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923B1 - 2행정 실린더 - Google Patents

2행정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923B1
KR101235923B1 KR1020100115986A KR20100115986A KR101235923B1 KR 101235923 B1 KR101235923 B1 KR 101235923B1 KR 1020100115986 A KR1020100115986 A KR 1020100115986A KR 20100115986 A KR20100115986 A KR 20100115986A KR 101235923 B1 KR101235923 B1 KR 10123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head
rod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726A (ko
Inventor
이강섭
한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한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한이엔씨
Priority to KR102010011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9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F15B2211/7053Double-acting outpu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F15B2211/7107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the output members being mechanically lin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2행정 실린더는 상하이동 동작을 하는 제1 실린더의 제1 피스톤 로드 종단부에 전후이동 동작을 하는 제2 실린더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제1 로드포트와 제2 실린더의 제2 로드포트를 연결하는 로드측 통로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제2 헤드포트로부터 제1 실린더의 제1 피스톤 하부까지 이어져 연결되는 헤드측 통로가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피스톤가 상승되면 제1 피스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 체크밸브가 상기 제1 실린더의 로드커버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의 저면부로 이어져 형성된 상기 헤드측 통로를 개폐하는 제2 체크밸브가 상기 제1 피스톤의 저면부에 삽입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크밸브는 상기 로드커버에 고정설치되는 제1 고정구와,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공간으로 돌출 또는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이동구 및 상기 제1 고정구와 제1 이동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 고정구와, 상기 제1 피스톤의 상부로 돌출 또는 상기 제1 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이동구 및 상기 제2 고정구와 제2 이동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2행정 실린더{TWO STROKE CYLINDER}
개시된 기술은 2행정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전후 방향으로 동작하는 2행정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공압 실린더는 공압이 갖는 에너지를 기계적인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하며, 유효단면적 및 압력차에 비례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이다. 공압 실린더는 동작 구조에 따라 단동 실린더, 복동 실린더, 다단 실린더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결합방식에 따라 타이로드(Tie rod) 실린더, 밀 타입(Mill type) 실린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2행정 실린더는 상하이동 동작을 하는 제1 실린더의 제1 피스톤 로드 종단부에 전후이동 동작을 하는 제2 실린더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제1 로드포트와 제2 실린더의 제2 로드포트를 연결하는 로드측 통로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제2 헤드포트로부터 제1 실린더의 제1 피스톤 하부까지 이어져 연결되는 헤드측 통로가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피스톤이 상승되면 제1 피스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 체크밸브가 상기 제1 실린더의 로드커버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의 저면부로 이어져 형성된 상기 헤드측 통로를 개폐하는 제2 체크밸브가 상기 제1 피스톤의 저면부에 삽입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크밸브는 상기 로드커버에 고정설치되는 제1 고정구와,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공간으로 돌출 또는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이동구 및 상기 제1 고정구와 제1 이동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동구는 상기 제1 로드포트로 공급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로드포트로 공압 또는 유압 공급이 배출되면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 고정구와, 상기 제1 피스톤의 상부로 돌출 또는 상기 제1 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이동구 및 상기 제2 고정구와 제2 이동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상기 제2 이동구가 상기 제1 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측 통로와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 공간이 연결되도록 연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측 통로는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기된 헤드측 통로 중 어느 하나의 통로에는 상기 제2 체크밸브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분기된 헤드측 통로 중 다른 하나의 통로에는 역류방지밸브가 삽입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상기 헤드측 통로에서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로의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에서 상기 헤드측 통로로의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2행정 실린더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내지 도 5는 도 1의 2행정 실린더가 후방으로 이동한 후 하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내지 도 8은 도 1의 2행정 실린더가 상승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2행정 실린더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2행정 실린더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행정 실린더(100)는 제1 실린더(110) 및 제2 실린더(120)를 포함한다.
제1 실린더(110)는 상하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몸체(111), 헤드커버(112), 로드커버(113), 제1 피스톤(114) 및 제1 피스톤 로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1)는 금속재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제1 피스톤(114)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몸체(110)의 내부직경 및 길이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 목적에 상응하도록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헤드커버(112)는 제1 몸체(11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커버(112)의 측면에는 헤드커버(112)와 제1 피스톤(114) 사이의 공간부(미부호)로 연결되도록 제1 헤드포트(16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헤드포트(161)는 외부로부터 기체 또는 유체를 헤드커버(112)와 제1 피스톤(114) 사이의 공간부로 공급하거나 공간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로드커버(113)는 제1 몸체(111)의 다른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드커버(113)에는 제1 피스톤 로드(115)가 관통하도록 관통공(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드커버(113)의 측면에는 로드커버(113)와 제1 피스톤(114) 사이의 공간부(미부호)로 연결되도록 제1 로드포트(15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드포트(151)는 외부로부터 기체 또는 유체를 로드커버(113)와 피스톤(114) 사이의 공간부로 공급하거나 공간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드커버(113)의 일측부에는 제1 체크밸브(130)가 삽입설치될 수 있다.
제1 체크밸브(130)는 로드커버(113)의 외부에서 내측공간으로 삽입설치될 수 있으며, 제1 고정구(131), 제1 이동구(132) 및 제1 탄성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크밸브(130)는 제1 피스톤(114)이 상승되면 제1 피스톤(114)이 아래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제1 피스톤(11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구(131)는 로드커버(113)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구(131)는 로드커버(113)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동구(132)는 로드커버(113)의 내측공간으로 돌출 또는 로드커버(113)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이동구(132)는 로드커버(113)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탄성구(133)는 제1 고정구(131)와 제1 이동구(1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탄성구(133)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피스톤(114)의 상부에는 제1 로드포트(151)와 제1 체크밸브(130)를 공간으로 연결하는 홈부(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이동구(132)가 로드커버(113)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되면, 제1 이동구(132)의 종단부가 홈부에 걸려지면서 제1 피스톤(114)이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1 피스톤(114)은 제1 몸체(111)의 내부에 밀착되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피스톤(114)의 외경부(미부호)에는 제1 몸체(111)의 상부와 하부가 차단되도록 밀폐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부재는 금속재의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피스톤(114)에는 하부에는 제2 체크밸브(14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체크밸브(140)는 제1 피스톤(114) 하부의 공간부와 하기 설명될 헤드측통로(163)를 공간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개폐동작을 할 수 있으며, 제2 고정구(141), 제2 이동구(142), 제2 탄성구(143) 및 연결통로(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구(141)는 제1 피스톤(114)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고정구(141)는 제1 피스톤(114)의 하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2 이동구(142)는 제1 피스톤(114)의 상부로 돌출 또는 제1 피스톤(114)의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이동구(142)는 제1 피스톤(114)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탄성구(143)는 제2 고정구(141)와 제2 이동구(14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탄성구(143)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통로(144)는 제2 이동구(142)가 제1 피스톤(114)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기에 설명될 헤드측 통로(163)와 제1 피스톤(114)의 하부 공간이 연결되도록 연결통로(1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피스톤 로드(115)는 제1 피스톤(114)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로드커버(113)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피스톤 로드(115)는 제1 피스톤(11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피스톤 로드(115)에는 로드측 통로(153) 및 헤드측 통로(163)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측 통로(153)는 로드커버(113)의 제1 로드포트(151)와 하기에 설명될 제2 실린더(120)의 제2 로드포트(152)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측 통로(163)는 일측이 하기에 설명될 제2 헤드포트(162)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제2 체크밸브(140) 및 제1 피스톤(114) 하부의 공간을 지나 헤드커버(112)의 제1 헤드포트(161)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린더(120)는 제1 피스톤 로드(115)의 종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전후이동 동작을 수행하며, 제2 몸체(121), 제2 피스톤(124) 및 제2 피스톤 로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121)는 내부에 제2 피스톤(124)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몸체(121)의 내부에는 제2 피스톤 로드(125)가 설치되는 위치에 근접하여 제2 로드포트(15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로드포트(152)에 반대측에 제2 헤드포트(1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피스톤(124)은 제2 몸체(121)의 내부에 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피스톤(124)은 제2 로드포트(152)와 제2 헤드포트(162)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2 피스톤 로드(125)는 제2 피스톤(124)의 전방(도 1에서는 좌측방향)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피스톤 로드(125)는 제2 피스톤(12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피스톤 로드(125)의 종단부의 형상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목적에 상응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에서, 제1 피스톤(114)과 헤드커버(112)의 사이에는 스프링(116)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16)은 제1 피스톤(114)을 상부로 밀어내는 반발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커버(112)의 상부에 끼움홈(171)을 형성할 수 있고, 스프링(116)의 하부가 끼움홈(171)에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끼움홈(171)의 내측으로 스프링(116)의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지지돌기(17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171) 및 지지돌기(172)는 스프링(116)이 안정적으로 신축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피스톤(114)의 하부에도 끼움홈 및/또는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내지 도 5는 도 1의 2행정 실린더가 후방으로 이동한 후 하강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제1 로드포트(151)로 일정 압력의 기체가 공급되면, 공급된 기체는 로드측 통로(153)를 통해 제2 몸체(121)의 제2 로드포트(152)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2 로드포트(152)로 기체가 공급되면 제2 피스톤(124)이 후방(도 3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몸체(121)와 제2 피스톤(124)의 후방 사이에 저장된 기체는 제2 헤드포트(162), 헤드측 통로(163), 제2 체크밸브(140)의 연결통로(144)를 통해 제1 헤드포트(161)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2 피스톤(124)이 제2 몸체(121)의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제2 로드포트(152)로 공급되는 기체는 더 이상 로드측 통로(153)로 이동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후, 제2 로드포트(152)를 통해 기체가 더 공급되면, 공급된 기체는 제1 피스톤(114)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 제1 체크밸브(13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체크밸브(130) 측으로 공급된 기체는 제1 체크밸브(130)의 제1 이동구(132)에 압력을 가하여 제1 이동구(132)를 로드커버(113)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제1 이동구(132)가 로드커버(113)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제1 로드포트(151)로 공급되는 기체는 제1 피스톤(114)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고, 제1 피스톤(114)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피스톤(114)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체크밸브(140)의 제2 이동구(142)가 제1 피스톤(114)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헤드측 통로(163)와 제1 피스톤(114) 하부의 공간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6내지 도 8은 도 1의 2행정 실린더가 상승한 후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제1 헤드포트(161)로 기체가 공급되면, 공급된 기체는 제1 피스톤(114)의 하부를 가압하여 제1 피스톤(114)을 상부로 밀어올릴 수 있다. 이때, 제2 체크밸브(140)는 닫힌 상태이므로, 제1 피스톤(114)을 밀어올리기 위해 공급되는 기체는 제2 실린더(120)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서, 제1 피스톤(114)이 상부로 이동하여 로드커버(113)에 접근하게 되면, 제2 체크밸브(140)의 제2 이동구(142)가 로드커버(113)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제1 피스톤(114)의 하부 공간과 헤드측 통로(163)가 연결통로(14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 제1 헤드포트(161)로 공급되는 기체는 제2 체크밸브(140)의 연결통로(144)로 공급되어 헤드측 통로(163)를 따라 제2 실린더(120)의 제2 헤드포트(16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피스톤(124)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피스톤(124)의 전방에 저장된 기체는 로드측 통로(153)를 통해 제1 로드포트(151)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는 개시된 기술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2행정 실린더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피스톤(114)에 형성된 헤드측 통로(163)가 분기되어 역류방지밸브(910)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역류방지밸브(910)는 제2 실린더(120)와 이어지는 헤드측 통로(163)에서 제1 피스톤(114)의 하부로는 이동이 가능할 수 있고, 제1 피스톤(114)에서 헤드측 통로(163)로의 이동은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류방지밸브(910)는 체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역류방지밸브(910)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제1 실린더(110) 내부의 압력에 상응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서, 역류방지밸브(91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피스톤(114)이 하강하는 시점에서, 제2 실린더(120) 내부의 압력이 배출되지 못하여 제2 피스톤(124)이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서, 제2 피스톤(124)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실린더(120) 내부(도 4에서 오른쪽 내부)의 기체가 헤드측 통로(163)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제2 체크밸브(140)의 제2 이동구(142)가 상승하게 되면, 연결통로(144)가 폐쇄되어 헤드측 통로(163)로 배출되는 기체의 일부가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잔류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잔류기체의 압력에 의해 제2 피스톤(124)이 목표한 위치보다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피스톤(124)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제2 실린더(120) 내부의 잔류압력을 제거해야만 한다. 역류방지밸브(910)는 이러한 잔류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헤드측 통로(163) 및 제2 실린더(120) 내부의 잔류압력은 분기된 통로를 따라 역류방지밸브(91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2행정 실린더는 두 개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2축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비하여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하나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2축 동작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실린더의 헤드 또는 로드 측으로 공압(또는 유압)을 공급하여 연속된 동작제어(상승 및 전방이동/후방이동 및 하강)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2행정 실린더는 대상 제품의 생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2 실린더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자체 복원력을 이용하여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2행정 실린더는 해당 실린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2 실린더에 의한 제1 실린더의 부하를 코일스프링에 분산시킴으로써, 실린더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2행정 실린더는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린더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공압으로도 원활한 승강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상하이동 동작을 하는 제1 실린더의 제1 피스톤 로드 종단부에 전후이동 동작을 하는 제2 실린더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제1 로드포트와 제2 실린더의 제2 로드포트를 연결하는 로드측 통로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제2 헤드포트로부터 제1 실린더의 제1 피스톤 하부까지 이어져 연결되는 헤드측 통로가 상기 제1 피스톤 로드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피스톤이 상승되면 제1 피스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 체크밸브가 상기 제1 실린더의 로드커버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의 저면부로 이어져 형성된 상기 헤드측 통로를 개폐하는 제2 체크밸브가 상기 제1 피스톤의 저면부에 삽입설치되는 2행정 실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밸브는
    상기 로드커버에 고정설치되는 제1 고정구;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공간으로 돌출 또는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이동구; 및
    상기 제1 고정구와 제1 이동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로드포트와 상기 제1 체크밸브를 공간으로 연결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구가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되면, 상기 제1 이동구의 종단부가 상기 홈부에 걸려지면서 제1 피스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구는
    상기 제1 로드포트로 공급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 로드포트로 공압 또는 유압 공급이 배출되면 상기 로드커버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 고정구;
    상기 제1 피스톤의 상부로 돌출 또는 상기 제1 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이동구; 및
    상기 제2 고정구와 제2 이동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밸브는
    상기 제2 이동구가 상기 제1 피스톤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측 통로와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 공간이 연결되도록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과 헤드커버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하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끼움홈의 내측으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에는
    상기 끼움홈의 내측으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측 통로는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에서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기된 헤드측 통로 중 어느 하나의 통로에는 상기 제2 체크밸브가 삽입설치되고, 상기 분기된 헤드측 통로 중 다른 하나의 통로에는 역류방지밸브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역류방지밸브는
    상기 헤드측 통로에서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로의 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부에서 상기 헤드측 통로로의 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행정 실린더.
KR1020100115986A 2010-11-22 2010-11-22 2행정 실린더 KR101235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986A KR101235923B1 (ko) 2010-11-22 2010-11-22 2행정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986A KR101235923B1 (ko) 2010-11-22 2010-11-22 2행정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726A KR20120054726A (ko) 2012-05-31
KR101235923B1 true KR101235923B1 (ko) 2013-02-21

Family

ID=4627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986A KR101235923B1 (ko) 2010-11-22 2010-11-22 2행정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9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251A (ko) * 1999-12-22 2001-07-09 이구택 양축구동기의 커플링 착탈장치
JP2002081413A (ja) 2000-09-06 2002-03-22 Hideo Hoshi 二段シリンダ装置
KR20090003816U (ko) * 2007-10-19 2009-04-23 조석동 형강파일 인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251A (ko) * 1999-12-22 2001-07-09 이구택 양축구동기의 커플링 착탈장치
JP2002081413A (ja) 2000-09-06 2002-03-22 Hideo Hoshi 二段シリンダ装置
KR20090003816U (ko) * 2007-10-19 2009-04-23 조석동 형강파일 인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726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305B2 (en) Diaphragm valve
KR101675390B1 (ko) 성형장비용 반응장치
CN106122516B (zh) 流动通道切换单元
TWI651475B (zh) 夾緊裝置
US7475800B2 (en) Trigger valve for pneumatic nail gun
KR20060050423A (ko) 저충격 가스 스프링
JP6095869B1 (ja) 圧力調節手段を内蔵した家具ヒンジ用可変型緩衝ダンパー
US10472797B2 (en) Two step hydraulic breaker with automatic stroke adjustment
US5881998A (en) Half profile slot valve
KR101235923B1 (ko) 2행정 실린더
TWI680235B (zh) 增壓裝置及具備該增壓裝置之缸裝置
KR101234853B1 (ko) 고중량체 승강용 실린더
JP2015042880A (ja) 流体圧シリンダ
US20160327069A1 (en) Flow passage unit and switching valve
US20100212488A1 (en) Hydro-Pneumatic Cylinder with Controlled Stop Position
JP6056773B2 (ja) 油圧作動装置及びパンチャー
JP4706604B2 (ja) 打込機
CN110701345A (zh) 一种压铸机压射单向阀及应用其的压铸机液压系统
CN220218346U (zh) 一种弹簧自复位液压拉伸器
CN220488422U (zh) 电磁阀
US20080264996A1 (en) Trigger Valve for Pneumatic Nail Gun
JP6141962B2 (ja) 締め金具取り付け工具
JP6781609B2 (ja) 流体圧シリンダ
JP6202705B2 (ja) 流体圧シリンダ
KR20080046840A (ko) 도구를 작동하기 위한 접근 예비-행정과 작업 행정을실행하는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