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184B1 - 유체 제어 기기 유닛 - Google Patents

유체 제어 기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184B1
KR101234184B1 KR1020117000313A KR20117000313A KR101234184B1 KR 101234184 B1 KR101234184 B1 KR 101234184B1 KR 1020117000313 A KR1020117000313 A KR 1020117000313A KR 20117000313 A KR20117000313 A KR 20117000313A KR 101234184 B1 KR101234184 B1 KR 101234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trol device
fluid control
block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467A (ko
Inventor
준이치 미즈노
도모요시 이이다
히사시 다나카
도시카츠 사하시
Original Assignee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100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341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5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8Arrangements for compressed air preparation, e.g. comprising air driers, air condensers, filters, lubricators or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alve Housing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은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201~204)과 조인트 블록(30)(301~303)을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의 구성 요소로 하고 있다. 구성 요소끼리의 연결은 접속 돌출부(26, 36)와, 한 쌍의 홈부(25, 35)와, 고정 구멍 및 걸어맞춤 오목부를 구비한 2개의 연결 부재(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체 제어 기기 유닛{FLUID CONTROL DEVICE UNIT}
본 발명은, 유체 제어 기기를 복수 연결한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 공기원(유체 공급원)과 공압 작동 기기(유체 작동 기기)를 잇는 배관계에는 필터, 레귤레이터, 루브리케이터 등의 공압 제어 기기(유체 제어 기기)가 적절히 조합되어서 공압 회로(유체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압 제어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공압 작동 기기가 원활하게 작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압 회로에서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출력된 압축 공기를 복수로 분기시켜서, 한 쪽을 감압하거나, 다른 쪽을 필터링하거나 하기 위해서, 공압 제어 기기 등을 병렬 및 직렬로 조합시켜서 연결하고 있다.
상기 공압 회로에 있어서는, 튜브, 조인트 등을 이용해서 유체 공급원과 공압 제어 기기나 공압 제어 기기끼리를 접속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압 제어 기기나 조인트와 튜브와의 접속시의 시일(seal)제의 혼입 등에 의한 공압 제어 기기의 작동 불량이나, 접속시의 체결력 부족 등에 의한 에어 누설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튜브를 사용한 배관에서는, 유로의 통로 단면적이 변화하는 개소가 다수 존재함으로써 압력 손실이 커져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1에는, 기기끼리를 서로 연결 가능하게 한 연결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결 유닛(U)은, 복수의 제어 요소(유체 제어 기기)(90)와, 그 제어 요소(90)와 연결 가능한 조인트 요소(91)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요소(90)와 조인트 요소(91)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시일제의 혼입, 체결력 부족, 그리고 통로 단면적이 변화되는 개소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인트 요소(91)는 입방체 블록으로 형성되고, 네 개의 외벽면으로 이루어진 접합면(91a)의 중앙부에 관통 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인트 요소(91)끼리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각 관통 구멍(92)은 각각 연통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요소(91)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91a) 이외의 대향하는 두 면에는 요설(凹設) 부위(93)가 오목하게 설치되고, 그 요설 부위(93)를 둘러싸는 네 개의 측편(側片)(94) 중 3개의 측편(94)에는 반달형 창(95)이 형성되고, 나머지 1개의 측편(94)에는 나사 구멍(9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인트 요소(91)끼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조인트 요소(91)의 접합면(91a)끼리를 접합시키고, 또한, 한 쪽(도 21에서는 좌측)의 조인트 요소(91)에 있어서의 반달형 창(95)으로부터 다른 쪽(타측)(도 21에서는 우측)의 조인트 요소(91)에 있어서의 나사 구멍(96)에 볼트 나사(97)를 나사결합한다. 또한, 볼트 나사(97)의 두부(頭部)를 한 쪽의 조인트 요소(91)에 있어서의 측편(94)에 걸어맞춤으로써, 조인트 요소(91)끼리가 직렬로 연결된다. 그러면, 조인트 요소(91)의 관통 구멍(92)끼리가 직렬로 연결되어, 압축 공기의 주(主)유통 회로가 형성된다. 또한, 각 조인트 요소(91)의 다른 접합면(91a)에 제어 요소(90)를 각각 연결한다. 그러면, 각 조인트 요소(91)의 관통 구멍(92)에 각 제어 요소(90)가 연통되고, 각 제어 요소(90)에 압축 공기가 분기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결 유닛(U)에 있어서, 조인트 요소(91)끼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한 쪽의 조인트 요소(91)에 있어서의 반달형 창(95)이 형성된 접합면(91a)과, 다른 쪽의 조인트 요소(91)에 있어서의 나사 구멍(96)이 형성된 접합면(91a)을 서로 접합시켜야만 한다. 이 때문에, 볼트 나사(97)를 나사 구멍(96)에 나사결합할 때, 그 볼트 나사(97)를 요설 부위(93)의 내측에서 조이는 작업을 행해야만 해서, 조인트 요소(91)끼리의 연결이 매우 행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일본국 특개소63-16300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요소끼리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유체 제어 기기를 구비하는 동시에 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접속 블록 본체를 갖고, 그 접속 블록 본체에 유체 통로가 관통해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유체 통로의 관통 방향으로 대향하고, 유체 통로가 개구되는 측면에 접속부를 구비하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과, 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 블록 본체를 갖고, 그 조인트 블록 본체에 연락 통로가 형성되며, 그 연락 통로가 개구되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접속부를 구비하는 조인트 블록을 구성 요소로 하는 동시에, 복수의 구성 요소의 상기 접속부끼리가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수단이, 각 블록 본체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반(相反)하도록 접속부에 돌출설치된 한 쌍의 접속 돌출부와, 구성 요소끼리로 접속부를 맞닿게 했을 때에 조합된 2개의 접속 돌출부를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고정 부재를 고정 가능한 고정 구멍을 구비한 2개의 연결 부재로부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접속 돌출부의 돌출설치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접속부에 오목설치된 한 쌍의 홈부를 더 갖고, 구성 요소끼리로 접속부를 맞닿게 했을 때에 조합된 2개의 상기 홈부의 사이에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통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 본체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 블록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네 개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통로는 각 접속부에서 개구되도록 조인트 블록 본체 내에서 네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 본체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연락 통로의 관통 방향으로 대향하고, 연락 통로가 개구되는 측면에 접속부를 구비하며, 한 쪽의 접속부와 다른 쪽의 접속부의 크기를 다르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 본체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연락 통로의 관통 방향으로 대향하고, 연락 통로가 개구되는 측면에 접속부를 구비하며, 양 접속부에 돌출설치된 접속 돌출부의 돌출설치 방향이 교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접속 블록 본체는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이 부착되는 부착부의 부착면에 대하여 후면(後面)이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는 상기 후면에 인접하고, 또한 교차하는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접속 돌출부는 상기 후면, 및 그 후면에 배향(背向)하는 전면(前面)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접속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 블록 본체는 상기 부착면에 대하여 후면이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는 상기 후면에 인접하고, 또한 교차하는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접속 돌출부는 상기 후면, 및 그 후면에 배향하는 전면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접속부로부터 돌출설치되고, 상기 2개의 연결 부재는 상기 접속 블록 본체 및 조인트 블록 본체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1개씩 배설(配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연결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전면측에 배설되는 연결 부재에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접속 블록 본체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가 설치된 측면에 직교하는 다른 측면에 유체 제어 기기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복수의 조인트 블록끼리를 구획판을 통해서 연결하는 동시에 각 조인트 블록에 다른 구성 요소를 연결해서 유체 회로를 형성하고, 이웃하는 유체 회로에 다른 유체를 유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접속 블록 본체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유체 통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구멍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그 수용 구멍은 유체 제어 기기로서의 니들 밸브가 삽탈(揷脫)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접속 블록 본체의 다른 측면에는, 유체 제어 기기로서의 전자기 밸브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 요소끼리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공압 제어 기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a)는 니들 밸브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b)는 니들 밸브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의 (a)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c)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블록끼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공압 제어 기기 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a)는 제 2 실시형태의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c)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공압 제어 기기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의 (a)∼(c)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의 (a)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유체 제어 기기 블록, 조인트 블록, 및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3의 (a)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 (b)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배면도, (c)는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도 13의 (a)의 c-c선 단면도.
도 14는 공압 제어 기기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다른 형태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다른 형태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압력 표시기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홈부가 삭제된 유체 제어 기기 블록 및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다른 형태의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된 유체 제어 기기 블록과 조인트 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1은 배경기술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유체 제어 기기 유닛을 공압 제어 기기 유닛으로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5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제어 기기 유닛으로서의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은, 공압 회로(유체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은, 복수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복수의 조인트 블록(30)을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조인트 블록(30)이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의 구성 요소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으로서는, 유체 제어 기기인 레귤레이터(11)가 접속된 것, 유체 제어 기기인 제어 밸브(12)가 접속된 것, 유체 제어 기기인 니들 밸브(13)가 접속된 것, 및 유체 제어 기기인 필터(14)가 접속된 것이 있다.
먼저,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은, 구비하는 유체 제어 기기의 기종 이외의 구성은 공통이기 때문에, 이하, 공통인 구성에 동일한 번호를 첨부해서 설명한다. 상기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은, 거의 직방체 형상(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접속 블록 본체(2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 블록 본체(21)에는, 그 접속 블록 본체(21)를 관통하는 유체 통로(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블록 본체(21)에 있어서, 유체 통로(23)가 관통하는 방향(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을 접속 블록 본체(21)의 축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은, 접속 블록 본체(21)에 상기 레귤레이터(11), 제어 밸브(12), 니들 밸브(13), 및 필터(14) 중 1개의 유체 제어 기기가 접속됨으로써, 그 유체 제어 기기가 유체 통로(23)를 유통하는 유체를 제어한다.
접속 블록 본체(21)에 있어서, 유체 통로(23)의 관통 방향(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에는, 거의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접속부(22)가 설치되어 있다(도 1에서는 한 쪽의 접속부(22)만 도시). 이 접속부(22)의 외측 단부면에 의해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에는 접속면(24)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접속면(24)에 유체 통로(23)가 개구해 있다. 각 접속부(22)에는, 그 접속부(22)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변(側邊)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25)가 한 쌍 오목설치되고, 양 홈부(25)는 유체 통로(23)의 개구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22)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부(25)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접속 돌출부(26)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접속 돌출부(26)는, 유체 통로(23)의 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반하는 방향으로 돌출설치되고, 접속 돌출부(26)의 돌출설치 방향은, 접속 블록 본체(21)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또한 홈부(25)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해져 있다. 또한, 접속 돌출부(26)는,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일 면이 접속면(24)에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면이 접속 돌출부(26)의 기단(基端)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 경사지고, 접속 돌출부(26)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니들 밸브(13)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2)가 설치된 2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다른 측면(상면)에는, 상기 유체 통로(2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구멍(27)이 개구되는 것 같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 구멍(27)에는 유체 제어 기기로서의 니들 밸브(13)가 삽탈(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수용 구멍(27)에 삽입된 니들 밸브(13)는, 나사 결합에 의해 접속 블록 본체(21)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수용 구멍(27)에 삽입되는 니들 밸브(13)를 교환함으로써,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이 구비하는 니들 밸브(13)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밸브(12)를 구비하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22)가 설치된 2개의 측면에 직교하는 다른 측면(상면)에는 제어 밸브(12)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인트 블록(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블록(30)은, 거의 직방체 형상(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 블록 본체(31)를 구비한다.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블록 본체(31)의 내부에는, 조인트 블록 본체(31)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네 개의 측면을 향해서 개구되도록 조인트 블록 본체(31) 내에서 네 방향으로 분기되는 연락 통로(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락 통로(33)가 관통하는 2방향 중, 화살표 Y로 나타내는 조인트 블록 본체(31)의 단변(短邊) 방향으로 관통하는 방향을 조인트 블록 본체(31)의 축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도 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블록 본체(31)에 있어서, 연락 통로(33)가 개구되는 네 개의 측면에는, 거의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접속부(32)가 설치되고, 그 접속부(32)의 외측 단부면에 의해 조인트 블록(30)에 접속면(34)이 설치되는 동시에, 접속면(34)에 연락 통로(33)가 개구되어 있다.
각 접속부(32)에는, 그 접속부(32)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변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35)가 한 쌍 오목설치되고, 양 홈부(35)는 연락 통로(33)의 개구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블록 본체(31)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접속부(32)에 형성된 홈부(35)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접속부(32)에 형성된 홈부(35)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접속부(32)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부(35)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접속 돌출부(36)가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접속 돌출부(36)는, 연락 통로(33)의 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반하는 방향으로 돌출설치되고, 접속 돌출부(36)의 돌출설치 방향과, 홈부(35)가 연장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접속 돌출부(36)는,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일 면이 접속면(34)에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면이 접속 돌출부(36)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 경사지고, 접속 돌출부(36)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조인트 블록(3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연결 부재(40)가 이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는, 금속재에 의해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단변 방향으로의 폭이 연결 부재(40)의 일 면 측으로부터 다른 면 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폭이 좁아지도록, 즉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4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에는 고정 구멍(40a)이 형성되고, 이 고정 구멍(40a)의 둘레면에는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40)의 폭이 좁은 측의 면에 있어서, 고정 구멍(40a)의 사이에 끼인 위치에는 걸어맞춤 오목부(40b)가 오목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40b)는, 연결 부재(4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개구 폭이, 걸어맞춤 오목부(40b)의 개구 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조인트 블록(30)을 연결할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에 있어서의 접속부(22)의 접속면(24)과, 조인트 블록(30)의 접속면(34)을 각각 합치시킨다. 이 때, 양 접속면(24, 34)의 크기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면,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의 접속 돌출부(26)와 조인트 블록(30)의 접속 돌출부(36)가 조합되어,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의 홈부(25)와 조인트 블록(30)의 홈부(35)가 조합되어, 1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면(24, 34)의 사이에 O링으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42)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O링 이외의 시일 부재(42)로서 개스킷이 접속면(24, 34)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한 쪽의 연결 부재(40)를, 그 걸어맞춤 오목부(40b) 내에 접속 돌출부(26, 36)가 삽입되도록 배설하고, 계속해서, 다른 쪽의 연결 부재(40)를, 그 걸어맞춤 오목부(40b) 내에 접속 돌출부(26, 36)가 삽입되도록 배설한다. 계속해서, 한 쪽의 연결 부재(40)의 고정 구멍(40a)에, 나사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43)를 삽입하고, 또한, 고정 부재(43)를 대향하는 홈부(25, 35)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고정 부재(43)를 다른 쪽의 연결 부재(40)의 고정 구멍(40a)에 나사결합한다. 그러면, 고정 부재(43)의 조임에 따라 한 쌍의 연결 부재(40)가 서로 근접되고, 걸어맞춤 오목부(40b)에 의해 접속 돌출부(26, 36)가 서로 압접된다. 따라서, 접속면(24, 34)끼리가 압접하는 동시에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조인트 블록(30)이 연결된다. 그리고, 접속 돌출부(26, 36)와, 홈부(25, 35)로 이루어지는 구멍과, 고정 구멍(40a) 및 걸어맞춤 오목부(40b)로 연결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40) 및 고정 부재(43)를 이용해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조인트 블록(30)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유체 통로(23)와 연락 통로(33)가 연통하고,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면(24)과 접속면(34)이 압접해 있는 동시에, 양 접속면(24, 34)의 사이가 시일 부재(42)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은 복수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복수의 조인트 블록(30)이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귤레이터(11)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이하, 레귤레이터 블록(201)이라 기재함)의 유체 통로(23)의 연장 방향으로 조인트 블록(30)(이하, 조인트 블록(301)이라 기재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조인트 블록(301)에 있어서, 연락 통로(33)의 1개의 개구에는 폐쇄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나사삽입되어서 폐쇄되어 있다. 또한, 이 조인트 블록(301)에는, 레귤레이터 블록(201)의 유체 통로(23)가 연장되는 방향(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에 제어 밸브(12)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이하, 밸브 블록(202)이라 기재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밸브 블록(202)에는, 필터(14)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이하, 필터 블록(204)이라 기재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블록(301)에는, 레귤레이터 블록(201)의 유체 통로(23)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른 조인트 블록(30)(이하, 조인트 블록(302, 303)이라 기재함)이 연결되어 있다. 즉, 조인트 블록(301)의 연락 통로(33)에 의해, 레귤레이터 블록(201)으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가 2개로 분기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블록(302)에 있어서, 조인트 블록(301)과 조인트 블록(302)에 연통하지 않는 연락 통로(33)의 개구는 폐쇄 부재(39)에 의해 폐쇄되고, 조인트 블록(303)에 있어서 연락 통로(33)의 2개의 개구는 폐쇄 부재(39)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레귤레이터 블록(201)이 연결된 조인트 블록(301)에는, 조인트 블록(302)이 연결되고, 그 조인트 블록(302)에는 조인트 블록(303)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블록(301)으로부터 2개째의 조인트 블록(303)에는, 레귤레이터 블록(201)의 유체 통로(23)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유체 통로(23)가 연장하도록, 니들 밸브(13)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이하, 니들 밸브 블록(203)이라 기재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니들 밸브 블록(203)에는, 필터 블록(204)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에 있어서는, 에어 공급원(P)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로서의 압축 공기는 상기 레귤레이터 블록(201)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조정되고, 또한, 압축 공기는 조인트 블록(301)에 의해 2방향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한 쪽의 공압 회로에서는 밸브 블록(202)을 통해서 필터 블록(204)을 통과한다. 또한, 다른 쪽의 공압 회로에서는 니들 밸브 블록(203)을 통해서 필터 블록(204)을 통과하게 되어 있다. 각 필터 블록(204)을 통과한 압축 공기는, 도시하지 않은 공압 작동 기기(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에 공급되고, 그 공압 작동 기기가 작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 및 조인트 블록(30)의 접속부(22, 32)에 접속 돌출부(26, 36)를 돌출설치하는 동시에, 홈부(25, 35)를 형성했다. 그리고,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조인트 블록(30)의 접속 돌출부(26, 36)를 연결 부재(40)의 걸어맞춤 오목부(40b)에 걸어맞추고, 연결 부재(40)의 외측으로부터 고정 구멍(40a)에 삽입통과시킨 고정 부재(43)를 다른 1개의 연결 부재(40)의 고정 구멍(40a)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조인트 블록(3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고정 구멍(40a)에의 고정 부재(43)의 나사삽입 작업은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 및 조인트 블록(30)의 외측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배경기술과 같이 볼트 나사를 블록의 내측에서 조여서 연결 작업을 행할 경우에 비해,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조인트 블록(30)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과 조인트 블록(30)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결 불량을 원인으로 한 압축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2)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의 구성 요소는, 연결 부재(40) 및 고정 부재(43)를 이용해서 직접 연결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유체 제어 기기, 예를 들면, 레귤레이터와 제어 밸브를 튜브, 조인트 등을 이용해서 접속할 경우와 같은, 접속시의 공압 회로 내로의 시일제의 혼입 등에 의한 유체 제어 기기의 작동 불량이나, 접속시의 체결력 부족 등에 의한 에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끼리의 사이에는 튜브가 개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압 회로에 있어서 유로의 통로 단면적이 변화되는 개소를 적게 할 수 있어, 압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3)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의 구성 요소는, 연결 부재(40) 및 고정 부재(43)를 이용해서 접속면(24, 34)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연결된다. 이 때문에, 구성 요소끼리의 사이에 튜브, 조인트 등이 개재할 경우에 비해 공압 회로 전체의 사이즈 다운을 도모할 수 있고,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을 한정된 설치 스페이스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니들 밸브(13)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에 있어서, 접속 블록 본체(21)에는 수용 구멍(27)이 형성되고, 그 수용 구멍(27)에 니들 밸브(13)가 삽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니들 밸브(13)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5) 에어 공급원(P)으로부터의 압축 공기는, 조인트 블록(30)에 의해 2방향으로 분기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에 공압 회로가 2개 병설되어 있어도 1개의 에어 공급원(P)으로부터 각 공압 회로에 압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공압 회로 각각에 에어 공급원(P)을 구비할 경우에 비해,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6) 연결 부재(40)와 고정 부재(43)를 이용하는 것 만으로 구성 요소끼리를 연결할 수 있는 한편, 고정 부재(43)를 연결 부재(40)로부터 나사풀기하는 것 만으로 구성 요소끼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 요소를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으로부터 분해하고, 그 메인터넌스(maintenance)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7)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에 있어서의 접속부(22)의 접속면(24)과, 조인트 블록(30)에 있어서의 접속부(32)의 접속면(34)을 각각 합치시켰을 때,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의 홈부(25)와 조인트 블록(30)의 홈부(35)가 조합되고, 고정 부재(43)를 삽입통과 가능한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쪽의 고정 부재(43)의 고정 구멍(40a)으로부터 홈부(25, 35)로 이루어지는 구멍에 고정 부재(43)를 삽입통과시키면, 그 구멍에 의해 고정 부재(43)를 그 선단이 다른 쪽의 연결 부재(40)의 고정 구멍(40a)을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22, 32)에 홈부(25, 35)가 형성됨으로써, 고정 부재(43)의 나사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체 제어 기기 유닛을 공압 제어 기기 유닛으로 구체화한 제 2 실시형태를 도 6 및 도 7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또한,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조인트 블록(30)(303)과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니들 밸브 블록(203))를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에 있어서, 조인트 블록(30)(303)에는 조인트 블록(50)이 연결되고, 그 조인트 블록(50)에는 니들 밸브(13)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니들 밸브 블록(203))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조인트 블록(50)은, 거의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 블록 본체(51)를 구비한다. 또한, 조인트 블록 본체(51)의 내부에는, 조인트 블록 본체(51)의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을 향해서 개구되도록 조인트 블록 본체(51)를 관통해서 연락 통로(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락 통로(53)가 조인트 블록 본체(51)를 관통하는 방향을 조인트 블록 본체(51)의 축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제 2 실시형태의 조인트 블록(50)은, 제 1 실시형태의 조인트 블록(30)에 비해, 연락 통로(53)의 관통 방향(축방향)으로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조인트 블록 본체(51)에 있어서, 연락 통로(53)의 관통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에는, 거의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접속부(52)가 설치되고, 그 접속부(52)의 외측 단부면에 의해 접속면(54)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접속면(54)에 연락 통로(53)가 개구해 있다.
각 접속부(52)에는, 그 접속부(52)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변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55)가 한 쌍 오목설치되고, 양 홈부(55)는 연락 통로(53)의 개구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쪽의 접속부(52)에 형성된 홈부(55)가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쪽의 접속부(52)에 형성된 홈부(55)가 연장되는 방향은 교차(직교)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접속부(52) 중 한 쪽의 접속부(52)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부(55)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접속 돌출부(5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접속부(52) 중 다른 쪽의 접속부(52)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부(55)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접속 돌출부(5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쪽의 접속부(52)에 돌출설치된 접속 돌출부(56)의 돌출설치 방향과, 다른 쪽의 접속부(52)에 돌출설치된 접속 돌출부(56)의 돌출설치 방향은 직교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조인트 블록(50)의 한 쪽의 접속부(52)에 조인트 블록(303)을 연결하고, 조인트 블록(50)의 다른 쪽의 접속부(52)에 니들 밸브 블록(203)을 접속한다. 이 때, 2개의 접속부(52)에 형성된 접속 돌출부(56)의 돌출설치 방향은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니들 밸브 블록(203)에 있어서의 니들 밸브(13)의 돌출설치 방향은, 제 1 실시형태의 니들 밸브(13)의 돌출설치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해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 (1)∼(7)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 외에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8) 접속 돌출부(56)의 돌출설치 방향이 다른 조인트 블록(50)을 이용함으로써, 그 조인트 블록(50)에 연결되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의 유체 제어 기기(니들 밸브(13))의 돌출설치 방향을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 블록(50)을 이용함으로써 유체 제어 기기의 돌출설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의 설치 스페이스에 유체 제어 기기의 돌출설치 방향을 맞추고,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의 설치 가능성을 넓힐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체 제어 기기 유닛을 공압 제어 기기 유닛에 구체화한 제 3 실시형태를 도 8∼도 12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제어 기기 유닛으로서의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은, 공압 회로(유체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부착부로서의 부착판(T)의 전면이 되는 부착면(Ta)에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부착된다. 또한,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은, 복수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과, 복수의 조인트 블록(86)을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과 조인트 블록(86)이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구성 요소로 되어 있다.
먼저,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은, 구비하는 유체 제어 기기의 기종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각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끼리에서 공통이기 때문에, 이하,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끼리에서 공통인 구성에 동일한 번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또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으로서는, 유체 제어 기기인 필터 레귤레이터(F)를 구비한 것, 전자기 밸브(V1)를 구비한 것, 압력 스위치(S)를 구비한 것, 전자기 밸브(V2)를 구비한 것, 전자기 밸브(V3)를 구비한 것, 레귤레이터(R)를 구비한 것, 에어 오퍼레이션 밸브(E)를 구비한 것, 및 압력계(M)를 구비한 것이 있다. 그리고, 도 9의 (a)에는, 상기 레귤레이터(R)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을 나타내고, 도 9의 (b)에는 전자기 밸브(V2)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을 나타내고, 도 9의 (c)에는 전자기 밸브(V3)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직방체 형상(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접속 블록 본체(83)를 일체로 구비하고, 그 접속 블록 본체(83)에는 유체 통로(8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접속 블록 본체(83)에 있어서, 유체 통로(84)가 관통하는 방향을 접속 블록 본체(83)의 축방향으로 한다. 또한, 접속 블록 본체(83)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84)가 개구되는 측면에 인접하는 동시에 유체 통로(84)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측면 중, 한 쪽을 상기 부착판(T)의 부착면(Ta)에 대향 배치되는 후면(83a)으로 한다(도 11 참조). 그리고, 유체 통로(84)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측면 중, 그 후면(83a)에 배향하는 일 측면을 전면(83b)으로 한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판(T)의 부착면(Ta)을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접속 블록 본체(83)보다 전방 측이 접속 블록 본체(83)의 전측(前側)이 되고, 그 전측에 위치하는 접속 블록 본체(83)의 일 측면이 전면(83b)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 중, 상기 필터 레귤레이터(F)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 전자기 밸브(V1)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 및 압력 스위치(S)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은 상기 전면(83b)에 대하여 인접하고, 또한 직교하는 일 측면(상면)에 각 유체 제어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 밸브(V2)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 전자기 밸브(V3)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 레귤레이터(R)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 및 에어 오퍼레이션 밸브(E)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은, 전면(83b)에 각 유체 제어 기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블록 본체(83)에 있어서, 유체 통로(84)가 개구되는 두 개의 측면에 거의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접속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부(85)는 상기 후면(83a) 및 전면(83b)에 인접하고, 또한 교차(직교)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각 접속부(85)에는 각각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속면(85a), 홈부(85b), 및 한 쌍의 접속 돌출부(85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속 돌출부(85c)는, 각각 접속 블록 본체(83)의 후면(83a) 및 전면(83b)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접속부(85)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접속 돌출부(85c) 중 한 쪽의 접속 돌출부(85c)는 후면(83a)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접속부(85)로부터 돌출설치되고, 다른 쪽의 접속 돌출부(85c)는 전면(83b)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접속부(85)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83b)에 대하여 직교하는 접속 돌출부(85c)는, 그 선단이 접속부(85)로부터 전방(전측)을 향해서 연장하도록 돌출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인트 블록(8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블록(86)은, 직방체 형상(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 블록 본체(87)를 구비한다. 조인트 블록 본체(87)에 있어서, 상기 연락 통로(88)가 개구되는 네 개의 측면에 인접하는 동시에 연락 통로(88)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측면 중, 한 쪽을 상기 부착판(T)의 부착면(Ta)에 대향 배치되는 후면(87a)으로 한다. 그리고, 연락 통로(88)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측면 중, 그 후면(87a)에 배향하는 일 측면을 전면(87b)으로 한다. 즉, 부착판(T)의 부착면(Ta)을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조인트 블록 본체(87)보다 전방 측이 조인트 블록 본체(87) 전측이 되고, 그 전측에 위치하는 조인트 블록 본체(87)의 일 측면이 전면(87b)으로 되어 있다.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블록 본체(87)에 있어서, 연락 통로(88)가 개구되는 네 개의 측면에는, 거의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접속부(89)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부(89)는 상기 후면(83a) 및 전면(83b)에 인접하고, 또한 교차(직교)하는 측면에 설치되며, 각 접속부(89)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속면(89a), 홈부(89b), 및 접속 돌출부(89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접속 돌출부(89c)는, 각각 조인트 블록 본체(87)의 후면(87a) 및 전면(87b)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접속부(89)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접속 돌출부(89c) 중 한 쪽의 접속 돌출부(89c)는 후면(87a)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접속부(89)로부터 돌출설치되고, 다른 쪽의 접속 돌출부(89c)는 전면(87b)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접속부(89)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면(87b)에 대하여 직교하는 접속 돌출부(89c)는, 그 선단이 접속부(89)로부터 전방(전측)을 향해서 연장하도록 돌출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연결 부재(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걸어맞춤 오목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연결 부재(40) 중 한 쪽의 연결 부재(40)의 장변(長邊)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에는 고정 구멍(40a)이 형성되고, 이 고정 구멍(40a)의 둘레면에는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연결 부재(40) 중 다른 쪽의 연결 부재(40)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에는 고정 구멍(40c)이 형성되고, 이 고정 구멍(40c)에는 나사산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고정 부재(43)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정 구멍(40c)을 구비한 연결 부재(40)로부터,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구멍(40a)을 구비한 연결 부재(40)에 삽입통과되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 부재(40)에는,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에 있어서의 압축 공기의 유통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나, 바로 근처에 위치하는 유체 제어 기기의 명칭과 같은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N)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40)에 「감압 밸브」 및 「화살표」를 표시한 표시부(N)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결 부재(40) 및 고정 부재(43)를 이용해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끼리 또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과 조인트 블록(86)을 연결한다. 이 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정 구멍(40c)을 구비한 연결 부재(40)는, 각 블록(82, 86)의 전면(83b, 87b) 측에 배설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구멍(40a)을 구비한 연결 부재(40)는, 각 블록(82, 86)의 후면(83a, 87a) 측에 배설된다.
그리고,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끼리 또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과 조인트 블록(86)이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이 형성된다. 이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은, 접속 블록 본체(83)의 후면(83a) 및 조인트 블록 본체(87)의 후면(87a)이 부착판(T)의 부착면(Ta)에 대향하도록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해서 부착판(T)에 부착된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은, 접속 블록 본체(83)의 전면(83b) 및 조인트 블록 본체(87)의 전면(87b)이 전측에 임하도록 부착판(T)에 부착된다.
그리고,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 및 조인트 블록(86)에 있어서는, 접속 돌출부(85c, 89c)가 전면(83b, 87b)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돌출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82, 86)의 연결을 위해서 이용된 쌍이 되는 2개의 연결 부재(40) 중 1개는, 모두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전측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전측에 배설된 연결 부재(40)에는,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에 있어서의 압축 공기의 유통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나, 바로 근처에 위치하는 유체 제어 기기의 명칭과 같은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N)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에 있어서, 접속부(85)에 네 개의 홈부(85b) 및 접속 돌출부(85c)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효과 (1)∼(3), (7)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 외에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9) 접속 돌출부(85c)가 접속 블록 본체(83)의 후면(83a) 및 전면(83b)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접속부(85)로부터 돌출설치되고, 접속 돌출부(89c)가 조인트 블록 본체(87)의 후면(87a) 및 전면(87b)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접속부(89)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이 부착판(T)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전측과 후측에 연결 부재(40)가 배설된 상태에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끼리 또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과 조인트 블록(86)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으로부터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 또는 조인트 블록(86)을 분리할 때는,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전측으로부터 고정 부재(43)의 나사풀기 작업 및 연결 부재(40)의 분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 또는 조인트 블록(86)을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에 부착할 때는,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전측으로부터 연결 부재(40)의 부착 작업 및 고정 부재(43)의 나사삽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연결 부재(40)가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상측이나 하측에 배설된 상태에서 각 블록(82, 86)이 연결될 경우에 비해, 각종 작업용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연결 부재(40)가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상측이나 하측에 배설되면 이웃하는 유체 제어 기기의 사이의 매우 좁은 스페이스에 손을 넣어서 각종 작업을 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종 작업용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해서 작업을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전측으로부터 고정 부재(43)의 나사풀기 또는 나사삽입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형상을 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나사풀기 또는 나사삽입 작업을 행할 수 있다.
(10)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전측에 배설되는 연결 부재(40)에는 표시부(N)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시부(N)에 의해 압축 공기의 유통 방향이나 유체 제어 기기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조인트 블록으로서, 그 조인트 블록이 구비하는 한 쌍의 접속부의 크기(형상)가 다른 것을 이용해도 된다. 도 13의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블록(60)은, 거의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 블록 본체(61)를 구비하고, 조인트 블록 본체(61)의 내부에는, 조인트 블록 본체(61)의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을 향해서 개구되는 연락 통로(6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블록 본체(61)에 있어서,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락 통로(63)의 관통 방향을 조인트 블록 본체(61)의 축방향으로 한다. 이 경우, 조인트 블록(60)의 축방향으로의 두께는, 제 1 실시형태의 조인트 블록(30)에 비해 얇게 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블록 본체(61)에 있어서, 연락 통로(63)가 개구되는 두 개의 측면에는, 거의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접속부(62)가 설치되고, 그 접속부(62)의 외측 단부면에 의해 접속면(64)이 설치되는 동시에, 그 접속면(64)에 연락 통로(63)가 개구해 있다. 도 1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락 통로(63)는, 한 쪽의 접속면(64) 측의 구경이 다른 쪽의 접속면(64) 측의 구경과 다르다.
도 1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쪽의 접속부(62)와 다른 쪽의 접속부(62)는 크기(형상)가 다르다. 또한, 각 접속부(62)에는, 그 접속부(62)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변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65)가 한 쌍 오목설치되고, 양 홈부(65)는 연락 통로(63)의 개구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접속부(62)에 형성된 홈부(65)가 연장되는 방향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양 접속부(62)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부(65)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접속 돌출부(66)가 한 쌍 설치되고, 양 접속부(62)에 형성된 접속 돌출부(66)의 돌출설치 방향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한 쪽의 접속부(62)와 다른 쪽의 접속부(62)는, 홈부(65)가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길이, 및 그 홈부(65)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각각 다르고, 접속부(62)의 크기가 다르다. 또한, 한 쪽의 접속부(62)에 형성된 접속 돌출부(66)와, 다른 쪽의 접속부(62)에 형성된 접속 돌출부(66)는, 각 접속부(62)로부터의 돌출설치 방향으로의 길이가 다르다.
그리고, 예를 들면, 조인트 블록(60)의 한 쪽의 접속부(62)에 필터 블록(204)을 연결한다. 또한, 한 쪽의 접속부(62)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 다른 쪽의 접속부(62)에, 상기 필터 블록(204)의 접속부(22)보다 작은 사이즈의 접속부를 구비한 공압 작동 기기(도시하지 않음) 또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을 연결한다. 따라서,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에 조인트 블록(60)을 이용함으로써, 그 조인트 블록(60)을 통해서 사이즈가 다른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끼리 또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과 공압 작동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즈 다운을 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을 연결함으로써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의 사이즈 다운을 가능하게 하고, 공압 제어 기기 유닛(10)의 설치 스페이스에의 설치 가능성을 넓힐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나타내는 조인트 블록(60)에 있어서, 양 접속부(62)로부터 돌출하는 접속 돌출부(66)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압 제어 기기 유닛(80)은, 2개의 유체 회로를 병설한 것이어도 된다. 공압 제어 기기 유닛(80)은, 조인트 블록(30)을 2개 연결하고, 각 조인트 블록(30)에, 유체 제어 기기로서의 압력계(15)를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이하, 압력계 블록(205)이라 기재함)을 연결하고, 또한, 각 압력계 블록(205)에 밸브 블록(202)을 2개 연결해서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 블록(30)의 접속부(32)끼리의 사이에는 구획판(71)이 개장(介裝)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조인트 블록(30) 중 한 쪽의 조인트 블록(30)에는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다른 쪽의 조인트 블록(30)에는 액체(유체)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조인트 블록(30)의 사이에 구획판(71)이 개장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유체 회로가 병설되어 있어도 유체가 혼재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공압 제어 기기 유닛(80)에 있어서는, 다른 유체 회로를 병설할 수 있다. 또한, 공압 제어 기기 유닛은, 조인트 블록(30)을 3개 이상 연결하고, 각 조인트 블록(30)에 다른 구성 요소를 연결해서 유체 회로를 3개 이상 병설한 구성이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조인트 블록(50)에 있어서, 한 쪽의 접속부(52)에 돌출설치된 접속 돌출부(56)의 돌출설치 방향과, 다른 쪽의 접속부(52)에 돌출설치된 접속 돌출부(56)의 돌출설치 방향을 교차시켜, 돌출설치 방향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를 90도 이외의 값, 예를 들면 80도나 45도로 설정해도 된다.
유체 제어 기기 유닛의 구성 요소로서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은, 유체 제어 기기로서의 체크 밸브 유닛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은 접속 블록 본체(83)에 체크 밸브 유닛(C)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접속 블록 본체(83)에 있어서, 유체 통로(84)가 개구되는 세 개의 측면에 거의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돌출설치된 접속부(8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블록 본체(83)에 있어서, 유체 통로(84)가 접속 블록 본체(83)를 관통하는 방향을, 그 접속 블록 본체(83)의 축방향으로 하고, 본 형태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에 있어서, 유체 통로(84)는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유체 통로(84)가 개구해 있다. 즉, 유체 통로(84)는 T자 형상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블록 본체(83)에 있어서, 각 접속부(85)는 상기 후면(83a) 및 전면(83b)에 인접하고, 또한 교차(직교)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각 접속부(85)에는 각각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속면(85a), 홈부(85b), 및 한 쌍의 접속 돌출부(8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 블록 본체(83)의 전면(83b)에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에 있어서의 압축 공기의 유통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한 표시부(N)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블록 본체(83)의 축방향에 따른 유체 통로(84)의 일부는, 유체 통로(84)에 있어서의 그 밖의 부위보다 직경이 넓혀진 원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직경이 넓혀진 부위에 밸브실(79)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밸브실(79)은, 접속 블록 본체(83)의 축방향을 따라 원 구멍 형상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실(79)을 형성하는 접속 블록 본체(83)의 내면이며, 밸브실(79)을 향해서 개구되는 유체 통로(84)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밸브 시트(valve seat)(78)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실(79) 내에는 체크 밸브 유닛(C)이 수용되어 있다. 체크 밸브 유닛(C)은, 밸브체(73)와, 그 밸브체(73)를 일체로 유지하고, 밸브실(79) 내에 수용되는 통 형상의 밸브 가이드(74)와, 그 밸브 가이드(74)를 밸브실(79) 내에 위치결정하도록 유체 통로(84) 내에 장착되는 캡(cap)(75)과, 밸브 가이드(74)를 밸브 시트(78)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부재(7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 가이드(74)의 외주부(外周部)에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74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74a)는, 밸브실(79)의 내주면(內周面)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밸브 가이드(74), 즉 밸브체(73)를 접속 블록 본체(83)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밸브 가이드(74)에는, 밸브실(79) 내와 밸브 가이드(74) 내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76)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그 가압 부재(76)는 밸브 가이드(74)에 있어서, 가이드부(74a)의 내측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76)는 일단이 밸브 가이드(74)에 맞닿고, 타단이 캡(75)의 내측 단부면에 맞닿아 있어, 밸브체(73)에 소정 압력 이상의 유체압이 작용할 때까지는 가압 부재(76)의 가압에 의해 밸브체(73)는 밸브 시트(78)에 유지되게 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75)의 외주면에는, 걸어맞춤 홈(75a)이 캡(7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오목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 블록 본체(83)에 있어서, 밸브실(79)보다 유체 통로(84)의 개구측에는, 유체 통로(84)를 사이에 두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통과 구멍(8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75)이 유체 통로(84)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그 캡(75)의 걸어맞춤 홈(75a)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양 측과 접속 블록 본체(83)의 삽입통과 구멍(83c)이 연통하게 되어 있다. 접속 블록 본체(83)의 삽입통과 구멍(83c)에 U자 형상을 이루는 빠짐방지 핀(70)을 끼워넣으면, 그 빠짐방지 핀(70)이 캡(75)의 걸어맞춤 홈(75a)과 접속 블록 본체(83)의 삽입통과 구멍(83c)에 삽입통과되어, 그 빠짐방지 핀(70)에 의해 캡(75)이 유체 통로(84) 내에 빠짐방지됨으로써 캡(75)이 유체 통로(84) 내에 장착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75)이 유체 통로(84) 내에 빠짐방지된 상태에서는, 캡(75)의 외주면과 유체 통로(84)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O링(77)이 배설되고, 그 O링(77)에 의해 캡(75)의 외주면과 유체 통로(84)의 내주면의 사이로부터의 유체 누설이 억제되어 있다.
그리고, 본 형태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에 대향하는 유체 통로(84)의 두 개의 개구 중 한 쪽(도 16에서는 왼쪽)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면, 소정 압력 이상의 유체압이 밸브체(73)에 작용할 때까지는, 밸브체(73)는 밸브 시트(78)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체 통로(84)의 다른 쪽(도 16에서는 오른쪽)으로 압축 공기는 공급되지 않고, 접속 블록 본체(83)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체 통로(84)에 유체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 압력의 유체압이 밸브체(73)에 작용하면, 밸브 가이드(74)가 이동하고, 밸브체(73)가 밸브 시트(78)로부터 이간한다. 그러면, 압축 공기가 밸브실(79) 내에 유입하고, 밸브 가이드(74)의 연통 구멍으로부터 밸브 가이드(74) 내로 압축 공기가 유입한다. 그리고, 압축 공기는, 유체 통로(84)의 한 쪽의 개구로부터 다른 쪽의 개구로 공급된다.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에 있어서, 접속 블록 본체(83)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유체 통로(84)의 두 개의 개구 중 다른 쪽(도 16에서는 오른쪽)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역류하면, 그 유체압을 받은 밸브 가이드(74)는 밸브 시트(78)를 향해서 이동하고, 밸브체(73)가 밸브 시트(78)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유체 통로(84)의 한 쪽의 개구측으로의 압축 공기의 역류가 방지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체크 밸브 유닛(C)을 구비한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에 있어서, 유체 통로(84) 내의 유체압을 표시하는 압력 표시기(7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 82)과 조인트 블록(30, 50, 60, 86)의 연결 수단을, 한 쌍의 접속 돌출부(26, 36, 56, 66, 85c, 89c)와, 고정 부재(43)와, 2개의 연결 부재(40)로 형성해도 된다. 즉, 제 1∼제 3 실시형태, 및 도 13에 나타내는 형태와 달리, 연결 수단으로서 홈부(25, 35, 55, 65, 85b, 89b)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도 19 및 도 20에, 제 3 실시형태의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과 조인트 블록(86)을 이용해서 상기 구성을 설명한다. 즉,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의 접속부(85) 및 조인트 블록(86)의 접속부(89)에 있어서, 홈부(85b, 89b)가 형성되어 있던 부위는, 접속면(85a, 89a)보다 후퇴해서 평활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과 조인트 블록(86)으로 접속부(85, 89)끼리를 맞닿게 했을 때, 그 접속부(85, 89)의 사이에 고정 부재(43)가 삽입통과 가능한 공간(K)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렇게 연결 수단을 형성해도 유체 제어 기기 블록(82)과 조인트 블록(86)을 연결할 수 있다.
유체 제어 기기 블록(20)(201∼204)과, 제 1 실시형태의 조인트 블록(30)과, 제 2 실시형태의 조인트 블록(50)과, 도 13에 나타내는 조인트 블록(60)을 임의로 선택하고, 적절히 연결해서 공압 제어 기기 유닛을 형성해도 된다.
공압 제어 기기 유닛은, 액체를 유통시키는 액체 회로로서 이용되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연결 부재(40) 중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의 후측에 배설되는 연결 부재(40)에 있어서, 표시부(N)는 없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블록(82, 86)의 전측 및 후측의 양 측에 배설되는 연결 부재(40)에 있어서의 표시부(N)는 없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인트 블록(86)은, 조인트 블록 본체(87)의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을 향해서 연락 통로(88)가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타입으로 구체화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을 구획판(71)을 이용해서 2개의 다른 유체 회로를 병설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압 제어 기기 유닛(81)이 부착되는 부착부로서, 예를 들면, 공장의 벽면이나 기기의 측면에 구체화해도 된다.

Claims (11)

  1. 유체 제어 기기를 구비하는 동시에 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접속 블록 본체를 갖고, 그 접속 블록 본체에 유체 통로가 관통해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유체 통로의 관통 방향으로 대향하고, 유체 통로가 개구되는 측면에 접속부를 구비하는 유체 제어 기기 블록과,
    다면체 형상을 이루는 조인트 블록 본체를 갖고, 그 조인트 블록 본체에 연락 통로가 형성되며, 그 연락 통로가 개구되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접속부를 구비하는 조인트 블록을 구성 요소로 하는 동시에, 복수의 구성 요소의 상기 접속부끼리가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수단이, 각 블록 본체의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반(相反)하도록 접속부에 돌출설치된 한 쌍의 접속 돌출부와,
    구성 요소끼리로 접속부를 맞닿게 했을 때에 조합된 2개의 접속 돌출부를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고정 부재를 고정 가능한 고정 구멍을 구비한 2개의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 블록 본체는 상기 유체 제어 기기 유닛이 부착되는 부착부의 부착면에 대하여 후면(後面)이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는 상기 후면에 인접하고, 또한 교차하는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접속 돌출부는 상기 후면, 및 그 후면에 배향(背向)하는 전면(前面)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접속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 블록 본체는 상기 부착면에 대하여 후면이 대향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는 상기 후면에 인접하고, 또한 교차하는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접속 돌출부는 상기 후면, 및 그 후면에 배향하는 전면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접속부로부터 돌출설치되고, 상기 2개의 연결 부재는 상기 접속 블록 본체 및 조인트 블록 본체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1개씩 배설(配設)되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접속 돌출부의 돌출설치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접속부에 오목설치된 한 쌍의 홈부를 더 갖고, 구성 요소끼리로 접속부를 맞닿게 했을 때에 조합된 2개의 상기 홈부의 사이에 상기 고정 부재가 삽입통과되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 본체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 블록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네 개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통로는 각 접속부에서 개구되도록 조인트 블록 본체 내에서 네 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 본체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연락 통로의 관통 방향으로 대향하고, 연락 통로가 개구되는 측면에 접속부를 구비하며, 한 쪽의 접속부와 다른 쪽의 접속부의 크기를 다르게 한 유체 제어 기기 유닛.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블록 본체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연락 통로의 관통 방향으로 대향하고, 연락 통로가 개구되는 측면에 접속부를 구비하며, 양 접속부에 돌출설치된 접속 돌출부의 돌출설치 방향이 교차하고 있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연결 부재 중 적어도 상기 전면측에 배설되는 연결 부재에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블록 본체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접속부가 설치된 측면에 직교하는 다른 측면에 유체 제어 기기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인트 블록끼리를 구획판을 통해서 연결하는 동시에 각 조인트 블록에 다른 구성 요소를 연결해서 유체 회로를 형성하고, 이웃하는 유체 회로에 다른 유체를 유통시키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블록 본체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유체 통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구멍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그 수용 구멍은 유체 제어 기기로서의 니들 밸브가 삽탈(揷脫)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블록 본체의 다른 측면에는, 유체 제어 기기로서의 전자기 밸브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유체 제어 기기 유닛.
KR1020117000313A 2008-07-31 2008-07-31 유체 제어 기기 유닛 KR101234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3783 WO2010013342A1 (ja) 2008-07-31 2008-07-31 流体制御機器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467A KR20110015467A (ko) 2011-02-15
KR101234184B1 true KR101234184B1 (ko) 2013-02-18

Family

ID=4161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313A KR101234184B1 (ko) 2008-07-31 2008-07-31 유체 제어 기기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234184B1 (ko)
CN (1) CN102105701B (ko)
DE (1) DE112008003945B4 (ko)
WO (1) WO2010013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6773B2 (ja) * 2010-05-18 2014-05-21 Ckd株式会社 薬液流路用連結装置
JP5475716B2 (ja) * 2011-04-27 2014-04-16 株式会社コガネイ 内部パイロット式減圧弁
DE102017214350B4 (de) 2017-08-17 2021-10-28 Festo Se & Co. Kg Druckluft-Wartungseinhe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670A (ja) * 2006-10-18 2008-05-01 Ckd Corp 連結ユニット
JP2008133933A (ja) * 2006-11-29 2008-06-12 Ckd Corp 連結用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8040Z2 (it) * 1986-09-19 1988-03-31 Metal Work Spa Gruppo modulare perfezionato di elementi di trattamento e controllo per impianti di distribuzione aria compressa.
JPS63163002A (ja) 1986-12-26 1988-07-06 Kuroda Precision Ind Ltd 流体制御要素の連結ユニツト
DE4312730A1 (de) * 1993-04-20 1994-10-27 Festo Kg Ventilstation
US5383689A (en) * 1993-07-09 1995-01-24 Wilkerson Corporation Separable connector for pressure fluid components
DE19707630C1 (de) * 1997-02-26 1998-06-18 Festo Ag & Co Verbindungseinrichtung für zwei Körper einer fluiddurchströmten Baugruppe
JP4750735B2 (ja) * 2007-02-26 2011-08-17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電磁弁サブベース及び電磁弁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1670A (ja) * 2006-10-18 2008-05-01 Ckd Corp 連結ユニット
JP2008133933A (ja) * 2006-11-29 2008-06-12 Ckd Corp 連結用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5701A (zh) 2011-06-22
DE112008003945B4 (de) 2012-08-09
CN102105701B (zh) 2014-07-02
WO2010013342A1 (ja) 2010-02-04
DE112008003945T5 (de) 2011-05-19
KR20110015467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7170A1 (en) Couplings for fluid controllers
JP5087126B2 (ja) 拡張可能な気体又は液体分配システム
KR101234184B1 (ko) 유체 제어 기기 유닛
US7451778B2 (en) Valve for an expandable gas or fluid distribution system
US20060219023A1 (en) Pressure gage for an expandable gas or fluid distribution system
JP2008133933A (ja) 連結用アダプタ
JP4750735B2 (ja) 電磁弁サブベース及び電磁弁ブロック
JP5527641B2 (ja) 流体圧機器の接続具
EP1984631A1 (de) Modulares druckluft -wartungsgerät
EP3098492A1 (en) Pilot-operated solenoid valve
US20170184209A1 (en) Hydraulic connection having a flexible port mouth and method for connecting same
JP4794515B2 (ja) 流体制御機器ユニット
US8434521B2 (en) Valve unit and methods for fastening a valve unit to a base
KR102256236B1 (ko) 스피드 컨트롤러
US20060278230A1 (en) Integrated manifold for a ventilator system
JP2971065B1 (ja) 位置検出装置
DE102009017335A1 (de) Vorrichtung zur Messung des Volumen- oder Massestromes eines Mediums, Maschine mit entsprechender Vorrichtung
JP5065324B2 (ja) 流体圧機器の接続装置
US20060278228A1 (en) Manifold assembly for a ventilator system
US7451763B2 (en) Pneumatic shuttle valve for a ventilator system
WO2006133175A2 (en) A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the improper installation of the inlet fittings in a ventilator system
US20060278227A1 (en) Ventilator system
EP4089348B1 (en) Multi-profile adapter assembly
CN1452702A (zh) 具有节水功能的阀接头
CN211373909U (zh) 用于frl装置的压力调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