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754B1 - 차량용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754B1
KR101237754B1 KR1020100127553A KR20100127553A KR101237754B1 KR 101237754 B1 KR101237754 B1 KR 101237754B1 KR 1020100127553 A KR1020100127553 A KR 1020100127553A KR 20100127553 A KR20100127553 A KR 20100127553A KR 101237754 B1 KR101237754 B1 KR 101237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hicle
rotary
driv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293A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7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고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카메라가 구비되고 장착홀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과,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장착홀부를 덮는 커버와, 커버를 개폐하는 구동부와,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장치 {CAMERA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외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후방카메라는 차량의 후진주행 또는 후진 주차 시에 운전자에게 모니터를 통하여 차량 후방의 시계를 확보해주는 장치로서, 안전한 후진 주행 및 후진 주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자동차의 후방에 카메라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로 출력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후진 주행 또는 후진 주차 시에 운전자가 상체를 후방 측으로 돌려 차량의 후방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 모니터에 표시되는 후방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렌즈가 외부로 항상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차량과 카메라의 렌즈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의 영상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를 확인할 수 있고 차량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보관될 수 있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홀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홀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기어연결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차량의 엠블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는 제1회전블록과, 상기 제1회전블록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블록의 회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결합되는 제2회전블록과, 상기 제1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구동부와, 상기 제2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블록에는 상기 제1회전블록의 제1구동축이 돌출되는 제1통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축에 기어연결되는 제1회전구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에는 상기 제2회전블록의 제2구동축이 돌출되는 제2통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구동축에 기어연결되는 제2회전구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제1회전구동부와 상기 제2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외부를 확인할 수 있고 카메라가 차량 내부에 보관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카메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를 덮는 커버에 차량의 엠블럼이 설치되므로 차량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커버는 구동부에 의해 폐쇄상태가 유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커버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가이드레일과 안내돌기에 의해 가이드블록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을 행할 때에 카메라의 분리 및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차량 내부에 보관될 수 있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향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커버가 개방됨과 동시에 카메라가 구동되므로 차량 외부의 영상이 구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방향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후방에 설치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방향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는 장착홀부(32)가 형성되는 하우징(30)과, 카메라(10)가 구비되고 장착홀부(32)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50)과, 하우징(3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장착홀부(32)를 덮는 커버(75)와, 커버(75)를 개폐하는 구동부(80)와, 카메라(10)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100)를 포함한다.
차량 주행 중에 후진주행이 개시되면 구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커버(75)가 개방되고 카메라(10)가 구동되어 차량의 외부 영상을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모니터(미도시)에 구현하게 된다.
커버(75)가 개방됨과 동시에 카메라(10)가 구동되므로 차량 외부의 영상이 모니터에 구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별도의 구동부(80)에 의해 커버(75)가 개방되므로 커버(75)와 카메라(10)가 간섭되거나 접촉되지 않으므로 부품들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모,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10)는 커버(75)의 내측에 설치되므로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75)에 의해 장착홀부(3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구동부(80)는 커버(75)에 설치되고 하우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82)과, 회전축(82)에 기어연결되는 개폐구동부(84)를 포함한다.
회전축(82)은 커버(75)의 양측 중앙부에 형성되고 하우징(3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홀부(36)에 회전축(8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75)의 개방이 진행되면 개폐구동부(84)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82)이 회전되어 커버(75)의 하단이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카메라(10)가 차량 외부로 노출되므로 차량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0)의 테두리에는 커버(75)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턱부(34)가 형성되는데, 하우징(30)의 상부에는 턱부(34)가 절개되어 공간이 형성되므로 커버(75)의 상부가 하우징(30) 측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커버(75)의 하부가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장착홀부(32)를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부(80)는 커버(75)의 상단을 당기는 액추에이터 또는 커버(75)의 하단을 가압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하우징(30)은 중앙부에 가이드블록(50)이 설치되는 장착홀부(32)가 형성되고, 장착홀부(32)에는 가이드레일(32a)이 형성되고, 가이드블록(5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레일(32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안내돌기(52)가 형성된다.
따라서 카메라(10)에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이 요구될 때에는 가이드블록(50)을 장착홀부(32)로부터 이탈시켜 제1회전블록(110)에 설치되는 카메라(10)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커버(75)에는 엠블럼(77)이 설치되므로 외벽과 커버(75)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선이 엠블럼(77)에 의해 가려질 수 있어 차량의 외면이 미려하게 마무리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카메라(10)는 엠블럼(77)이 설치된 커버(75) 외에 트렁크 라인에 형성되는 스포일러, 트렁크 손잡이 등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10)가 설치되는 공간에는 커버(75)가 설치된다.
방향조절부(100)는 카메라(10)가 설치되는 제1회전블록(110)과, 제1회전블록(1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회전블록(100)의 회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블록(50)에 결합되는 제2회전블록(130)과, 제1회전블록(110)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구동부(152)와, 제2회전블록(130)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154)를 포함한다.
구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커버(75)가 개방된 후에 제1회전구동부(152) 및 제2회전구동부(154)의 작동에 의해 카메라(10)가 회전되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10)의 방향이 조절되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의 영상이 모니터에 구현된다.
제2회전블록(130)에는 제1회전블록(110)의 제1구동축(112)이 돌출되는 제1통과홀부(134)가 형성되고, 제1통과홀부(134)의 일측에는 제1구동축(112)에 기어연결되는 제1회전구동부(152)가 설치된다.
제1회전블록(110)의 상면 및 저면에 제1구동축(112)이 형성되고, 제1구동축(112)에는 기어치가 형성되므로 제2회전블록(1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회전구동부(152)의 주동기어와 제1구동축(112)이 기어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회전구동부(152)의 동력이 제1구동축(112)에 전달되면 제1회전블록(110)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블록(50)에는 제2회전블록(130)의 제2구동축(132)이 돌출되는 제2통과홀부(56)가 형성되고, 제2구동축(132)에 기어연결되는 제2회전구동부(154)가 설치된다.
제2회전블록(13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제2구동축(132)이 형성되고, 제2구동축(132)에는 기어치가 형성되며, 가이드블록(5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제2통과홀부(56)가 형성된다.
제2통과홀부(56)의 일측에는 제2회전구동부(154)가 설치되므로 제2구동축(132)이 제2통과홀부(56)에 삽입되도록 제2회전블록(130)과 가이드블록(50)을 결합하면 제2회전구동부(154)의 주동기어와 제2구동축(132)이 기어연결된다.
따라서 제2회전구동부(154)의 동력이 제2구동축(132)에 전달되면 제2회전블록(13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향조절부(100)는 제1회전구동부(152)와 제2회전구동부(154)를 제어하는 조작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조작부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므로 운전자가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10)의 방향을 조절한 후에 차량 외부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주행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회전구동부(152) 및 제2회전구동부(154)는 차량이 후진 주행을 행할 때에 운전자가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의 조작방향과 호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조작부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외부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개폐구동부(84)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82) 및 커버(75)가 회전되면서 장착홀부(32)가 개방되므로 카메라(10)가 차량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75)의 개방이 진행됨과 동시에 카메라(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의 외측 영상이 촬영되고 차량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로 차량의 외측 영상이 구현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모니터에 구현되는 영상을 확인하면서 차량을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75) 및 엠블럼(77)은 개폐구동부(84)에 의해 회전되면서 개방되므로 카메라(10)와 간섭되거나 접촉되지 않으므로 커버(75)의 개방작동 중에 소음 또는 진동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카메라(10)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차량이 후진할 때에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후진주행이 개시되면 커버(75)의 개방작동이 진행됨과 동시에 카메라(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 후방의 영상이 모니터에 구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75)가 개방되는 작동이 개시됨과 동시에 카메라(10)가 구동되므로 카메라(10)에 의해 차량 후방의 영상이 모니터에 구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후방의 영상이 구현되기 전에 차량이 후진 주행을 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10)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조작부를 누르면 제1회전구동부(112) 및 제2회전구동부(132)가 작동되어 제1회전블록(110)과 제2회전블록(130)을 회전시키므로 카메라(10)의 촬영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의 영상이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모니터에 구현되므로 안전한 후진주행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차량의 외부를 확인할 수 있고 차량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카메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카메라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카메라 30 : 하우징
32 : 장착홀부 32a : 가이드레일
34 : 턱부 36 : 홀부
50 : 가이드블록 52 : 안내돌기
56 : 제2통과홀부 75 : 커버
77 : 엠블럼 80 : 구동부
82 : 회전축 84 : 개폐구동부
100 : 방향조절부 110 : 제1회전블록
112 : 제1구동축 130 : 제2회전블록
132 : 제2구동축 134 : 제1통과홀부
152 : 제1회전구동부 154 : 제2회전구동부

Claims (7)

  1.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홀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홀부를 덮는 커버;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는 제1회전블록;
    상기 제1회전블록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블록의 회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가이드블록에 결합되는 제2회전블록;
    상기 제1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구동부; 및
    상기 제2회전블록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블록에는 상기 제1회전블록의 제1구동축이 관통되는 제1통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축에 기어연결되는 상기 제1회전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에는 상기 제2회전블록의 제2구동축이 관통되는 제2통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구동축에 기어연결되는 상기 제2회전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제1구동축에 전달되면 상기 제1회전블록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블록의 상면 및 저면에 상기 제1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축에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기 제1회전구동부의 주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축이 기어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구동부의 동력이 상기 제2구동축에 전달되면 상기 제2회전블록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블록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상기 제2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구동축에는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상기 제2통과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홀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회전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축이 상기 제2통과홀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회전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을 결합하면 상기 제2회전구동부의 주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축이 기어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기어연결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차량의 엠블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제1회전구동부와 상기 제2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20100127553A 2010-12-14 2010-12-14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237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53A KR101237754B1 (ko) 2010-12-14 2010-12-14 차량용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53A KR101237754B1 (ko) 2010-12-14 2010-12-14 차량용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293A KR20120066293A (ko) 2012-06-22
KR101237754B1 true KR101237754B1 (ko) 2013-02-27

Family

ID=4668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553A KR101237754B1 (ko) 2010-12-14 2010-12-14 차량용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3783A1 (de) * 2022-02-17 2023-08-17 Mekra Lang Gmbh & Co. Kg Indirektes Sicht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543A (ja) * 1999-08-23 2001-03-06 Honda Access Corp 車両用カメラの取付構造
JP2002341432A (ja) * 2001-05-16 2002-11-27 Murakami Corp 撮像装置
JP2010501417A (ja) * 2006-08-22 2010-01-21 フフ・ヒユルスベツク・ウント・フユルス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車両の錠を開けかつ車両の外側範囲を画像で検出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543A (ja) * 1999-08-23 2001-03-06 Honda Access Corp 車両用カメラの取付構造
JP2002341432A (ja) * 2001-05-16 2002-11-27 Murakami Corp 撮像装置
JP2010501417A (ja) * 2006-08-22 2010-01-21 フフ・ヒユルスベツク・ウント・フユルスト・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車両の錠を開けかつ車両の外側範囲を画像で検出す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293A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265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US11199031B2 (en) Motor vehicle lock arrangement
CN107023228A (zh) 带有具备软打开功能的电力释放和电力扣紧的单马达闩锁组件
US8303021B2 (en) Door edge protection device
KR101291038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S58214414A (ja) 車体におけるサンル−フの安全装置
JP2010155484A (ja) バックガイドモニターカメラ装置
US20160245011A1 (en) Assembly for a vehicle
CN109715423B (zh) 车门外侧把手装置、车门及车辆
CN105765145A (zh) 具有把手和锁的机动车门
KR101237754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3749708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1237750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070022480A (ko) 자동차용 후방카메라의 자동출입장치
KR101237751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243086B1 (ko) 카메라장치
JP2003253960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1125726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2654582B1 (ko)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JP4776424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KR101324637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120034497A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6129653B2 (ja) 車両用開閉ボックス
KR102293403B1 (ko) 차량용 출몰형 도어핸들 제어용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도어핸들 시스템
KR100658603B1 (ko)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