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603B1 -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603B1
KR100658603B1 KR1020050082330A KR20050082330A KR100658603B1 KR 100658603 B1 KR100658603 B1 KR 100658603B1 KR 1020050082330 A KR1020050082330 A KR 1020050082330A KR 20050082330 A KR20050082330 A KR 20050082330A KR 100658603 B1 KR100658603 B1 KR 10065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unit
display means
driv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05008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replacing a rear-view mirr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차량의 양측에 해당되는 휀다 또는 도아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부에 나뉘어 장착되며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투시수단; 상기 투시수단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내측에 설치되며 투시수단을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표면 밖으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위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운전자의 시야 전방 측에 해당되는 차량의 내부인 계기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투시수단에 의해 투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투시수단, 구동수단 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차량의 후방에 해당되는 범퍼 또는 트렁크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부에 적어도 한 개가 장착되며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투시수단; 상기 투시수단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범퍼 또는 트렁크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측에 설치되며 투시수단을 상기 범퍼 또는 트렁크의 표면 밖으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위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운전자의 시야 전방 측에 해당되는 차량의 내부인 계기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투시수단에 의해 투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투시수단, 구동수단 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된다.
따라서, 사이드미러가 차 폭보다 상당히 큰 폭으로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 서도 차량의 후방 양측을 폭넓게 관찰하고 또 운전자는 주행방향인 전방만 응시하며 후방 양측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방향 또는 차선 변경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투시수단, 구동수단, 제어부, 디스플레이수단, 발열부재

Description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lookout apparatus for backward of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1 실시 예의 요부를 보이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2 실시 예의 요부를 보이기 위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촬영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투시수단 11;판재
11a;절결부 11b;커버
12;출몰부재 12a;개구부
13;촬영부재 14;적외선 램프
15;보호창 20;구동수단
21;모터 22;구동기어
23;종동기어 24;솔레노이드 밸브
24a;로드 30;디스플레이 수단
40;제어부 50;발열부재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미러가 차 폭보다 상당히 큰 폭으로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차량의 후방 양측을 폭넓게 관찰하고 또 운전자는 주행방향인 전방만 응시하며 후방 양측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방향 또는 차선 변경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며 차량의 양 옆에 부착된 사이드미러 그리고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 룸미러를 번갈아 주시하며 운전을 하게 된다.
한편 사이드미러는 자동차가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며 양쪽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차량이 주행할 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품이다.
이와 같은 사이드미러는 후방 양측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방향(또는 차 선 변경 표시 방향)을 확인하기 위한 근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주행중에는 펼쳐지고 주행을 멈췄을 경우에는 접혀지게 함으로써 사이드미러를 보호하는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이드미러는 안전운행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차량의 구조물인 반면 차량의 폭보다 크게 양쪽으로 돌출되어 항상 다른 구조물이나 차량에 접촉되며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사이드미러는 운전자의 주행방향 양 옆으로 돌출 설치되어 운전자는 주행중 양 옆을 자주 응시하며 운전을 하게 되는데 특히 운전에 미숙한 초보운전자들은 양 옆을 보면서 무의식적으로 차량의 핸들을 시야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안전사고의 우려도 항상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차량의 사이드미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미러가 차폭보다 상당히 큰 폭으로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차량의 후방 양측을 폭넓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을 운행하면서도 운전자는 전방만 응시하며 후방 양측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방향 또는 차선 변경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는, 차량의 양측에 해당되는 휀다 또는 도아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부에 나뉘어 장착되며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투시수단; 상기 투시수단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내측에 설치되며 투시수단을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표면 밖으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위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운전자의 시야 전방 측에 해당되는 차량의 내부인 계기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투시수단에 의해 투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투시수단, 구동수단 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된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구성 예는, 상기 투시수단은 상기 휀다 또는 도아를 형성하는 판재에 일부 절결 형성된 절결부; 상기 절결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출몰부재;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출몰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양측 후방에 대해 촬영하는 렌즈를 갖춘 촬영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구성 예는, 상기 절결부의 일 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구성 예는, 상기 출몰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렌즈의 조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구성 예는, 상기 출몰부재의 개구부와 상기 촬영부재의 사이에는 촬영부재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한 보호창이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5 구성 예는, 상기 출몰부재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촬영부재의 렌즈와 상기 보호창에 착상되는 성에를 제거하는 발열부재가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6 구성 예는,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이 맞물리며 상기 투시수단의 일 측면에 배열된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7 구성 예는, 상기 모터는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테핑 모터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8 구성 예는,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과 에어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로드를 출몰시키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로드의 끝단 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출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9 구성 예는,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CRT,PDP,LCD,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0 구성 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에 장착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1 구성 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 적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차량의 후방에 해당되는 범퍼 또는 트렁크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부에 적어도 한 개가 장착되며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투시수단; 상기 투시수단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범퍼 또는 트렁크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측에 설치되며 투시수단을 상기 범퍼 또는 트렁크의 표면 밖으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위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운전자의 시야 전방 측에 해당되는 차량의 내부인 계기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투시수단에 의해 투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투시수단, 구동수단 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된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구성 예는, 상기 투시수단은 상기 범퍼 또는 트렁크를 형성하는 판재에 일부 절결 형성된 절결부; 상기 절결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출몰부재;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출몰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해 촬영하는 렌즈를 갖춘 촬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구성 예는, 상기 절결부의 일 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구성 예는, 상기 출몰부재의 일 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렌즈의 조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구성 예는, 상기 출몰부재의 개구부와 상기 촬영부재의 사이에는 촬영부재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한 보호창이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5 구성 예는, 상기 출몰부재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촬영부재의 렌즈와 상기 보호창에 착상되는 성에를 제거하는 발열부재가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6 구성 예는,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이 맞물리며 상기 투시수단의 일 측면에 배열된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7 구성 예는, 상기 모터는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테핑 모터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8 구성 예는,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과 에어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로드를 출몰시키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로드의 끝단 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출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9 구성 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CRT,PDP,LCD,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0 구성 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에 장착된 것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1 구성 예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 적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평면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양측에 해당되는 휀다 또는 도아 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부에 나뉘어 장착되며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투시수단(10)과, 상기 투시수단(10)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내측에 설치되며 투시수단을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표면 밖으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위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 운전자의 시야 전방 측에 해당되는 차량의 내부인 계기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투시수단에 의해 투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30) 그리고 상기 투시수단(10), 구동수단(20) 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로 대별된다.
상기 투시수단(10)은 상기 휀다 또는 도아를 형성하는 판재(11)에 일부 절결 형성된 절결부(11a); 상기 절결부(11a)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개방된 개구 부(12a)가 형성된 출몰부재(12) 및 상기 제어부(40)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출몰부재(12)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양측 후방에 대해 촬영하는 렌즈를 갖춘 촬영부재(13)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되는 렌즈는 화각이 큰 장점이 있는 반면 왜곡이 발생되는 단점을 갖는 어안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결부(11a)의 일 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11b)가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상기 커버(11b)는 없어도 무관하다.
즉 상기 커버(11b)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출몰부재(12)의 측면이 커버의 기능을 대신하여 판재(11)에 형성된 개구부(12a)에 대해 개폐될 것이다.
상기 출몰부재(12)의 일 측에는 상기 제어부(40)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렌즈를 갖춘 촬영부재(13)의 조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14)가 구비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몰부재(12)의 개구부(12a)와 상기 촬영부재(13)의 사이에는 촬영부재(13)(또는 렌즈)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한 보호 창(15)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투명한 보호 창(15)은 빛을 걸러주어 눈부심을 방지하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필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몰부재(12)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촬영부재(13)의 렌즈와 상기 보호 창(15)에 착상되는 성에를 제거하는 발열부재(50)가 상기 제어부(40)와 전기 접속된다.
제어부(40)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히터 그리고 히터의 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모터로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발열부재의 구성은 통상적인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동수단(20)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21), 상기 모터(21)의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22) 및 상기 구동기어(22)에 이 맞물리며 상기 투시수단(10)의 일 측면에 장착된 종동기어(23)로 구비된다.
상기 모터(21)는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테핑 모터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구동기어(22)는 웜 기어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다른 변형 예로는, 상기 구동수단(20)은 전원과 에어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로드(24a)를 출몰시키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24) 및 상기 로드(24a)의 끝단 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출몰부재(12)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0)은 투시수단(10)에 의해 투시된 피사체를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하여 CRT,PDP,LCD, OLED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0)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 위에 장착될 수 있지만 계기판에 일체로 매입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0)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 적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서 투시수단이 차량의 양측에 해당되는 휀다 또는 도어 측에 설치된 것에 대하여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 해당되는 뒤 범퍼 또는 트렁크의 패널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투시수단(10)이 양측에 설치될 경우 양쪽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을 감시할 수 있지만 후방에 설치할 경우 후방 주차할 때 그리고 후방을 감시할 때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상태는 도 1과 같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즉, 이 상태는 촬영부재(13)가 장착된 출몰부재(12)는 별도의 커버(11b)가 개방됨에 따라 판재(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촬영부재(13)에 구비된 렌즈를 통하여 후방 양측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을 촬영하고 있거나 또는 후방의 시설물이나 설치물을 촬영하는 상태가 될 것이다.
물론 사용 전 상태는 촬영부재(13)는 판재(11)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출몰부재(12)의 일측 면이 판재(11)와 평탄면을 이루며 커버의 기능을 대신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된 커버(11b)가 폐쇄되며 절결부(11a)를 폐쇄하는 상태가 될 것이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출몰부재(12)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한정하여 설명하고 동작 완료 후 출몰부재(12)의 폐쇄동작은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상기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장착한 상태에서 제어부(40)를 동작하면 구동수단(20)이 구동하며 투시수단(10), 즉 출몰부재(12)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모터(21)와 구동기어(22)로 이루어진 구동수단(20)을 동작시키면 구동기어(22)가 회전하거나, 솔레노이드 밸브(24)가 동작되며 출몰부재(12)에 구비된 종동기어(23)를 회전시키거나 로드(24a)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에 의해 출몰부재(12)를 동작시키면 시야각도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30)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물을 확인하며 출몰부재(12)의 각도를 조절하고 또 그 동작을 선택된 각도에서 정지시킨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출몰부재(12)의 각도가 조절되면 도면 표현을 생략한 별도의 메모리가 이를 기억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어 동작시킬 때마다 제어부는 최초 셋팅된 출몰부재(12)의 출몰각도까지 출몰부재(12)를 동작시킨 후 출몰각도에 도달되면 출몰부재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출몰부재(12)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촬영부재(13)에 의해 촬영된 투시물은 도 6과 같이 운전석 전방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되어 운전자는 차량의 사이드로 시야를 돌리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을 하게 된다.
물론 촬영부재(13)는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렌즈를 전, 후진 시키며 후방 물체를 근접 또는 원거리에서 식별하도록 조절한다.
또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행 중 예를 들어 야간에 운행하게 되어 후방 식별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40)의 조작에 의해 적외선 램프(14)를 동작시키고 그에 따라 조사되는 적외선에 의해 후방을 감시하며 주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행 중 예를 들어 우천 중 또는 혹한기에 내, 외 온도차에 의해 보호창(15) 또는 촬영부재의 렌즈에 착상되어 시야확보가 어려울 경우 히터와 송풍팬(또는 히터)으로 이루어진 발열부재(50)를 동작시켜 성에를 제거한 상태에서 운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행이 완료되어 시동을 끄게 되면 제어부(40)는 그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수단(20)을 역회전시키고 촬영부재(13)가 설치된 출몰부재(12)를 차량의 패널을 형성하는 판재(11)의 내측으로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에 의하면, 사이드미러가 차 폭보다 상당히 큰 폭으로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차량의 후방 양측을 폭넓게 관찰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하면서도 운전자는 전방만 응시하며 후방 양측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방향 또는 차선 변경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4)

  1. 삭제
  2. 차량의 양측에 해당되는 휀다 또는 도아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부에 나뉘어 장착되며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투시수단(10); 상기 투시수단(10)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내측에 설치되며 투시수단(10)을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표면 밖으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위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 운전자의 시야 전방 측에 해당되는 차량의 내부인 계기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투시수단에 의해 투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30); 및 상기 투시수단(10), 구동수단(20) 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시수단(10)은 상기 휀다 또는 도아를 형성하는 판재(11)에 일부 절결 형성된 절결부(11a);
    상기 절결부(11a)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출몰부재(12); 및
    상기 제어부(40)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출몰부재(12)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양측 후방에 대해 촬영하는 렌즈를 갖춘 촬영부재(13)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11a)의 일 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11b)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12)의 일 측에는 상기 제어부(40)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렌즈의 조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14)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12)의 개구부와 상기 촬영부재(13)의 사이에는 촬영부재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한 보호 창(15)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촬영부재의 렌즈와 상기 보호 창에 착상되는 성에를 제거하는 발열부재(50)가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0)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21);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22); 및
    상기 구동기어에 이 맞물리며 상기 투시수단의 일 측면에 배열된 종동기어(23)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테핑 모터인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9. 차량의 양측에 해당되는 휀다 또는 도아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부에 나뉘어 장착되며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투시수단(10); 상기 투시수단(10)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내측에 설치되며 투시수단(10)을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표면 밖으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위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 운전자의 시야 전방 측에 해당되는 차량의 내부인 계기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투시수단에 의해 투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30); 및 상기 투시수단(10), 구동수단(20) 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과 에어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로드(24a)를 출몰시키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24); 및
    상기 로드(24a)의 끝단 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출몰부재(12)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10. 차량의 양측에 해당되는 휀다 또는 도아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부에 나뉘어 장착되며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한 쌍의 투시수단(10); 상기 투시수단(10)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내측에 설치되며 투시수단(10)을 상기 휀다 또는 도아의 표면 밖으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위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 운전자의 시야 전방 측에 해당되는 차량의 내부인 계기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투시수단에 의해 투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30); 및 상기 투시수단(10), 구동수단(20) 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0)은 CRT, PDP, LCD,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0)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에 장착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0)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 적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13. 삭제
  14. 차량의 후방에 해당되는 범퍼 또는 트렁크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부에 적어도 한개가 장착되며 일 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투시수단(10); 상기 투시수단(10)에 대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범퍼 또는 트렁크를 형성하는 판재의 내측에 설치되며 투시수단을 상기 범퍼 또는 트렁크의 표면 밖으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위치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0); 운전자의 시야 전방 측에 해당되는 차량의 내부인 계기패널에 장착되며 상기 투시수단에 의해 투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30); 및 상기 투시수단(10), 구동수단(20) 그리고 디스플레이 수단(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시수단(10)은,
    상기 범퍼 또는 트렁크를 형성하는 판재에 일부 절결 형성된 절결부(11a);
    상기 절결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출몰부재(12);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출몰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해 촬영하는 렌즈를 갖춘 촬영부재(13)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11a)의 일 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커버(11b)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12)의 일 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렌즈의 조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램프(14)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의 개구부(12a)와 상기 촬영부재(13)의 사이에는 촬영부재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투명한 보호 창(15)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부재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촬영부재의 렌즈와 상기 보호 창에 착상되는 성에를 제거하는 발열부재(50)가 상기 제어부와 전기 접속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0)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21);
    상기 모터의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22); 및
    상기 구동기어(22)에 이 맞물리며 상기 투시수단(10)의 일 측면에 배열된 종동기어(23)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21)는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스테핑 모터인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0)은 전원과 에어를 공급받아 구동되며 로드(24a)를 출몰시키는 에어 솔레노이드 밸브(24); 및
    상기 로드(24a)의 끝단 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출몰부재(12)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0)은 CRT, PDP, LCD, OLE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0)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에 장착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30)은 상기 차량의 계기판 적소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KR1020050082330A 2005-09-05 2005-09-05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KR10065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330A KR100658603B1 (ko) 2005-09-05 2005-09-05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330A KR100658603B1 (ko) 2005-09-05 2005-09-05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603B1 true KR100658603B1 (ko) 2006-12-19

Family

ID=3781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330A KR100658603B1 (ko) 2005-09-05 2005-09-05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2157A (zh) * 2019-05-13 2019-08-30 管晨光 一种具有保护装置的汽车倒车影像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589A (ja) * 1996-06-05 1997-12-16 Isao Shirayanagi 自動車の後視装置
KR20010001836A (ko) * 1999-06-09 2001-01-05 김영환 차량의 코너 구역 감시 장치
KR20030079030A (ko) * 2002-04-01 2003-10-10 여태순 자동차용 사방 주시 시스템
KR20040023347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방코너 모니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589A (ja) * 1996-06-05 1997-12-16 Isao Shirayanagi 自動車の後視装置
KR20010001836A (ko) * 1999-06-09 2001-01-05 김영환 차량의 코너 구역 감시 장치
KR20030079030A (ko) * 2002-04-01 2003-10-10 여태순 자동차용 사방 주시 시스템
KR20040023347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방코너 모니터 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4-0023347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01836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790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323589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2157A (zh) * 2019-05-13 2019-08-30 管晨光 一种具有保护装置的汽车倒车影像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6650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101270265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3985333B2 (ja) 後方確認装置
FR2858280B1 (fr) Dispositif de vision arriere pour vehicule automobile
WO2018179508A1 (ja) 電子ミラーシステム、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
KR20130050769A (ko) 차량용 카메라 유닛 및 그 제어방법
JP2016058025A (ja) 車両用記録装置
JP2003237411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58603B1 (ko) 차량의 후방 감시장치
JP2019109936A (ja) 車両用記録装置
KR20170126149A (ko) 차량용 전방필러 영상 제공 시스템
JPH11245729A (ja) 車両用後方確認装置
JP2007126049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13643B1 (ko) 매너 백미러 장치
KR20120134570A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6429350B1 (ja) 車両
JP4085645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7106146A (ja) 車両前方及び周辺監視装置
JP3573187B2 (ja) 車両用周辺視認装置
WO2020110945A1 (ja) 交通移動体及び自動車
KR102019257B1 (ko) 차량의 에이 필러 프레임의 사각지대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 영상 표시 장치
KR101287858B1 (ko) 안전주차를 위한 카메라장치
JP2007176471A (ja) 透明フイルムディスプレイを利用した後方視界装置
JP6918331B1 (ja) フロント内に設ける車両の死角解消構造
KR102020627B1 (ko) 차량용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