관리가 편리하며, 전체적으로 외관의 구조에 미려함을 더하여 관상 수족관의 심미감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은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베이스수조와, 베이스수조 내에 가변식으로 기립 거치는 스탠딩수조와, 하우징 본체 내에 베이스수조 및 스탠딩수조에 공급을 위한 용수가 저수되도록 별도 구비되는 용수저장조와,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어 용수저장조의 용수를 베이스수조로 공급하 설치되는 용수공급수단과, 베이스수조의 오버플로우 방지 및 용수를 배출 또는 재순환시키도록 설치되는 용수배출수단과, 스탠딩수조와 용수저장조를 부압관으로 연결하여 부압작용에 의해 스탠딩수조에 용수를 채우도록 설치되는 어샌딩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Aquarium equipped with slip type expansion tank}
본 발명은 간단한 거치로 수조를 확장하여 관상어의 활동반경을 넓히고, 용수를 정수하여 순환시키도록 하여 용수의 청정상태의 유지 및 수족관의 청소 관리가 간편하며, 구조 및 형상의 미려함으로 심미감을 더할 수 있도록 한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의 수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수조의 내부에 모래나 자갈 등을 넣고 물을 채운 후, 관상어를 투입하여 관상어를 기르는데에 사용되고 있는 바, 관상용으로 활용함에 따른 관상어를 보고 자연을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정서생활에 도움을 주고 실내외에 설치시 장식 효과에 따른 미감도 높이면서 동절기에 실내의 습도 공급기능까지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상용 수족관에 대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812호에 의하면, 수족관의 수조 상에 안정되고 강한 고정력을 제공하면서 용이하게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이동성을 갖게 하는 수족관용 기포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에 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족관은 오랜시간이 지나면, 관상어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과 이들이 먹다 남긴 먹이 등이 수족관 바닥에 쌓이거나 수족관에 담겨진 물위에 부유함에 따라 수족관이 오염되며, 이를 제거할 목적으로 주기적으로 물갈이를 실시하는데, 이 경우, 바가지와 같은 별도의 용기나 호스를 사용하여 수족관 내부의 오염된 물을 퍼낸 다음 수족관을 청소한 후에 새로 물을 공급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수족관 내부에 사육되고 있는 관상어나 기타 생물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족관은 밀폐형의 사각박스 형상이 주류임에 따라 미려함이 떨어지고 관상어의 활동반경이 제한적이었으며, 활동반경을 넓히기 위해서는 보다 큰 수족관을 새로 구입해야 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Y1) 20-0482812 (2017. 03. 07)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간단한 거치만으로 수족관을 확장하여 관상어의 활동반경을 넓힐 수 있도록 하고, 수조에 용수의 공급/배출 및 정수하여 재순환시키는 구조로 인해 수족관의 청소 및 유지 관리가 편리하며, 전체적으로 외관의 구조에 미려함을 더하여 관상 수족관의 심미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본체의 상단에 사면으로 차단벽체가 설치되는 베이스수조와, 베이스수조 내에 가변식으로 기립 거치시켜 관상어의 활동범위를 넓히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양측으로 용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관통된 스탠딩수조와, 하우징 본체 내에 베이스수조 및 스탠딩수조에 공급을 위한 용수가 저수되도록 별도 구비되며, 저수되는 용수의 외부배출을 위해 드레인밸브를 포함한 다이렉트배출관이 형성된 용수저장조와,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어 용수저장조의 용수를 베이스수조로 공급하도록 용수저장실을 연통하는 흡입관이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와 베이스수조를 연통하는 공급관 및 토출관이 설치된 용수공급수단과, 베이스수조의 오버플로우 방지 및 용수를 배출 또는 재순환시키도록 베이스수조와 펌프실을 연통하는 드레인밸브가 하단에 설치된 오버플로우관과 순환관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용수배출수단과, 스탠딩수조와 용수저장조를 부압관으로 연결하여 부압에 의해 스탠딩수조에 용수를 채우고 순환시키도록 하는 어샌딩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 본체는 내부가 수직구획판에 의해 펌프실과 용수저장실로 양분되며, 용수저장실은 다시 수평구획판에 의해 하부 용수저장조과 상부 정수처리실로 양분되며, 상기 수평구획판은 용수저장조와 연통하는 용수투입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수공급수단은 공급관 및 토출관 사이로 용수의 배출과 산소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외주면에 공기유입관이 상향 돌출된 인젝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수저장조 및 용수공급수단은 서랍형태로 별도 구비하고,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서 용수저장실을 관통하는 개구홈을 형성하여 서랍식으로 삽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수처리실에 삽입되어 베이스수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는 용수를 용수저장조로 재공급시 용수에 이물질을 여과하여 정수시키기 위해 여과부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과부재는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필터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1차여과부와, 상기 1차여과부를 통해 여과된 용수에서 이물질은 다시 걸러 침전시킨 후 배출토록 하는 2차여과부로 형성된 여과통이 구비되되, 상기 2차여과부는 1차여과부의 전방으로 하부관통홀이 형성된 제1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의 전방에 상부관통홀이 형성된 제2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의 전방으로 하부에 정수된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에 의하면, 베이스수조 내에 기립된 구조의 스탠딩수조를 간단히 거치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관상어의 활동범위는 확대하면서 특이한 구조로 인한 외관의 미려함을 부각시켜 수족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 수조의 하부에 하우징 본체를 구성하고 용수가 저수되는 용수저장조가 별도 구비됨에 따라 장치 및 배관 노출이 최소화하며, 용수의 순환 및 청소 관리가 용이하며, 용수를 재순환하는 과정에서 정수시키는 여과부재가 소제(掃除)가 간편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용수의 청결상태 유지가 아주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용수를 채우는 과정을 보인 작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용수가 순환되는 과정을 보인 작용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보인 작용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기술용어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1)은 하우징 본체(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베이스수조(20)와, 상기 베이스수조(20) 내에 가변식으로 기립 거치시키는 스탠딩수조(30)와, 하우징 본체(10) 내에 베이스수조(20) 및 스탠딩수조(30)에 공급을 위한 용수가 저수되도록 별도 구비되는 용수저장조(4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 내측 타단에 설치되어 용수저장조(40)의 용수를 베이스수조(20)로 공급하는 용수공급수단(50)과, 베이스수조(20)의 오버플로우 방지 및 용수를 배출 또는 재순환시키도록 하는 용수배출수단(60)과, 상기 스탠딩수조(30)에 용수를 채우도록 하는 어샌딩공급수단(7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용수저장조(40)로 재투입되는 용수를 여과시켜 정수하기 위한 여과부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1)는 베이스수조(20)에 스탠딩수조(30)를 간단히 거치함으로써, 관상어의 활동범위를 확장하게 되는 확장수조를 구성함과 아울러 구조 자체에 미려함을 더하여 주변환경에 심미감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며, 기능적으로 베이스수조(20)에 일부 용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용수저장조(40)에 저장된 용수를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용수저장조(40)와 스탠딩수조(30)가 긴밀히 연결된 구조로 인한 부압 작용으로 스탠딩수조(30)에 용수가 채워지게 되며, 또 베이스수조(20)의 용수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용수를 배출 또는 재순환시키는 배관 구조로 인해 수족관의 용수 관리가 보다 편리하며, 또 용수저장조(40)로 재투입되는 용수를 여과하여 정수시키도록 하여 용수의 청결유지가 한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 본체(10)는 내부가 수직구획판(11)에 의해 펌프실(12)과 용수저장실(13)로 양분되며 용수저장실(13)은 다시 수평구획판(14)으로 상하 양분되어 하부측은 용수저장조(40)가 되고, 상부측은 여과부재(80)가 설치되는 정수처리실(15)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수평구획판(14)은 용수저장조(40)와 연통하는 용수투입공(16)이 관통 형성되어 정수처리실(15)을 통해 용수저장조(40)로 용수를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0)는 배관조립, 청소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위해 전면 및 타측면에 펌프실(12)과 정수처리실(15)을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개폐커버(17,18,18a)가 구비된다.
상기 용수투입공(16)은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마개(19)가 구비되며, 이러한 개폐마개(19)는 최초 스탠딩수조(30)에 용수를 끌어올리기 위한 부압 형성이 용이하도록 용수투입공(16)을 막아 용수저장실(13)을 폐쇄할 시에 사용되며, 이후 스탠딩수조(30)에 용수가 다 채워져 용수를 순환시에는 개폐마개(19)는 제거하여 용수투입공(16)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처리실(15)의 수평구획판(14)에는 용수투입공(16)으로 용수가 유도 안내하기 위한 용수유도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수조(20)는 하우징 본체(10)의 상단에 상부가 개구되도록 사면으로 차단벽체(21)가 형성되며, 이러한 차단벽체(21)는 투명도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된다.
스탠딩수조(30)는 하부가 개구된 밀폐된 구조로 구비되며, 하부 양측으로 투입구(31,31a)가 관통되어 용수를 유입하게 된다.
상기 스탠딩수조(30)는 투명도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되, 사각형상, 원기둥, 원뿔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수조(20)에 투입구를 하부로 하여 간단히 거치시키게 되면, 어샌딩공급수단(70)에 의한 부압 작용에 의해 스탠딩수조(30) 내측으로 용수가 차오르도록 하여 관상어의 활동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용수저장조(40)는 하우징 본체(10)의 용수저장실(13)에 밀폐된 구조로 설치되어 용수를 저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수저장조(40)는 드레인밸브(drain-valve,41)를 포함한 다이렉트배출관(42)이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용수를 외부로 바로 배출시키거나 용수 내부에서 가라앉은 이물질을 배출하게 된다.
용수공급수단(50)은 하우징 본체(10)의 펌프실(12)에 용수저장조(40)의 용수를 베이스수조(20)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51)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51)에 용수의 투입을 위해 펌프(51)와 용수저장실(13)을 연통하는 흡입관(52)이 설치되며, 상기 펌프(51)에 의해 베이스수조(20)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펌프(51)와 베이스수조(20)를 연통하는 공급관(53)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53)의 선단부에 용수의 배출과 산소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젝터(54)가 설치되며, 상기 인젝터(54)의 선단부에 하향 절곡된 토출관(55)이 설치된다.
상기 인젝터(54)는 외주면에 공기유입관(54a)이 상향 돌출되어 펌프(51)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베이스수조(20)에 토출시 산소를 동시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 인젝터(54)에 의해 용수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공기 주입이 동시에 이루어져 산소를 공급함에 따라 별도의 산소공급기가 전혀 불필요한 것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수저장조(40) 및 용수공급수단(50)은 별도의 서랍식 형태로 구비하여 청소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본체(10)의 일측에서 용수저장실(13)을 관통하는 개구홈(18b)을 형성하여 상기 개구홈(18b)으로 서랍식의 용수저장조(40) 및 용수공급수단(50)을 삽탈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용수배출수단(60)은 베이스수조(20)와 펌프실(12)을 연통하는 오버플로우관(61)이 형성되어 베이스수조(20)의 수위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61)의 하단에 용수 내부에서 가라앉은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드레인밸브(drain-valve,62)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밸브(62)의 하단으로 이물질을 외부에 배출토록 하는 외부측으로 연통시키는 외부배출관(63)이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드레인밸브(62)와 오버플로우관(61) 사이에 정수처리실(15)과 연통하는 순환관(64)이 설치되어 오버플로우 되어 배출되는 용수를 다시 정수처리실(15)을 통해 용수저장조(40)로 재공급하도록 하여 순환시키게 된다.
어샌딩공급수단(70)은 베이스수조(20)에 기립되도록 거치된 스탠딩수조(30)에 베이스수조(20)로 공급되는 용수가 스탠딩수조(30)로 투입됨과 아울러 스탠딩수조(30) 내부에 용수가 부압에 의해 차오르게 되어 채움되도록 하기 위해 스탠딩수조(30)와 용수저장실(13)을 연통하는 부압관(71)을 설치하게 되며, 상기 부압관(71)의 중간에는 공기 또는 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72)가 설치된다.
상기 부압관(71)은 스탠딩수조(30)의 상부측 단부와 용수저장실(13)의 연통하도록 설치되되, 유량조절밸브(72)을 중심으로 상부부압관(71a)과 하부부압관(71b)으로 나눠지며, 상기 하부부압관(71b)은 하단부가 펌프(51)와 연결되는 흡입관(52)에 근접되도록 설치하게 되며, 펌프(51)의 흡입력에 의해 스탠딩수조(30)의 상부에 끌어올리는 부압이 발생되는 작용으로 스탠딩수조(30)의 내부에 용수를 채우고 또 순환시키게 된다.
여과부재(80)는 용수배출수단(60)의 오버플로우관(61)으로 배출되는 용수가 순환관(64)을 통해 용수저장조(40)로 재투입되는 과정에서 용수를 여과처리하여 정수된 용수를 용수저장조(40)로 재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가 개구된 여과통(81)이 구비되고 상기 여과통(81)의 내부에 삽입되는 여과필터(82)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통(81)은 여과필터(82)가 수용되는 수용홈(83)이 형성된 1차여과부(84)와, 상기 1차여과부(84)를 통해 여과된 용수에서 이물질은 다시 걸러져 침전시킨 후 배출토록 하는 2차여과부(85)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여과부(85)는 1차여과부(84)의 전방으로 하부관통홀(86a)이 형성된 제1격벽(86)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86)의 전방에 상부관통홀(87a)이 형성된 제2격벽(87)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87)의 전방으로 하부에 정수된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8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2차여과부(85)는 1차여과부(84)의 여과필터(80)를 통해 여과된 용수를 제1격벽(86)과 제2격벽(87)을 통해 상승시킨 후 하강시키도록 하여 이물질은 하부로 침전시키고 정수된 용수만 배출공(88)으로 배수하여 용수저장조(40)로 재투입시키게 된다.
하기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수조(20) 내측에 스탠딩수조(30)가 기립된 구조로 거치시킨 상태로 하여 베이스수조(20)와 용수저장조(40)에 용수를 채우게 된다.
이때 용수저장조(40)에 저수되는 용수는 스탠딩수조(30)에 채우기 위한 것이며, 용수공급수단의 펌프(51)를 가동시키게 되면, 용수저장조(40)의 용수가 흡입관(52)으로 흡입된 용수를 공급관(53) 및 토출관(55)을 통해 베이스수조(20)로 끌어 올려줌과 동시에 공급관(53)과 토출관(55) 사이에 설치된 인젝터(54)에 의해 베이스수조(20)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공급까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펌프(51)의 흡입력이 흡입관(52)과 근접 설치된 하부부압관(71b)으로 작용됨에 따라 스탠딩수조(30)의 내부에 공기가 용수저장조(40)로 흡입됨과 동시에 스탠딩수조(30) 내부에는 부압이 발생됨에 따라 베이스수조(20)의 용수가 스탠딩수조(30)로 흡입되어 상승되면서 채움되게 된다.
이때 부압관(71)으로 연결된 유량조절수단(72)은 항상 최대로 개방된 상태이어야 하며, 스탠딩수조(30)에 부압 작용이 용이하도록 용수투입공(16)을 개폐마개(19)로 막아 용수저장실(14)은 폐쇄상태여야 한다.
이와 같이 스탠딩수조(30)에 용수가 완전히 채워지게 되면, 용수투입공(16)의 개폐마개(19)는 제거하여 용수저장실(14)은 개방시키게 되고, 용수공급수단(50), 용수배출수단(60) 및 어샌딩공급수단(70)을 통해 용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 용수의 순환작용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 용수저장조(40)의 용수는 연속해서 용수공급수단(50)의 펌프(51)의 작동으로 베이스수조(20)로 연속하여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스탠딩수조(30)에 용수가 완전히 채워지게 되면, 펌프(51)의 흡입작용에 의해 상부부압관(71a) 및 하부부압관(71b)을 통해 스탠딩수조(30)의 용수가 용수저장조(40)로 배출되어 순환하게 되고, 스탠딩수조(30)에 용수가 채워짐에 따른 베이스수조(20)로 공급되는 용수가 오버플로우관(61)의 수위까지 닿게 되면 오버플로우관(61)을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오버플로우관(61)과 연결된 순환관(64)을 통해 정수처리실(15)로 배출되어 용수투입공(16)을 통해 용수저장조(40)로 재공급하게 되어 용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관(64)이 정수처리실(15)을 연통함에 따라 오버플로우된 용수는 여과부재(80)에서 여과시켜 정수된 용수를 재공급하게 된다.
이때 여과부재(80)에 오버플로우된 용수가 공급되게 되면, 여과필터(82)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1차 여과한 후, 제1격벽(86)과 제2격벽(87)을 통해 이물질은 침전되어 가라앉도록 2차 여과되도록 하여 용수저장조(40)로 재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1)의 청소 또는 펌프 등의 유지보수시에는 도 8에 보인바와 같이, 베이스수조(20)와 스탠딩수조(30)의 용수를 배출하기 위해 간단히 용수배출수단(60)의 드레인밸브(62)를 개방시키고, 용수저장조(40)의 다이렉트배출관(42)이 연결된 드레인밸브(41)를 개방함으로써 편리하게 배출하여 소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1)에 의하면, 하우징 본체(10) 내부에 용수저장조(40)와 용수공급수단(50) 및 용수배출수단(60)의 설비가 이루어짐에 따라 장치 및 배관 노출이 최소화되어 외관이 깔끔하고, 베이스수조(20) 내에 기립된 구조의 스탠딩수조(30)를 간단히 거치하는 구조에 따라 관상어의 활동범위는 확대하면서 구조 자체의 특이성으로 외관에 미려함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수족관의 관상시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용수저장조(40)가 하우징 본체(10)에 별도 구성된 특성에 따라 스탠딩수조(30)에 용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스탠딩수조(30)와 베이스수조(20)의 청소시 용수를 저수할 수 있어 청소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정수처리실에 여과부재(80)가 구성됨으로써 순환되는 용수의 정수처리가 용이하고 여과부재(80)의 탈거가 용이하여 소제(掃除)가 쉬워 용수의 청결상태 유지가 아주 편리하다. 그리고 다이렉트배출관(42)과 외부배출관(63)으로 연결된 드레인밸브(41,62)에 의해 용수의 배출이 용이하다.
또한, 하우징 본체(10)의 다수의 커버(17,18,18a)가 구비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펌프(51)나 각 용수배관 등의 문제 발생시 유지보수를 아주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수족관
10:하우징 본체 11:수직구획판 12:펌프실 13:용수저장실
14:수평구획판 14a:용수유도홈 15:정수처리실 16:용수투입공
17,18:개폐커버 19:개폐마개 18b:개구홈
20:베이스수조 21:차단벽체
30:스탠딩수조 31,31a:투입구
40:용수저장조 41:드레인밸브 42:다이렉트배출관
50:용수공급수단 51:펌프 52:흡입관 53:공급관
54:인젝터 54a:공기유입관 55:토출관
60:용수배출수단 61:오버플로우관 62:드레인밸브 63:외부배출관
64:순환관
70:어샌딩공급수단 71:부압관 71a:상부부압관 71b:하부부압관
72:유량조절밸브
80:여과부재 81:여과통 82:여과필터 83:수용홈
84:1차여과부 85:2차여과부 86:제1격벽 86a:하부관통홀
87:제2격벽 87a:상부관통홀 88:배출공

Claims (6)

  1. 하우징 본체(10)와,
    하우징 본체(10)의 상단에 사면으로 차단벽체(21)가 설치되는 베이스수조(20)와,
    베이스수조(20) 내에 가변식으로 기립 거치시켜 관상어의 활동범위를 넓히도록 하부가 개구되고, 양측으로 용수가 투입되는 투입구(31,31a)가 관통된 스탠딩수조(30)와,
    하우징 본체(10) 내에 베이스수조(20) 및 스탠딩수조(30)에 공급을 위한 용수가 저수되도록 별도 구비되며, 저수되는 용수의 외부배출을 위해 드레인밸브(41)를 포함한 다이렉트배출관(42)이 형성된 용수저장조(40)와,
    하우징 본체(10) 내에 설치되어 용수저장조(40)의 용수를 베이스수조(20)로 공급하도록 용수저장실(13)을 연통하는 흡입관(52)이 펌프(51)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51)와 베이스수조(20)를 연통하는 공급관(53) 및 토출관(55)이 설치된 용수공급수단(50)과,
    베이스수조(20)의 오버플로우 방지 및 용수를 배출 또는 재순환시키도록 베이스수조(20)와 펌프실(12)을 연통하는 드레인밸브(62)가 하단에 설치된 오버플로우관(61)과 순환관(64)이 연결되도록 설치된 용수배출수단(60)과,
    스탠딩수조(30)와 용수저장조(40)를 부압관(71)으로 연결하여 부압에 의해 스탠딩수조(30)에 용수를 채우고 순환시키도록 하는 어샌딩공급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10)는 내부가 수직구획판(11)에 의해 펌프실(12)과 용수저장실(13)로 양분되며,
    용수저장실(13)은 다시 수평구획판(14)에 의해 하부 용수저장조(40)과 상부 정수처리실(15)로 양분되며,
    상기 수평구획판(14)은 용수저장조(40)와 연통하는 용수투입공(16)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수공급수단(50)은 공급관(53) 및 토출관(55) 사이로 용수의 배출과 산소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외주면에 공기유입관(54a)이 상향 돌출된 인젝터(54)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용수저장조(40) 및 용수공급수단(50)은 서랍형태로 별도 구비하고,
    하우징 본체(10)의 일측에서 용수저장실(13)을 관통하는 개구홈(18b)을 형성하여 서랍식으로 삽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정수처리실(15)에 삽입되어 베이스수조(20)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배출되는 용수를 용수저장조(40)로 재공급시 용수에 이물질을 여과하여 정수시키기 위해 여과부재(8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여과부재(80)는 용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필터(82)가 수용되는 수용홈(83)이 형성된 1차여과부(84)와, 상기 1차여과부(84)를 통해 여과된 용수에서 이물질은 다시 걸러 침전시킨 후 배출토록 하는 2차여과부(85)로 형성된 여과통(81)이 구비되되,
    상기 2차여과부(85)는 1차여과부(84)의 전방으로 하부관통홀(86a)이 형성된 제1격벽(86)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격벽(86)의 전방에 상부관통홀(87a)이 형성된 제2격벽(87)이 형성되며, 상기 제2격벽(87)의 전방으로 하부에 정수된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공(8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1020170086556A 2017-07-07 2017-07-07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102124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56A KR102124616B1 (ko) 2017-07-07 2017-07-07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56A KR102124616B1 (ko) 2017-07-07 2017-07-07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23A true KR20190005623A (ko) 2019-01-16
KR102124616B1 KR102124616B1 (ko) 2020-06-18

Family

ID=6528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556A KR102124616B1 (ko) 2017-07-07 2017-07-07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6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378A (ko) * 2020-11-10 2022-05-17 김주홍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CN115336550A (zh) * 2022-08-30 2022-11-15 陈长生 一种新型双系统水族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8940A (ja) * 1998-04-28 1999-11-09 Angle Corporation:Kk 水 槽
KR200164240Y1 (ko) * 1997-06-26 2000-01-15 이창균 수족관(水族館)
JP2000106785A (ja) * 1998-10-02 2000-04-18 Eiji Yamagami 水棲生物育成装置
KR20100099400A (ko) * 2009-03-03 2010-09-13 이봉우 섬프타입 수족관
KR200482812Y1 (ko) 2016-05-24 2017-03-07 박희용 수족관용 기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240Y1 (ko) * 1997-06-26 2000-01-15 이창균 수족관(水族館)
JPH11308940A (ja) * 1998-04-28 1999-11-09 Angle Corporation:Kk 水 槽
JP2000106785A (ja) * 1998-10-02 2000-04-18 Eiji Yamagami 水棲生物育成装置
KR20100099400A (ko) * 2009-03-03 2010-09-13 이봉우 섬프타입 수족관
KR200482812Y1 (ko) 2016-05-24 2017-03-07 박희용 수족관용 기포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족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378A (ko) * 2020-11-10 2022-05-17 김주홍 여과부의 탈착이 용이한 산소공급유닛
CN115336550A (zh) * 2022-08-30 2022-11-15 陈长生 一种新型双系统水族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616B1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92110U (zh) 水培养系统
KR102072157B1 (ko) 미세먼지 피난 부스
KR101416489B1 (ko)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US20180313049A1 (en) In-pond water quality maintenance system
KR101552394B1 (ko)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KR20190005623A (ko) 슬립형 확장수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CN110255811A (zh) 一种分散式农村生活污水处理装置及方法
CN105052807A (zh) 一种双层恒温循环过滤鱼缸
CN110269029A (zh) 一种简易换水的水草景观鱼缸
KR20150001964U (ko) 배수 및 순환 장치를 구비한 어항
JP3725794B2 (ja) 観賞魚用水槽
CN113170756A (zh) 水族箱
CN209845994U (zh) 一种室内生态观赏池
CN211482500U (zh) 模块化静音水族箱
KR20110105937A (ko) 테이블 또는 벤치를 겸한 수족관
CN215454767U (zh) 水族箱
CN104381190A (zh) 室内外连通鱼缸综合过滤养护系统
CN220694182U (zh) 一种无管道鱼缸
CN204742229U (zh) 一种双层恒温循环过滤鱼缸
JP2000303508A (ja) 雨水等の貯留槽
CN212582866U (zh) 一种水景水循环系统
CN215278194U (zh) 一种景观改造净水蓄水装置
CN220343276U (zh) 一种用于莲藕和鳖的综养池
CN213446283U (zh) 一种滤芯式家用净水器
CN210580536U (zh) 一种水族箱新型降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