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001B1 - 배터리의 착탈 기구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착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001B1
KR101235001B1 KR1020077014665A KR20077014665A KR101235001B1 KR 101235001 B1 KR101235001 B1 KR 101235001B1 KR 1020077014665 A KR1020077014665 A KR 1020077014665A KR 20077014665 A KR20077014665 A KR 20077014665A KR 101235001 B1 KR101235001 B1 KR 10123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maging device
locking
measure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713A (ko
Inventor
다까요시 야마사끼
히로아끼 사또오
도시아끼 우에다
도모노리 와따나베
요오이찌 미야지마
오사무 나가시마
미에꼬 하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9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46499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998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3563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8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7Protection against reversal of polar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with battery typ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배터리의 소형화에 수반하는 촬상 장치로의 오삽입 방지하는 것이다. 편평한 직육면체이고 주면이 대략 정방형인 배터리(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촬상 장치(1)]로의 배터리(2)의 착탈 기구이며, 상기 장치로의 삽입면의 대향면인 배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배면을 따르도록 돌기부(26, 27)를 형성함으로써, 편평한 직육면체이고 주면이 대략 정방형인 배터리(2)라도 상기 장치로의 오삽입 방지를 가능하게 한다. 돌기부(27)는 상기 배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경사면(271)을 갖고, 상기 장치로부터의 배터리(2)의 취출시에, 경사면(270)이 상기 계지 수단의 접촉압을 받음으로써, 상기 장치로부터의 배터리(2)의 배출이 촉진된다. 상기 장치는 배터리(2)의 장착시에 배터리(2)의 다른 한쪽의 돌기부(26)를 노출시키는 절결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취출을 용이하게 했다.
Figure R1020077014665
촬상 장치, 배터리, 돌기부, 경사면, 절결부

Description

배터리의 착탈 기구{BATTERY LOADING/UNLOADING MECHANISM}
본 발명은 배터리가 필요한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배터리의 착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에 대표되는 촬상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에 수반하여 촬상 장치에 장착되는 배터리는 소형화, 경량화에 유리한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를 적용하는 촬상 장치에서는, 배터리의 오삽입이나 촬상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굽힘 모멘트에 견디는 강성을 가진 부재로 촬상 장치를 형성할 필요가 있어, 소형화, 경량화의 방해로 되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7689호 공보에 개시된 배터리(14)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로의 오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 방향의 변의 길이를 폭 방향의 변의 길이보다도 길게 설정한 직육면체형으로 형성하고, 그 외장부(140)의 변에 절결부(141)를 형성시킴으로써, 오삽입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또한 이 배터리(14)가 장착되는 촬상 장치 등의 소형화, 경량화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외장부(140)에는 배터리(14)가 장착되는 촬상 장치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142)가 설치되어 있다. 절결부(141)의 설치수, 설치 부위는 단부면(143)이 대칭 중심을 갖지 않도록 결정된다. 한편, 배터리(14)를 수납하는 촬상 장치 내의 전지 홀더는, 외장부(140)의 외형 형상과 대략 동일한 내부 형상을 갖는 동시에 전지 홀더를 수납했을 때에 절결부(141, 141)와 결합하는 돌기부를 갖는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7689호 공보에 개시된 배터리와 동일 종류의 것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11-30707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767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3692호 공보에 개시된 배터리가 있다.
그리고, 최근, 상기 촬상 장치 등의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치의 가일층의 소형화 및 경량화의 요청에 의해, 배터리의 가일층의 소형화가 필요로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직육면체형의 배터리를 더욱 소형화하기 위해, 대향하는 대략 정방형의 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면 좋지만, 지금까지의 배터리는 측면에 돌기부가 없고, 또한, 상기 장치측에 있어서는 수용된 배터리를 계지하는 계지 부위가 명확하지는 않았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배터리와 그 계지 부위의 위치 관계를 헤매어 상기 장치에 대해 배터리를 오삽입시켜 버릴 확률이 높았다.
또한, 가령, 대략 정방 형상의 면을 갖는 배터리를 형성하면, 배터리와 촬상 장치의 단자 접점이 오프 센터인 경우, 배터리를 표리 역삽입한 상태 또는 가로로 오삽입한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단자와 상기 장치의 단자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양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지만, 배터리 하우징이 상기 장치의 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장치의 단자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치의 배터리의 소형화에 수반하는 상기 장치로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의 착탈 기구의 제공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의 착탈 기구는, 편평한 대략 직육면체의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치로의 상기 배터리의 착탈 기구이며,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장치로의 삽입면의 대향면인 배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배면을 따르도록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편평한 직육면체이고 주면이 대략 정방형인 배터리라도 상기 장치로의 오삽입 방지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계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한쪽의 돌기부는 상기 계지 수단에 의해 계지되는 피계지면을 갖고, 상기 피계지면은 상기 배면보다도 낮게 설정된 것에 의해, 상기 계지 수단에 의해 계지되는 부위를 명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계지면은, 그 마찰 계수가 상기 배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계지면 이외의 부분의 마찰 계수보다도 작게 되는 표면으로 함으로써, 상기 계지되는 부위를 더욱 명확하게 하는 동시에 더욱 신속하게 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계지면을 갖는 돌기부는 상기 배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장치로부터의 배터리의 취출시에, 상기 경사면이 상기 계지 수단의 접촉압을 받음으로써, 상기 장치로부터의 배터리의 배출이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장착시에 상기 배터리의 다른 한쪽의 돌기부를 수납하는 동시에 노출시키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취출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면의 양단부에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오삽입시의 상기 배터리와 상기 장치의 단자의 파손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주면이 대략 정방형인 것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의 착탈 기구에 따르면,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치로의 배터리의 장착 방법이 명확하게 되어, 상기 장치로의 배터리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면이 대략 정방형에 가까운 배터리라도, 이 배터리의 오삽입이 방지되어, 배터리 및 이것이 장착되는 장치의 단자의 보호와 상기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실장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배터리가 장착되는 촬상 장치의 실시 형태예를 나타낸 개관도이고, 특히 도1의 (a)는 촬상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개관도, 도1의 (b)는 촬상 장치의 이면을 도시한 개관도이다.
도2는 촬상 장치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실시 형태예의 개관도이고, 특히 도2의 (a) 내지 도2의 (f)는 본 실시 형태예에 관한 배터리의 측면을 도시한 개관도이다.
도3은 배터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촬상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5는 배터리가 촬상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6은 촬상 장치로의 배터리의 삽입 요령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7은 배터리의 삽입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8은 배터리의 배출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9는 배터리의 오삽입 방지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10은 촬상 장치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실시 형태예의 개관도이고, 특히 도10의 (a) 내지 도10의 (f)는 본 실시 형태예에 관한 배터리의 측면을 도시한 개관도이다.
도11은 촬상 장치로의 배터리의 삽입 요령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2의 (a)는 배터리의 삽입 동작의 설명도, 도12의 (b) 및 도12의 (c)는 배터리의 오삽입 방지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13은 로크 갈고리의 실시 형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4는 종래의 배터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배터리가 장착되는 촬상 장치의 실시 형태예를 나타낸 개관도이고, 특히 도1의 (a)는 촬상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개관도, 도1의 (b)는 촬상 장치의 이면을 도시한 개관도이다. 도2는 상기 촬상 장치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실시 형태예의 개관도이고, 특히 도2의 (a) 내지 도2의 (f)는 상기 실시 형태예에 관한 배터리의 측면을 도시한 개관도이다. 도3은 배터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촬상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5는 배터리가 촬상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6은 촬상 장치로의 배터리의 삽입 요령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촬상 장치(1)는,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상면부에 줌 레버(101)와 셔터 버튼(102)과 마이크(103)를 구비하고 있다. 정면부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렌즈(104)와 플래시(104a)와 AF 일루미네이터(104b)와 렌즈 커버(105)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커버(105)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촬상 렌즈(104)와 플래시(104a)와 AF 일루미네이터(104b)를 덮는다. AF 일루미네이터(104b)는 어두운 장소에서 포커스를 맞추기 위한 보조광을 발하는 것이다.
또한, 도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이면부에는, 모드 절환 스위치(106)와, 모니터(107)와, 메뉴 버튼(108)과, 제어 버튼(109)과, 화면 표시 버튼(110)과, 화면 사이즈 선택/화면 삭제 버튼(111)과, 스피커(112)와, 리셋 버튼(113)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 버튼(109)은 플래시 모드 버튼(109a)과 리뷰 버튼(109b)과 셀프 타이머 버튼(109c)과 매크로 버튼(109d)과 결정 버튼(109e)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의 구성 요소는 기지의 디지털 카메라 장치(예를 들어 소니제 디지털 카메라 DSC-T3)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채용하면 된다.
또한, 촬상 장치(1)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2)를 수납하는 수납부(10a)를 갖는 동시에, 배터리 삽입측 측면부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버튼(100)과, 멀티 단자(114)와, 배터리(2)가 촬상 장치(1)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었을 때 배터리(2)를 계지하는 수단으로서의 로크 갈고리(115)와, 장착한 배터리(2)를 밀폐하는 수단으로서의 덮개(116)와, 촬상 장치(1)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스트랩 금속 부재(117)와, 배터리(2)를 수용하는 개구부(118)(도6)를 구비한다. 또한, 스트랩 금속 부재(117)는 촬영시에 엄지 손가락을 댐으로써 보유 지지하기 쉽게 하는 작용도 한다.
수납부(10a)에는 리브(119)와 단자판(120)이 구비되어 있다. 단자판(120)은 스프링 탄성을 갖는 단자(121)를 구비하고 있다. 리브(119)는 배터리(2)가 수납부(10a)에 수납된 상태일 때 배터리(2)에 형성된 오목부(230)(도2)와 접촉한다. 단자(121)는 배터리(2)가 수납부(10a)에 수납된 상태일 때 배터리(2)의 단자 접촉부(222)(도2)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로크 갈고리(115)는 도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7에 도시된 스프링(115b)에 의해 개구부(118)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도시된 로크 갈고리(115)는 경사면(115a)을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115a)은 배터리(2)의 배출량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배터리(2)가 촬상 장치(1)로부터 배출될 때에 스프링(115b)의 접촉압에 의해 압박된 로크 갈고리(115)가 경사면(115a)에 의해 배터리(2)의 프레임부(21)에 형성된 돌기부(27)의 아래에 잠입되어 배터리(2)의 배출을 촉진시키고 있다. 또한, 로크 갈고리(115)는 촬상 장치(1)에 장착된 배터리(2)를 계지할 수 있으면 되므로, 반드시 경사면(115a)을 형성시킬 필요는 없다. 즉,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해도 좋다. 로크 갈고리(13)는 스프링(115b)과 마찬가지인 구성의 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의해 왕복 운동 가능한 계지부(13a)를 구비한다. 계지부(13a)는 또한 보조 계지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정방형의 주면을 갖는 전지 셀(20)과, 이 전지 셀(20)을 수납한 사각형의 프레임부(21)와, 이 프레임부(21)의 외측면에 배치된 회로 기판부(22)와, 이 회로 기판부(22)를 프레임부(21)의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끼우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부(21) 및 전지 셀(20)의 일단부측에 부착된 캡부(23)와, 전지 셀(20) 및 프레임부(21)를 일체적으로 피복한 외장 필름(24)을 구비하고 있다.
전지 셀(20)은, 예를 들어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 등을 차례로 적층한 적층체(전지 소자)를 필름형의 외장 부재에 의해 피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 셀(20)은 제1 내지 제4 측면(20a 내지 20d)과 표면, 이면(20e, 20f)에 의해 편평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측면(20a)의 대략 중앙부에는 셀 양극부(20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면(20a)의 반대측의 제2 측면(20b)의 중앙부에는 셀 음극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셀 음극부에는 고온시에 비도통으로 하기 위한 안전 부품으로서의 정(正) 특성 서미스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이하, PTC 탭이라 칭함)](20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PTC 탭(202)의 타단부는, 전지 셀(20)의 제3 측면(20c)까지 신장하고 있다. 전지 셀(20)의 제3 측면(20c)과 PTC 탭(202) 사이에는 절연 종이(203)가 개재되어 있다.
프레임부(21)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사변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내지 제4 변(21a 내지 21d)이 전지 셀(20)의 제1 내지 제4 측면(20a 내지 20d)의 외면에 각각 중첩하도록 되어 있다.
전지 셀(20)의 제1 측면(20a)에 중첩되는 프레임부(21)의 제1 변(21a)에는, 셀 양극부(201)를 끼워 맞추는 셀 양극부 끼워 맞춤 창(211)이 형성되어 있다. 전지 셀(20)의 제3 측면(20c)에 중첩되는 제3 변(21c)에는, PTC 탭(202)의 단부가 면하는 절결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1 변(21a)측의 단부에는 음극 탭(213)을 제3 변(21c)의 내측으로 도입하기 위한 슬릿(214)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12)에는 스페이서(212a)가 설치된다.
프레임부(21)의 바닥부에는 전지 셀(20)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플랜지형의 돌기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부(21)의 상부에는, 제2 변(21b)의 상부 모서리를 따라 상기 플랜지형의 돌기부(215)에 대향하는 플랜지형의 돌기부(216)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플랜지형의 돌기부(215, 216) 사이에 전지 셀(20)의 제2 측면(20b)측의 단부가 끼움 장착된다.
프레임부(21)의 제2 변(21b)의 높이는, 수납한 전지 셀(20)이 충전시나 고온시에 있어서 가장 팽창했을 때의 높이(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21)의 제1 변(21a)의 외면에는 회로 기판 부착부(217)가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 부착부(217)는, 프레임부(21)의 제1 변(21a)의 외면의 상하 단부에 돌출 형성된 상하의 한 쌍의 캡 지지부(218)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캡 지지부(218)에는 복수의 캡부 계지 갈고리(219)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부(22)는, 글래스 에폭시 페놀 등의 절연성 합성 수지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21)의 외면측에 복수의 단자 접촉부(222)를 구비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21)의 내면측에 전자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을 몰드한 트랜스퍼 몰드(223)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트랜스퍼 몰드(223)의 선단부와 프레임부(21) 사이에 소정의(약간의) 간극을 갖게 한 상태에서 프레임부(21)와 캡부(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립 부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회로 기판부(22)의 일단부의 단자부(224)에는 양극 탭(225)의 일단부(225a)가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양극 탭(225)의 타단부측은 전지 셀(20)의 셀 양극부(201)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부(22)와 양극 탭(225) 사이에는 절연 종이(226)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부(22)의 타단부의 단자부(227)에는 음극 탭(213)의 일단부(213a)가 용접에 의해 접속된다.
양극 탭(225)은 니켈판 등의 금속판으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에는 소위 어닐링 가공이 실시되어 굽힘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대략 L자형의 양극 탭(225)은, 긴 변측이 양극 탭(225)에 접속되고, 짧은 변측이 상기 회로 기판부(22)의 일단부의 단자부(22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음극 탭(213)도 상기 양극 탭(225)과 마찬가지로 니켈판 등의 금속판으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략 L자형의 음극 탭(213)은, 짧은 변측의 일단부(213a)가 회로 기판부(22)의 타단부의 단자부(227)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음극 탭(213)의 긴 변측의 타단부(213b)는, 프레임부(21)의 제3 변(21c)에 형성한 슬릿(214)을 통해 프레임부(21)의 내면측으로 도입되어 PTC 탭(202)에 접속된다.
캡부(23)는, 회로 기판부 부착부(217)에 부착한 회로 기판부(22)를 통해[회로 기판부(22)를 끼워] 프레임부(21)의 제1 변(21a)의 외면에 중첩되는 직사각 형 상의 단부면부(231)와, 상기 직사각 형상의 단부면부(231)에 연속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부(21) 및 전지 셀(20)의 일단부측에 끼움 장착되는 통형부(232)를 구비하고 있다.
캡부(23)의 단부면부(231)에는, 회로 기판부(22)의 단자 접촉부(222)가 면하는 복수의 단자 창(2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부(232)의 상하면에는, 프레임부(21)의 상하 한 쌍의 캡부 지지부(218)에 형성한 복수의 캡부 계지 갈고리(219)가 결합하는 복수의 갈고리 결합 구멍(2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21)는, 회로 기판부(22)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218a)를 상하 한 쌍의 캡부 지지부(218)에 구비하고 있다. 돌기(218a)는, 회로 기판부(22)의 단자 접촉부(222)가 상대측 단자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등에, 트랜스퍼 몰드(223)를 끼우는 위치에서, 또한 회로 기판부(22)의 전자 부품 등이 마운트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외장 필름(24)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0.05 내지 0.1 ㎜ 정도의 두께의 시트형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전지 셀(20)을 프레임부(21) 내에 수납하고, 프레임부(21)에 회로 기판부(22) 등을 부착하고, 캡부(23)를 씌운 후에 프레임부(21)에 권취되어, 전지 셀(20)의 표리면을 덮는 동시에 전지 셀(20), 프레임부(21), 캡부(23)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장 필름(24)에는 기명판(name plate film) 필름(25)이 접착된다.
또한, 프레임부(21)는, 제2 변(21b)의 모서리 단부에 변의 길이 방향으로 돌 출하는 돌기부(26, 27)를 형성시킴으로써 촬상 장치(1)로의 배터리(2)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돌기부(26)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촬상 장치(1)의 측면에 있어서는 배터리(2)가 촬상 장치(1)에 장착되었을 때 돌기부(26)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수용하는 절결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22)의 절결 면적은 배터리(2)의 프레임부(21)에 대한 돌기부(26)의 설치 면적 이상으로 설정된다.
돌기부(27)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된 것에 의해 경사면(270)을 갖고 있다. 또한, 돌기부(27)에는 배터리(2)가 촬상 장치(1) 내에 장착되어 로크 갈고리(115)가 배터리(2)를 계지할 때에 로크 갈고리(115)에 의해 계지되는 피계지면(271)이 형성되어 있다.
피계지면(271)은 그 높이가 프레임부(21)의 면보다도 낮게 설정됨으로써, 로크 갈고리(115)에 의해 계지되는 부위가 명확해지고 있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스프링(115b)의 접촉압을 받고 있는 로크 갈고리(115)를 억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계지면(271)은, 그 면의 마찰 계수가 주변부의 마찰 계수에 비해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계지되는 부위가 더욱 명확해지고 있다. 또한, 로크 갈고리(115)가 미끄러지기 쉬워지므로 신속하게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면서 배터리(2)의 삽입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2)의 단자 접촉부(222)를 갖는 면을 촬상 장치(1)의 개구부(118)를 향해 배터리(2)를 촬상 장치(1) 내에 삽입시킨다. 이때, 도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갈고리(115)를 손가락에 의해 당긴 상태에서 배터리(2)를 촬상 장치(1) 내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도7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2)의 오목부(230)의 바닥부가 촬상 장치(1) 내의 리브(119)에 접촉하여, 배터리(2)가 촬상 장치(1) 내에 들어간 시점에서, 손가락을 놓아 로크 갈고리(115)를 개방시키면, 로크 갈고리(115)가 스프링(115b)의 접촉압에 의해 피계지면(271)을 배터리(2) 방향으로 활주하고 그리고 피계지면(271)을 계지함으로써 배터리(2)가 계지된다. 그 후, 도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16)가 폐쇄됨으로써, 배터리(2)가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밀폐된다. 이때, 촬상 장치(1)의 단자판(120)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121)는, 탄성 변형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배터리(2)의 단자 접촉부(2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배터리(2)를 제거하는 경우,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갈고리(115)를 손가락(도시 생략)으로 가로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배터리(2)는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판(120) 상의 단자(121)의 접촉압을 받아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한다. 여기서, 손가락을 로크 갈고리(115)로부터 개방시키면, 로크 갈고리(115)는, 로크 갈고리(115)를 개구부(118)(도6)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는 스프링(115b)에 의해 압박되어, 도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배터리(2)의 돌기부(26)는 촬상 장치(1)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돌기부(26, 27)에 손가락을 걺으로써 배터리(2)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로크 갈고리(115)에 경사면(115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로크 갈고리(115)는 경사면(115a)을 돌기부(27)의 경사면(270)에 접촉시키면서 돌기 부(27)의 아래에 잠입하므로 배터리(2)의 배출량이 보충되어, 배터리(2)는 더욱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배터리(2)를 더욱 한층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한편, 도9의 (a) 및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대해 배터리(2)를 가로로 오삽입한 경우, 배터리(2)의 돌기부(26)가 리브(119)에 닿는 동시에 캡부(23)의 측면이 리브(119)에 닿는다. 이때 배터리(2)의 일부가 촬상 장치(1) 본체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므로, 로크 갈고리(115)는 배터리(2)를 계지할 수 없는 동시에 덮개(116)는 개구부(118)를 폐쇄할 수 없다.
또한, 도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대해 배터리(2)를 표리 역삽입한 경우, 배터리(2)의 캡부(23)의 단부가 리브(119)에 닿는다. 이때도, 배터리(2)의 일부가 촬상 장치(1) 본체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므로, 로크 갈고리(115)는 배터리(2)를 계지할 수 없는 동시에 덮개(116)는 개구부(118)를 폐쇄할 수 없다.
또한, 도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대해 배터리(2)를 전후 역삽입한 경우, 배터리(2)의 돌기부(26, 27)가 촬상 장치(1)의 개구부(118)의 모서리부에 닿아, 배터리(2)는 촬상 장치(1) 내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로크 갈고리(115)는 배터리(2)를 계지할 수 없는 동시에 덮개(116)는 개구부(118)를 폐쇄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배터리(2)에 따르면, 촬상 장치(1)로의 오삽입이 방지되어, 배터리(2)의 오삽입에 의한 촬상 장치(1)의 단자(121)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의 캡부(23)의 양단부에는, 도10에 나타낸 실시 형태예의 배 터리(2A)와 같이,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다른 돌기부(28, 29)를 형성시켜 촬상 장치(1)로의 배터리(2A)의 오삽입을 방지시켜도 좋다. 돌기부(28)는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9)는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배터리(2A)의 삽입 동작에 대해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갈고리(115)를 손가락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배터리(2A)의 단자 창(233)을 갖는 면을 촬상 장치(1)의 개구부(118)를 향해 배터리(2A)를 촬상 장치(1) 내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도12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2A)의 오목부(230)의 바닥부가 촬상 장치(1) 내의 리브(119)에 접촉하여, 배터리(2)가 촬상 장치(1) 내에 들어간 시점에서, 손가락을 놓아 로크 갈고리(115)를 개방시키면, 로크 갈고리(115)가 스프링(115b)의 접촉압에 의해 피계지면(271)을 배터리(2A) 방향으로 활주하고 그리고 피계지면(271)을 계지함으로써 배터리(2A)가 계지된다. 그 후, 덮개(116)가 폐쇄됨으로써, 배터리(2A)가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밀폐된다. 이때, 촬상 장치(1)의 단자판(120)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121)는 탄성 변형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배터리(2A)의 단자 접촉부(2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한편,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대해 배터리(2A)를 표리 역삽입한 경우, 배터리(2A)의 돌기부(28, 29)가 각각 리브(119)에 닿는다. 이때, 배터리(2A)의 일부가 촬상 장치(1) 본체로부터 돌출하고 있으므로, 로크 갈고리(115)는 배터리(2A)를 계지할 수 없는 동시에 덮개(116)는 개구부(118)를 폐쇄할 수 없다. 또한, 배터리(2A)의 캡부(23)와 촬상 장치(1)측의 리브(119)와의 사이의 거리는 양자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거리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대해 배터리(2A)를 가로로 오삽입한 경우, 배터리(2A)의 돌기부(26)가 촬상 장치(1)의 개구부(118)의 모서리부에 닿아, 배터리(2A)는 촬상 장치(1) 내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로크 갈고리(115)는 배터리(2)를 계지할 수 없는 동시에 덮개(116)는 개구부(118)를 폐쇄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배터리(2A)에 따르면, 촬상 장치(1)로의 오삽입이 방지되어, 배터리(2A)의 오삽입에 의한 촬상 장치(1)의 단자(121)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 2A)와 같이, 주면이 대략 정방형에 가까운 배터리라도, 이 배터리의 오삽입이 방지되어, 배터리 및 이것이 장착되는 장치의 단자의 보호와 상기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실장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예에서 서술한 배터리(2, 2A)는 촬상 장치(1)에 대해 적용된 것이지만, 본 발명에 관한 배터리는 촬상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이 촬상 장치 이외의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편평한 직육면체의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치로의 상기 배터리의 착탈 기구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배터리를 계지하는 계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에는, 삽입되는 장치로의 삽입면의 대향면인 배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배면을 따르도록 돌기부를 형성하고, 한쪽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계지 수단에 의해 계지되는 피계지면을 갖고, 상기 피계지면은 상기 배면보다도 낮게 설정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장착시에 상기 배터리의 다른 한쪽의 돌기부를 수납함과 함께 노출시키는 절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착탈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면은, 그 마찰 계수가 상기 배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계지면 이외의 부분의 마찰 계수보다도 작게 되는 표면으로 함으로써, 상기 계지되는 부위를 더욱 명확하게 함과 함께 더욱 신속하게 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착탈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면을 갖는 돌기부는 상기 배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장치로부터의 배터리의 취출시에, 상기 경사면이 상기 계지 수단의 접촉압을 받음으로써, 상기 장치로부터의 배터리의 배출이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착탈 기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삽입면의 양단부에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오삽입시의 상기 배터리와 상기 장치의 단자의 파손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착탈 기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주면이 정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착탈 기구.
  14. 편평한 직육면체의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장치로의 삽입면의 대향면인 배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배면을 따르도록 돌기부를 형성하고,
    한쪽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장치에 구비된 계지 수단에 의해 계지되는 피계지면을 갖고, 상기 피계지면은 상기 배면보다도 낮게 설정되고,
    상기 피계지면은, 그 마찰 계수가 상기 배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계지면 이외의 부분의 마찰 계수보다도 작게 되는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5. 삭제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계지면을 갖는 돌기부는 상기 배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면의 양단부에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주면이 정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KR1020077014665A 2004-12-28 2005-12-22 배터리의 착탈 기구 KR101235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79984A JP4649988B2 (ja) 2004-12-28 2004-12-28 バッテリ収納ケース
JP2004379985A JP4513563B2 (ja) 2004-12-28 2004-12-28 バッテリの着脱機構
JPJP-P-2004-00379985 2004-12-28
JPJP-P-2004-00379984 2004-12-28
PCT/JP2005/023627 WO2006070692A1 (ja) 2004-12-28 2005-12-22 バッテリの着脱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713A KR20070086713A (ko) 2007-08-27
KR101235001B1 true KR101235001B1 (ko) 2013-02-20

Family

ID=3661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665A KR101235001B1 (ko) 2004-12-28 2005-12-22 배터리의 착탈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8709633B2 (ko)
EP (2) EP1843412B1 (ko)
KR (1) KR101235001B1 (ko)
AU (1) AU2005322766A1 (ko)
MX (1) MX2007007139A (ko)
MY (1) MY147550A (ko)
TW (1) TW200638583A (ko)
WO (1) WO2006070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53B1 (ko) * 2007-06-01 2013-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수납 구조체
TWI503651B (zh) * 2009-07-10 2015-10-11 Chiun Mai Comm Systems Inc 電子裝置之電池安裝結構
TWI449843B (zh) * 2009-10-08 2014-08-21 Hon Hai Prec Ind Co Ltd 自動裝卸電池的電子裝置
KR101772064B1 (ko) 2013-09-10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7799681B (zh) * 2016-09-01 2022-07-12 康塔有限公司 可再充电电池组
US20180083485A1 (en) * 2016-09-16 2018-03-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Non-contact power transfer in electronic volume correctors
US10278297B1 (en) * 2017-10-11 2019-04-30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Case with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reof
KR102619251B1 (ko) * 2023-06-12 2024-01-02 (주)그린파워 직렬 배터리 충방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515A (ja) * 1991-07-03 1993-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およびこの電池を用いたicカード
JPH11307072A (ja) * 1998-04-23 1999-11-05 Sony Corp バッテリーパック誤挿入防止装置
JP2000251861A (ja) * 1999-03-02 2000-09-14 Tookado:Kk 電池パックの強化構造
JP2003317689A (ja) * 2002-04-23 2003-11-0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電池ユニット、カメラ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951A (ja) 1989-09-13 1991-04-24 Ricoh Co Ltd 用紙後処理装置
US5208116A (en) * 1991-12-31 1993-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personal computer
JP3683307B2 (ja) 1995-06-30 2005-08-1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収納装置
JP3098951B2 (ja) 1996-03-05 2000-10-16 ユピテル工業株式会社 GaAs基板のアニール方法
JPH113692A (ja) 1997-06-09 1999-01-06 Iwatsu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用乾電池パック構造
JP2001058332A (ja) 1999-08-23 2001-03-06 Yamashita Denki Kk 薄肉成形品の成形方法
JP3473565B2 (ja) 2000-08-21 2003-12-0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JP2002124229A (ja) 2000-10-13 2002-04-26 Tookado:Kk 電池のスイッチ
KR100919332B1 (ko) * 2001-07-24 2009-09-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 장치
JP2003045390A (ja) 2001-08-02 2003-02-14 Sony Corp 電池収納トレイ
JP4454928B2 (ja) 2002-11-13 2010-04-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角形電池の製造方法
JP4005926B2 (ja) 2003-01-24 2007-11-14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ケ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515A (ja) * 1991-07-03 1993-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およびこの電池を用いたicカード
JPH11307072A (ja) * 1998-04-23 1999-11-05 Sony Corp バッテリーパック誤挿入防止装置
JP2000251861A (ja) * 1999-03-02 2000-09-14 Tookado:Kk 電池パックの強化構造
JP2003317689A (ja) * 2002-04-23 2003-11-0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電池ユニット、カメラ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09634B2 (en) 2014-04-29
EP1843412A4 (en) 2008-08-27
EP1843412A1 (en) 2007-10-10
US8709633B2 (en) 2014-04-29
US20140205880A1 (en) 2014-07-24
US9178195B2 (en) 2015-11-03
WO2006070692A1 (ja) 2006-07-06
TWI309483B (ko) 2009-05-01
US20110287306A1 (en) 2011-11-24
MX2007007139A (es) 2007-12-06
KR20070086713A (ko) 2007-08-27
TW200638583A (en) 2006-11-01
EP3109923A1 (en) 2016-12-28
EP1843412B1 (en) 2016-09-14
MY147550A (en) 2012-12-31
US20160028055A1 (en) 2016-01-28
AU2005322766A1 (en) 2006-07-06
US20090017373A1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001B1 (ko) 배터리의 착탈 기구
KR20070086709A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및 전자 장치
US9023514B2 (en) Battery pack
JP4539357B2 (ja) バッテリ、充電装置及び電子装置
CN101515637B (zh) 电池、充电设备及电子设备
JP4513563B2 (ja) バッテリの着脱機構
JP4736428B2 (ja) 電源ユニット
CN101091271A (zh) 电池的装卸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