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627B1 - 차량용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627B1
KR102020627B1 KR1020120081823A KR20120081823A KR102020627B1 KR 102020627 B1 KR102020627 B1 KR 102020627B1 KR 1020120081823 A KR1020120081823 A KR 1020120081823A KR 20120081823 A KR20120081823 A KR 20120081823A KR 102020627 B1 KR102020627 B1 KR 10202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hicle
unit
plate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806A (ko
Inventor
안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6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을 찰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후방측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와 연동되어 회동하는 투명재질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블랙박스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 장치 {A Camera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외부노출 없이 후방 카메라와 블랙박스 카메라의 기능을 연동한 차량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후진하거나 좁은 영역에 후진 주차를 할 경우에 통상 운전자는 후방의 물체를 감시하기 위해 백미러 또는 룸미러를 주시하고 육안이나 직접 후방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벽이나 다른 차량에 의해 물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거나 특히 사각지대에 물체가 존재하면 후진에 따른 접촉사고나 인명사고를 유발하는 불편이 종종 있었다.
최근에는 차량의 후방에 후방 카메라를 장착하여 운전자에게 영상으로 후방 영역의 상황을 전달하게 되었다. 이에 운전자는 차량의 후방 상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후진 주차 시 효과적으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 사고 시 증거자료 확보와 예방차원에서 블랙박스를 차량의 후방에 따로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는 후방을 주시하는 상태이어야 하고 후방 카메라는 후방의 하측을 주시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후방카메라가 블랙박스의 기능을 겸비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차량용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주행시는 후방을 주시하도록 하여 블랙박스의 기능을 하고, 후진 시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후방카메라 기능을 하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장치는, 차량의 후방을 찰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후방측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와 연동되어 회동하는 투명재질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차량의 후방 카메라 및 블랙박스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차량용 카메라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킴 장점이 있다.
둘째,블랙박스와 후방 카메라를 통합하여 차량용 카메라 장치의 경량화 또는 비용절감의 장점도 있다.
셋째,블랙박스 카메라를 별도로 차량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기에 차량 내부의 공간확보 및 미적 성능을 향상시킨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장치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모습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장치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장치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카메라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장치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모습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장치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장치(100)는 차량(10)의 후방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차량용 카메라 장치(1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시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고, 차량이 후진 또는 후진주차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는 후방 무빙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한다.
블랙박스란 차량 전방 또는 후방에 비치하여 차량의 주행시 그 주행자료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고가 발생시 그 사고원인을 밝히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카메라 장치(100)는 카메라부(110), 플레이트부(120), 힌지부(121), 구동부(140) 및 필름(130)을 포함한다.
카메라부(110)는 차량의 후방을 찰영한다. 또한 카메라부(110)는 전방측에 배치된 구동부(140)에 의해 회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110)는 구동부(140)에 의해 후방 하측을 찰영할 수 있도록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카메라부(110)는 차량의 제어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차량 주행시에는 차량 후방 상황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정보를 제어장치(미도시)에 전달한다. 제어장치(미도시)는 카메라부(110)에서 전달받은 차량의 후방 상황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부(110)는 플레이트부(120)의 상측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이 후진시 구동부(140)의 작동에 의해 카메라부(110)는 후방 하측을 더 넓은 범위에서 비추게 되어 후방 하측의 사각지대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고화질의 소형 카메라(111)와 소형 카메라(111)를 지지하는 카메라 홀더(112)를 포함한다. 고화질의 소형카메라(111)를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공간을 최소화하고 운전자가 쉽게 후방의 물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형카메라(111)는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차량의 후방 피사체를 찰영하는 렌즈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10)는 후방을 찰영한 영상을 전술한 제어장치(미도시)에 전달하고, 제어장치(미도시)는 차량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영상을 전달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안전하게 후방주차를 하거나 차량의 후방상태를 백미러나 사이드 미러를 이용하지 않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120)는 카메라부(110)의 후방측에 장착된다. 플레이트부(120)는 카메라부(110)가 차량의 후방을 찰영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부(120)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며, 플레이트부(120)의 후방측에 외부시선차단을 위한 필름(130)이 장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20)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필름(130)을 플레이트부(12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플레이트부(120)는 차량의 디자인적 형상에 따라 곡면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플레이트부(120)는 구동부(140)의 작동에 따라 카메라부(110)와 연동되어 회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110)가 후방 하측을 찰영하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에 플레이트부(120)도 카메라부(110)와 같은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플레이트부(120)는 구동부(140)에 의해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중간부분에 힌지부(121)가 구비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플레이트부(120)와 힌지부(1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힌지부(121)는 플레이트부(120)의 전방의 중간부분에 장착된다. 따라서 플레이트부(120)가 구동부(140)의 작동에 따라 카메라부(110)와 연동되어 회동할 경우에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힌지부(121)에는 탄성부재(122)가 장착되어 플레이트부(120)와 카메라부(110)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되게 할 수 도 있다. 탄성부재(122)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130)은 플레이트부(120)의 후방측에 장착되어 외부시선을 차단한다. 필름(130)을 장착함으로써 카메라부(110)를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하지만 카메라부(110)가 외부를 주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필름(130)은 외부시선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부(120)가 외부충격으로 파손될 경우 날카로운 파편이 비산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카메라부(11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카메라부(110)를 회동시킨다. 구동부(140)는 카메라부(110)와 플레이트부(120)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엑추에이터 또는 스텝모터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단, 본 실시 예에서는 엑추에이터로 이루어 진다.
구동부(140)는 동력부(143), 연결부재(141)와 무빙부재(142)를 포함한다. 동력부(143)는 동력을 발생시켜서 무빙부재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시킨다.
연결부재(141)는 카메라부(110)의 전방측에 연결된다. 무빙부재(142)는 일단부가 연결부재(141)와 연결되어 직선 왕복운동을 한다. 무빙부재(142)가 직선 왕복운동을 함으로서, 연결부재(141)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카메라부(110)를 회동시킨다.
무빙부재(142)는 샤프트 또는 랙기어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샤프트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41)는 무빙부재(142)의 일단부가 연결부재(14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슬랏홀(Slot Hole)(14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41)는 무빙부재(14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회동하게 되고, 연결부재(141)의 회동으로 인해 카메라부(110)도 회동하게 된다.
무빙부재(142)는 연결부재(141)와 연결되는 일단부에 슬랏홀(141a)에 대응되는 링크부(14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달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운동을 할 때 링크부는 전달부가 슬랏홀(14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방향을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장치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카메라 장치(100)는 차량의 후방 패널에 배치된다. 즉 차량의 트렁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용 카메라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시에는 구동부(140)가 작동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카메라부(110)는 차량의 후방을 주시하여 후방을 찰영한다. 이에 차량용 카메라 장치(100)는 차량의 후방 상황을 찰영하여 이를 저장하기에 블랙박스 카메라의 기능을 한다.
다만,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에는 구동부(140)가 작동하여 무빙부재(142)를 후방측으로 밀어낸다. 무빙부재(142)가 후방측으로 직선 이동시, 무빙부재(142)의 일단부는 연결부재(141)의 슬랏홀(slot hole)(141a) 을 따라 후방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무빙부재(142)가 후방으로 직선 이동함으로써, 연결부재(141)는 회동하게 되고, 연결부재(141)의 회동으로 인해 카메라부(110)도 회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4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연결부재(1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카메라부(110)는 시계방항으로 회동한다.
플레이트부(120)의 전방의 상측단에 장착된 카메라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플레이트부(120)도 힌지부(121)를 중심으로 카메라부(110)와 같은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카메라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카메라부(110)의 외부 노출 없이도 차량 후방 하측의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안전하게 후진을 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가 다시 차량을 전방으로 운전하거나 주차 등을 하는 경우에는 구동부(140)는 전방측으로 무빙부재(142)를 잡아당긴다. 무빙부재(142)가 전방측으로 이동시, 무빙부재(142)는 연결부재(141)의 슬랏홀(141a)을 따라 전방으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무빙부재(142)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연결부재(14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연결부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카메라부(1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카메라부(110)는 다시 후방을 주시하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부(120)의 상측단에 장착된 카메라부(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힌지부의 축(121)상에 배치된 탄성부재(122)에 의해 플레이트부(120)은 원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차량 100: 차량용 카메라 장치
110: 카메라부 111: 카메라
112: 카메라 홀더 120: 플레이트부
121: 힌지부 122: 탄성부재
130: 필름 140: 구동부
141: 연결부재 141a: 슬랏홀
142: 무빙부재 143: 동력부

Claims (9)

  1. 차량의 후방을 찰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회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후방측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와 연동되어 회동하는 투명재질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중간부분에 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부에는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플레이트부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되게 할 수 있는 탄성부재가 장착된 차량용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후방측에 장착되어 외부시선을 차단하는 필름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상기 전방측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직선 왕복 운동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카메라부를 회동시키는 무빙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슬랏홀(Slot Hole)이 형성되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부재는 샤프트 또는 랙기어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측단에 배치되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소재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는 차량용 카메라 장치.
KR1020120081823A 2012-07-26 2012-07-26 차량용 카메라 장치 KR102020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23A KR102020627B1 (ko) 2012-07-26 2012-07-26 차량용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23A KR102020627B1 (ko) 2012-07-26 2012-07-26 차량용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806A KR20140014806A (ko) 2014-02-06
KR102020627B1 true KR102020627B1 (ko) 2019-09-10

Family

ID=5026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823A KR102020627B1 (ko) 2012-07-26 2012-07-26 차량용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029B1 (ko) * 2014-05-08 2020-07-09 현대자동차(주) 차량용 후방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629B1 (ko) * 2010-07-01 2016-05-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후방카메라의 시야확보장치
KR101270265B1 (ko) * 2010-12-14 2013-05-31 동아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806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601B1 (ko) 이동 가능한 이미지 기록 장치 및 이러한 장치가 제공된 차량
US10967797B2 (en) Video display mirror and video display mirror system
KR101558658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20100302019A1 (en) Motor Vehicle Having a Display and A Camera
US10569720B2 (en) Motor vehicle camera system
US20180001836A1 (en) Inner rear-view mirror system for automobile with cameras
MX2014000009A (es) Pantalla de visualizacion frontal para un vehiculo.
JP5997489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9995995B2 (en) Head-up display device with dust cover
DE102020134917A1 (de) Anzeigesystem
WO2018061680A1 (ja) 車両用視認装置
JP2006232212A (ja) 車外視認装置
KR102020627B1 (ko) 차량용 카메라 장치
JPH11245729A (ja) 車両用後方確認装置
MX2012001862A (es) Sistema de espejo retrovisor interno para vehiculos automotores.
KR101191399B1 (ko) 차량용 카메라 장치
JP2014015070A (ja) 車両用表示装置
CN201833955U (zh) 机动车前后视一体镜
KR20200042455A (ko) 화상 기록 장치, 조립체, 클리닝 장치 및 차량
CN211107177U (zh) 一种多功能的后视镜总成
TWM539721U (zh) 防塵蓋式抬頭顯示裝置
JP6918331B1 (ja) フロント内に設ける車両の死角解消構造
JP2012035800A (ja) 車両前方監視装置
KR20030065987A (ko) 차량 전방향 시야 확보 시스템
KR200439329Y1 (ko)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